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갈변을 최소화한 고구마 분말과 호화 고구마 분말의 제조

        이선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고구마의 분말 제조 시 박피 고구마의 갈변이 문제되어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황산 용액의 농도와 아황산 용액에 침지하는 시간 및 건조온도에 따라 고구마 분말을 제조하였고, 이의 이화학적 특성 (아황산 잔류량, 색도, 갈변도, polyphenol oxidase 활성, 총 페놀 함량, 비타민 C 함량, 물 결합능력, 수분흡수지수, 수분용해지수)을 조사하여 갈변 저해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고구마 분말 제조의 가공 방법을 확립하였다. 또한 고구마의 갈변을 최소화하고, 가열하지 않고 직접적인 이용의 편리성을 위해 호화 방법, 박피 여부 및 건조 온도에 따라 호화 고구마 분말을 제조하였고, 이의 이화학적 특성 (색도, 갈변도, 총 페놀 함량, 비타민 C 함량, 아밀로스 함량, 물 결합능력, 수분흡수지수, 수분용해지수)을 조사하여 호화 고구마 분말 제조 방법을 확립하였다. 아황산 용액 농도 800, 850, 900, 950 ppm, 아황산 용액에 침지 시간 1, 2, 3분, 건조 온도 60, 65, 70℃의 조건에서 제조한 고구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아황산 잔류량은 60℃에서의 900, 950 ppm을 제외한 모든 분말에서 10 ppm 미만으로 모두 아황산 잔류량 불검출 수준이었으며, 색도는 아황산 용액 950 ppm에 3분 동안 침지 후 70℃에서 건조한 것이 L* 값에서 92.58로 가장 높았고, b* 값에서 13.46으로 가장 낮았다. 갈변도와 polyphenol oxidase 활성 또한 아황산 용액 950 ppm에 3분 동안 침지 후 70℃에서 건조한 것이 0.031, 0.018 dA/min으로 가장 낮았고, 총 페놀 함량은 아황산 용액 950 ppm에 3분 동안 침지 후 65℃에서 건조한 것이 18.30 ㎎/100 g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건조온도가 높아질수록 총 페놀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 아황산 용액 950 ppm에 3분 동안 침지 후 70℃에서 건조하는 것이 갈변 억제에 가장 효과적 이었다. 그러나 물 결합 능력은 아황산 용액에 침지한 것이 가장 낮았고 증류수에 3분 동안 침지 후 70℃에서 건조한 것이 163.90%로 가장 높았다. 수분흡수지수는 70℃에서 건조한 대조군에서 2.50으로 가장 높았고, 수분용해지수는 아황산 용액 850 ppm에서 1분 동안 침지 후 70℃에서 건조한 것이 21.26%로 가장 높았다. 즉, 아황산 용액의 농도는 물 결합 능력, 수분흡수지수, 수분용해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비타민 C 함량은 아황산 용액 950 ppm에서 1분 동안 침지 후 65℃에서 건조한 것이 26.64 ㎎/100 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고구마의 호화방법인 마이크로파와 증기, 박피여부 (박피하지 않고 호화 후 박피, 박피한 후 호화, 박피한 후 증류수 침지 후 호화), 건조온도 60, 65, 70℃의 조건에서 제조한 호화 고구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색도에서 L*, b* 값은 모두 박피 후 증류수에서 3분 동안 침지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호화하고 70℃에서 건조한 고구마 분말에서 각각 86.57로 가장 높았고, 22.98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갈변도와 총 페놀 함량 역시 박피 후 증류수에서 3분 동안 침지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호화하고 70℃에서 건조한 고구마 분말에서 0.03으로 가장 낮았고, 8.66 ㎎/100 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비타민 C 함량은 박피 후 증류수에 3분 동안 침지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호화하고 65℃에서 건조한 것이 113.73 ㎎/100 g로 가장 높았으나 65℃는 70℃와 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아밀로스 함량은 박피 후 증기를 이용하여 호화하고 65℃에서 건조한 것이 25.62%로 가장 높았으나, 박피 후 호화한 것과 박피 후 증류수에 침지하고 호화한 것은 5% 수준에서 서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건조온도 또한 65℃와 70℃는 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물 결합능력은 증기를 이용하여 호화 후 박피하여 70℃에서 건조한 것이 670.40%로 가장 높았다. 수분흡수지수는 박피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호화하고 70℃에서 건조한 것이 7.7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박피 후 증류수에 3분 동안 침지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호화하고 70℃에서 건조한 것이 7.63으로 높았다. 수분용해지수는 박피 후 증류수에서 3분 동안 침지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호화하고 70℃에서 건조한 것이 33.36%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아황산 용액과 호화는 고구마 분말의 갈변 저해에 효과적이었다.

