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리콘 카바이드 파워모듈 내 소자 배치와 상태특성을 반영한 전용 냉각구조 연구

        이상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리콘 카바이드 소자는 파워 모듈에 사용됨에 있어서, Switching loss가 매우 적고, 모듈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기존의 실리콘 IGBT 파워 모듈을 대체할 소자로 연구가 되어왔다. 파워 모듈의 크기와 열 특성은 친환경 차량의 Power control unit의 크기를 결정하는데도 큰 영향을 끼친다. 대부분의 파워 모듈이 150℃ 가량의 Junction temperature를 가지기 때문에 이 온도 이하로 냉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만 파워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실리콘 카바이드 파워 모듈에 따른 적합한 냉각 구조가 필수적이다. 아래 그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로 대부분의 파워 모듈 냉각은 Water cooling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모듈의 크기가 실리콘 카바이드 파워 모듈처럼 작아지거나, 손실이 적다면 냉각구조 또한 간소화 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냉각구조의 간소화는 PCU의 전체 부피 또한 작아 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CU의 부피 및 무게 감소는 친환경 자동차의 전비 향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한 냉각 구조가 필요하다. 둘째로 미래엔 소자가 악조건에서 운용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Wide band gap 소자가 연구되고 개발되면서 내열성이 뛰어난 소자들이 생산될 것이고 냉각 환경 또한 간소화 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악 조건 및 간소화 된 냉각 환경에도 모듈을 정상 동작 온도까지 냉각 시킬 수 있는 간소화 되고 적합한 냉각 구조가 필요하다. 이 논문의 구조 설계 에서는 냉각 대상이 되는 실리콘 카바이드 파워 모듈을 선정한 뒤 모듈의 소자 위치 및 손실을 고려하여 직접 설계한 적합 구조를 두 가지 손실 조건(360/180[W], 720/360[W])과 4가지 유속 조건(0.16, 0.32, 0.64, 1.98[m/s])에서 시뮬레이션 하였고 기존의 Reference구조와 비교하여 성능향상을 확인해 보았다. 추가로 파워 모듈의 냉각에서는 단순하게 T_max를 낮춰서 냉각 목표를 달성한 것이 아니다. 특히 6-pack 3상 인버터 같은 경우는 제어 명령에 따라서 각 Leg의 온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직접 설계한 냉각 구조가 직선형이기 때문에, 냉각수 Inlet과, 냉각수 Outlet 지점에서의 냉각성능이 상이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이한 냉각 성능은 각 소자간 온도가 지속적으로 차이가 날 수 있다. 소자간 온도의 차이는 같은 전압, 전류인가에도 특성의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이는 제어 성능의 저하를 불러 일으킨다. 이 논문의 온도 균일화 설계에서는 이러한 소자간 온도 불균형을 맞추기 위해 Double sided cooling 구조에서 Thermoelectric module을 사용하는 것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증명하기 위해 실험 환경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보고자 하는 것은 첫째, Thermoelectric module을 통하여 한번 냉각된 소자의 냉각이 가능할 것인가? 둘째, 냉각에 걸리는 시간이 빠른 Switching에도 변하는 소자의 온도를 균일화 시킬 수 있을 정도인지? 셋째, 소자의 온도 측정방법과 Thermoelectric module의 제어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인지? 이다. 해당 연구는 파워 모듈의 소형화 및 소자 위치를 고려한 전용 냉각구조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이 구조는 기존 구조 대비 동일 조건에서 더 나은 냉각 성능을 보여줄 수 있었고, 특히 악조건에서의 냉각 성능이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각 소자 간의 온도 균일화를 위하여 Double sided cooling 구조에 Thermoelectric module 도입 가능성을 보여 주었고, 실험계획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 사람과 장소 간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군집화

        이상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통신기술의 개발에 따른 정보의 증대와 함께 개인의 이동 패턴 분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그에 관련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icrosoft Research의 GPS 데이터를 기반으로 행렬 인수분해를 적용한 저차원의 사람과 위치 정보 간의 선호행렬을 도출하였다. 사람과 방문 장소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각 개인의 이동패턴에 대한 유사성을 함께 분석하여 상호 관계성이 있는 커뮤니티를 구성하였고 추후 심화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졸업연주 작품분석

