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죄 인정의 문제

        이상문(Lee, Sangmun) 대검찰청 2014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4

        최근 살인죄의 경우에 미필적 고의의 인정에는 의지적 요소는 불필요하다는 주장이 제시되고 있고, 대법원도 인식만으로 미필적 고의를 인정한 듯한 판결을 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의지적 요소 불필요설에 대해 대법원판례의 입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살인죄의 경우 대법원은 당시 살인의 범의가 있었는지 여부는 피고인이 범행에 이르게 된 경위, 범행의 동기, 준비된 흉기의 유무ㆍ종류ㆍ용법, 공격의 부위와 반복성, 사망의 결과발생가능성 정도 등 범행 전후의 객관적인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하여 이른바 종합판단설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 기준에 의한다면 ① 범의, ② 경위, ③ 동기, ④ 준비된 흉기의 유무ㆍ종류ㆍ용법, ⑤ 공격의 부위와 반복성, ⑥ 사망의 결과발생가능성 정도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이 중에서 객관적으로 드러난 것은 주로 ④ ~ ⑥의 요소일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하여 대법원의 판단기준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대법원은 의적 요소가 불필요하다고 판시하였다기 보다는 의적 요소는 필요하지만 희망의 정도에 이를 필요는 없다고 하여 의적 요소를 보다 낮은 정도로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죄도 형량에서만 필요적으로 고려될 뿐 살인죄라는 점에서 보다 제한적인 인정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밝히려고 하였다. Die Frage, Wie der bedingte Vorsatz zu bestimmen und von der (bewußten) Fahrlässigkeit abzugrenzen sei, ist nicht nur prakitsch außerordentlich wichtig, sondern gilt auch als “eine der schwierigsten und umstritten Fragen des Strafrecht. Die ältere Literatur war beherrscht vom Gegensatz zwischen Willenstheorie und Vorstellungstheorie, von denen die erste das schwiergewicht der Abgrenzung auf die voluntative, die zweite dagegen auf die intellektuellen Elemente des bedingten Vorsatzes legte. Die vornehlich in der Rspr vertretene Einwilligungs- oder Billigungstheorie verlangt beim dolus eventualis, dass der Täter den für möglich gehaltenen Erfolg“gewilligt” oder “billigend in kauf genommen” habe. Aber nach der h. M im koreaischen StGB Eventualvorsatz(dolus eventualis) liegt vor, wenn der Täter es ernstlich für möglich hält und sich damit abfindet, dass sein Verhalten zur Verwirklung des gesetzlichen Tatbestandes führt. Das prädikat “gewollt” wird in der Rechtssprache aber auch in der Alltagssprache in zwei völlig verschiedene Bedeutung verwendet, einer deskriptiv-psychologischen und einer normativ zurechnen. In einem deskriptiv-psychologischen Sinne bedeutet der Ausdruck “der Täter hat den Erfolg gewollt”, dass er ihn beabsichtigt, also zielstrebig darauf hin gehandelt hat. In normativ zurechnenden Sinne bedeutet der Satz “der Täter hat den Erfolg gewollt”, dass er sich zu seiner Entlassung nicht darauf berufen kann, dass er ihn nicht im psychologischen Sinne gewollt, also beabsichtigt habe. In normativ zurechnenden Sinne kan der Übergang zwischen Wollen des Erfolg Fließend und daher nicht eindeutig bestimmtbar sein, sofern die tätsachlichen Beziehungen zwischen Täterverhalten und Erfolg, von denen man die Wertung als “gewollt” oder“nicht gewollt” abhängig macht, quantifizierbar sind. dagegen besteht zwischen“gewollt” und “nicht gewollt” im deskriptiv-psychologischen Sinne ein eindeutiger kontradiktorischer Gegensatz. Die Billigung des Erfolges, die nach der Rechtsprechung das entscheidende Unterscheidungsmerkmal des bedingten Vorsatzes von der bewußten Fahrlässigkeit bildet, bedeutet aber nicht etwa, daß der Erfolg den Wünschen des Täters entsprechen muß. Bedingter Vorsatz kann auch dann gegeben sein, wenn dem Täter der Eintritt des Erfolges unerwünscht ist. Im Rechtssinne billigt er diesen Erfolg trotzdem, wenn er, um des erstrebten Zieles willen, notfalls, d. h. wofern er anders sein Ziel nicht erreichen kann, sich auch damit abfindet, daß seine Handlung den an sich unerwünschten Erfolg herbeiführt, und ihn damit für den Fall seines Eintritts will.

      • KCI등재후보

        공소시효배제의 근거와 실제상의 문제점 - 문화재보호법상의 규정을 중심으로 -

        이상문(Lee SangMun) 대검찰청 2013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39

        공소시효제도란 범죄행위가 종료된 후 공소제기 없이 일정기간이 경과함으로써 국가 형벌권 및 공소권의 소멸로 범죄인으로 하여금 소추와 형벌을 면하게 함으로써 형사 피의자의 법적 지위의 안정을 법률로서 보장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공소시효의 인정취지는 증거의 산일이나 처벌감정의 희박화, 사실상태의 존중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위의 두 가지 사유가 존재하지 않거나 타당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소시효를 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제로 공소시효를 배제한 규정을 살펴보면 실질적 정의가 법적 안정성보다는 우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사유가 문화재보호법상의 일정범죄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검토하여 보았다. 그러나 문화재보호법상의 일정 범죄는 공소시효의 배제가 가능한 경우인 실질적 정의가 법적 안정성 보다 우월하다고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공소시효의 연장이나 배제는 실질적 정의의 측면에서 불합리가 참을 수 없는 정도에 이르렀을 경우에 하는 것이 옳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살인죄 등에서 논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다만 법적인 측면에서 가치평가의 변화도 일정 부분 반영하는 방법을 고민해 보아야 한다. 따라서 공소시효의 정지의 사유를 다양하게 인정하거나, 공소시효의 기준이 되는 법정형을 인상하는 방안이 문화재보호법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현재로서는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It takes for granted that if the period of limitation had expired, “No person shall be punisch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tatute of limitation” system have been pointed out for a long time, and it could be termed a significant change to have revised the “statute of limitation” in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in 50 years or so while these points were questioned persistently. However, there still exists predominant problems in its revision. In Korea there were legislation precedents of exceptional clauses on the statute of limitations system in the Special Law on Sexual Violence and Law on Protecting Juveniles on Sexual Matters. And The similar problem takes place i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By approaching this subject of“statute of limitation” according to the political interests, there has been a fierce argument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limitation, and these conflicts have often been expanded. We should also have settled the questions about the exclusion of “statue of limitation” in the crimes against humanity. It would have been resolved neatly if they were dealt purely within the perspectives of the human rights, independent from the political considerations in the application of extension or exclusion of the “statue of limitation”. In the conclusion, it is not desirable for some lawmakers (assemblymen) to change the statute of limitation by enacting a special law because it is not favorable to make some exceptions of limitation on certain crimes. If the problems of statute of limitation are identifiable,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make chang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systems as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was revised in 2007. It is not favorable to make some exceptions of limitation on certain crimes i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