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활용 의학·바이오 부문 사업화 가능 기술 연구

        이봉문,남가영,강병철,김치용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2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5 No.2

        Conducting AI-based fusion business due to the increment of ICT fusion medical device has been expanded. In addition, AI-based medical devices help change existing medical system on treatment into the paradigm of customized treatment such as preliminary diagnosis and prevention. It will be generally promoted to the change of medical device industry. Although the current demand forecasting of medical bio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based on the method of Delphi and AHP,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have a generalization due to fluctuation results according to a pool of participa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predict demand forecasting for identifying promising technology based on building up big data in medical biotechnology. The development method is to employ candidate technologies of keywords extracted from SCOPUS and to use word2vec for drawing analysis indicator, technological distance similarity, and recommended technological similarity of top-level items in order to achieve a reasonable result. In addition, the method builds up academic big data for 5 years (2016-2020) in order to commercialize technology excavation on demand perspective. Lastly, the paper employs global data studies in order to develop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and for technology excavation in the medical biotechnology field.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법에 관한 소고 - 연명의료중단의 허용요건을 중심으로 -

        이봉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3 No.2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nclud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respiration therapy, has made it possible for humans to not only prolong and improve their lives, but also to maintain artificial life. While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has brought hope that it can maintain a human's health and life, it has also brought about the phenomenon of extending only artificially meaningless lives by relying on life support devices to patients who are about to die in the terminal stage of the disease, which cannot be treated with modern medicine, causing problems that it can lose its dignity and value as a human rather than joy of life extension. Regarding the issue of the meaningless suspension of life-related charges, the Life-Life-Limiting Decision Act is being enacted and implemented in Korea after various discussions on the suspension of life-long medical care centered on the medical, religious, and legal circles in the wake of Kim's case, which was concluded by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May 21, 2009. Meanwhile, in the course of discussion by the National Bioethics Review Committee on the name of the bill, the term was changed to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by accepting the opinion of changing the term in that the treatment was aimed at positive results. In the medical community, while treatment aims for positive results and has great justification, the suspension of treatment itself can lead to a misunderstanding that it is unethical. Thus, legislation was enacted for life-long medical treatment using the term health care, which is a value-neutral expression rather than treatment. Below,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meaningless suspension of life-saving medical treatment shall be reviewed, and the analysis of the current life-saving method shall be presented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shall be proposed. 심폐소생기술 및 인공호흡치료의 기술의 등을 포함한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은 생명을 연장하고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생명유지가 가능하게 되었다. 의학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한 인간의 질병을 치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져다 준 반면 현대의학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죽음을 앞둔 임종환자에게 생명유지 장치 등에 의존해 인위적으로 무의미한 생명만을 연장시켜 생명연장에 대한 기쁨보다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을 상실시킬 수 있다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의식도 없으면서 인공호흡기 등의 장치에 의존하여 연명의료를 받는 것은 오히려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반하므로 중단되어야 한다. 그런데 지난 20년 동안 연명의료중단은 안락사의 개념논쟁 또는 허용여부에 대한 논란으로 일관되었다고 할 정도로 제자리에 머물러 왔으며, 보다 진일보한 연명의료의 요건과 절차에 관한 공론화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못했다. 무의미한 생명연장의료 중단의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9년 5월 21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로써 종결된 김할머니 사건을 계기로 의학계·종교계·법학계 등을 중심으로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다양한 논의 끝에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이라 함)이 제정·시행되고 있다. 한편 법안의 명칭과 관련하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논의 과정에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연명치료에서 치료가 긍정적 결과를 지향하는 점에서 용어의 변경의견을 받아들여 연명의료로 용어를 변경하였다. 의료계에서 치료는 긍정적인 결과를 목표로 하고 당위적인 의미가 큰 반면, 치료중단은 그 자체가 비윤리적이라는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보다는 가치가 중립적인 표현인 의료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었다. 이하에서는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의 문제에 관한 이론적 근거 검토한 후,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의 분석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환자의 의료정보의 법적 보호에 관한 고찰