      • 최근 퓨전국악의 현대화 사례 분석과 방향성에 대한 고찰

        이선경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인 국악이 퓨전국악으로 현대화하여 변용한 사례 분석과 퓨전국악의 산업적 방향성에 대한 고찰 연구이다. 21세기는 글로벌시대로 다양한 음악이 공존하며 월드뮤직이라는 이름으로 국악도 충분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클래식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된 것처럼 국악의 원형만을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가 소통하는 동시대성을 갖춘 현대화된 퓨전국악을 지향해야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논의의 시작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연구로 퓨전의 어원과 퓨전국악의 정의를 다루었고 최근 현대화 사례 이전의 퓨전국악의 흐름과 분류를 통해 구체적인 퓨전국악사를 정리해보았다. Ⅲ장에서는 퓨전국악의 현대화 사례를 다루었다. 그 범위를 2015년부터 2017년까지로 제한하여 연주자와 소리꾼, 월드뮤직중심의 퓨전국악 앨범을 발매 시기 순으로 정리하여 발매현황, 발매유형 등을 도표화하여 특징별로 나누어 정리하였고 다음으로 국악관현악단, 퓨전창극과 퓨전판소리 등 퓨전화 된 무대음악극을 살펴보며 콘텐츠의 개발, 패키지 시스템, 동·서양의 융합을 통한 무대예술양식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장 직접적이고 영향력이 큰 미디어인 텔레비전과 라디오에서 정규편성 통해 방송되는 퓨전국악 음악방송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퓨전국악의 현대화의 양상과 산업적인 전망에 대한 구체적인 입증을 하였다. 반드시 갖추어야 할 원형의 보존과 동시대성을 찾기 위해 위의 사례 조사를 바탕으로 몇 가지 보완점을 제언하였고 현대적으로 변용된 국악의 명암을 통해 국악의 장단을 세분화하거나 특화시켜 타 장르와 융합한 새로운 리듬을 갖춘 퓨전국악의 탄생은 21세기 새로운 음악 콘텐츠로 글로벌 음악시장에서 긍정적인 산업적 전망과 우리 국악의 세계화라는 방향성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ndustrial direction of fusion Gugak, and on cases in which Gugak,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was transformed into fusion Gugak through modernization. There are a variety of music in the21st century as global era, and Gugak is also valued in the name of world music. Rather than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of Gugak, we should also aim at a modern fusion Gugak picec equipped with the contemporary, just as classic music has changed and evolved with the times and circumstances. Therefore as research to be preceded by this paper, we covered the derivation of fusion Gugak and the definition of fusion Gugak, and arranged fusion Gugak history which was specifically organizied by flow and classification prior to recent modernized case. In Part 3, we covered modernized case of fusion Gugak. The range is restricted to 2017 from 2015, we arranged fusion Gugak album based on World Music in chronological order ,arranged album release status and album release type etc which is sorted by features through diagram, and then ex mine fusion musical play, Gugak orchestra, fusion play, fusion Pansori etc, produced a shift in the style of stage art through development of content, package system, fusion of eastern and western. Lastly, We looked at fusion Gugak music broadcast through regular programming on TV and radio, the most direct and influential media. In Part 4, we provided a concrete demonstration on the modernization of fusion Gugak and the industrial landscape, propose Elements that must exist for the preservation of prototypes and several supplementary points based on the above case studies to find the contemporary. Through the light and shade of modern Gugak. we considered the positive industri all and scape in the global music market and the globalization of Gugak through a new music content in the 21st century, The birth of fusion Gugak, which combines the rhythms of Gugak with other genres, by segmenting or specialized in the rhythms of Gugak.

