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일 비교를 통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정책개선 방향

        이선자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준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와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정책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을 이용한 문헌연구를 위주로 서술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를 위한 분석 틀은 Gilbert와 Specht의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비교분석한 각 영역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운영주체를 일본은 시․정․촌(市町村) 및 특별구이며, 중앙정부․도도부현(都道府縣)․의료보험자․연금보험자가 시․정․촌(市町村)의 재정과 사무 및 행정을 공동․지원하는 중층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민건강보험 관리공단이 관리운영주체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관리운영주체가 한․일 다르다. 일본은 지방자치단체가, 우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역할을 맡고 있다. 둘째, 대상자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가입자와 동일하지만, 수급자는 두 종류로 즉, 65세 이상의 노인과 64세 미만의 노화 및 노인성질환대상자로 구분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연령 및 계층에 따라 수급자의 대상 범위를 제한하며, 제1호 피보험자와 제2호피보험자로 구분하고, 수급 대상자의 범위를 우리나라가 더 넓게 적용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한·일 거의 대동소이 하다. 셋째, 급여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치매ㆍ중풍 등으로 장기요양인정으로 판정을 받게 되는 노인은 재가급여와 시설급여 또는 특별현금급여를 받을 수 있다. 반면 일본 개호보험의 급부내용은 노인요양이 필요한 원인별 필요정도에 따라 급부를 제한하고 있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더 넓고 많은 급여를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예방 급부 서비스 우리나라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입여부를 고려해볼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넷째, 전달체계에서 우리나라와 일본 공히 거의 유사한 전달체계를 밟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민간조직이 중심되고 있다. 다섯째, 재원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일본 개호보험제도와 유사한 형태인 국고보조(조세)와 사회보험가입자의 보험료가 포함된 혼합형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일본개호보험의 재원조달은 개호보험의 도입을 통하여 비용조달구조를 일원화시켰으며, 사회보험과 공적자금의 절충방식을 채택한 것이 일본의 독특한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본의 재원측면에서는 사회보험형태이지만, 실제로는 사회보험방식과 조세방식의 혼합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이용자에게는 안전한 양질의 노후대책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한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정책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관리운영주체측면에서 관리운영주체의 일원화 및 관리운영주체와 평가주체의 이원화와 그리고 요양보호사의 법적 지위 강화 둘째, 대상자 측면에서는 장기요양수급권의 확대 그리고 단계적 장애인 장기요양수급권 부여 등이다. 셋째, 급여측면에서는 급여선택권의 보장 그리고 가족수발제공자의 사회보장급여권 보장 넷째, 전달체계측면에서는 등급판정의 신뢰성과 객관성 확보, 등급판정위원회 위원의 임용 방식 개선, 장기요양기관의 균형적 설립 마지막으로 재원측면에서는 국가부담금 비율의 단계적 인상 그리고 본인일부부담금 및 비급여항목의 축소 등이다.

      • FTA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 한칠레, 한미 FTA를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이선자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말 이후 세계화가 급진전됨에 따라 대부분의 국가들이 FTA 체결을 통한 지역별 무역블록 형성의 방법으로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사수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FTA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FTA와 중소기업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중소기업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56.9%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간과는 우리 경제 전체의 국제 경쟁력 약화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점이 바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라 할 수 있다. FTA는 2개 이상의 국가들이 동등한 지위 하에서 경제적 이익의 공동 추구를 목적으로 결성하는 것이다. 세계무역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WTO체제가 모든 회원국에게 최혜국 대우를 보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FTA체제 하에서는 회원국 간에 무관세나 낮은 관세를 적용하는 반면 비회원국에게는 종전의 관세를 그대로 적용한다. 이러한 FTA 체결의 장점으로는 역내국 경제성장으로 인한 무역증가, 비용절감, 투자 증진, 역내국 경제의 구조조정 효과 등을 들 수 있는 반면에 단점으로는 무역전환효과의 우려가 있다. 또한 FTA가 우리 중소기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으로 거대 시장진출의 계기 마련, 제3세계 진출로 인한 국가 이미지 제고, 선진국과의 교류로 인한 기술력 제고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으로는 수입품 급증으로 인한 중소기업의 생산활동 저하, 적대적 M&A의 우려, FTA 미체결 국가에서의 경쟁력 약화 등이 제기된다. 실제로 미국시장에서 우리 섬유제품이 NAFTA의 무관세 공격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요르단의 경우 비회원국인 한국산 엔진오일에 30%의 관세가 부과됨에 따라 수출을 포기한 상태이다. 그렇다면 우리 중소기업이 FTA체제하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가? 첫째,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생산성 향상, 지식 집약적인 제품 생산에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한다. 둘째, 지역적 클러스터(localized cluster)를 이용하여 지리적으로 근접한 기업들과 연계의 이점을 활용해야한다. 셋째, 생산비용의 절감을 위해 노동을 기술로 대체, 저임금 지역으로 이전, 지식기반 경제활동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수출입노선의 다양화를 통해 원가 경쟁력 향상, 국산화 제고 등을 추진해야한다. 위와 같은 중소기업의 노력이 더 많은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정부의 뒷받침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FTA로 인해 확대된 시장을 기업이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각종 편의를 제공하고 제반 장애요소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연구투자 활성화를 위해 재정적 지원을 확대해야 하며, 기업 활동이 용이하도록 세제를 개편해야 한다. 