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롤투롤 공정으로 인쇄한 NFC 신호 변환용 IGZO 다이오드에 관한 연구
식품 또는 의약품 분야 물품에 부착되어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 태그의 실용화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소는 높은 생산 단가이다. Roll-to-Roll 프린팅 공정은 연속적으로 넓은 면적의 인쇄가 가능해 기존의 초소형 IC칩 제조 공정보다 빠르고 더 낮은 단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스마트폰의 NFC 시스템과 연동하여 NFC 신호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 시켜 스마트 태그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스마트 태그 실용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Roll-to-Roll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작 가능한 다이오드 잉크와 프린팅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다이오드 제작에 필요한 반도체 잉크는 N-type 반도체인 Indium-gallium-zinc-oxide(IGZO)를 합성하여 여기에 용매와 고분자 바인더를 혼합해 제작되었다. 다이오드는 하부 전극인 silver 나노입자 잉크 –전 도성 고분자 물질인 PEDOT:PSS –IGZO –금속잉크 순으로 인쇄되어 제작되었다. 스마트폰 NFC 신호인 13.56MHz의 교류 신호는 하부 전극인 silver 나노입자 잉크로 인쇄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다이오드를 통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직류 변환 효율은 교류 전압 대비 43%의 효율을 보여 스마트 태그 구동에 필요한 충분한 전압 공급이 가능함을 보였다.
住居環境改善事業의 施行方式別 居住特性에 관한 硏究 : 대전시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를 중심으로
There are no standards and rules that determine project in residential area improvement program. So, the determination of project type fully depends on the results of residents enquete. As a result, many problems are raised in the process of project. For example, residence discontent, change of project type in the execution of project and delay of project exec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dices that determine project type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housing condition in residential improvement area, and th give implications in residential improvement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Building area ratio', ‘mean lot area’, ‘ratio of minimum lot’, ‘ratio of illegal housing’, and ‘road density' are different in give significance level by project type. That is to say, the level of ‘building area ratio', and ‘minimum lot' is relatively high in the districts of self-help improvement type. And the level of ‘road density', and ‘mean lot area' is relatively low these districts. On the contrary, the disticts of apartment development type has revealed contrary characteristics to improvement type. 2. As a result of T-test between two type of project area, it is found that variables of ‘lot area’, 'building area', ‘number of rooms', and ‘building year', are notable statistic variables in significance level. And as result of CROSSTABS, ‘building structure’, and ‘building status' are notable statistic variable. Namely households living in physically low Quality of housing are willing to select apartment development type. 3. In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number of farmily’, and ‘level of income' are different and notables variables by project type. The improvement type has shown relatively high income and large family, as apartment development type are low income and small family. Comparing to existing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e practical standards in determining project type by analyzing the variable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of project area. Also, this study may suggest the altemative approach for residential area improvement program. 현행 「도시저소득주민의주거환경개선을위한임시조치법」에서의 주거환경개선 사업은 ‘현지개량방식’과 ‘공동주택건설방식’을 예정하고 있으나, 사업유형을 결정하는 규정이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업의 시행에 있어 사업유형의 결정은 주민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자치단체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사업시행과정에 민원발생 사업유형 변경, 사업 지연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는 결국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시행 후 사업에 대한 주민의 만족도와 계획적인 개발 결여 등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논문은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업유형별 주거실태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그 특성을 고찰하고, 사업유형의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업방식 결정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과 연구목적에서 수행한 경험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분석결과 현지개량방식과 공동주택 건설방식의 두 가지 사업유형 결정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그 특성에 따라 ①지구의 물리적 특성, ②주택의 특성, ③가구의 특성 등의 3가지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지구특성과 관련이 있는 변수 중 사업유형별로 차이를 보인 변수로는 건폐율과, 평균필지면적, 과소필지비율, 무허가 건축비율, 도로선밀도 등으로 분석되었다. 