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직의 혁신을 이끄는 협력적 경쟁에 대한 미시적 접근

        선왕,박수빈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9

        본 연구는 최근 혁신을 위해 양면성 이론과 역설이론 등을 기반으로 역설적 속성의 공존 및 전략적 활용이 강조되어왔음에도 그 연구가 거시 수준(macro-level)에 국한되어 이루어져 온 협력적 경쟁에 대해 미시 수준(micro-level) 에서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개인 수준에서 협력적 경쟁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협력적 경쟁 경향성(Geraudel & Salvetat, 2014)이 개인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검증하였다. 재직 중인 직장인 총 184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협력적 경쟁 경향성이 개인의혁신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흡수역량은 협력적 경쟁과 혁신성과 간의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였으며, 리더-구성원 간 관계의 질(LMX)은 상황적 요인으로써 구성원의 협력적 경쟁경향성이 그들의 흡수역량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강화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거시적 수준에 국한되어왔던 협력적 경쟁에 대해 미시적 수준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있다. 구성원의 협력적 경쟁 경향성이 그들의 혁신적 업무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구성원의혁신성과를 선행으로 하는 조직의 혁신을 도출하기 위해 조직 내 활발한 협력적 경쟁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또한개인 수준의 협력적 경쟁이 혁신성과를 유발하는 과정에서 그 메커니즘으로서 흡수역량의 긍정적 역할을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흡수역량이 혁신성과를 유발하기 위한 주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나아가 LMX가구성원의 협력적 경쟁 경향성이 그들의 흡수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함을 검증함에 따라 조직 내 지식의 습득및 활성화하는 흡수역량과 이를 통한 혁신에 있어 LMX 역시 중요한 상황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내 구성원의 협력적 경쟁을 통한 혁신성과 도출과 흡수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그리고그 과정에서 LMX의 긍정적 영향력의 확대를 위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Due to the rapid changing in the industry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uncertainty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tain dynamic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al strategy to cause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refore, organizations buil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competitors to increase their own competitive advantage(Wu, 2014). In response to the current organizational situation, coopeition, the coexistenc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has been attended in extensive management literature. However, it has been little attended at the micro-level. It is not difficult to observe coopetition among individuals in the organization. Individuals have to do innovative work behavior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y have to cooperate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It implies that paradoxical dimensions coexist in an organization(Landkammer & Sassenberg, 2016). Also, it is important to manage paradoxical dimensions to achieve better organizational performance(Raza-Ullah, Bengtsson, & Kock, 2014). Thus, we examined the impact of coopetition on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between the propensity to coopetition(Geraudel & Salvetat, 2014)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opetition at the individual level. To explore the underlying mechanism between propensity to coopetition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we attend to absorptive capacity as a mediator. Also, we test whether the leader-member relationship(LMX)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nsity to coopetition and absorptive capacity. To test our hypotheses, we collected data from 184 individual employees. Our result showed that all of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propensity to coopeti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work behavior. Moreover, absorptive capac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nsity to coopetition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lso, leader-member exchange(LMX)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nsity to coopetition and absorptive capac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coopetition in micro-level literature. Based on ambidexterity theory and paradox theory, we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nsity to coopetition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mplies that ambivalent conditions and paradoxical situations can be significant factors which affect organizational outcomes. Thus, it is necessary to explore coopetition at different levels including individual, inter-group, and organization. Moreover, this study extends to absorptive capacity in the micro-level study. Absorptive capacity has been attended to in macro-level literature. Since absorptive capacity is related to an individual’s knowledge management including acquisition, and utilization, it applies to explain the knowledge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individual or team. This study showed that absorptive capacity can be an insightful element in the micro-level study. Also, this study advances leadership literature b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LMX on propensity to coopetition and absorptive capacity. LMX provides the individual with what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necessary to enhance their performance, thus individuals acquire and utilize th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Yukl, Mahsud, Hassan, & Prussia, 2013). Our results showed that LMX enables effective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with leaders and provide a clear guideline for individual, which lead to maximizing proper knowledge acquisition and internalization. Based on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 practical implications to increase coopetition to maximize innovative work behavior at intra-organization.