요컨대 무한경쟁의 세계화 시장에서 우리 중소기업이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자체의 꾸준한 노력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After 20th century, most countries are devoting all their strength to make their own economic profit by building a destrict trade zone through signing a FTA. Accordingly, the studies of FTA are being done in Korea. But, the studies of relationship between FTA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not that much. The percentage of GDP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about 60%. So,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therwise, Korea's global competitiveness would be weakened. This is why I start to study this issue. FTA is a contract for respective countries to get a common economic profit. Even through WTO, which is essence of world trade, gives most favored nation status, countries under FTA don't impose customs at all or impose a little to members. The good points of contracting FTA are, for example, trade increase by economic growth under the contract, expenses - cut down, investment growth, the effectiveness of restructuring. Also, the positive influences of FTA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the chances for approaching to huge market, improvement of national image by advancement to the third world, improvement of technology by association with advanced countries. But the negative affects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depreciation of producing, launching hostile take over bids for domestic companies, and a lessening of competitive pressures in the countries which don't contract FTA. Actually, textile goods made in Korea is the fight of their life in U.S.A because of customs-free of NAFTA. Because the motor oil made in Korea was imposed 40% tariff in the Jordan, Korea abandoned exportation. What is a strategy for FTA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irst, they should put their blood into productivity increases and intellectual manufactured goods. Second, they must press home an advantage of geographic proximity through using localized cluster. Third, they ought to substitute labor for technology, move to the region which has low wages, convert to the economy of intellectual activity to reduce production cost. Forth, they should pursue improvement of the prime cost, localization through various way of exportation and importation. The government must support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refore, our government ought to accord every facility for them, clear away every obstacle. Also, they must pursue financial support, carry out the reorganization of the tax system. In a wor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must make an effort by themselves an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m to survive in the global marketplace.

      • 청소년 가출생활 전환요인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선자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put its purpose that makes the types of the effective factors on runaway youth's life transition to prevent youth from re-runaway and make basic research to support effective leaving from runaway life. For this, it has been analyzed 30 cases that have successfully switched from runaway, and have got the result as follows. First, it's been classified the types of the effective factors on runaway youth's life transition into four, namely Family Support Type(FST), Independence Orientation Type(IOT), Self Reflection Type(SRT) and Crisis Experience Type(CET). These terms were first suggested for this study. Second, In the FST, family support, peer support, personal inner change, and multidimensional element including family resources were primary factors. But in this type, the non-agreed statement is about an item of crisis experience after runaway and about of social welfare resource. In the IOT, personal inner change, future orientation, and peer support were primary factors, and specially emphasized on the use of new chance and pursuit for the new life with strong point having themselves. But family support or regret to runaway were not consented. In the SRT, primary factors were personal inner change, future orientation, and it was emphasized on the self by consenting the statement of the new discovery to one's very self, inner change. The statement that was not agreed in this type was mainly about outward danger. In the CET, outward danger was the primary factor, that youth in this type, because of inward or outward danger and pain, seemed to have decided runaway life transition. The statements of the personal inner change and the support of social welfare agency were not agreed. Third, if we see why youth run away from home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m, 'escape' was the reason in FST and SRT, and was 'escape and pursuit' in IOT and CET. And youth of IOT and CET more used youth shelter than the youth of FST and CET did. Forth, follows are about the primary concepts that identify each type. In FST, family support, family change, brother(sister) support, eco-systems, protective factors, personal change, peer support were the primary concepts. In IOT, those were use of the chance of education and obtaining job, self decision, independent life, future orientation and resilience, and in SRT, inner change, self discovery, maturity, the feeling of substance, self value, and religious support. Finally in CET, self recognition, loneliness, physical suffering, financial problem, resilience and a compromising attitude to reality were the primary concepts. Fifth, every type was optimistic to the statements of personal inner change, discovery of self value of substance, religious support, but was negative to the statements of peer support met in youth shelter and support of the people around. Moreover, the stat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was optimistic in IOT and SRT, but was negative in FST and CET.