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산 박형룡 이후 총신 조직신학자들의 천년기론

        이상웅 ( Lee Sangu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6 성경과신학 Vol.80 No.-

        논자는 본고에서 죽산 박형룡의 은퇴이후 총신 조직신학자들의 천년기론에 대해서 논구하여 보았다. 죽산은 1974년에 간행한 『내세론』에서 “대한 예수교 장로회의 신학적 전통은 역사적 천년기전 재림론이다.”이라고 공표하면서도, 세 가지 입장에 대해서 관용을 표현했다. 그가 은퇴한 후 45년의 세월동안 총신에서 가르쳤고, 가르치고 있는 여러 조직신학자들의 입장은 어떠하였을까를 살펴보면, 죽산이 명시화한 입장 즉, 역사적 전천년설을 변호했던 교수들과 무천년설의 입장을 견지했던 여러 교수들로 양분되어지는 것을 알수가 있다. 역사적 전천년설을 가르치되, 박아론박사는 선친의 입장을 강력하게 변호하는 강경노선을 택했으나, 나머지 교수들은 다른 입장에 대한 관용의 자세를 취했다. 그들 가운데 김길성은 자신의 입장을 “무천년기 재림론을 사랑하는 역사적 천년기전 재림론자들의 입장에 서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최홍석은 세 가지 입장이 가진 공통분모를 찾는 일에 논의를 집중하고자 했다. 반면에, 무천년설을 취하는 교수들 가운데, 서철원은 모든 천년기론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표방했고, 무천년설 만이 바른 입장이라고 천명했다. 그러나 무천년설을 확집하는 교수들 가운데 정승원과 이상웅은 ‘성경신학적이고 구속사적인 관점’에서 이 문제를 접근하고자 노력하며, 역사적 전천년설에 대한 포용을 하고자 노력한다. 그리고 죽산 이래 모든 총신 조직신학자들의 공통점은 세대주의 전천년설이 비성경적이라고 거부하여 왔다고 하는 점이다.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millennial views of the professors of Systematic Theology who have taught at the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after retirement of Dr. Hyung Nong Park. In his Eschatology published in 1973, although Dr. Park declared publicly that “the theological tradition on eschatolog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s the historic premillennial view of Second Coming.” He also expressed tolerance on other millennial viewpoints explicitly. On scrutinizing the positions of the professors after retirement of Dr. Hyung Nong Park, we have found that their positions are divided into two: the historic premillennialism and amillennialism. Dr. Aaron Park taught the historic premillennialism in line with his Father Hyung Nong Park and strongly rejected other viewpoints. However, other adherents of historic premillennialism tolerated other positions on millennialism. Among them, following is the position of Dr. Kilsung Kim: “I would like to adopt the viewpoint of a historic premillennialist, who appreciated the amillennialist position.” And Professor Hongsuk Choi sought to focus the debate on finding a common denominator with these three positions. On the other hand, Dr. Chul Won Suh, among amillennialist professors, srongly expressed the negative opinion against every other form of millenni-alism and upheld the amillennialsim alone as the biblically right viewpoint. However, among the professors teaching amillennialism, Dr. Sungwon Jung and Dr. Sangung Lee have approached this problem from the ‘Biblical theology and Redemptive-historical theology’ and expressed to embrace the historic premillennial view. Despite the disagreements on the millennialism, all the professors of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after retirement of Hyung Nong Park have rejected Dispensationalism as an unbiblical viewpoint.

      • KCI등재

        국내유역의 수질지수 적합성 평가

        이상웅,조부건,김영도,Lee, Sangung,Jo, Bugeon,Kim, Young Do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5

        지류 하천은 본류에 비해 수질 변동성이 심하므로, 지류하천에 대한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 단일 수질 항목에 의한 평가보다 다항목의 영향을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 방법이 도입되고 있으나 유역 특성이 고려되지 못하는 한계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탄강 중권역을 도시화율 및 가축분뇨 발생량, 산업폐수 배출량으로 도시 유역과 비도시 유역을 분류하고 수질 특성 분석 및 CCME WQI, RTWQI, NSFWQI 산정을 통해 유역 특성별 수질지수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수질지수 산정시 사용되는 수질항목이 수질지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CCME WQI와 TC, FC의 관계가 도출되었으며, 도시 유역에서 RTWQI와 DO, SS, 비도시 유역에서 NSFWQI와 FC의 관계가 나타났다. 하천생활환경기준 항목인 BOD, T-P 등급과 수질지수 비교를 통해 적합성을 평가하였을 때 도시 유역에서는 수질지수의 적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도시 유역에서 RTWQI를 활용한 종합적인 수질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구례인(John C. Crane, 1888-1964) 선교사의 종말론 연구

