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흰점박이꽃무지 사육사 및 환경제어 장치 개발

        노시영 ( Si-young Rho ),원진호 ( Jin-ho Won ),이현동 ( Hyun-dong Lee ),석영식 ( Young-seek Seok ),이재수 ( Jae-su Lee ),이상규 ( Sang-gyu Lee ),백정현 ( Jeong-hyun Baek ),김밝금 ( Bal-geum Kim ),김태현 ( Tae-hyun Kim ),곽강수 ( Ka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곤충산업은 ‘17년 ‘곤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래 갈색거저리, 흰점박이꽃무지, 쌍별 귀뚜라미 및 장수풍뎅이 등 4종이 일반 식품원료로 등록이 된 이후 곤충사육농가 및 기업수는 ‘15년 724개 소에서 ’18년 2,318개소로 확대되었고, 곤충 판매액은 ‘15년 162억 원에서 ’18년 375억 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곤충 사육시설은 비닐하우스 기반의 가건물에서 샌드위치패널 또는 콘크리트 형태의 현대화 시설로 변하고 있다. 하지만, 흰점박이꽃무지의 대량사육을 위해서는 생육특성 및 생리에 맞는 최적 환경요소를 제공해야 한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 최적 환경조건으로 온도는 25~27℃이며, 발효톱밥의 습도는 60~65%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사육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육에 접합한 사육사를 개발하였다. 사육사의 크기는 생육 및 기타 실험을 위하여 L4×W2.6×H2.7m로 제작하였으며, 외벽은 열전도율 0.020W/m·K 이하인 폴리우레탄폼 단열재로 사육사를 제작하여 외부 환경과의 단열이 되도록 하였으며, 사육사 내부는 물세척이 가능하도록 배수로를 설치하고 알루미늄 판으로 마감하였다. 내부 구조는 흰점박이꽃무지가 외부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사육사 하단에 공조실을 두어 온풍과 냉풍이 사육실내부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줄이도록 설계되었으며, 사육사 내에는 내벽을 두어 생육실과 공조시스템 조절을 위한 계기반을 설치한 전실로 구분하였다. 사육사 내 온도는 냉·난방기를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며, 습도는 히터 동작을 통한 냉동기 작동으로 조절하였다. 이러한 장치를 구동한 사육사의 성능으로 평균온도 25.0℃, 평균습도 65.7%를 유지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

      • 뽕나무 계통(품종)별 뽕잎의 rutin 함량 변이(I)

        김현복,김선림,석영,이선호,조유영,권해용,이광길,Kim, Hyun-Bok,Kim, Sun-Lim,Seok, Young-Seek,Lee, Sun-Ho,Jo, You-Young,Kweon, HaeYong,Lee, Kwang-Gill 한국잠사학회 2014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2 No.1

        뽕나무를 포함한 식물유전자원은 수집, 보존 및 이용 방법에 따라 그 자체로 이용하거나 새로운 품종 및 물질 등을 개발하여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현재 뽕나무 유전자원에 대한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형태적, 유전적 특성을 분석평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중에 있으며, 기능성 성분이나 효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초정보 외에 이들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620 계통(품종)의 뽕나무 유전자원 중 재배환경 및 재배법이 동일한 219 계통(품종)의 춘기 5개엽기 뽕잎을 채취한 후 동결건조 및 분말로 제조하여 뽕나무 유전자원의 계통별 rutin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뽕잎의 rutin 평균 함량은 $0.52{\pm}0.25%$이었으며, 변이계수(CV)는 47.9%로 계통간 변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다. '부영상'의 rutin 함량이 1.37%로 가장 높았으며, '천근십문자', '무전십문자'는 0.06%로 가장 낮았다. 뽕나무 유전자원 중 전체 평균 함량의 2배 이상 되는 rutin 고함유 계통을 9 계통 선발하였다. '부영상', '율본', '당상5호', 'A8', '아자', '성수5', '사원뽕12호', '환엽조생노상', '환십조생'이다. 또한 누에 사육용 뽕품종(16 품종)의 rutin 함량을 비교한 결과, 공시품종 중 '청올뽕'의 함량은 0.69%로 가장 높았으며, '청일뽕'은 0.14%로 가장 낮았다. We analyzed rutin content using mulberry genetic resources. They were grown under the same environment and conditions. Mulberry leaves were collected and then freeze-dried and powdered for rutin test. As a result, mean content of mulberry strains was $0.52{\pm}0.25%$,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47.9%. The variation between the strains was greatly severe. Among the tested strains, 'Buyoungsang' was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1.37%, whereas 'Cheongeunsipmunja' and 'Mujeonsipmunja' were showed the lowest content of 0.06% respectively. The content of rutin of 16 mulberry varieties for silkworm rearing were compared. 'Cheongolppong' was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0.69%, whereas 'Cheongilppong' was showed the lowest content of 0.14 %. Finally we selected rutin high-containing 9 strains. They are as follows. 'Buyoungsang', 'Yeulbon', 'Dangsang 5', 'A8', 'Aja', 'Seongsu 5', 'Sawonppong 12', 'Hwanyoupjosaengnosang' and 'Hwansipjosaeng' which are more than twice of the overall average content.