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e need to find out the personal need of runaway youth to intervene in runaway factors and a range of runaway transition. For this, we can consider to develop assessment tool as Q-Block. Moreover, we can intervene in runaway youth by using the strong points and protective factors of them. To do this, we can take an active hand to change in family communication and to reinforce family relationship. And we can support youth to regard themselves very valuable so that they may be motivated in self development and display resilience. Except these, we can systematically help runaway youth easily approach to community resources to be prepared to help them, and make network to well information to community resources, increase of youth drop-in center and reinforcement of outreach service. Finally, Q-method is a method to classify the people who have took part in the study so that individuality of them can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fore we can develop this study by subdividing types of the individuality of the objects, analyzing them and finding out how the types could be related to runaway life transition. And we also can develop the significant factors proved through this study to be more reliable factors by practical study. Macro studies to improve approachment of youth and to construct more community resources, therefore, must be continued to study. 본 연구는 청소년이 가출생활을 전환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하고 유형화하여, 청소년의 재 가출을 예방하고 안정적으로 가출생활을 전환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가출생활을 성공적으로 전환한 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청소년 가출생활 전환요인의 유형은 가족지지형, 독립지향형, 자아성찰 형, 위기경험 형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가족지지형은 가족자원, 또래자원 등 다차원적인 요소가 강조되었고, 독립지향형은 새로운 기회를 활용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통해 새로운 생활을 추구하는 점이 강조되었다. 자아성찰 형은 주로 자기 자신에 관한 새로운 발견과 내적 변화를 강조하였고, 위기경험 형은 가출 이후 경험하게 된 내․외적 위험과 고통으로 가출생활 전환한 것으로 강조하였다. 셋째, 가출동기를 보면, 가족지지형과 자아성찰 형은 대부분 탈출로 나타났고, 독립지향형과 위기경험 형은 탈출과 추구가 혼합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립지향형과 자아성찰 형은 쉼터 이용 경험자가 많았으나, 가족지지형과 위기경험 형은 쉼터이용 경험자가 적었다. 넷째, 각 유형의 독특성을 나타나는 핵심개념을 보면, 가족지지형은 가족지지, 가족변화, 형제(자매)지지, 생태체계, 보호요인, 개인변화, 친구지지이며, 독립지향형은 교육 및 취업의 기회 활용, 자기결정, 독립적 생활, 미래지향, 탄력성이다. 자아성찰 형은 내적 변화, 자아발견, 성숙, 존재감, 자기 가치, 종교적 지지이고, 위기경험 형은 위험인식, 외로움, 육체적 고통, 경제적 어려움, 탄력성, 현실타협이다. 다섯째, 각 유형의 공통성은 자신의 내면적 변화, 자신의 존재가치의 발견, 종교적 지지는 긍 적 적인데 비하여, 쉼터 또래의 지지와 주변인의 지지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사회자원의 효과성은 독립지향형과 자아성찰 형에서는 긍정적으로, 가족지지형과 위기경험 형에서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청소년의 가출생활 전환에 관한 개별적 욕구 파악과 이를 위한 사정도구의 개발, 다양한 강점과 보호요인의 활용, 가족관계의 강화, 자립생활을 위한 진로탐색과 경제적 지원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자아성장과 탄력성을 지지하는 개입과 지역사회자원의 접근 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Waste Land에 나타난 죽음과 再生의 神話的 形態

        이선자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8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Waste Land ( 1992 ). Eliot uses the Grail legend and the initiation pattern in rituals of death and rebirth according to James Frazer's The Golden Bough and Jessie Weston's From Ritual to Romance. In Weston's Scheme the experience of sex assumes a universal of religious significance ; it is connected with the state of the land. For the Vegetation myths erect the cycle of the seasons into a series of divinely ordered events ; and this cycle of life is based on sex and personified in ritualistic figures. The fortune of the land depends upon the treatment of figures and thus religion. The mythical method hold a prominent place in the poem. where history appears so disordered, the ba□kward glance may give meaning to the present, which becomes signifi□ant through the realization of what has been destroyed or lost in it. Eliots waste land suffers from a disappearance of love and faith. All the allusive references of the poem can be stated quite simply : sexual disorder and the lack of religious belief. Both problems dominate The Waste Land and the sexual motif is more often revarked. In the poem the sexual behaviors are all in some way sterile or meaningless or loveless. Life devoid of meaning is death ; sacrifice, even the sacrificial death, may be life-giving, and awakening to life. The poem occupies itself to a great extent with this paradox, and with a number of variations upon it. The action in the poem, as Tiresias recounts it, moves toward two crucial incidents : the Hyacinth Garden scene in Part Ⅰ and the approach to Chapel Perilous in Part V, The one is the traditional initiation in the pursuit of the Grail the other is the mystical initiation into spiritual knowledge. Since both fall the purgatorial suffering. What The Waste Land is intended to express □□ □□□□□-cognition not only of the state of hell but of the necessity and promise of escape from it.