        이상웅(Sangung Lee)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5 No.-

        구례인(John C. Crane, 1888-1964)은 이눌서(William D. Reynolds, 1867-1951)를 이어서 평양 장로회신학교 조직신학 교수가 되었고, 1953년에는 선교사 교수들 가운데는 최초로 『조직신학』교본을 출간했다. 중국 신학자 가옥명의 『신도학』을 번역하여 교재로 사용했던 선임자와 달리 구례인은 미국 개혁주의 신학자들인 로버트 댑니, 핫지 부자, 루이스 벌코프 등의 교본들을 활용하여 방대한 조직신학 교본을 출간함으로 한국 장로교 신학사에 큰 획을 그었다. 하지만 학계의 동향을 보면, 지금까지 구례인의 선교사역이나 교수사역에 대한 연구나 그의 신학에 대한 평가 작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논자는 본고를 통해 구례인의 종말론을 논구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가 중요한 것은 그의 선임자들 대다수가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장로교 신학과 조화된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열정적으로 가르친 것과 대조적으로 일찍이 무천년설이 성경적인 종말론이라고 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본고에서 구례인이 종말론을 논의한 순서대로 네 부분으로 논구해 보았다: 사후 세계(2절), 그리스도의 재림(3절), 일반 부활(4절), 일반 심판과 최후 상태(5절). 구례인은 죽음이 죄의 결과라고 보고, 죽을 때에 영혼과 육체가 분리되나 이원론에 근거한 영혼 불멸론은 거부하였다.또한 그리스도의 재림을 무천년설의 관점에서 논의하였기 때문에, 단 한 번의 부활, 단 한 번의 재림 그리고 단 한 번의 최후 심판 등을 말할 수가 있었다. 이는 구례인의 표현대로 하자면 “재림에 대한 교회의 기초적 공통적 교리”인 것이다. 구례인은 최후 심판의 기준들에 대해서도 바르게 해명하고, 최후 상태에 대해서는 장소성을 인정하면서도 의인들과 악인들이 누리게 될 영적인 복에 집중하여 설명해 주었다. 우리는 이러한 구례인의 종말론을 통해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종말론을 교정하여 개혁주의적인 종말론에로 이끌어 가고자 하는 그의 수고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그의 종말론에도 약점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그의 세계 파괴설적인 경향이 그러하고, 전체적으로 그의 논의들이 풍성하게 전개된 것은 아니라고 하는 점도 그러하다. John C. Crane (1888-1964) succeeded William D. Reynolds (1867-1951) as a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at the Pyeng Yang Presbyterian Theologica Seminary. Crane published the extensive systematic theology textbook by compilating the textbooks of American reformed theologians such as Robert L. Dabney, Charles Hodge, A. A. Hodge, and Louis Berkhof. However, when looking at the trends of the academic circles,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Crane s missionary work, teaching ministry, and theology. With this situation in my mind, I examine Crane s eschatology in this paper. Following the introductory section, I examine in four sections according to the order of Crane’s work: the life after death (section 2), the Second Coming of Christ (section 3), the general resurrection (section 4), the general judgment and the final state (section 5). Crane regarded death as a result of sin. Accordingly, he would claim the soul and body were separated at death, but he rejected the theory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ased on Greek dualism. Also, since the Second Coming of Christ has been discussed from the point of the Amillennialism: only one resurrection, only one return of Christ, and the general last judgment. Crane also correctly explained the criteria of the last judgment. While acknowledging the place of the final state, he focused on the spiritual blessings or torments that the righteous and the wicked would enjoy. We can confirm his efforts to correct the eschatology of Pyeng 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by presenting his reformed eschatology. Of course, his eschatology is not without weaknesses. Most of all, this is the case with his annihilatio mundi tendency.

      • ‘새 예루살렘’(계 21:9-22:5)에 대한 개혁주의적 이해와 설교

        이상웅(Sangung Lee) 신학지남사 2016 신학지남 Vol.83 No.3

        There are so many confusions raised by eschatological problems in Korean churches. In such confusing situation, I think it is very relevant to examine the text (Rev. 21:9- 22:5) that speaks on the "New Jerusalem." In the second section of this paper, I examined whether the New Jerusalem is an actual city or a symbol which refers to the redeemed community or church. Such theological consideration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iblical text rightly. in the third section, I presented the summary of four sermons on Rev. 21:9-22:5 that I preached in the churches and published as an Exposition on Revelation. I did it as an example of how to preach on the text or on the subject of New Jerusalem from the Reformed Eschatological viewpoint.

