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분자 재료에 따른 연료전지용 전해질 막 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준,김문선,정재관 한국공업화학회 2003 응용화학 Vol.7 No.2

        In this study, the porous polymeric membranes such as polycarbonate and polypropylene were casted by Robe method and prepared by a phase inversion process using supercritical CO₂as an anti-solvent. The porous polycarbonate and polypropylene membranes were prepared by polyethylene glycol and polyvinyl-alcohol, respectively. The obtained membranes have identical pore sizes of 2∼3㎛.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고전문학의 풍류와 미야비에 대한 연구 - 만엽집과 이세 이야기, 다케토리 이야기를 중심으로 -

        이상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2

        본 논문에서는 고대 동아시아의 문학을 풍미했던 풍류(風流)가 고대 일본 문학에 언제부터 존재했고, 이 풍류 는 어떻게 변천해서,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문학의 미의식을 대변하는 「미야비」로 발전하였는가? 그리고, 이 미야비는 <이세 이야기>의 「이치하야키미야비」와는 어떻게 다른가? 하는 점을 구명하려고 한다. <만요슈(万 葉集)>의 「풍류(風流)」와 「유(遊)」는 일본의 상대(上代) 문학과 헤이안 시대 문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미의식의 하나다. 중국에서 도덕적 풍격을 의미하는 풍류가 호색을 의미하는 풍류로 변화하는 것은 육조기(六朝期)의 노장사상 (老莊思想)의 유행, 특히 육조 후기에 신선도(神仙道)가 큰 세력을 가진 것과 관련된다. 선계(仙界)의 생활을 모방하는 것으로, 금(琴), 시(詩), 술(酒), 기(妓)를 중요한 요소로 하는 당시(唐詩)의 풍류가 생겨나게 되었다. 오후미조(近江朝)에는 여가가 생겨서, 한시문(漢詩文)이 흥륭(興隆)하고, 이것은 의례제도(儀禮制度) 정비의 일환이고, 그 성공을 현창(顯彰)하는 것이다. 오후미 풍류(近江風流)는 천자(天子)와 현신문사(賢臣문사文士) 의 풍류로, 중국의 풍류 중에서 개인적인 도덕적 품격을 의미하는 풍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풍류」와 「미야비(みやび)」는 본래 다른 말이다. 「풍류」를 「미야비」로 읽는 것은 「풍류」가 서울 풍(都風)으로 인식된 것에 의한다. 「미야비」가 지토조(持統朝)에 모습을 나타낸 것은 지토조에 후지와라쿄(藤原京)가 건설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후지와라쿄는 도성제(都城制)를 채용한 최초의 본격적인 서울인 미야코(都)다. 서울 풍(都風)인 것을 주장하는 「미야비(みやび)」는 본격적인 서울(都) 없이는 출현할 수는 없는 것이다. 02/0126-0127 가군(歌群)의 「미야비」는 서울이 예의질서의 공간으로 간주된 것은 무관하지 않다. 후지와라쿄 에서부터 천황(天皇)의 덕(德)을 유출(流出)시키고 있는 한, 후지와라쿄에서는 예의가 지켜진다. 후지와라쿄 의 예의질서는 천황의 덕성(德性)이 발현되는 증명이다. 그리고, 상기의 가군에서는 후지와라쿄의 예의질서를 지키는 풍류를 「미야비」로 하고 있는 것이다. 후지와라구(藤原宮)의 풍류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 오호토모 스쿠네타누시(大伴宿祢田主)의 「풍류」이고, 그의 풍류는 도덕적인 것이다. 이시카와 이라츠메(石川女郎)의 풍 류는 호색적인 것으로 헤이죠쿄(平城京)의 「미야비」의 가교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관매(觀梅)의 대아연(大雅宴)은 덴표(天平)의 「풍류사(미야비오)」들에 의해서 정진정명(正眞正銘)한 「미야비」 라고 하는 말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결국, 만요 시대의 미야비는 이렇게 해서 중국으로부터 도래한 풍류사상과 새롭게 완성된 서울 문화를 중심으 로 해서, 일본적인 문화이념으로까지 발전하여 헤이안(平安) 시대의 문학이념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세 이야기(伊勢物語)>의 「이치 하야키 미야비」는 미야비의 세계를 생애 처음으로 경험하는 젊은이가 과감 하면서도 세련되게 한 성급한 행동」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표현이 아닌가 한다.