      • 곤충 스마트팜 체계 구축에 관한 기초 연구

        노시영 ( Si Young Rho ),이재수 ( Jae Su Lee ),김국환 ( Gook Hwan Kim ),이현동 ( Hyun Dong Lee ),김성현 ( Seong Hyun Kim ),석영식 ( Young Seek Seok ),한길수 ( Kil Su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곤충 스마트팜의 발전 및 체계 구축을 위하여 단계별 곤충 스마트팜 구축이 필요하다. 1세대 곤충 스마트팜에서는 환경 정보 수집 및 제어, 생육 기초 데이터 수집에 목적을 두고 있는 단계 이다. 곤충 생육에 필요한 환경 요소를 제어 장치를 통하여 최적의 생육 환경을 조성하고 차후 심층적인 분석을 위한 생육기초 데이터 수집을 하는 단계이다. 2세대 곤충 스마트팜에서는 1세대에서 수집된 생육 기초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육과정을 분석하여 최적의 생산량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영상 분석을 통해 병해충 정보를 분석하여 감염에 취약한 곤충 사육 환경에 도움이 될 것이다. 3세대에서는 곤충 산업 확장 및 안정화를 위한 곤충 산업 유통망을 구축하여 연간 필요 수량을 분석하고 곤충 판매 단가를 예측하여 곤충 농가의 수익 향상 뿐만 아니라 소비자와 유통인이 원하는 안전한 곤충생산이력 및 품질 유지를 위한 실시간 유통정보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곤충 스마트팜에 대한 사육 시스템 구성은 환경 정보, 생육 정보, 외부 환경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경 정보는 온습도 센서, 토양 센서, 조도 센서 등 생육에 필요한 환경 센서 정보를 수집 및 제어하여 곤충 사육의 최적의 환경 구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생육 정보는 곤충의 사육단계 별 무게 정보, 영상 생체정보 등을 수집하여 생육 상태 및 병충해 감염을 확인하여 적절한 사육 상태를 점검하고 병충해에 대한 조기 진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외부 환경 정보는 사육장 외부 온습도, 조도, 강우량 등을 측정하여 내부 환경 정보와 비교를 통해 적절한 환경 제어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계절별 곤충 사육 분석 및 연간 생산량 분석 등의 곤충 스마트팜 고도화의 중요 자료로 활용된다.