      • 정지용 시에 나타난 '무위자연' 사상 연구

        이선자 경희사이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Jeong Ji-yong’s poetic activities appear in two volumes of collections of poems, Collection of Jeong Ji-yong’s Poems(1935) and Baengnokdam(1941). Except for a series of poetry, singing the world of religious seeking for the truth, the poet sings the poetic object of nature consistently.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ideology of natural situations without artificial techniques in poems related to hometown, sea and mountain. Most researchers divide his poetry into early poems and later poems and into different dimensions such as sensual poems and oriental poems, but no one can deny that he has clung to a new subject, poetical discovery of nature from his early poems. Of course, many poets sang nature through poetry, and the reason why this study makes an issue of the proposition, ‘Letting nature be(Muwijayeon),’ through poetry, especially in his poetry, is that the way in which nature is sung as a poetic object shows an essential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lyric poetry. It is because his poetry suppresses his feelings, rather than expressing the world of his subjective emotions and feelings through nature, and creates his sensual awareness about nature, itself as a harmonious aesthetic space by putting that in order through language. This study would look into the ideology of a natural situation without artificial technique in Jeong Ji-yong’s poetry that showed poetic worlds. ‘Muwijayeon’ appears in his poetry as follows: First, it aims at a union with nature based on monistic consciousness about the universe. It pursues a monistic stage of assimilation of all things, in which all creatures become me, and I become all creatures, by uniting an individual with nature and the universe. His poetry is projected on a residential space, forming a union with nature in a way in which his feelings are shared by an object as the self and the world become one or it is integrated with the object. Second, it implies a spirit of pursuing ‘Muwijayeon’ and seeking the Taoist utopia, communing with nature breaking away from secular anguish and greed and living a life, going after rustic nature. In addi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by which he tries to overcome reality or transcend it by returning to nature through harmony with nature that symbolizes innocent spaces, such as hometown, sea or mountain. Third, it implies a consciousness about life to accept death and transcend distress through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nature of endless circulation. ‘Muwijayeon’ is an idea that the existence of objects is realized by regarding what is in conflict or opposition to them as a premise of their existence, and based on that, they develop, change and grow, and also everything carries out an incessant process of circulation and repetition. This ideology of opposition/transformation and circulation/reciprocation appears as a positive consciousness about death in his poetry, and in these poems, the ideology of the natural situation without artificial technique appears as various characteristics. It is noted that poetic spirit to return to nature, living a life, depending on nature, learning nature, living an idle lif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nature is manifested in a form of life in Jeong Ji-yong’s poems. Also, the poems contain his poetic spirit of pursuing the principle of life in nature, which is realiz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realization of the original home, consciousness of nature as mother and pursuit of Taoist utopia. Along with Tao, ‘idleness (Muwi),’ which forms the core of Lao-tzu and Chuang-tzu thoughts, realizes awakening, expansion to the universal consciousness, wisdom of transcending death, and the process of reaching freedom of spirit by doing nothing but looking at things, and it appears as observation in his poetic world. In his poems, a spirit, “The idea of ‘wandering(Soyo)’ is not a means for a purpose of life, but is the purpose itself” appears, which is insisted by Chuang-tzu.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appears as the spirit of ‘not paying attention to details(Daeihwaji),’ which pursues harmony with nature and getting the absolute freedom, transcending time, that is, ‘Letting nature be.’ 정지용의 시작 활동은『鄭芝溶詩集』(1935)과『白鹿潭』(1941)등 두 권의 시집으로 집약되어 나타난다. 