      •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에 따른 유아에 대한 상호작용과 유아의 놀이몰입 및 자기효능감

        이선경 원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경험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과 변인별 차이를 탐색하고,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 수준에 따라 유아에 대한 상호작용, 유아의 놀이몰입과 자기효능감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는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 수준에 따라 교사의 유아에 대한 상호작용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 수준에 따라 유아의 놀이몰입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4.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기효능감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반적 교수몰입도를 분석하기 위해 전라북도 J, I, K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담당 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몰입도에 따른 유아에 대한 상호작용, 유아의 놀이몰입, 유아의 자기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만 5세 담당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 분포 중 상집단 10%(23명)과 하집단 10%(23명)중에서 학력, 경력 등의 동질성을 고려하여 상집단의 교사 3명과 해당 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3개 학급의 전체 유아 63명, 하집단의 교사 3명과 해당 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3개 학급의 전체 유아 59명을 표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Jackson 과 Eklund(2004)의 ‘몰입상태척도 2(Flow State Scale 2)'를 번안하여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고경미, 이선경, 심성경(2014)의 도구, Arnett(1989)이 개발한 교사 상호작용 척도(Caregiver Interaction Scale; CIS)의 원도구와 조혜진(2004)의 연구에서 번안된 도구를 검토, 수정하여 사용한 김민정(2013)의 도구, 나은숙(2013b)이 개발한 놀이몰입 척도를 사용하였다. 단, 본 척도는 유아교육과 교수 2인의 분석 검토과정을 거치고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5명의 검토를 통해 문항 1개(33번 문항)를 수정하였다. 유아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전인옥(1996)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교수몰입도 척도, 교사 상호작용척도와 놀이몰입척도는 Likert식 5점 척도이다. 일대일 면접의 방법을 사용하는 자기효능감 검사 역시 1점에서 5점까지 채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에 대한 전반적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변인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교수몰입도의 높고 낮음에 따른 유아에 대한 상호작용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비교하고, 놀이몰입,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며 하위요인별로는 자기목적적 경험에서 몰입도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자의식의 상실에서 가장 낮았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는 연령이 많을수록, 경력이 많을수록, 기혼일 때 더 높았으며, 학력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월 급여가 가장 높은 교사가 몰입도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기관유형, 유아 수, 근무시간의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교수몰입도 수준이 높은 교사가 낮은 교사에 비해 유아와 긍정적 상호작용과 허용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였고, 교수 몰입도 수준이 낮은 교사가 높은 교사에 비해 유아와 더 분리되고, 더 엄격하게 상호작용하였다. 셋째, 교수몰입도 수준이 높은 교사의 유아가 낮은 교사의 유아에 비해 놀이몰입 수준, 특히 놀이 집중과 자의식의 상실 요인이 더 높았다. 넷째, 교수몰입도 수준이 높은 교사의 유아가 낮은 교사의 유아에 비해 자기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부분적으로 인지적 영역의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statu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the differences by each variable and then to analyse the difference in teachers' interaction to young children and young children's play flow & self-efficacy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level. Based on these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n what status is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located and how does it differ by the background variables? 2. How does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action to young children differ by the level of their teaching flow? 3. How does young children's play flow differ by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4. How does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differ by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s for analys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 teaching flow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7 teachers in charge of full five-year childre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J, I and K cities in Cheollabuk province. For the purpose of analysing teachers' interaction to young children and young children's play flow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eaching flow level, this study sampled 3 teachers out of the highest 10% group (23 teachers) in the teaching flow distribution of the above 227 teachers and all of the 63 young children in their charge, and 3 teachers out of the lowest 10% group (23 teachers) and all of the 59 young children in their charge,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similarity between teachers' academic career, work career, and etc. This study applied i) Ko, Kyung Mi, Lee, Seon-Kyung and Sim, Seong-Kyung's tool (2014) based upon Jackson and Eklund's Flow State Scale(FSS) 2 (2004), ii) Kim, Min Jeong's tool (2013) based upon Arnett's Caregiver Interaction Scale (CIS) (1989) and Cho, Hye Jin's adapted tool (2004), and iii) Play Flow Scale developed by Na, Eun Sook (2013b). However, a question (No. 33) of Play Flow Scale was amended, through the 2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and 5 graduate students in doctor's course. And Cheon, In Ok's Self-Efficadcy Test (1996) was used. Teaching flow scale, teachers' interaction scale, and play flow scale were Likert-type 5 point scale. For self-efficacy test, which uses one-on-one interview, grading was also marked from 1 to 5 point.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To look into the general status of teachers' teaching flow,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also the difference-verification was done by the variables. The difference in teachers' interaction to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teaching flow was analysed by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while t-test was done to look into the difference in play flow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was slightly above the middle. And by sub factors, the teaching flow was marked the highest at autotelic experience factor and the lowest at loss of self-consciousness factor, respectively. The older and the more experienced the teachers were, the higher the teaching flow was. Also, it was higher in the married teachers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career. Besides, the teachers getting the greatest monthly wage showed the highest teaching flow,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type, number of young children, and work hours. Second, teachers of higher teaching flow level showed more positive interaction and permissive interaction than those of lower level. Teachers of lower teaching flow level were more detached from young children and showed stricter interaction. Third, young children in the class of teachers with higher teaching flow showed higher play flow level, especially in play concentration and loss of self-consciousness, compared to children of teachers with lower teaching flow. Four, though, in general, children in the class of teachers with higher teaching flow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from children in the class of teachers with lower teaching flow, they showed higher self-efficacy in cognition factor, in part.