      • KCI등재

        만엽(万葉)의 밥가(飯歌) 연구-아리마노 미코(有間皇子)의 자상가(自傷歌)를 중심으로-

        이상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3

        「아리마노 미코(有間皇子)가 스스로 슬퍼하며 솔가지를 묶었을 했을 때 부른 노래 2수」 중 둘째 노래인 『만엽집(万葉集)』02/0142歌는 밥을 의미하는 반(飯: いひ)을 중요한 시적 소재로 삼아 노래하고 있다. 본 논문에 서는 이 노래를 비롯해, 『만엽집』에 전하는 밥을 소재로 한 노래 중에서, 밥의 시적 서정과 밥을 통한 고대 인들의 삶과 생명(生命)에 대한 인식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자상가(自傷歌)은 아리마노 미코가 체포되어 기이무로 온천으로 호송되어 가는 도중에 부른 노래이며, 658년 음력 11월 8일경에 부른 노래로 추정된다. 이 노래를 부른 시기는 만물이 시들어 메마른 겨울이기 때문에, 이 자상가는 눈앞에 펼쳐지는 메마른 살풍경을 이용하여 자신의 운명을 시적 서정으로 형상화한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이 시대는 이미 농경사회이기 때문에, 고대인들은 주식(主食)인 오곡(五穀)을 식량으로 하고, 이것으로 「밥」을 만들어 먹으면서 생명을 유지해 왔다. 식량은 불에 익히거나 쪄서 먹는 「밥」이 중심이고, 다른 것들을 부식으 로 하는 사회였다. 고대인들은 여행 떠난 사람을 집에 있는 사람과 똑같이 밥상을 차려놓고 기다리는 풍습이 있었다. 한편으로, 『만엽집』16/3857歌에서는 생명의 원천인 밥은 먹고 살아도, 그대와 함께 없어서 밥을 먹어도 밥맛을 모를 정도로 마음이 편안하지 않다고도 노래하고 있다. 이것은 예나 지금이나 우리 인간은 생존차원에만 머물지 않 고, 사랑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신도적(神道的)인 생활을 하고 있는 고대 일본인들은 신에게 바치는 밥을 집에서도 식기에 담지 않고, 쟁반에 종이를 깔고 그 위에 밥을 담아 바치는 풍습을 지녔기 때문에, 식기에 담긴 밥은 신에게 바치는 공물로서의 밥 이라기보다는 인간이 먹는 밥으로 보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생각한다. 이 자상가는 겨울철에 부른 노래이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초목은 다 시들어서 밥을 퍼 담을 수 없다. 하지만, 상반목(常磐木)인 「모밀잣밤나무」 잎은 시들지 않고 싱싱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작지만 밥을 담을 수 있 었다. 그래서 호송하는 사람들이 식사 때 이 「모밀잣밤나무 잎」에 밥을 싸서 아리마노 미코에게 던져준 것으 로 보는 타당한 것이다. 싱싱한 메밀잣밤나무 잎으로 싼 밥을 건네받고, 아리마노 미코는 떨어지지 않은 모밀잣밤나무 잎처럼 자신도 죽음을 모면할 수 있을 가능성을 엿보기도 한 것은 아닌가 한다. 이러한 시적 서정은 자연의 생명력과 인간의 생명을 동일시하는 고대인들의 생명관에 기인한 것이다. 만엽(万葉) 시대 사람은 식기(笥)를 혼(魂)이 깃드는 그릇(器)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식기를 가지다(笥を持 つ)」라고 하는 표현의 시적의미는 「결혼」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식기에 밥을 담는 사람은 사랑하는 아 내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식기에 밥을 담아 들고 죽은 자의 상여(喪輿)의 뒤를 따라가는 사람도 죽은 사람의 아내인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결국, 아리마노 미코가 자신의 죽음을 직감한 순간에 어떠한 연유로 평소 가족과 함께 먹던 밥과 사랑하는 아 내가 밥을 식기에 퍼 담아주는 모습을 노래하고 있는 것인가? 집에 있을 때 가족과 함께 늘 먹는 밥은 가족의 생명과 단란한 가정을 유지해 주는 원천이다. 이 생명의 원천인 밥을 해 담아주는 사람은 바로 자신의 아내다. 그러므로, 아리마노 미코가 식기에 담아주는 밥을 노래한 것은 다름 아닌 바로 자기의 아내를 노래한 것이다. 죽음을 직감하고 아내를 생각하는 노래는 성덕태자가 행로사인(行路死人)을 보고 노래한 「万03/0416歌」에서 행로사인의 아내를 노래한 것과 통하는 시적서정인 것이다. 죽음에 직면하여, 사랑하는 아내와 단란한 가정을 생각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귀족사회가 되면서 노래의 세계에서 배제된 일상적인 것도 훌륭한 시적서정이 었음을 소위 이 「밥가」가 웅변적으로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The song 02/0142 of Man'yōshū is a rice food song in respect to rice as a poetic subject. In this paper, the main focus is to contemplate the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via rice song within the ancient civilians along with this song. Jishouka, the swan song of Arimano Miko was sung during his convoy as a treacherous criminal on approximately November 8th 658 in a lunar calendar. Due to the fact that the song was sung in the winter, this swan song lyrically configurated the destiny of Arimano Miko by the bleak and dry wintry landscape. The ancient japanese sustained their lives through their staple diet, five-grained rice. They had a custom to set a table with proper tablewares for people on their journey as if they were to eat together. These people with Shintoistic life dedicates rice to their gods on a plate with a layer of paper rather than on a proper tablerware, therefore, those rice in tablerwares are rather for human than for gods. The swan song of Arimano Miko was sung in the winter, Trees around him no longer holds any leaves for him to use as rice bowl substitute, however, the leaves on “chinquapin", which is evergreen, did not wither away but rather vivid to be in use for his meal. Thus, I regard that the convoys wrapped the rice on a leaf of chinquapin for Arimano Miko in meal time as an appropriate analogical interpretation. It is possible that Arimano Miko was on the look out for an opportunity to avoid his death as he saw the rice wrapped with a leaf of chinquapin, which is unwithered regardless of severe winter climate. This kind of poetic lyrics reveals the perception of ancient people that they equate the life of nature with the life of human. The people in the time of Man'yōshū believed that tablewares are the container for spirits, thus the poetic expression of “possessing the tableware(笥を持つ)" implies the marriage therefore, the one who fills the tableware is beloved wife and also the one who follows bier of the dead with rice-filled bowl being a wife of the dead is as natural as the other. Eventually, Arimano Miko sings the song of his wife setting the table at the moment when he perceived intuitively his own death because the having meals with family together is the source of sustainment for both life and togetherness of family; his wife is the one who fills up the source of his life, therefore, Arimano Miko singing the song of rice being filled in tableware is simply singing a song of his wife. This very singing a song of own wife has a poetic thread of lyrical connection with Shoutoku Taishi's action of singing a song of a dead man's wife after seeing a death of passerby. When faced the death, thinking of wife and bossom family is an unquestionable human nature. This so-called "rice food song" eloquently represents that such ordinary life-exclued among the world of songs as the society becomes more of aristocratic, can also elicit such lyrically splendid poetry.