즉, 현지개량을 선태한 지구는 평균건폐율이 낮고, 평균필지면적이 크며, 과소필지비율이 낮고, 무허가 건축비율이 낮으며, 도로선밀도는 공동주택 건설방식 지구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공동주택 건설방식을 선택한 지구는 평균건폐율이 높고, 평균필지면적이 작으며, 과소필지비율이 높고, 무허가 건축비율이 높으며, 도로선밀도는 극히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T-test 결과 건축물의 규모와 관련이 있는 변수 중에서 사업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로는 대지면적, 건축면적, 방수, 사용방수, 건축년도가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또한 사업유형별 건축물 특성에 관한 교차분석결과 유의한 변수로 도출된 변수로는 주택유형, 주택구조, 건물상태 등으로 나타났다. 즉, 현지개량을 선호한 주택은 건축물의 규모가 크고, 방수가 많으며, 건축년도가 오래되지 않아 주택구조와 건물상태가 양호한 단독주택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동주택을 선호한 주택은 상대적으로 건축물의 규모가 작고, 방수는 적으며, 건축년도가 오래되어 주택구조와 건물상태가 불량하고 노후한 주택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가구특성과 관련이 있는 변수 중에서 T-test 결과 사업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는 가족수, 가족의 월평균소득이었다. 그러나, 사업유형별 가구특성에 관한 교차분석에서는 유의한 변수가 도출되지는 않았으나 주택소유형태와 토지소유형태가 약간의 유의성을 갖고 있었다. 즉 현지개량을 선호한 가구의 경우 가족수와 월평균 소득이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공동주택을 선호한 가구는 가족수와 월평균 소득이 낮게 분석되었다. 또한 주택소유형태에서도 자가의 비율이 높은 가구가 현지개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주거환경개선사업 관련연구의 대부분이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제도적 개선방안 측면에서 진행되어 온 데 비하여 본 연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업유형을 결정하는 지표들의 특성을 연구하여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업유형결정기준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 점에 의의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1999년이 시한인 「도시저소득주민의주거환경개선을위한임시조치법」의 법적 시한 만료와 관련하여 기존의 주택개량재개발의 사업방식에 대한 접근방법에 하나의 실천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주택개량재개발사업은 철거재개발방식만을 예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주택개량재개발지구에도 확대 적용하여 지구의 특성에 따라 사업방식을 다양화시킴으로써 주거개선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Micropatterning of organic and inorganic multilayer films prepared bya self-assembly method
Multilayered films prepared by layer-by-layer (LbL) deposition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electronic and optical devices, superhydrophobic surfaces, and biochemical sensors. Polyelectrolyte mutilayers (PEMs) composed of poly(ethyleneimine) (PEI)[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poly(sodium 4-styrenesulfonate) (PSS)]n were grown as a function of dip and spin cycle of (PSS/PAH) bilayers. UV absorbance at 226 nm corresponding to PSS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bilayers. Atomic force microscopy (AFM) study revealed that surface morphology was changed before and after surface modification using PEMs. A polydimethylsiloxane (PDMS) was patterned with a master using conventional photolithography, and micropatterened PEM films containing (PAH/PSS)n bilayers were successfully prepared onto the PDMS surface using dip or spin self-assembly (SA) methods. The micropatterened PEM films were directly transferred to silicon surface with a sharp edge structure, which were conform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measurements. In addition, organic-inorganic hybrid film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materials science community because of their ability to combine distinct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within one film. The patterning of organic-inorganic multilayer films is highly requir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material science and nanotechnolog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atterning process of hybrid multilayer films on solid surfaces. Hybrid mutilayers composed of poly(ethyleneimine) (PEI)[Ag nanoparticles (Ag NP)/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n were grown as a function of dip and spin cycle of (Ag NP/PAH) bilayers. UV absorbance at approximately 390 nm corresponding to Ag NP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bilayers. The micropatterened PAH/Ag NP hybrid films were successfully prepared onto the PDMS surface using dip self-assembly (SA) methods and the micropatterened PAH/Ag NP hybrid films were directly transferred to silicon surface with a sharp edge structure, which were conformed by AFM. We also successfully prepared titania/poly(acrylic acid) (PAA) nanocomposite multilayer films using LbL. Sol-gel process from metal alkoxide and polymer solutions. UV absorbance at 250 nm corresponding to titania layers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bilayers. The micropatterened PAA/TiO2 hybrid films were successfully prepared onto the PDMS surface using sol-gel reaction and The hybrid films were directly transferred to silicon surface with a sharp edge structure, which were conformed by AFM. From this study, we formed that various micropatterned can be farbricated using LBL and transfer printing multilayer techniques.