        이상유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09년 가을 석사 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공연 “산책”에서 연주된 네 곡의 자작곡을 분석하고 설명하여 곡의 구조 및 편곡 전개방식을 소개함으로써 작곡의도와 함께 대학원 과정을 통해 습득한 다양한 배경지식을 활용하였음을 알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연을 위해 준비된 네 곡은 모두 자작곡이며 세 곡의 노래곡과 한 곡의 연주곡으로 구성하였는데 평소 싱어 송라이터에 대한 동경이 있었으므로 노랫말이 있는 음악작업 방식을 구현하고자 건반 전공임에도 불구 연주와 노래를 함께 시도하였고 또한 건반연주자로서의 연주부분을 소홀히 하지 않도록 작품 “11월”, “Hongder”, “The phantom on the beach" 에서 건반 솔로 부분을 할애하였다. 악기의 구성은 드럼, 베이스, 기타, 아코디언과 건반이며 각 작품에 따라 1번곡 “11월”은 어쿠스틱 피아노, 나일론 기타, 일렉트릭 베이스, 드럼, 아코디언이, 2번곡 “Hongder”는 일렉트릭 음색의 건반, 일렉트릭 기타, 일렉트릭 베이스, 드럼이 연주되었고 3번곡 “The phantom on the beach”는 어쿠스틱 피아노, 나일론 기타, 일렉트릭 베이스, 드럼, 아코디언이이 연주되었고 4번곡 “아침산책”은 어쿠스틱 피아노, 일렉트릭 기타, 일렉트릭 베이스, 드럼, 아코디언으로 연주하였다. 본론에서는 각 곡 마다 특성과 구체적인 형식과 화성분석, 악기편성에 따른 편곡을 확인해보았는데 이론과 실전이 잘 이루어졌는지, 공연의 내용은 잘 전달되었는지 다시 한 번 재검토하는 기회가 되었다.

      • Occurrence and risk assessment of type B trichothecene mycotoxins and their 3-β-D-glucosides through market food intake in Korea