      • 협력보드게임이 학습부진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선경 대구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aborative board game on the sociality of underachievers.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aborative board game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ity such as cooperativeness, assertiveness, empathy and self-regulation. To do this, we selected 10 underachievers attending 6th grade S element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as experimental groups and 10 normal students as the controlled group for comparison. A total of 20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March 2017 to May 2017 for 6 weeks, 40 minutes for each session and totally 12 sessions as 2 times a week. Using the collaborative board game developed by Lee Sun-kyung and others(2016),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used a program for the student under study. The evaluation tool was a Korean Social Skill Rating System-Student for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developed by Gresham & Elliot(1990) and adapted, standardized by Mun Sung Won(2013).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by using the SPSS/PC+ ver.24.0 for Windows statistical program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the mean scores of the pre-post test. In addition, the behavioral changes of the targe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scenes were observed and recorde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collaborative board gam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veness of underachievers. While playing a board game, children have to follow the given rules and instructions.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game, interaction such as exchanging or sharing their own information or data occurs actively. In this process, not only the same team, but also interaction with other teams actively took place within the given time, and the children seem to have improved cooperativeness by choosing a cooperative way rather than a competitive aspect. Second, collaborative board gam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assertion of underachievers. On the nature of collaborative board game, In order to play board games, Children must participate in the game actively when they are in their turns. so the game can be continued and the interest can be maintained. I can watch they gradually turn into an active aspect from the passive aspect of just watching the game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eriment through the experiences of victory in the collaborative board game. As a result, the self-assertion seems to be improved. Third, collaborative board gam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mpathy of underachievers. During the collaborative board game, children began to react and sympathize with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same team or friends of the other team in order to win the games they participated in. It recognizes that there is a need to reduce unfavorable behaviors that are not associated with collaborative board game activities and to increases the necessary reactions to focus more on collaborative board games gradually. These results seem to have improved empathy. Fourth, collaborative board gam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ion of underachievers. While playing board games, the game activity itself is also interesting to the children, but the experience of winning in the game gives the child greater pleasure. In the early stage, which easily responds to peripheral stimuli such as spiteful teasing or conflict situations of other friends, it becomes more and more common to concentrate on the given task by gradually selecting cooperation, alternating and compromising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regulation is improved. 본 연구는 협력보드게임이 학습부진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협력보드게임이 사회성의 하위요소인 협동성, 주장성, 공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S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학습부진아 1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고, 비교를 위한 통제집단 10명으로 총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5월까지 매 회기마다 40분씩, 주 2회 6주간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협력보드게임 프로그램은 이선경 외(2016)이 개발한 협력보드게임세트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에게 맞도록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사용하였다. 평가도구는 Gresham & Elliot(1990)에 의해 제작되었고 문성원(2013)이 번안하고 표준화한 한국판 초등아동용 사회 기술 평정 척도(Korean Social Skill Rating System–Student form)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 차이를 알아보고자 SPSS/PC+ ver.24.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95% 신뢰구간에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표로 나타냈다. 또한 실험 장면에서 나타난 대상 아동의 행동변화를 관찰 기록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보드게임은 학습부진아의 협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협력보드게임을 하면서 주어진 규칙이나 지시를 따라야 하고, 게임을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정보나 자료를 교환 또는 공유하는 등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주어진 시간 안에 같은 모둠 뿐 만 아니라, 다른 모둠과의 상호작용도 활발히 일어난 결과 대상 아동들이 경쟁적인 모습보다는 협력적인 방법을 선택함으로 인해 협동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협력보드게임은 학습부진아의 주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협력보드게임의 특성상 보드게임을 진행하려면 게임에 참여하는 아동이 자신의 차례가 되었을 때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게임이 진행되고 흥미를 계속 유지 시킬 수 있다. 실험 초기의 게임을 구경하고 있는 등의 소극적인 모습에서 후기로 갈수록 협력보드게임에서 승리하는 경험을 통해 점차 적극적인 모습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주장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협력보드게임은 학습부진아의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협력보드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아동들은 자신이 참여하는 게임에서 이기기 위해서 같은 모둠이나 다른 모둠의 친구들의 생각과 느낌에 적절하게 반응하고 공감을 하기 시작했다. 이는 협력보드게임활동과 관련이 없는 행동을 줄여야 한다고 인식하면서 점차적으로 필요한 반응들을 늘려서 협력보드게임에 더욱 집중하도록 하게 한다. 이러한 결과로 공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협력보드게임은 학습부진아의 자기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아동들은 협력보드게임활동을 하는 동안 게임 활동 자체에도 흥미를 가지지만 게임에서 이기는 경험이 아동에게 더 큰 기쁨을 준다. 아동은 자신이 참여하는 게임에서 다른 친구들이 짓궂은 놀림이나 갈등 상황 등의 주변 자극에 쉽게 반응하는 초기의 모습에서 점차 협력하고 교대하고 타협하는 행동들을 선택하면서 주어진 과제에 집중하는 모습이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자기 조절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 디지털화 기록물의 품질 확보 방안