      • KCI등재

        일상학습의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병준(Byung-Jun Yi),석영미(Young-Mi Seok),마루오시(Ruoxi Mai),이지인(Ji-In Lee),손혜진(Hye-Jin So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6

        학습현상을 설명하고 학습현실을 이해하는데 있어 일상 속에서 형식을 갖추지 않은채 자연스럽게 또는 문화적으로 습득되는 것의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일터학습의 경우에도 형식교육을 통한 개인의 성장과 발달보다는 무형식상황에서의 학습이 더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어떤 학자들은 무형식학습으로, 또 어떤 학자들은 일상을 강조한다는 의미에서 일상학습으로 명명하기도 한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삶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학습이 일어난다고 하여 문화적 학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계에서의 일상학습의 흐름과 동향을 분석하고, 일상 또는 일상성의 개념의 생성과 의미를 학제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일상학습의 개념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일상의 개념은 철학적으로는 후설의 현상학에서 제시된 생활세계로부터 시작하여 이를 사회학적으로 이어받은 슈츠가 일상적 생활세계라는 개념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프랑스사회학에서는 일상성을 강조하는 하나의 사회학적 흐름이 형성되었다. 역사학에서는 집단기억과 심성을 연구한다는 차원에서의 일상사연구라는 하나의 패러다임이 생겨났다. 교육학에서도 일상학습을 강조하는 일군의 연구자들이 생겨났는데 학습이 생성되는 일상적 맥락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For explaining learning phenomena and understanding learning realities, an importance of acquiring naturally or culturally without form in daily life is emphasized as time goes by. In case of workplace learning, studying results that learning of informal situation makes more effects than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formal education are increasing. Some scholars name the phenomenon as informal learning and other scholars name it as casual learning because it focuses daily life. And some people call it cultural learning as learning is occurr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lif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analyze steam and tendency of casual learning in Korean academic world, examine creation and meaning of the concept of daily life or dailiness interdisciplinarily and based on it, try to conceptualize casual learning. To achieve them, this researcher tried to analyze th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concept of daily life started from living world suggested in Husserl’s phenomenology philosophically, Schutz who succeeded to it sociologically started to use it as daily living world, and one social stream focusing dailiness was formed in French sociology. In historical studies, one paradigm of daily life research was occurred in respect of studying collective memory and mind was created. In pedagogy, some researchers who emphasized casual learning were appeared because they focused on daily context causing learning.

      • 총설(總說) : 뽕나무 유전자원의 항산화능 비교

        김현복 ( Hyun Bok Kim ),석영식 ( Young Seek Seok ),서상덕 ( Sang Deok Seo ),성규병 ( Gyoo Byung Sung ),김성국 ( Sung Kuk Kim ),조유영 ( You Young Jo ),권해용 ( Haeyong Kweon ),이광길 ( Kwang Gill Lee ) 한국잠사학회 201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3 No.2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activity of the natural antioxidants present in fruits and vegetables, because potentially these components may reduce the level of oxidative stress. Especially, mulberry leaves containing many natural components are considerable re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leaves was investigated with minilum L-100 device and ARAW-KIT (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 in comparison to the ascorbic aci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16 varieties was 3303.4 nmol at opening stage of five leaves in spring. The highest stage of antioxidant capacity (3708.0 nmol) and yield rate was just before the coloration stage with anthocyanin in fruits, whereas the lowest stage was middle of June (2231.6 nmol) and about two months growing stage after summer pruning (2064.6 nmol). But after summer pruning,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leaves increased gradually until just before fallen leaves stage. Even if samples were same variety, antioxidant effect of those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collected regions. Also, antioxidant effect of mulberry leaves were higher than that of branche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yield-type mulberry leaves and fruits (Morus alba L., M. bombycis Koidz, and M. Lhou (Ser.) Koidz) collected from In-je, Won-ju and Yang-yang regions, Kang-won province, Kore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yield-type mulberry leaves was 2711.2 nmol. In the antioxidant capacity analysis of Jeollabuk-Do genetic resources, autumn’s mulberry leaves showed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hat of spring’s i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 on antioxidative capacity, five kinds of tea(coffee mix, green tea added brown rice, mulberry leaf tea, Polygonatum odoratum tea and black tea added lem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ir’s antioxidative capacity were 2,531.01 nmol, 1,867.42 nmol, 1,053.72 nmol, 292.71 nmol and 188.91 nmol,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drinking water soaked with mulberry leaf showed 891.96 nmo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