        이상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major type B trichothecenes, deoxynivalenol (DON) and nivalenol (NIV), are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mycotoxins worldwide. Deoxynivalenol-3-β-D-glucoside (DON3G) and nivalenol-3-β-D-glucoside (NIV3G) are the modified mycotoxins of DON and NIV, respectively, and are produced by the plant's defense mechanism. These glucoside conjugates (DON3G and NIV3G) while themselves low in toxicity, are hydrolyzed during digestion and converted to free toxins (DON and NIV), thus increasing their toxicity.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having confirmed their hydrolysis potential during digestion, suggested that they be managed together with free toxins. In Korea, there have been no study reports on the occurrence and risk assessment of these glucoside conjugates. Also, research on the analysis method of glucoside conjugate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simultaneous determination method for major type B trichothecenes DON and NIV, as well as their glucoside conjugates, is established and validated. Contamination status and risk assessment were performed using the validated method. The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systematically, using both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methods, by setting scenarios for the absorption (bioavailability) of these glucoside conjugates. The method in question, using immunoaffinity column (IAC, immunoaffinity column) purification with HPLC-UV detection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DON, NIV and their glucoside conjugates, was established and validated, with both accuracy and the precision of the method satisfying the EC guidelines. The validated analytical method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n 537 cases of domestic cereals, legumes and their products. From among the cereals and cereal product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barley, foxtail millet, job's tears, and sorghum were found to be high. And from among the legumes and legume product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chunjang, gochujang, and mixed paste were high. In the case of beer,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he glucoside conjugate (DON3G)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parent toxin (DON). For risk assessment, the relative absorption (bioavailability) of the glucoside conjugates compared to that of the free toxin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confirmation by two methods based on literature and experimental approaches, it was determined that hydrolysis of glucoside conjugates did not occur in digestive juices such as saliva, gastric juice, and pancreatic juice. However, it was completely hydrolyzed within 24 h by the intestinal microbiome. Another finding was that the glucoside conjugates were not absorbed by themselves but rather were hydrolyzed by the intestinal microflora, converted into a free toxin and only then absorbed. The glucoside conjugates and free toxin did not affect each other's absorption rate when expose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absorption of glucoside conjugates reported in the in vivo study, three exposure scenarios were established, and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risk estimation, undertaken employing both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methods, estimated exposure was generally safe because it did not exceed 100% of the TDI in all scenarios. The TDI of the NIV group (NIV, NIV3G) was found to be about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DON group (DON, DON3G), with infants being more vulnerable to exposure to glucoside conjugates than were adults. The risk assessment, considering the absorption (bioavailability) of the glucoside conjugates in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estimate the risk of these glucoside conjugates and suggest a direction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se glucoside conjugates. However, the absorption rate and bioavailability of glucoside conjugates confirmed in this study were established based on one human study and three animal studies. This is insufficient to accurately evaluate the bioavailability of glucoside conjugates. If studies on the absorption of glucoside conjugates accumulate in the future, it will then be possible to evaluate the risk of glucoside conjugates more accurately. 주요 B형 트리코테센 곰팡이독소인 deoxynivalenol (DON) 및 nivalenol (NIV)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곰팡이독소이다. Deoxynivalenol-3-β-D-glucoside (DON3G) 와 nivalenol-3-β-D-glucoside (NIV-3G)는 각각 DON과 NIV의 변형 곰팡이독소(modified mycotoxin)로 주로 식물의 방어기전에 의해 생성된다. 이들 당결합체(DON3G 및 NIV3G)는 그 자체로는 독성이 낮지만 인체 소화과정 중 가수분해되어 모독소(DON 및 NIV)로 전환되어 독성이 증가할 수 있다. 유럽식품안전청(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은 당결합체의 소화과정 중 가수분해 가능성을 인정하여 유리독소와 함께 관리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이들 당결합체의 오염실태 조사 및 위해평가 연구가 아직 수행되지 않았으며 당결합체의 분석법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B형 트리코테센 DON 및 NIV와 그들 당결합체를 동시분석하기 위한 분석법을 확립 및 검증한 다음 검증된 분석법을 활용하여 오염실태조사 및 위해평가를 수행하였다. 위해평가를 위해 당결합체의 흡수율(생체이용율)을 고려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고 결정론적인 방법 및 확률론적인 방법을 모두 활용하여 체계적인 위해평가를 수행하였다. DON, NIV 및 그들 당결합체를 동시분석하기 위해 면역친화컬럼(IAC, immunoaffinity column) 정제 후 HPLC-UV로 검출하는 방법을 확립 및 검증하였다. 그 결과 확립된 분석법의 정확도 및 정밀도는 모두 EC 가이드라인에 만족하였다. 검증된 분석법을 활용하여 국내 유통 곡류, 두류 및 그들 가공품을 포함하는 537건을 대상으로 오염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곡류 및 곡류가공품 중에서는 보리, 조, 율무 및 수수의 오염이 높았고 두류 및 두류 가공품 중에서는 춘장, 고추장 및 쌈장의 오염이 높았다. 대부분의 조사 대상 식품은 DON의 오염이 DON3G보다 높았으나 맥주의 경우 DON3G의 오염이 DON보다 높게 나타났다. 위해평가를 위해 당결합체의 유리독소 대비 상대적인 흡수율(생체이용율)을 확인하였다. 문헌 및 실험기반의 두가지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당결합체의 가수분해는 침, 위액, 이자액 등의 소화액에서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장내미생물에 의해서는 24시간 이내 완전히 가수분해되었다. 당결합체는 그 자체로는 흡수되지 않았으며 장내 미생물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모독소로 유리된 후 흡수되었다. 당결합체와 모독소는 동시에 노출되었을 때 서로의 흡수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in vivo 연구에서 보고된 당결합체의 흡수율을 기반으로 3가지의 노출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위해평가를 수행하였다. 결정론적인 방법과 확률론적인 방법으로 위해도(TDI%)를 산출한 결과 모두 TDI의 100%를 넘지 않아 대체적으로 안전한 수준임이 시사되었다. NIV 그룹(NIV, NIV3G)의 TDI는 DON 그룹(DON, DON3G)보다 약 2-3배 높게 나타났으며 영유아의 경우 성인보다 당결합체의 노출에 취약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당결합체의 흡수율(생체이용율)을 고려한 위해평가는 당결합체의 위해를 평가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이며 당결합체 안전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확인 한 당결합체의 흡수율 및 생체이용율은 1건의 human study와 3건의 animal 연구를 기반으로 설정한 것으로 당결합체의 생체이용율을 정확하게 평가하기에 충분치 않으며 이에 대한 위해평가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향후 당결합체의 흡수에 대한 연구가 축적된다면 당결합체의 위해 수준을 보다 정확히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