        이선경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improve the previous paper-centered and passive work processing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productivity of work by digitalizing the whole documentation process. Moreover, it aims at the realization of the democratic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oriented, administrative service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As it is reflecting the changes in work environments, records management paradigm has turned its direction from the paper records-centered, preservative and closed custom to the positive ways of using electronic records-centered disclosure and inspection. Digitalized records have gotten over the limitations in the use and preservation of the paper records, and can also support no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but also the evidential contents promptly and conveniently. Accordingly, ensuring the quality of the digitalized records is a necessary task in order to guarantee the people's rights to know and administrativ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by offering the same contents with the paper rec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status of the domestic digitalized records and secure the quality which meets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uitable for usage and preservation, after benchmarking the digitalization trends in each country. The study process begins with examining the conceptual meaning of digitalized records which has replaced the paper records first, then its meaning in value, an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ized records which can cause the quality changes.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the digitalized records was pointed out in terms of their usage and preservation, and the necessity of securing the quality of the digitalized records by suggest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quality analysis of the digitalized records in the domestic administrative bodies. Then, the digitalization trends of each nat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guidelines offered by Moving Here Project of The National Archives of the United Kingdom, Queensland State Archives in Australia, Archives in New Zealand, and Korea Institute for Electronic Commerce. This study has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quality requisites according to the digitalization phases suggested by each guideline after considering the digitalization trends of each nation. Finally, this present study has established the principles to secure the quality suitable for usage and preservation after complementing the present digitalized records in domestic administrative bodies,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above-mentioned analysis. Subsequently, by planning the quality requisites according to the digitalization phases, it suggests the plans to secure the quality of digitalized record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points need to precede the establishment of principles and the design of quality requisites: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the digitalized records, keeping of professionals to manage the digitalized records,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strategies under the long-term records management policy.

      • 텍스트 갈래 지식 기반 초등학생 대화 교육 내용 연구 : 친교적 대화를 중심으로

        이선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친교적 대화의 국어과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친교적 대화의 특성을 밝히고 그 교육 내용을 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친교적 대화는 모든 사람들이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가장 빈번하게 행하고 있는 의사소통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에게 친교적 대화를 가르치기 위한 교과 내용은 적절하게 마련되지 못하다. 앞선 연구들에서는 친교적 대화에 관련한 국어 교육의 필요성은 언급하고 있지만 친교적 대화 담화의 구체적 특성이나 실질적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친교적 대화를 정확하게 이해하게 하고 친교적 대화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텍스트 갈래 지식에 기반하여 친교적 대화의 특성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 2장에서는 친교적 대화와 관련하여 ‘대화’의 개념을 ‘담화기능으로서의 대화’와 ‘방법으로서의 대화’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담화 기능으로서의 친교적 대화’란 ‘특정 청자를 겨냥하여 사과, 감사, 축하 등 발신자와 수신자의 인간관계 유지를 위한 대화’이며, ‘방법으로서의 대화’란 담화를 진행해 나가는 방식으로서 대화이며 의사소통의 목적과는 별개로 상호 교환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식을 뜻한다. 다음으로 텍스트언어학을 바탕으로 텍스트 갈래 지식의 범주를 구조, 맥락, 내용, 표지, 의미로 나누어 친교적 대화의 성격을 분명히 하였다. 친교적 대화의 구조는 초거시구조와 거시구조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친교적 대화는 ‘입장-전개-퇴장’의 초거시구조를 바탕으로 하나의 화단 내에서 ‘시작-중심-종결’의 구조가 반복되는 구조로 나타났다. 각 구조는 내용적 특성과 연계하여 구체화하였다. 친교적 대화의 맥락은 참여자 맥락 요소와 배경 맥락요소를 설정하였다. 참여자 맥락 요소의 경우 성차, 나이, 지위, 참가자 수, 참가자간의 친밀도, 결정권 역할을 중요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배경 맥락의 경우 상황적 맥락, 장소성, 시간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친교적 대화의 내용적 특성은 ‘담화 기능으로서의 친교적 대화’의 내용 특성과 ‘방법으로서의 친교적 대화’의 내용 특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담화 기능으로서의 친교적 대화’의 내용적 특성은 비공식성, 실시간성, 즉흥성, 저부담성으로 제시하였고, ‘방법으로서의 친교적 대화’의 내용적 특성은 상호교환성, 대면성으로 제시하였다. 