      • 조나단 에드워즈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신학생들과 목회자들을 위한 독서 안내

        이상웅(Sangung Lee) 신학지남사 2019 신학지남 Vol.86 No.1

        Jonathan Edwards was a preacher, a theologian, and a revivalist in the times of Colonial America. He left a legacy with many sermons and writings. From his death, many scholars researched Jonathan Edwards. The sheer amount of work piles up 260 long years. Therefore, those who wish to join in the heritage of Edward are embarrassingly confused to know which resources to study in what order. So in this paper, I present a reading guide on how to study Jonathan Edwards. In Section 2, I introduce some of the simplest and easiest books to read about Edwards and then offer specific references for further studies. In Section 3, I suggest Edwards’ books translated into Korean: 1) Edwards’ three magnus opus(Freedom of Will, Religious Affections, Original Sin), 2) writings about revival and Great Awakening, and 3) sermons and biblical exposition or meditation. Finally, in section 4, I draw an over-arching apparatus to the entire works of Edwards that must be consulted in order for anyone desiring to professionally research Edwards. This paper will be an appropriate reading guide for anyone wanting to follow Jonathan Edwards, since his writings offer many benefits beyond the age to the 21st century.

      •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감정론』에서 배우는 참된 신앙의 본질(1)

        이상웅(Sangung Lee)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1

        From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the Third Wave or the New Apostolic Reform Movement has greatly inf luenced beyond denominational obstacles. They are using their experience as a criterion for judgment, instead of biblical standards, and driving followers in extreme directions. Believers without solid faith tend to be immersed in unbiblical and unhealthy religious lives under this extreme guidance. In this spiritual confusion, I think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Jonathan Edwards’ Treatise concerning Religious Affections to gain biblical and spiritual discernment. The book, published about 270 years ago, has been printed constantly and has been loved by many. This book helps to distinguish between true and false beliefs, and it helps to distinguish between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he work of Satan. In this paper, I first introduced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structure, and the related literature of the Treatise concerning Religious Affections(2). Such an examination is necessary to understand Edwards’ book very well. Then, I overviewe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order of composition of the book. In section 3 I examined Edwards’ presentation on the definition and importance of affections, and then in section 4 I analyzed the twelve negative signs that are not essential signs of true faith. Through such discussions, Edwards argued excellently that those signs can be experienced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sometimes they are also caused by the work of the devil, and sometimes they can be experienced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of the man.

      • 기독교윤리학자 이상원교수의 종말론

        이상웅(Sangung Lee)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4

        이상원교수는 1998년부터 총신에서 기독교윤리학 교수로 재직해 왔다. 이교수는 윤리학을 주력해서 가르쳤을 뿐만 아니라 교의신학의 여러 분과들도 가르쳐왔다. 본고에서는 이교수의 종말론에 대해서 논구해 보았다. 이교수의 종말론 강의안이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종말론에 관련된 여러 전문적인 논문들을 공표했고, 평신도들을 위한 강설집들도 여러 권 출판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가 가능하다. 이상원교수는 전통적인 종말론의 순서대로 개인적인 종말론과 일반적인 종말론으로 양분하여 다루었다. 이교수의 논의를 살펴보면 바빙크, 벌코프, 박형룡 등의 역사적 개혁주의 노선을 충실하게 잘 따르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물론 때로 바빙크에 대해서도 비판을 하는 것을 볼 때에, 그는 주체적인 신학 의식을 가지고 신학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개혁주의 윤리학자로서 그는 자살, 존엄사, 안락사, 장례방식의 문제 등에 대한 논문들을 통해서 전문가적인 통찰들을 제시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평신도 수준에서 종말론에 관련된 여러 주제들을 평이하게 해설해 주기도 했다. 따라서 이상원교수는 개혁주의 윤리학자로서의 학문적인 기여뿐만 아니라, 종말론적인 관점에서도 그의 기여점을 평가해 볼 수가 있다고 판단된다. Professor Lee Sang-won has been a professor of Christian ethics at Chongshin since 1998. He not only taught ethics with a focus but also taught several loci of dogmatic theology. In this paper, I examine his eschatology. His syllabus on eschatology remains. Moreover, several professional papers related to personal eschatology and numerous books of expositions for laypeople have been published. His eschatology takes the form of a typical tradition of the studies on eschatology: differentiating individual and general eschatology. Looking at his discussions, readers could confirm that he faithfully follows the lines of historical Calvinism such as Bavinck, Berkhof, and Park Hyung-Nong. Of course, when we see his criticism of Bavinck at times, we can appreciate that he studied with a subjective-theological consciousness. As a reformed ethicist, he also presents expert insights through articles on suicide, death of dignity, euthanasia, and funeral methods. Also, at the level of the lay believers, he gives a plain explanation of various topics related to eschatology. Therefore, it would be right to judge professor Lee Sang-won as a reformed ethicist in his academic contribution from an eschatolog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마르틴 루터의 『대교리문답』 - 역사적 배경과 십계명, 사도신경 그리고 주기도문에 대한 해설에 대한 분석

