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돈화 『신인철학新人哲學』에 나타난 마르크스주의의 수용과 비판

        이병태 ( Lee Byeong-ta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6 시대와 철학 Vol.27 No.3

        이돈화의 『신인철학』은 동학사상을 서구철학과 접목하여 재구성하려 했다는 점에서 사상사적으로 의의가 큰 저작이다. 특히 전통적 사유체계가 일본이라는 스펙트럼을 거쳐 서구사상으로 대체되는 사상사적 변곡의 특징을 집약적으로 함축한다. 『신인철학』은 다양한 서구 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마르크스주의는 이돈화의 이론적 구상에 다양한 자극과 영감을 제공하기에 그의 사유 체계 내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신인철학』의 수용과 비판은 일정한 오류를 드러내며 초기 서양철학 수용의 일반적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지점은 『신인철학』에 나타난 이같은한계와 오류가 현실적 제약 외에 이돈화의 이론적·실천적 열망이라는 이론 외적 요소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이다. 즉 이돈화는 서구 철학을 뛰어 넘는 위대한 이론이자 실천적 원리로서 ``동학``을 재구성하고자 마르크스주의를 다소 자의적으로 평가했고, 또 이를 통해 자신의 시도를 정당화하려 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돈화의 동학 재구성은 마르크스주의의 깊은 영향을 담지하고 있으며, 동시에 사상사적으로 진보와 퇴행의 분열적양상을 드러낸다. 이 분열은 토착적 사유와 실천의 원리를 세계화하려는 의미 있는 시도, 그리고 그러한 원리를 서구적 범주 및 개념으로 환원하는 퇴행 사이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Lee Don-hwa`s A Philosophy of new human is a great significance in Korean modern thought`s history, for it had tried to reconstruct Dong-hak by combing it with the western philosophy. Especially it shows inten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inflection point in Korean thought`s history that the western thoughts filtered by Japanese spectrum is replacing the traditional system of thoughts. There are a variety of Western theories in Lee Don-hwa`s A Philosophy of new human, and Marxism has a special position among them by providing his theoretical conception with various stimuli and inspirations. But the acceptance and criticism of Marxism in Lee Don-hwa`s A Philosophy of new human clearly shows the general limits of early adopter of western philosophy, revealing some errors and mistakes. But notable is the fact that these limitations and errors in Lee Don-hwa`s A Philosophy of new human came from his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irations. Namely, Lee Don-hwa struggled to reconstruct Dong-hak as a great theoretical and practical principle beyond the western philosophy and justify this attempt at any cost so that he devaluated Marxism uncarefully and thetically. Nevertheless, Lee Don-hwa`s reconstruction of Dong-hak has the evident marks of Marxism, and thus reveals conflicting features of progress and regress simultaneously. These confused features arises between a meaningful challenge to elevate Korean traditional theoretical and practical principles to global ones and a paradoxical reduction of those traditional principles to the western concepts and categories.

      • KCI등재

        『자본』의 철학과 자본의 지배

        이병태(Lee, Byeong Ta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통일인문학 Vol.56 No.-