각각의 내용적 특성에 따라 가르쳐야 할 대화 전략과 교수·학습 내용을 함께 밝혔다. 친교적 대화의 표지는 ‘구조를 드러내는 표지’, ‘반응표지’, ‘비선호표지’로 설정하였다. ‘구조표지’의 경우 부름표지, 도입표지, 전환표지, 종결표지로 제시하였다. ‘반응표지’의 경우 상대방의 동의를 표시하는 표지, 설명을 요청하는 표지로 제시하였다. 비선호표지는 서언, 거절표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분석한 친교적 대화의 구조, 맥락, 내용, 표지 등을 종합하여 친교적 대화의 의미를 규명하였다. ‘친교적 대화란 참여자 간의 인간관계 유지를 위한 대화로서 ‘입장-전개-퇴장’의 구조를 가지며 참여자와 배경에 따라 다양한 대화가 가능하며 비공식적, 실시간적, 즉흥적, 저부담성, 상호교환적, 대면적 특성을 가진 대화‘이다. 3장에서는 분석한 친교적 대화 텍스트의 갈래 지식을 바탕으로 2009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 방향에 대해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현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친교적 대화의 교육 내용은 텍스트 갈래 지식을 실제적으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였다. ‘배려하는 말하기’와 같은 태도 측면에서 치우친 학습내용의 제시, 한정된 맥락의 제공, 비언어적· 준언어적 측면에 치우친 학습내용의 제시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텍스트 갈래별 특성 중 구조와 표지에 관한 내용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교육내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장에서 규명된 텍스트 갈래 지식에 맞추어 알맞은 친교적 대화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나아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표를 기반으로 선정된 교육내용을 체계화하였다. 이에 친교적 대화 교육의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요소를 추출하고 적합한 교육내용을 선정하였으며 나아가 현행 교육과정의 학년별 지도 내용을 바탕으로 학년별 위계성, 심화성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친교적 대화가 지도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에 착안하여 학습자가 친교적 대화의 특성을 명확하고 자세히 학습하도록 하기 위해 친교적 대화의 교육 내용을 추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친교적 대화의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도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relational dialogue based on its educational value, and to establish further the contents of education. Even though relational dialogue is the most common mean of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that play a crucial role in relationships, the need to properly guide students about relational dialogue is left unfulfilled. The previous studies mention the necessity of Korean education regarding relational dialogue, but fail to discuss its characteristics in details and/or educational contents.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dialogue based on text grammar, in order to enable teaching students of what is a relational dialogue and how to acquire a command of it.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conversation’ in regard to relational dialogue is defined separately as a ‘conversation that functions as a discourse’ and a ‘conversation that functions as a method’. A relational dialogue that functions as a discourse is a form of communication transmitting a message of gratitude, apology, celebration, etc. targeted to a specific listener, with the intent of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him or her. A relational dialogue that functions as a method, on the other hand, signifies a way of proceeding an interactive discourse, regardless of speakers’ purpose or goal. Next based on text linguistics, the concept of text grammar was categorized into structure, context, content, sign and significance, confirming its characteristic as a relational dialogue. The structure of a relational dialogue was elaborated in a super-microscopic and microscopic analysis. Normally in a super-microscopic structure of “entrance – development – exit”, more specifically it shows a “beginning – middle – end” structure in each phase, with some additional plots between phases. Each structure was shaped more concretely in link with contents. The context of a relational dialogue was formed by the contextual elements of participants and background. In case of the contextual elements of participants, gender, age, social level, number (of participants), intimacy level among participants, decision-making role were the main points. In case of the latter, it was explained separately by: situational context, place and time. The content characteristic of a relational dialogue was explained as characteristic of ‘relational dialogue that functions as a discourse’ and that of ‘relational dialogue that functions as a method’. The features of the former include informality, real-time, spontaneity, and ease of burden. On the other hand, interactivity, interchangeability and face-to-face setting were those of the latter. Accordingly with these traits, a dialogue strategy and teaching method are proposed. The sign of a relational dialogue are classified into ‘structure-revealing sign’, ‘reaction sign’ and ‘non preferred sign’. The first group includes calling sign, introducing sign, converting sign and closing sign. The second category contains sign that is asking for one’s consent, sign asking for explanation. In case of the last type, there’re sign of delay and sign of decline. Lastly, putting all these elements together, the significance of relational dialogue was defined. A relational dialogue is a conversation, of which the goal is to maintain relationship of the speakers that has a structure of “entrance – development – exit”. Moreover its materials may vary depending on participants and setting, and its major characteristics include informality, real-time, spontaneity, ease of burden, interchangeability, face-to-face setting, etc. In chapter 3, based on the analysis of text grammar of relational dialogu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established in 2009 and 2015 were studied, and possible improvement plans were introduc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regarding relational dialogue proposed by the current