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낭족에서 여행 크리에이터로 : 한국 사회의 전지구화와 해외여행의 분화

        이민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63

        1989년 해외여행자유화가 전면적으로 실시되던 해 한국인 출국자 수는 121만 명이었다. 당시 한국인은 해외에서 주변국의 국민이라는 시선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는 외화낭비의 주범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2019년 출국자는 2871만 명에 이를 정도로 가파르게 늘어났으며, 이제 해외여행은 한국인이 가장 희망하는 여가 형태 1위가 되었다. 본 민족지 연구는 지난 60년 동안 한국 사회의 전지구화와 해외여행의 분화 양상을 기술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변화를 가장 역동적으로 보여주는 현장을 포착하기 위해 서울의 스타트업 여행사 및 여행 커뮤니티 서비스를 중심으로 현장연구를 수행하였다. 여행사에서 일하는 임직원과 현장 인력, 여행 콘텐츠와 상품을 만들며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크리에이터와 여행자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되, 연구자 자신이 여행 콘텐츠와 상품을 만드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위치를 모두 취하였다. II장은 한국에서 해외여행이 대중화되면서 대량생산 시스템이 확립되는 과정, 포디즘적 해외여행산업의 구조적 한계, 그리고 1990년대에 출현한 배낭족이 여행업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기술한다. 한국 정부는 1945년 해방 이후 1970년대에 걸쳐 외화 획득을 위해 인바운드 여행산업을 육성했고, 해외여행자를 민간외교관으로 훈육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 단계적 해외여행자유화가 시작되었고, 88서울올림픽을 치른 이듬해인 1989년에는 마침내 완전한 전국민 해외여행 자유화가 시행되었다. 이후 홀세일 구조를 중심으로 한 대량생산-대량유통 시스템 구조를 확립시킨 모두투어와 하나투어 등 대형 여행사가 급성장하면서 여행업은 주식시장에 상장될 정도로 인정받는 산업이 되었다. 그러나 초기 성장기 때 형성된 구조에 기인한 과당경쟁과 저가 덤핑, 갑질과 떠넘기기 구조, 규제 중심 관광행정 등의 특징이 계속 유지되었다. 이러한 구조에서 만들어진 패키지 단체여행 상품은 바쁜 일정, 천편일률적인 구성, 갑질과 진상 고객을 낳는 구조, 코리안 버블 등의 특징을 갖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주류 여행업 외부에서 성장한 배낭족은 1970~80년대에 대도시에서 풍부한 문화적 경험을 하며 자란 사람들을 포함한다. 이들 중 일부가 1990년대에 여행업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III장에서는 2000년대에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나타난 여행업의 변화, 취직과 창업 등 배낭족의 다양한 시도, 여행 콘텐츠가 수익을 낳으면서 여행작가가 직업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여행업의 인터넷 혁명 덕분에 항공권 예약시스템이 보급되었고, 여행사의 수익구조가 바뀌었다. 홀세일 여행사는 프랜차이즈 대리점 유통체제와 함께 글로벌 네트워크가 구축되며 급성장했다. 이때 여행업에 유입되는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대형 여행사에 인솔자로 들어간 배낭족, 배낭여행 전문회사의 직원을 거쳐 자신의 회사를 창업한 배낭족, 맞춤형 패키지 개별여행과 콘텐츠를 사업화한 배낭족과 트렁크족, 인터넷으로 모객하는 현지 여행사를 창업한 유학생 등이었다. 한편 여행자가 늘어나면서 다양한 여행지역, 저자 층, 테마, 취향을 담은 여행 책의 분화가 일어났는데, 90년대 배낭족 중 베스트셀러 작가도 탄생했다. 인터넷과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여행정보 사이트와 포털 사이트의 여행 카페, 블로그, 트립어드바이저가 대중화되었지만, 수익화와 분배가 정확히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IV장에서는 2010년대에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글로벌 OTA(Online Travel Agency: 온라인 여행사)가 한국 시장을 지배하면서 해외여행상품 대량생산체제가 쇠퇴하는 과정, 플랫폼 자본주의와 함께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부상하는 과정, 배낭족이 영역을 확장하고 자리를 잡는 양상을 살펴본다. 시장 개방이 가속화되면서 한국에도 글로벌 OTA가 도입되자, 한국인은 스카이스캐너를 비롯한 글로벌 OTA로 갈아탔고, 기존 여행업자들은 막강한 자본과 인력을 업은 글로벌 OTA와의 경쟁을 이길 수 없다고 판단했다. 대형 여행사는 성장의 한계에 다다랐으며, 노동 조건의 악화, 인력의 외주화 및 구조조정이 뒤따랐다. 고급 상품을 원하는 고객은 이탈했다. 기존 여행업 바깥에서는 프로젝트형 세계일주를 하는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출현했다. 이들이 페이스북 여행기를 통해 여행 콘텐츠 시장을 확장시키면서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라는 직업이 부상하게 되었다. 여행상품을 현장에서 다루던 배낭족도 미디어 시대를 맞아 콘텐츠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전방위 여행 크리에이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직업적 사명감을 발전시켰고, 자신의 상품성을 만들면서 고객을 확보했다. 그리고 코로나19 같은 위기도 기회로 만들면서 새로운 여행업의 기반을 닦았다. V장에서는 2010년대 중후반에서 2020년대 초반까지 영역이 확장된 여행업, 그리고 여행 크리에이터의 상품 특성과 고객의 분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해외여행울 둘러싼 가치관의 변화를 전지구화와 연결하여 분석한다. 해외여행산업의 확장은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한 여행 커뮤니티 서비스가 출현하고, 여행업이 콘텐츠 비즈니스로 확장되면서 타 분야 전문가 및 은퇴한 베이비부머까지 새롭게 유입되는 변화와 함께 했다. 여행 크리에이터의 상품은 여유로운 일정에 높은 가격, 특색있는 테마와 소량생산, 현지 체험 추구, 크리에이터와 팀원이 함께 만드는 커뮤니티 여행 등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품을 소비하는 주고객은 순자산 기준 상위 10% 신중상층에 속하는 50~60대이며, 원하는 상품을 찾기 위해 적극적인 탐색 과정을 거친다. 이 모든 변화의 과정에서 해외여행은 과거의 가치관을 성찰하는 계기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가치관을 탐색하고 표현하는 도구로 기능했다. 오늘날 해외여행을 둘러싼 가치관은 국가의 발전에서 개인의 행복으로, 가부장주의에서 페미니즘으로, 지리적 공동체에서 초국적 데이터 공동체로 분화되고 있으며, 이는 전지구화와 연결된 의식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본 연구는 4가지 지점에서 관광 연구에 기여한다. 첫째, 전지구화와 한국의 특수성을 연결하여 해외여행문화가 변화하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분석한다. 초국적 정보자본주의가 새로운 IT 기술을 발전시킬 때 한국 해외여행산업의 구조와 개인의 위치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연결시켜 파악한다. 둘째, 여행업으로 유입되는 새로운 인력을 한국이 제조업 중심의 사회에서 정보화된 서비스업 사회로, 노동 제일주의의 사회에서 여가를 중시하는 사회로 변화하는 흐름 안에서 분석한다. 기존 언론에서 가졌던 단편적 시각은 지양하고, 역사적 연결성과 개인의 주체성에 주목한다. 셋째, 한국의 계급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해외여행문화가 본격적으로 분화되는 초기 양상, 특히 순자산 기준 상위 10% 신중상층의 시장이 부상하는 현재의 상황을 포착하여 분석한다. 넷째, 한국의 해외여행을 68혁명, 인터넷 혁명, 스마트폰 보급, 코로나19 위기 등의 전지구적 사건과 연결시켜 분석하여 복합적인 초국가성의 양상을 그려낸다. 