      • KCI등재

        Ophthalmoplegia in Mitochondrial Disease

        이상준,나지훈,한진우,이영목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8 Yonsei medical journal Vol.59 No.10

        Purpose: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natural course of ophthalmoplegia associated with mitochondrial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Among 372 patients with mitochondrial disease who visited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2006 and January2016, 21 patients with ophthalmoplegia were retrospectively identified. Inclusion criteria included onset before 20 years of age, pigmentary retinopathy, and cardiac involvement. The 16 patients who were finally included in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disease type: Kearns-Sayre syndrome (KSS), KSS-like, and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CPEO). Results: The prevalences of clinical findings were as follows: ptosis and retinopathy, both over 80%; myopathy, including extraocularmuscles, 75%; lactic acidosis, 71%; and elevated levels of serum creatine kinase, 47%. Half of the patients had normal magneticresonance imaging findings. A biochemical enzyme assay revealed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complex I defect as the most common (50%). The prevalence of abnormal muscle findings in light or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s was 50% each, while that of large-scale mitochondrial DNA (mtDNA) deletions in a gene study was 25%. We compared the KSS and KSS-like groups with the CPEO patient group, which showed pigmentary retinopathy (p<0.001), cardiac conduction disease (p=0.013), and large-scale mtDNA deletions (p=0.038). KSS and KSS-like groups also had gastrointestinal tract disorders such as abnormal gastrointestinal motility (p=0.013) unlike the CPEO group. Conclusion: Patients with KSS had gastrointestinal symptoms, which may indicate another aspect of systemic involvement. The presence of large-scale mtDNA deletions was an objective diagnostic factor for KSS and a gene study may be helpful for evaluatingpatients with K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