curriculum fails to reflect the text grammar. Some of the major problems include educational contents that focus only on learners’ attitude (i.e. “speaking politely”), limited context, non-verbal and paralinguistic centered educational contents. Furthermore any structure and sign related information about text grammar was barely provided. In Chapter 4,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ducational contents explained in Chapter 3, the educational contents regarding relational dialogue were establish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ext grammar given in Chapter 2. Furthermore, based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published in 2015, such established educational contents were developed more systematically. In addition, the key concepts of relational dialogue and the generalized knowledge was set in order, to finally have a selection of the most adequate educational contents. Also the levels of difficulty and advance of educational contents by each grad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It is significant that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need for elementary education on relational dialogue, and finally established the educational contents about it. Hopefully this study could be a step stone to future discourse in search of more practical and concrete teaching metho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dialogue.

      •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귀인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 관여도의 구조모형 분석

        이선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education world has performed many researches to discover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of student in the situation investing a lot of time and expenditure. It has been reported that personal attribute of student has a strong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various factors. And also among personal factors, motivation factor to impact on behavior and its effect has brought about attention in many scholars, which leads much effort to examine the relations. This prospective study with 614 middle school students tes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Path analysis of the pattern of influences through which attributional style acting in concert with motivational factors,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achievement concurrentl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bility attribution had direct impact on self-efficacy and had indirect impact on academic engagement & academic achievement. Second, effort attribution had direct impact on self-efficacy & academic engagement, whereas had indirect impact on academic engagement & academic achievement. Third, self-efficacy had direct impact on academic engagement &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cademic engagement hadn't direc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expects that the importance for attributional style was examined through verifying casu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ttributional style(ability, effort, others' help, good luck),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engagement. 교육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는 우리나라의 교육적 현실로 인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기위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다양한 변인들이 있지만 특히 학생 개인적 특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들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또한 개인적 변인 중 행동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귀인성향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서 청소년들의 향후 자기효능감, 학업적 관여, 궁극적으로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구조적 관계모형을 가정하였다. 이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2개교, 경기도 3개교에 재학중인 중학생 61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귀인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업적 관여, 학업성취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력귀인은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관여에는 직접적 영향을 미치나 학업적 관여, 학업성취에는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학업적 관여에는 직·간접 영향을 모두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관여, 학업성취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선행연구에서 학업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한바 있으나(임선아, 2012),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관여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귀인성향(능력, 노력, 타인, 운), 자기효능감, 학업적 관여와 학업성취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여 귀인성향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항공 정비조직인증에 대한 국내 법규 개선 연구

        이선경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2020년12월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지 제99호 서식 ‘정비조직인증서’를 개정하였다. 정비조직인증서에 대한 개정이유는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으나 정비조직에서 수행 가능한 정비등의 업무범위를 인증서 상에서 명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변경한 사항이 기존 인증서와 대비하여 두드러진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개정된 정비조직인증서는 그 운영 및 적용 측면에서 정비조직인증서와 함께 정비조직의 업무범위 등을 세부적으로 정하여 발급되는 기존의 운영기준과의 연계성이 결여되고 정비조직인증서 상의 정비조직의 승인된 업무범위가 정비조직 운영기준의 내용과 중복되는 한편 개정된 정비조직인증서의 승인된 업무범위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정비조직 절차교범의 세부적인 작업범위의 절차를 준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작업범위를 규정하는 작성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개정된 정비조직인증서는 기존 운영기준 및 정비조직절차교범과의 연계 및 중복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되지 않아 정비조직인증서의 시행 및 적용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정비조직인증서를 개정한 배경은 ICAO에서 주도하고 있는 정비조직 국제인정체계(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Global Recognition System)와 연관되어 있다. 