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증가하는 도로공사 및 각종 건설공사로 인해 비탈면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지만 비탈면 녹화공사는 아직까지 조기 녹화에만 급급하여 외래도입초종위주로 시공하여 비탈면의 붕괴방지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비탈면에서는 목본류의 뿌리가 토양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비탈면의 붕괴방지를 예방할 수 있는데 목본류의 경우에는 초본류 및 한지형 잔디류에 비해 생장이 어려워 조기에 피압당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로공사로 인해 발생하는 비탈면의 경우에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국토해양부, 2009)』에따라 녹화업체를 선정하여 비탈면을 녹화하도록 제정 되어져 있는데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국토해양부, 2009)』에서 목본류를 판정기준은 도로 비탈면 시험시공지의 녹화후 1년 이내에 목본류 개체수를 판정시 1㎡당 2~5본 이상이 되면 목본성립본수가 만점을 받게 되어있다. 도로 비탈면 녹화공사 시험시공지의 판정처럼 목본군락의 수림대를 이뤄 토양의 안정을 확보한 대지산의 목본류를 녹화 후 1년차의 조사결과 1㎡당 평균 42본의 개체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현재의 도로 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의 평가기준과 비교해 보면 너무 낮은 판정기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지산 우수 복원 비탈면의 목본류의 개체수 및 상대우점치 분석결과를 표본으로 삼아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의 기준에 따라 조성되어진 시험시공지의 목본류 개체수 및 상대우점치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국토해양부, 2009)』의 목본성립본수 적정 평가기준과 조사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우수 비탈면 대상지인 대지산을 조사 분석해본 결과 동, 서, 남, 북 4사면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해본 결과 녹화후 1년차 목본류의 상대우점치 56.70이 1년, 2년, 3년차, 10년차의 평균 상대우점치 57.63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우수 복원 비탈면 분석 결과 1년차에 조성된 목본류의 상대우점치 56.70값을 도로비탈면 시험시공지의 목본류 1본의 평균 상대우점치값인 5.54가 달성하기 위해서는 10.23의 본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우수 복원 비탈면의 경우 목본군락형을 목적으로 조성하였기 때문에 시험시공지의 평가기준중 목본군락형의 목본성립본수 평가기준을 10본으로 하여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판단된다. 2. 도로비탈면 시험시공지의 기존의 목본성립본수 판정기준을 살펴보면 목본군락형의 기준 5본을 100%로 봤을때 초본목본혼합형은 목본군락형의 60%인 3본, 초본위주형은 40%인 2본이 된다. 이를 바탕으로 복원목표중 목본군락형의 판정기준을 10본으로 하였을 때, 초본목본혼합형은 목본군락형의 60%인 6본, 초본위주형은 40%인 4본의 기준을 제시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평가기준보다 2배가 된다. 기존의 평가기준과 제안 후 평가기준으로 도로비탈면 시험시공지의 목본성립본수를 판정해 보면 기존의 기준에서는 10점이 60개 5점이 2개로 평가의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안 후 평가기준으로 평가 해보면 10점이 32개 7점이 18개 5점이 12개로 변별력 있는 평가를 할 수 있었다. 제안된 기준으로 도로비탈면 시험시공지의 목본성립본수를 판정한다면 기존의 판정기준보다 변별력있고 효과적인 모니터링으로서 목본류의 생장에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3. 시험시공지의 토양 특성별로 구분하여 제안된 평가기준으로 평가해본 결과 성토토사, 절토토사, 리핑암에서는 전체적으로 목본류의 개체수 및 목본성립본수 평가점수가 양호하였으나 발파암의 경우는 목본류의 개체수 및 목본성립본수 평가점수가 다른 토양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발파암의 경우 초본위주형의 복원목표가 적용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도로비탈면 녹화공사 시험시공지의 목본성립본수 평가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우수 비탈면 대상지를 선정하고 그와 기후환경이 비슷한 중부지방의 도로비탈면 시험시공지 조사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남부지방의 도로비탈면 시험시공지의 현황과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을 수 있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가 도로비탈면 시험시공지의 목본성립본수 판정기준을 제안하는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남부지방을 포함한 보다 많은 우수 비탈면 대상지를 선정하여 비교 연구함으로써 전국의 도로비탈면 시험시공지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역설계 기반의 대형 특수차량용 독깁현가형 액슬 스루드라이브 개발에 관한 연구
이성근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An Independent-Suspension Type Axle is the high valued oligopolistic items from a few advanced industry though the usage is increased at the applied in transportation and special vehicle for work in the road in the mountain and unpaved road in and outside country. Through-drive, the key component in an Independent-Suspension Type Axle, is equipped with all the heavy duty vehicles and the related technologies can be applied to the various upgradation of the commercial vehicles. Therefore we have to develop out own the design techniqu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the manufactured goods. However, the detailed techniques on the through drive such as designing, manufacturing and the testing methods are still on the veil. To carry out some test for setting up the standard of designing needs some experiments with the target vehicles the equipped with the prototype for year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find out the way of save the cost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 The study on the designing methods and procedures with little data and researche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axle in the heavy duty vehicles was applied to the development through-drive. Additionally this research produced the details of designing and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test with the reverse-engineering of the products used in the similar situations. The designing of basic concept was prepared with the analyzing the requests and the function request of customers on the inter-axle on the heavy duty vehicles. Finally, the prototype was produced with the detailed design and the testing the detailed design. The summary of the content and result of the research is like the following, 1) Through-drive, the core accessary for inter-axle on the heavy duty vehicles was developed. This developed inter-axle through-drive as all wheel drive type independent suspension axle secures the safety and credibility for the special duties in special areas. 