        이상웅 ( Sangung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5 No.-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여 마르틴 루터의 신학사상의 정수가 무엇인 지를 논구하는 일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루터는 조직신학 적이기 보다는 성경신학자였고, 종교개혁과 관련된 많은 저술들을 저술했기 때문에 그의 신학 사상의 정수를 파악하는 일이 쉽지가 않다. 볼프강 카피토에게 보낸 한 편지 속에서 루터가 자신의 저술들 가운데 『노예의지론』과 『대소교리문답서』들을 주요 저술로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 는 루터의 『대교리문답』(1529)을 논구함을 통해 그의 사상의 정수를 파악하고자 시도해 보았다. 서론에 이어지는 2절에서는 『대교리문답』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살펴 보았다. 루터는 종교개혁이 10년 이상 진행되면 서 자신이 속한 작센지역에 속한 교회와 교역자들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교회 시찰을 시행했고, 그 결과 교역자들의 무지함과 방종이 극에 달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루터는 평신도들을 위해 짧은 형태의 『소교리문답』을 저술함과 동시에, 목회자들을 위해 자세한 해설을 담은 『대교리문 답』을 간행한 것이다. 이어지는 3절에서는 『대교리문답』의 다섯 항목 중 첫 세 항목- 십계명, 사도신경, 주기도문 등에 대해 루터의 해설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그의 사상의 핵심을 파악하려고 노력해 보았다. 루터는 십계명을 중시하여 자세하게 해설하는 것을 보았으며, 제1계명의 중요성을 시종일관 강조하는 것을 확인했고, 제4계명(부모공경)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간의 힘만으로 십계명을 지킬 수 없기에 사도신경 이 필요하고, 그러한 힘을 얻기 위하여 주기도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을 이어서 살펴 보았다. 우리는 『대교리문답』의 세 조항 설명들 속에서 루터가 하나님의 말씀을 강조하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목회자들과 신자들을 향한 실천적이고 교육학적인 관심이 지대하다는 것도 확인하게 되었다. 학계에서는 루터의 『대소교리문답』은 청년 칼빈의 신학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어 왔기 때문에, 이러한 논구는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양자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또 하나의 학술적 논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n commemorating fiv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it is meaningful to appropriate the essence of Martin Luther`s thoughts. Though, there remains a difficulty. Luther was a biblical theologian rather than a systematic theologian. Accordingly, he wrote many works related to the Reformation. Therefore, it is not easy to simply determine the essence of his theological thought. Because Luther considered De servo arbitrium and Small and Large Catechism to be the most important in a letter to Wolfgang Capito. In this paper, I tried to grasp the essence of his thoughts by examining Luther`s Large Catechism (1529). In the second section that follows the introduction, I have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Large Catechism. As the Reformation continued for more than a decade, Luther conducted a church visit to ascertain the situation of churches and clergy in his Saxony region. Consequently, he identified the ignorance and indulgence of the pastors. Luther wrote Small Catechism in a short form for the laymen, as well as Large Catechism, in which contains detailed explanations, for the pastors. In the subsequent section, I examined the core of his thought by discerning Luther`s commentary on the first three items of the Large Catechism -The Ten Commandments, the Apostles` Creed, and the Lord`s Prayer. We have confirmed that Luther had commented on the Ten Commandments in detail and he had consisten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First Commandment and the fourth commandment (Honor your parents). I continue on to scrutinizing his emphasis that the Creed is necessary because man cannot keep the Ten Commandments by his power, and that the Lord`s Prayer is needed to obtain such power. Thus, we may confirm that Luther emphasized the Word of God in the accounts of the three parts of Large Catechism. Moreover, we witnessed Luther had had a great deal of practical and pedagogical interest for pastors and believers. Since it is generally accepted fact in the academic world that Luther`s Large and Small Catechism had been great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young Calvin, this paper is tangible to Reformed theologians. However, I think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surve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