        이봉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26 No.2

        A Medical personnel record personnel record, create, and manage numerous patients' information through medical practices, and among these medical information, important and sensitive information that may significantly infringe on the privacy and confidentiality of individual patients is included. The reason that Article 22 of the Medical Act requires medical personnel to prepare so-called medical records such as medical records, midwifery records, nursing records, and examination records is that the medical personnel in charge of treatment themselves accurately record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condition and the progress of treatment without omitting it. In addition to using this information for subsequent patient treatment, the information is also provided to other related medical practitioners so that patients can receive appropriate medical care, and to be used as data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dical practice after the medical practice is terminated. Medicine is developed through the experience that medical personnel have accumulated through long-term treatment of patients, the hypotheses based on it, and the research process that draws conclusions confirming this. When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genetic statistics and disease information as well as video images is used, it can be used for medical innov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such as clinical decision-making by medical staff, customized medical provision, early detection of genetic diseases, prevention and disease management, and infectious diseases.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As such, patient medical information is data used for medical research as well as patient treatmen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as data for establishing medical policies. In addition, medical information is used as important data for policy establishment and operation. The relationship to a number of laws related to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Medical Act, and Bioethics Act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was not clear, making it difficult to utilize medic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cept or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criteria for judging personal information are not clear, and there is a tendency to interpret personal information widely to protect the information subject, so the use of medical information can be an invasion of privacy and confidentiality. The focus was on protecting medical information, and there was a lack of legal basis or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and utilizing medical information. The three data law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Credit Information Act), which promote the use of information, passed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n January 9, 2020, and are in force from August 5, 2020. In this paper, in order to examine the proper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first Ⅱ. In terms of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the definition of medical inform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in terms of the legal nature of medical information, and as the utilization of medical information becomes more active, whether the ownership of medical information belongs to the patient, the medical practitioner, or whether the patient and the medical practitioner share examines the legal status of medical information, the basis for protection of medical information, and the utilization of medical information, which are very important legal issues in the industry using medical information, and then Ⅲ. In the legal protection of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the necessity of legal protection of medical information, the legal system of medical information is reviewed, and finally, the b... 의료인은 의료행위를 통하여 수많은 환자들의 정보를 기록·생성·관리하며, 이들 의료정보 중에는 환자 개인에 대한 사생활과 비밀을 현저히 침해할 우려가 있는 중요한 민감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의료법 제22에서 의료인이 진료기록, 조산기록, 간호기록, 검사기록 등 이른바 의무기록을 작성하도록 한 이유는 진료를 담당하는 의료인 자신으로 하여금 환자의 상태와 치료의 경과에 관한 정보를 빠트리지 않고 정확하게 기록하여이를 그 이후의 계속되는 환자치료에 이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른 관련 의료종사자에게도 그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로 하여금 적정한 의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의료행위가 종료된 이후에는 그 의료행위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다. 의학이란 의료인들이 오랜 기간 환자의 진료를 통하여 축적한 경험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가설 그리고 이를 확인하는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과정을 통하여 발전하고, 의료인들이 진료를 통하여 취득한 환자들의 진료기록, 임상정보, 의료영상 이미지뿐만 아니라 유전자 통계, 질병정보 등을 포함한 의료정보를 활용할 경우 의료진의 임상적 의사결정, 맞춤형 의료제공, 유전성 질환의 조기발견, 예방과 질환 관리, 전염성 질환 등 의료혁신과 의료의 질 향상 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처럼 환자의 의료정보는 환자의 진료뿐만 아니라 의학연구에 활용되는 자료로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의료인 사이의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그리고 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의료정보는 정책 수립과 운영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환자의 의료정보 보호와 관련된 개인정보호법, 의료법, 생명윤리법 등 의료정보 처리에 관한 다수의 법률에 대한 관계가 명확하지 않아 의료정보의 활용을 어렵게 하고 있었다. 또한 개인정보의 개념이나 범위, 개인정보의 판단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정보주체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를 넓게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바, 의료정보의 활용은 개인의 사생활과 비밀에 대한 침해가 될 수 있어 의료정보를 보호하는데 중점이 있으며, 의료정보를관리, 유통, 활용하기 위한 법률적 근거나 제도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정보의 이용을 활성화하는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이 2020년 1월 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 했고 2020년 8월 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환자의 의료정보에 대한 적절한 보호와 활용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해먼저 Ⅱ. 환자의 의료정보에서는 의료정보의 정의, 의료정보의 법적 성격에서는 개인정보와 의료정보와 관계, 의료정보의 활용이 활발해 지면서 의료정보의 소유권이 환자에있는지, 의료인에게 있는지 혹은 환자와 의료인이 공유하는지는 의료정보를 활용한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법적 쟁점이 되고 있는 의료정보의 법적지위, 의료정보의 보호근거, 의료정보의 활용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Ⅲ. 환자의 의료정보의 법적 보호에서는 의료정보의 법적보호의 필요성, 의료정보의 법적 체계를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의료정보의 활용과 보호의 균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의료행위와 특허보호체제에 관한 연구