2) The proposed reverse-engineering methods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cedure was confirmed. The independent-suspension type axle for special heavy duty vehicles was developed with only the proposed designing method and procedures without the data of designing, manufacturing and testing of it. The standard of designing and testing for evaluation, the core part was produced, which shorten the manufacturing period and cut off the cost. 3) The core technology of the independent suspension type axle on the special heavy duty vehicles was developed. The research result in the core techniques needed for the independent suspension type axle for special heavy duty vehicles such as the techniques of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he method and standard of designing, the method and the standard of testing in evaluation, and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development of special products. 대형 특수차량용 독립현가형 액슬은 산악지형 및 비포장 험로에서의 화물수송용 및 작업용 특수차량에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높은 내구성과 신뢰성 요구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소수의 선진업체에서 독과점형태로 생산하는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특히, 대형 특수차량용 독립현가형 액슬을 구성하는 부품 중 스루드라이브는 엔진의 구동력을 다음번 액슬에 전달하는 독립현가형 총륜구동 차량의 핵심부품으로서 고유 설계기술 및 제작기술은 물론 상용제품 확보가 시급하다. 그러나 기존에 유사한 환경 및 용도로 사용되는 유사제품은 있으나 이와 관련된 공개 기술자료는 부족하고 표준규격도 없으며 제품개발을 위한 설계 및 제작 노하우 축적도 미흡한 상황에서 선진업체로부터의 관련제품 개발을 위한 설계, 제작, 시험평가 등 세부기술도 제공되지 않고 있다. 또한 제품개발을 위한 설계기준 설정을 위한 각종 시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제품을 실제 적용할 개발차량에 탑재하여 수년 이상의 필드 테스트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품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개발방법 및 절차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형 특수차량용 독립현가형 액슬 개발에 유용한 설계방법 및 절차를 연구하고, 습득 가능한 공개 기술자료 분석과 유사한 환경에서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유사제품에 대한 역설계를 통해 설계사양을 도출하고 시험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또한, 대형 특수차량용 액슬에 대한 고객요구사항(CRs) 및 기능요구사항(FRs)을 선정하고 부품배치 형식에 따른 개념설계 대안을 도출하여 장단점 비교 및 다른 부품과의 미스매칭 여부를 확인하여 개념설계안을 확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설계 및 설계검증을 통해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연구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 특수차량용 액슬의 핵심부품인 스루드라이브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스루드라이브는 차량 총하중 28톤급의 총륜구동 방식의 독립현가형 고하중용 액슬로서 산악, 해안 등 특수지형에서 특수임무 수행을 위한 높은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둘째, 대형 특수차량용 독립현가형 액슬에 대한 기술자료 분석, 유사제품에 대한 제품 성능 및 시험평가 기준에 분석을 통해 액슬 설계기술, 제작기술, 시험평가 방법 및 기준 등 관련 핵심기술을 확보하였다. 셋째, 제안된 역설계방법과 절차에 의해 설계, 제작, 시험평가 등 세부자료가 공개되지 않는 대형 특수차량용 독립현가형 액슬 개발의 핵심자료인 설계기준과 시험평가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액슬 개발 기간단축 및 비용절감을 통해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대형 특수차량용 독립현가형 액슬 설계, 제작 및 시험평가기술에 기초한 고유의 상용제품을 확보하고 이에 따른 수입대체가 촉진될 것으로 전망되며 제안된 특수제품 개발 방법 및 절차에 기초한 특수차량 동력전달계통의 부품개발이 촉진됨으로써 특수차량용 부품생산 경쟁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A) user-side power-saving video streaming scheme for LTE devices
Energy consumption of mobile devices is a great concern. Today, live and on-demand streaming services on mobile device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and those services consumes much energy of mobile because it continuously uses the most power hungry modules in mobile ,which are display and modem. Continuous and longtime usage of modem is caused by web server policy, which a server commences the download with an initial burst and later throttles down the data rate, which prolongs download time and active mode time in mobile. Most streaming services rely on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to deliver the contents to users, and mobile users are increasingly choosing Long Term Evolution (LTE) as the wireless access mode.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r-side proxy architecture for the mobile device that takes LTE modem operation into account in video streaming over HTTP. The idea is that mobile induces server to shape streaming traffic into bursts by sending specific HTTP request, then the mobile has sufficient time to switch from the high-power active state to low-power states, leading to as much as 40% to 70% battery sa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