        현대 사회에서, 구조적 문제에 개입할 주체들은 사회구조의 지배력과 그 부당성에 대해 자각하고 있음에도 그에 상응하는 실천에 나서지 않거나 오히려 그러한 구조를 지속시키는 일상에 안주한다. 실제로 지난 오큐파이 운동에서 이러한 주체의 상황은 그 자체로 항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구조에 의해 배제된 자들이 그 구조에 순응하는 이러한 문제는 마르크스 이론 내에서 주로 이데올로기 개념에 의해 다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마르크스는 『자본』과 더불어 이데올로기 개념의 사용을 중지하고 대신 청년기에 수용한 ‘물신’ 개념을 도입한다. 물신 개념은 이전의 이데올로기 개념과 의미상 중첩되면서도 그 한정된 의미를 벗어나기에 현대적 상황에 대한 설명의 틀로 좀 더 적의하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물신 개념은 의식의 전환만으로 일소될 수 없는 구조적 순응의 문제를 사적유물론의 토대 위에서 통찰하도록 하기 때문에, 마르크스 고유의 사유 체계에 대해서도 정합적이다. 이데올로기 개념, 그리고 특히 그와 연관된 심리학적-철학적 논의의 역사는 문제 상황에 대해 적절한 이론적 규명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물신은 그 형성 및 작동의 소재(所在)가 일상이라는 점에 주목한다면 좀 더 적합한 설명은 물론 그 중단의 실마리 또한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일상은 마르크스가 말한 ‘생명활동’을 중심으로 편제된 시공간에서 지속된다. 따라서 일상은 노동의 시공간, 그에 따른 삶의 규칙성, 의식, 습속 등으로 구성되기에 삶의 안정적 지속을 유지하려 하는 한 여기서 일종의 강제적 관성이 형성된다. 물신의 작동은 바로 이러한 일상의 구조 및 그 관성의 강제력과 연동한다. 이처럼 ‘물신’과 ‘일상’의 통합적 사유는 자기배제의 구조에 순응하는 우리 시대의 ‘냉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드러내준다. 아울러 이를 통해, 『자본』의 철학은 자본주의의 지속에 대해 증오하는 우리 자신이 가장 위대한 자본주의의 조력자임을 드러내고 개념화하는 것이 된다.

      • KCI등재

        논문 : 한국철학과 "modern"

        이병태 ( Byeong Tae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1

        한국지성사 내지 철학사와 관련하여 ‘modern’은 그 구조적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관건이 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철학적 사유의 개입이 요청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조응하는 고구의 흔적은 많지 않다. 이러한 작업은 무엇보다 우리 철학사와 지성사에 나타났던 비판적·실천적·주체적 사유의 궤적, 즉 서구적 modern의 지성사적 특징에 견줄만한 철학적 시도들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나아가 ‘근(현)대적’이라는 수식어가 붙음에도 무비판적인 수용적 특징을 강하게 드러내는 우리 철학사의 역사적 특징을 자각하게 한다. 이로써 드러나는 한국철학의 특이성은 유학의 수용사에서 벗어나 독자적 철학을 정립하려던 지성사적 modern의 징후가 제국화·실정화된 ‘근대’의 도래 이후 또 다른 수용사에 의해 억압되었다는 데 있다. 따라서 향후의 과제는 우리 지성사 및 철학사에서 ‘근대’ 혹은 ‘현대’라는 이름으로 은폐된 모순과 분열을 규명하는 일로 집약된다. 이는 우리의 지성사 내에서 자생적인 modern의 징후와 제국적 실정화·서구화를 담지하는 Neuezeit적인 경향을 분별하는 데서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In connection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history or philosophical history, ``modern`` is a key concept that can reveal its structural features. So this point of view-related philosophical studies and works are needed, but rarely done. Above all, they help us pursue the trajectory of practical, critical, and subjective thoughts i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that could be comparable to the features of original ‘modern’ in western intellectual history. At the same time, they can make us realize the passive and receptive characteristic of a certain historical stage of Korean philosophy that would be thoughtlessly regarded as ‘modern’. This kind of analysis can reveal the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that the signs of intellectual modernity trying to establish their own modern philosophy have been suppressed by the imperialized and distorted modernity. And it calls for an urgent task that should investigate and reveal the hidden contradictions and splits under the guise of being ‘modern’ or ‘contemporary’ in the Korean intellectual and philosophical history. This could start with discerning ‘Neuezeit’ of imperialized and westernized intellectual streams from ‘modern’ of autochthonic and creative philosophical trials.