「국제민간항공협약」의 부속서(이하 ‘ICAO 부속서’) 표준에 따라 타국에 등록된 항공기에 대하여 정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등록국의 정비조직인증을 취득하여야 한다. 체약국간 정비조직인증에 관한 항공안전협정 체결이 활성화되지 않은 현실에서 이는 정비조직의 인증 및 감독을 담당하는 등록국의 항공당국과 인증 및 감독 대상인 정비조직 모두에게 업무 부담이 되고 있었다. ICAO는 2010년부터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정비조직의 체약국간 양자(Bilateral)/다자(Multilateral)간 인정을 독려하는 정비조직 국제인정체계의 2024년 말 시행을 목표로 ICAO 부속서의 표준 및 권고되는 방식(Standard and Recommended Practices)과 이에 대한 세부 지침인 ICAO Doc 9760 감항매뉴얼을 개정하였다. 특히 ICAO는 ICAO 부속서 8에서 체약국 간 정비조직에 대한 상호인정에 핵심적인 기준이 될 수 있는 정비조직인증서의 최소 포함사항을 정하고 정비조직인증서의 표준서식을 마련하여 체약국의 적용을 권고하는 내용을 2020년 11월부터 시행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정비조직인증서의 개정 시기, 개정된 정비조직인증서 서식과 포함내용이 ICAO 부속서에서 정한 내용과 거의 동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가 ICAO 부속서 8을 근거로 정비조직인증서를 개정하였다는 것을 합리적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을 개정하기 전에 기존 운영기준과 정비조직절차교범과의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여 관계 법규 등을 정비한 후 정비조직인증서를 개정·시행하여야 했으나 ICAO 부속서의 내용만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정비조직인증 제도 운영상의 잠재적인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ICAO 부속서 개정사항의 반영 및 정비조직 국제인정체계 대응을 위하여 개정된 정비조직인증서와 기존 운영기준/정비조직절차교범과 연계 및 적용에 관한 국내 법규의 문제점을 식별하고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하여 ICAO 및 항공 선진국의 정비조직인증 관련 규정/제도와의 비교법적 연구를 수행한 후 개정된 정비조직인증서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우리나라의 정비조직인증 관련 국내 법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In December 2020, the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AMO) certificate" in Attachment Form 99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Aviation Safety Act is amended. The reason for the amendment of the AMO certificate is not clearly confirmed, but changes to clearly identify the scope of work, such as maintenance,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maintenance organization, can be seen as a promine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existing certificate. In terms of operation and application, the amended AMO certificate lacks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Operations Specifications issued along with the AMO certificate and the approved scope of work on the AMO certificate overlaps with the details of the AMO Operations Specifications. Meanwhile, the amended AMO certificate stipulates that this Class and Rating Authorized requires compliance with the procedures specified in the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Procedure Manual acceptable to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ut there is no method for writing the scope of work. The amended AMO certificate i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for linkage and duplication with existing Operations Specifications and Maintenance Organization Procedure Manual, causing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Certificate. The background of amended of the AMO certificate is related to the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Global Recognition System led by ICAO. In order to perform maintenance on aircraft registered in another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Annex standard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ICAO Annex'), the maintenance organization must obtain the AMO certificate issued by relevant State of Registry. In a situation where the signing of an aviation safety agreement on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s between Contracting States was not activated, it was a burden on both the aviation authorities and the maintenance organizations subject to certification and surveillance of the maintenance organization. Since 2010, the ICAO has recognized these problems and amended the Standard and Recommended Practices(hereinafter referred to as ‘SARPs’) of the ICAO Annex and detailed material guidance, the ICAO Document 9760, with the aim of implementing the bilateral/multilateral recognition of maintenance organizations. In particular, ICAO established the minimum information including the AMO certificate in ICAO Annex 8 that can be a key criterion for mutual recognition of maintenance organizations and recommended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AMO certificate from November 2020. Therefore, considering that the timing of the amendment of the AMO certificate and the content of the amended AMO certificate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specified in the annex, it can be reasonably assumed that it is amended the AMO certificate based on ICAO Annex 8. Prior to the amendment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Aviation Safety Act, it was necessary to amend and implement the AMO certificate after amending the relevant law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Operations Specifications and Maintenance Organizational Procedure Manual. However, by faithfully reflecting only the contents of the ICAO annex, potential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certification have arisen. This paper identifies the problems of domestic law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amended AMO certificate and the existing Operations Specifications to reflect the ICAO annex amendments and prepare for the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Global Recognition System. And then, to improve this, after conducting comparative legal studies with FAA/EASA regulations/systems, measures to improve domestic law related to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certification were proposed to meet the purpose of the amended AMO certific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