종교적인 구도의 세계를 노래한 일련의 시를 제외하면 거의 일관되게 시적 대상이 자연을 노래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그의 시를 초기의 시와 후기의 시로 나누어 감각적인 시와 동양적인 시 등 서로 다른 차원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그가 초기 시부터 자연의 시적 발견이라는 새로운 주제에 매달려 있었다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물론 이전에도 시를 통해 자연을 노래한 경우는 많았지만 여기서 시를 통해 무위자연이라는 명제를 유달리 정지용의 시에서 문제 삼는 것은 시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을 노래하는 방법이 그 이전의 서정시와는 본질적으로 차이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시는 자연을 통해 자신의 주관적인 정서와 감정의 세계를 토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면서 자연에 대한 자신의 감각적인 인식 그 자체를 언어를 통해 조화로운 미적 공간으로 창조해 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향, 바다, 산에 관련된 시에 나타나는 무위자연 사상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무위자연은 첫째 일원론적 우주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연과의 합일을 지향했다고 할 수 있다. 무위자연은 개인을 우주 자연에 합일시킴으로써 천지 만물이 내가 되고 내가 곧 천지 만물이 되는 만물제동의 일원적인 경지를 추구한다. 정지용의 시는 거주 공간에 투사되어 자아와 세계가 동일화되거나 어떤 사물과 일체화됨으로써 그의 느낌을 공유하는 형식으로 자연과의 합일을 이룬다. 둘째 세속적인 번뇌와 욕심에서 벗어나 자연과 교감하며 소박한 본성을 따르며 사는 무위자연에 대한 추구와 도가적 이상향 추구의 정신이 있었다. 또한 고향이나 바다, 산 등 순수공간을 상징하는 자연과의 친화를 통해 현실에 대한 극복을 시도하거나 자연에 회귀함으로써 초극하려는 특징을 나타냈다. 셋째 끝없이 순환하는 자연원리의 이해를 통해 죽음과 괴로움을 초극하려는 삶의 의식을 내포한다는 점이다. 무위자연은 사물들이 그들 자신과 상반하거나 대립되는 것을 전재로 여김으로써 자기의 존재가 실현되고 그 기반에서 발전·변화·성장하고, 또한 만물이 끊임없는 순환, 반복의 과정을 진행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대립전화와 순환왕복의 이념은 정지용의 시에서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이들 시편에는 무위자연 사상이 다양한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정지용의 시편은 자연으로 돌아가 자연에 의지된 삶을 살고 자연을 배우고 자연의 원리에 따라 무위의 삶을 살며 소요의 자유를 누리고자 하는 시정신이 삶의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자연 속에서 삶의 원리를 추구하는 시정신이 나타나 있으며 그것은 본향의식의 각성, 어머니로서의 자연의식, 도가적 이상향의 추구 등 다양한 양상으로 구현되고 있다. 도와 더불어 노장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무위’는 깨달음과 우주적 의식으로의 확장, 죽음을 초극하는 지혜, 아무런 함(有爲)이 없이 오직 바라봄(無爲)으로써 정신의 자유에 이르는 과정 등을 구현하고 있으며 정지용의 시세계에는 관조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정지용 시에는 장자가 주장하는 “소요의 이념은 삶이 어떤 목적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절대 자유”라는 정신이 있다. 또한 그의 시에는 자연과 완전한 일체와 조화를 추구하는 정신, 시간을 초극하여 큰 자유를 얻는 대이화지(大而化之)의 정신, 즉 무위자연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편지를 이용한 가족관계 증진 중재가 말기암환자의 가족기능, 죽음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

        李善子 大田大學校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with letters to promote family relationship on perceived family function,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of terminal cancer patients.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randomly selected 60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were at the hemato-oncology and hospice-palliative care units at an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Thirty patie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nursing intervention were encouraged to write letters to their family. Also their family members were encouraged to write letters to the subjects. It was implemented for two weeks. Their spouses, parents, children and grandchildren were participated. On average, subjects and their family members wrote letters 5 and 6 times, respectively.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received usual care. Family function,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with 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ce, Fear of Death Scale, 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WIN Ver. 18.0 program. Family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increase after intervention. But family function of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rsing intervention with letters was effective to prevent deteriorations of family function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much more decreased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nursing intervention with letters to promote family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s family function and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nursing intervention with letters to promote family relationship can be applied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famil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f nursing intervention with letters to promote family relationship in long-term or special intervention were applied it might be helpful to increased family function level, decreased death anxiety, depression. Nursing intervention with letters to promote family relationship is necessary to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erminal cancer patient and family.