      • KCI등재

        화폐의 탈육화와 『자본』의 현재성 - 마르크스의 입장에서 본 가상화폐의 함의 -

        이병태 ( Lee Byeong Ta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8 시대와 철학 Vol.29 No.4

        가상화폐 ‘비트코인’은 21세기초 세계적인 저항의 기류와 함께 출현하였고, 법화의 대안임을 자처함으로써 일정하게 그러한 저항성을 함축하는 듯했다. 하지만 이 가상화폐는 적어도 마르크스의 관점에 입각할 때 ‘화폐’일 수 없으며 더욱이 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적 대안도 아니다. 화폐는 가치의 표장으로서 단순한 사회적 규약 또는 상징으로 보인다. 또한 화폐는 역사적 과정의 전개와 더불어 더욱 가벼운 신체, 심지어 비가시적인 신체를 향해 나아가는 ‘탈육화’의 경향까지 드러낸다. 이는 화폐의 자의적인 폐지와 대체가 가능할 듯한 착시를 낳는다. 하지만 화폐는 그러한 규약의 완강한 작동을 뒷받침하는 전사(前史)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지지하고 강제하는 국가 권력 위에서 그 권능을 발휘한다. 21세기 가상화폐는 비가시적 전자의 육신을 지닌다는 점에서 탈육화된 화폐인 듯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이는 신체의 기억과 흔적을 갖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처음부터 육신이 없던 유령이다. 이런 까닭에 가상화폐는 실제의 통화를 자신의 신체로 요청하는 것이다. 신체를 가진 적이 있기에 진정 탈육화된 화폐만 언제나, 그리고 모든 상품을 마주할 힘을 갖기 때문이다. 가상화폐를 둘러싼 투기 시장이 육신의 기억을 갖는 진정한 화폐의 인입에 의존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세계 자본주의 운동에서 이미 화폐의 디지털화는 일상이 된지 오래기에, 화폐는 새로운 탈육화의 국면에 접어들었고 그러한 전화의 승인도 머지않은 듯하다. 하지만 그 소재는 변형과 발전의 단계를 거칠 수 있고 이미 일부 국가와 자본에 의해 본격적으로 실험되고 있다. 결국 가상 화폐를 둘러싼 현재의 소란은 자본주의를 위한 충실한 교보재에 불과한 것일 수 있다. 자본과 국가는 ‘외삽’된 화폐를 허용하지 않으며, 자본주의의 균열은 결코 ‘화폐’의 대체에서, 그리고 그것만으로 시작되지 않는다. The virtual currency, ‘bitcoin’, appeared with the global rebellious movements of the early 21st century. And It seemed to imply such a rebellious factor, because its inventor looked upon itself as an alternative to legal-tender. But it can not be 'money', at least based on Marx's point of view, nor is it a resistive alternative to capitalism. Money, as a mark of value, seems to be a simple social code or symbol. And, 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processes, money has revealed the tendency of ‘disembodiment’ to move toward a lighter body, even an invisible body. This results in an illusion that money could be arbitrarily abolished and substituted. But money does not only have a history that supports the strong effectiveness of such a code, but it also exercises its power on the basis of the state power to support and enforce it. The virtual currency in the 21st century seems to be a disembodied money in that it has a invisible electronic body, but it is not. It does not have the memories and traces of a body, and therefore it is a ghost that did not have a body from the beginning. The virtual currency is hereby trying to make the actual currency be its own body. Because only the genuinely disembodied currency that has had a body always has the power to face all kinds of commodities. This is why the speculative market of virtual money depends on the entry of real money that has the memories of body. Since the digitization of money has already become routine in the current world capitalist movement, money has entered a new phase of disembodiment and the approval of such change seems not to be far away. But the material of digital currency may go through the stages of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and is already being experimented by some countries and capitals. In the end, the current turmoil surrounding virtual money may be nothing more than a faithful simulator for capitalism. Capital and state do not allow ‘introduced-from-outside’ currencies, and the cracks of capitalism never begin with the substitution of 'money' and with that alo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