      •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지각이 조직지원인식을 통한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선왕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2

        본 연구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에 대한 사회적 이슈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 수준에서의 HPWS에 대한 연구와 조직지원인식(POS)을 통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 교환 이론을 중심으로 POS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에 대한 조절효과를 추가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사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HPWS에 대한 연구는 주로 조직 수준에서 이루어졌으며, 조직 구성원들의 성과를 예측하는데 그 측정방법에 대한 한계점이 제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 수준에서의 연구가 미비함에 따라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독립변수인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지각(PHPWS)은 조직에서 실행되는 인사제도들의 번들인 HPWS의 강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PHPWS과 다양한 아이디어 생성을 기반으로 개발과 실행을 통해 성과를 발생시키는 구성원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할 것으로 가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와 동시에 조직으로부터의 공식적인 지원에 대한 인식인 POS의 매개효과와 비공식적인 지원인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가정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지원이 PHPWS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총 10개의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부장급 이하의 임직원 714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PHPWS은 POS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HPWS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POS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다양한 인사제도들의 조합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조직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음을 인식하며, 이러한 인식을 통해 혁신행동이 발현된다는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OS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상황적 변수로서의 상사의 지원은 POS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공식적·비공식적 지원이 겸해질 때 더욱 강력한 혁신행동이 발현되며, 이를 통해 조직에서의 다양한 인사제도들의 시행을 통한 공식적 지원과 직속 상사로부터의 비공식적인 지원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이직을 유발하는 MZ세대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그들이 처한 근로환경의 중요성

        선왕,권지민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2 경영경제연구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지난 몇 년간 청년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MZ세대 직장인들의 이직률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고,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MZ세대 직장인들이 지각하는 과잉자격이 그들의 차년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계약과 직무 매치 이론 등을 바탕으로 MZ세대 직장인들이 지각하는 과잉자격이 그들의 이직이나 이직의도를 유발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고, 상황적 요인으로써 몰입형 근로환경 도입의 중요성을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추가로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에 대해 과거(3년 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전반적 흐름의 변화와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로써 가장 적절한 한국고용정보원의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데이터는 2019년 - 2020년에 조사되었고, 원표본과 추가표본 중2020년에도 취업 중에 있는 6,067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19년 - 2020년과 비교하기 위해 2016년 - 2017년에 조사된 원표본과 추가표본 중, 2017년 기준취업 중에 있는 5,484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19년 - 2020년데이터와 2016년 - 2017년 데이터 모두 당시 직장인들이 지각하는 과잉자격은 그들의 차년도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에 대한 정서적 만족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19년 - 2020년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몰입형 근로환경의 조절효과는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2016년 - 2017년 데이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MZ세대 직장인들이 지각하는 과잉자격으로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직을 포함한 부정적 결과들을 예방하고, MZ세대 직장인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몰입형 근로환경의 조성을 위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개인의 기업가정신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대내·외 네트워크와 창의적 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선왕,조대우,성을현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5

        This study looks into individual entrepreneurship engaged in an enterprise; the effect of creative efficacy and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hypothesis, the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constructed in social context by individua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ediating effect through creative efficacy obtained by the previous experience can be in existence, is to be confirmed through an empirical study. The analysis data is collected from 244 of currently working employees via a survey. The determination of employee-oriented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motion of employee’s individual entrepreneurship is significant as well as of the leader for the resul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there are positive effects between the individual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owned by individuals affect one’s own outcome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of enterpris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confidence in individual creativity is an essential factor as creative efficacy exhibits a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ticularly, it is verified that an enterprise is in need to expand education or programs not only for networks leading to an outcome but also for creativity improvement of affiliated individuals from the fact that creative efficacy, a hybridized concept of creativity and self-efficacy studied in the previous researc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entrepreneurship and an outcome. In the conclusion, additional implications are offered; the thresholds and frameworks for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업에 종사하는 개인들이 지닌 기업가정신과 대내·외 네트워크 그리고 창의적 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개인의 기업가정신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개인이 사회적 환경에서 구축하는 대내·외 네트워크와 과거의 경험에서 얻을 수 있는 창의적 효능감을 통한 매개효과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증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현재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244명으로부터 설문으로 수집되었다. 244명의 각각의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종업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개인의 기업가정신과 조직몰입 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직에 대한 몰입과 이를 통한 성과를 위해서 기업의 대표자 뿐 아니라 직원들 개개인 역시 기업가정신의 함양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대내·외 네트워크가 개인의 기업가정신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함으로써 각 개인이 가진 대·내외 네트워크가 조직 내 개인의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개인의 기업가정신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창의성에 대한 자신감 또한 개인의 성과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연구되어 왔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의 혼합된 개념인 창의적 효능감이 개인의 기업가정신과 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사실에서 기업은 소속된 개인들에게 성과로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 뿐 아니라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이나 프로그램 등을 확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부분에서는 이에 대한 추가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해외유치 신진연구자의 전문 지원활동만족과 성과변수 간의 관계 및 문화적응도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의 KRF사업을 중심으로