        이봉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3

        헌법상 보장된 환자의 생명권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면허를 가진 의료인의 「의료행위」에 대하여 특허를 부여하여 독점권을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오래전부터 제기되어온 특허법상의 과제이다. 의료행위에 대한 특허부여의 문제는 의료행위는 모든 사람들이 제한 없이 수혜를 입어야 한다는 윤리적 측면과 특허제도내에서의 독점적 보호를 통한 의료기술의 연구 및 개발 촉진이라는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는 다소 모순되는 듯 보이는 두 가지 명제를 조화시키는 방향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각 국에서도 이러한 방향으로 의료행위에 대한 특허성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바, 의료행위의 특허성을 윤리적 관점에서 어느 정도 제한하고 있는가 하면, 기술 개발의 촉진을 강조하여 원칙적으로 그 특허성을 인정하면서 그에 대한 침해책임을 면제함으로써 양자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최근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게놈분석 및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이러한 연구 성과를 응용하여 유전자치료 및 재생치료 등의 의료기술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루었다. 피부의 배양방법, 세포의 처리방법 등과 같은 새로운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특허법에 있어서의 취급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다. 특허법의 목적이 발명을 보호·장려하고 그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고려하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의료행위관련 기술을 특허에 의하여 보호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의사가 행하는 치료 및 수술행위는 인간의 생명에 관한 것이므로 종래부터 특허에 의한 보호는 그러나 의료방법 발명의 특허성 배제에 대한 특허법상 명문의 규정은 없고, 다만 특허청은 연구개발 정책적 및 인도적 이유에서 의료행위에 대하여 특허권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현재 우리나라의 특허청의 의료행위 발명에 대한 심사 실무는 기본적으로 인체를 기본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는 치료, 진단 및 수술방법은 제29조 제1항의 적용하여 모두 거절되고 있다. 한편 특허법의 목적을 감안하여 특허권의 효력을 그대로 인정하는 것보다도 이것에 제한을 가하는 것이 산업발전과 공공이익에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제한을 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의료행위를 특허의 보호대상에 포함시키고 있지만, 1996년 9월 30일 의료행위에 관한 특허권의 효력은 원칙적으로 의사의 치료행위에 미치지 않는다는 취지의 규정(미국특허법 제287조(c))를 포함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 EU에서는 유럽특허조약(EPC) 제52조 제4항에서 외과수술 또는 치료에 의하여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에 실시하는 진단방법은, 이것을 유럽특허조약 제52조 제1항에 해당하는 산업상 이용할 수 없는 발명으로 규정하였지만, 2000년 11월 유럽특허조약의 개정에 의하여 외과수술 또는 치료에 의하여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에 실시하는 진단방법은 유럽특허조약 제53조(c)에 있어서 불특허 사유로 되었다. 또한 TRIPs협정 제27조에는 특허의 보호대상을 규정하고, 제3항에는 “회원국이 인간 또는 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진단, 치료 및 외과적 방법을 포함하는 발명을 특허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생명공학기술의 급속한 발전 ... The question of whether to grant a patent for medical practice of a medical practitioner with a certain license to ensure the life rights of a patient with a constitutionally guaranteed license is a long-standing patent law challenge. The issue of patenting medical practice should be addressed in a way that harmonizes the ethical aspects of medical practice with the seemingly contradictory proposition of promo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rough exclusive protection within the patent system. Countries are solving the patentability problem for medical practice in this direction, limiting the patentability of medical practice to some extent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and trying to harmonize the two parties by emphasizing the promo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recognizing its patentability in principle and exempting it from infringement liability. Recent advances in biotechnology led to active genome analysis and research of embryonic stem cells, and by applying these findings, medical technologies such as gene therapy and regenerative therapy have also achieved remarkabl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treatment in patent law to promote new technology development, such as how to grow the skin, how to treat cells, etc.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the Patent Act is to protect and promote invention and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can be considered to protect rapidly developing medical practice-related technologies by patenting them, but since treatment and surgical activities performed by doctors are about human life, the patent protection by doctors is traditionally based on human life, but the patent document on patent exclusion of medical method invention is not stipulated in the patent act, but the R&D and R&D policy for the reason for humanitarian policy. Thus, the current examination practice of medical practice invention by the Korean Patent and Trademark Office has been rejected by the application of Article 29 paragraph 1., which basically includes the human body as a basic component. 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e purposes of the Patent Act, restrictions need to be imposed if it is deemed appropriate for industrial development and public interest to impose restrictions on patent rights rather than to accept them as they are. Meanwhile, US patent law was enacted on September 30, 1996, which included provisions to the effect that while medical practice was included in the patent protection list, the patent right on medical practice was not, in principle, a doctor's treatment. In the EU, in Article 52 para 4 of the European Patent Treaty (EPC), the method of treating human or animal bodies by surgery or treatment and the method of diagnosing human or animal bodies by surgery or treatment, defined this as an industrial invention under Article 52 para 1 of the European Patent Treaty, but in November 2000 the method of treating human or animal body by surgery or treatment is the European Patent Treaty. In addition, Article 27 of the TRIPs Agreement defines the protection targets of patents, while paragraph 3 states that "an invention involving diagnostic, therapeutic and surgical methods for treating humans or animals may be excluded from the patent list."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to review patent protection methods in medical practice in the wak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in Korea. Whether the patent law treatment of medical practice is valid needs to be reviewed, including legislation, not just in the interpretation framework of the current law. These discussions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active discussions on how patent protection measures for future invention of medical practice and how the constitutional right of the patient's right to life can be reasonably adjusted to resolve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