      • 학교 평가에 대한 부산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이선자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2009년도에 실시한 초등학교 학교평가의 전반에 대한 목적, 인식, 학교평가의 방법과 평가 결과의 활용과 문제점에 따른 교원들의 인식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하는 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평가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평가 운영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평가 영역 및 평가 방법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학교평가의 결과 활용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섯째, 학교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중 2009년도에 학교평가를 실시한 학교를 대상으로 각 교육청 급지별로 20개 학교(각 지역교육청별 4개교) 교원 4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416부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설문지는 학교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연구(윤영주, 2004), 초등학교 학교종합평가 장학자료(부산광역시교육청, 2009), 초등학교 학교종합평가에 관한 교원 의식 연구(이명순, 2006) 등을 참고하여 타당도, 객관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의 검증을 받아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6개 영역 23문항으로 필요성 및 목적(3개 문항), 평가 운영 및 관리(4개 문항), 평가 영역(3개 문항), 평가 방법 및 절차(4개 문항), 평가 결과 및 활용(5개 문항), 문제점 (4개 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교원들을 성별(남, 여), 지위별(교장․교감, 부장교사, 교사), 경력별(10년 이하, 11~20년, 21년 이상), 학급 규모별(12학급 이하, 13~36 학급, 37학급 이상)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를 사용하여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으로는 첫째, 학교평가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교사는 학교평가 운영이 대체로 필요하지 않으며, 관리직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학교평가 운영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학교평가 주기도 현행의 3년에서 5년 주기를 바라고, 많은 교사를 평가단의 위원으로 구성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학교평가 영역 및 평가 방법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평가영역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공통지표에서는 교육경영의 전반적인 사항을 자체지표에서는 단위학교의 특성화 교육활동을 다루어야 한다고 하였다. 넷째, 학교평가의 결과 활용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교평가의 결과는 학교교육의 개선 활동에 활용되어 더 나은 단위학교를 만들어야한다. 그러나 학교평가의 객관성 확보와 학교간의 교육여건 격차 해소가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고, 학교 평가가 교실 수업 개선이나 학교교육의 질적 향상 및 학교경영 개선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다섯째, 학교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교평가 자료의 객관성 부족과 학교의 자율성이 미약하여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평상시보다 과장된 실적 평가와 평가의 객관성, 공정성 보장 문제로 인하여 학교 평가 결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of schools and the suggestion for improvement based on evaluation results. The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necessities and aims of the school evaluation? (2)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valuations? (3)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domains of the school valuations? (4)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5)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school evaluation?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It was conducted on 458 teachers in 20 elementary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which were evaluated in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experts to raise the validity, objectivity and credibility. The survey consisted of 6 fields of school assessments with a total of 25 questions: necessity and aim (3 questions), management (4 questions), evaluation (3 questions), procedures (4 questions), results and application (5 questions), and development (4 questions). The survey was categorized by sex (male or female), position (principal, vice principal, head teacher, and teacher), experience (below 10 years, between 11 and 20 years, or more than 21 years), and number of classes (below 12, 13-36, or more than 37).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PC/WIN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looking into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and aim of school evaluations, teachers feel school evaluations are not necessary and period of the school evaluations is appropriate for 5-year-period not present 3-year-period. They also believe that organization for evaluating must make up with more teachers than now. (2) The result of looking into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management of school evaluations shows that the 3 year period is too short for evaluation and should be increased to 5 years, and that more teachers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team. (3) The result of looking into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domains of the school evaluation shows that the education management as a whole should be a common index, while special education activities should be separated into individual indexes. (4) The result of looking into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pplications of the evaluation results shows school evaluations have to be used in improving the education of the school. However, there needs to be a standard between schools in order to close the gap among them. Also, school evaluations are not useful for improving classes or school administration. (5) The result of looking into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pplications of the evaluation results shows school evaluation still haven’t improved problems because of the lack objectivity of school evaluation document and poor school autonomy. Besides school evaluation haven’t utilized effectively because of the exaggerated performance evaluation and problem of unsure objectivity and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