        선왕 ( Sun Wang Kim ),조대우 ( Dae Woo Cho ),성을현 ( Eul Hyun Sung ) 국제지역학회 2017 국제지역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7 No.-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과학기술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그들의 문화적 적응이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에 의해 형성된 지원만족도에 따라 연구 성과, 정착의도, 직무만족이 영향을 받으며, 나아가 이들간의 관계에서 문화적 적응을 통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증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KRF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신진연구자 64명으로부터 설문으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KRF지원만족도는 연구성과만족도, 직무만족도, 정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살펴본 문화적응도의 매개 효과는 정착의도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언급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ultural adaptation is important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foreig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sonnel in Korea; research achievement, settlement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influenced depending on support satisfaction formed by systematic support for them. Furthermore, The hypothesis is that there would be a mediating effect through cultural adap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be clarified through empirical studies.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64 young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the KRF project. The results showed that KRF support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the research achievement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settlement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ultural adap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found only in the intention of settl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mentioned.

      • KCI등재

        군 간부의 직무순환에 대한 인식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지휘관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선왕(Sun-Wang Kim),전제만(Je-Man Jeon),박천석(Chun-Seok Park)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1 한국군사학논집 Vol.77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ilitary officer’s perception of job rotation on individual performance(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reativity) and researched abou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mman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job ro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reativity. Also, the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moderating eff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job rotation and creativity,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job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 addi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nd limit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해외유치 신진연구자의 전문적 지원활동 만족과 성과변수 간의 관계 및 문화적응도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의 KRF사업을 중심으로

        선왕,조대우,성을현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7 국제경영리뷰 Vol.21 No.2

        본 연구는 국내에 새로이 유치된 외국인 과학기술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그들의 문화적 적응이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에 의해 형성된 지원만족도에 따라 연구 성과, 정착의도, 직무만족이 영향을 받으며, 나아가 이들 간의 관계에서 문화적 적응을 통한 매개효과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증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KRF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101명의 신진연구자 중 64명으로부터 설문으로 수집 되었다. 연구결과 KRF에 참여하고 있는 해외 유치 신진연구자들의 전문적 지원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직무만족, 연구성과 만족, 정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살펴본 문화적응도의 매개효과는 정착의도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언급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ultural adaptation is significant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foreign young researchers attracted from abroad. The variables are set in dimensions of behavior, achievement, and attitude that are mainly used in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field. Job satisfaction, research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ettlement intention are selected to represent each dimension. The empirical study i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foreign researchers' satisfaction formed by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upport will posi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research achievement and settlement intention. In addition, the hypothesis that there would be a mediating effect through cultural adap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the dependant variables is tested through empirical studies.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64 out of 101 the foreign young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the Korea Research Fellowship(KRF) project. The results show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foreign young researchers on th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upport influences positively job satisfaction, research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ettlement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ultural adap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the dependant variables is found only in settlement intention. It i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has a more direct effect on the living aspects such as settlement intention and the subjective satisfaction felt by young foreign excellent researchers rather than the business aspects such as job satisfaction or research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