이처럼 한국인의 해외여행은 한국 사회의 전지구화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중요한 창구가 된다. In 1989, when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avel was fully implement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number of Koreans leaving the country was 1.21 million. At that time, Korean travelers were seen as citizens of an underdeveloped country abroad, and in Korea, criticized as a source of foreign currency outflow. However, the number of outbound travelers increased sharply to 28.71 million in 2019. Today, overseas travel has become the number one type of leisure that Koreans hope for most. This ethnographic study describes the glob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verseas travel over the past sixty years in Korean society. The field study focused on startup travel agencies and travel community services in Seoul,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executives and employees working at travel agencies, such as field personnel, creators and travelers, who have pioneered new areas by creating travel content and products. The researcher took positions as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of travel content and products. The resulting dissertation will be organized into four parts, examining this recent history of the travel industry in South Korea. The study begins with an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mass production system as overseas travel became popular in Korea. From Chapter II, this includes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overseas travel industry at that time and the inflow of backpackers into the travel industry in the 1990s. From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through the 1970s, the inbound travel industry was fostered to acquire foreign currency. Overseas travelers were even trained as civilian diplomats. But starting in the 1980s, step-by-step overseas travel liberalization took place. In 1989, following the '88 Seoul Olympics, the full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avel was finally implemented. Since then, large travel agencies such as Mode Tour and Hana Tour, which established a mass production/volume distribution system centered on a wholesale structure, have grown rapidly, making tourism an industry recognized enough to be listed on the stock market. However, the framework formed during the early growth period, characterized by excessive competition, low-cost dumping, structural intimidation and abuse, and a regulation-oriented tourism administration, has been maintained. The package group tour product created in this structure features a busy schedule and uniform composition, and frequently produces insensitive customers who travel in a Koreans-only bubble. Meanwhile, backpackers who sought out experiences outside the mainstream travel industry included many who grew up with abundant cultural experiences in large cities in the 1970s and 1980s. Some of these began to enter the travel industry in the 1990s. The next section (Chapter III) examines the changes in the travel industry that appeared with widespread internet adoption in the 2000s. At this time, backpackers were making various attempts to make a living and in the process travel content began to be profitable. Thanks to the internet revolution in the travel industry, access to the flight ticket reservation system became universal, and the profit structure of travel agencies changed. Wholesale travel agencies grew rapidly with the establishment of a global network alongside a franchise distribution system. At this time, there were various patterns of inflow into the travel industry, including backpackers who became tour-leaders of large travel agencies, others with backpacking experience who founded their own companies commercializing custominized individual package tours and travel contents, and international students who founded local travel agencies in destination countries. Meanwhile, as the number of travelers increased, travel books became more differentiated, and best-selling authors among backpackers in the 90s emerged. With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digital cameras, travel information sites, travel cafes, blogs on portal sites, and TripAdvisor have become popular, but problems have begun to arise with monetization and distribution. The third part (Chapter IV) then examines the decline of the mass production system of overseas travel products, the emergence of travel content creators along with platform capitalism, and the expansion and establishment of backpacker culture as smartphones became widespread in the 2010s and global OTAs (Online Travel Agency) dominated the Korean market. Global OTAs were introduced in Korea as market opening accelerated due to the Korea-U.S. FTA. This led to many in the Korean market switching to global options, including Skyscanner. Many established interests in the travel industry could no longer compete. Large travel agencies reached their growth limit, followed by worsening working conditions, outsourcing of manpower, and restructuring. Customers who wanted higher-end products looked elsewhere. Meanwhile, travel content creators who travel around the world appeared. As they expanded the travel content market, for example, through Facebook travelogues, the job of travel content creators emerged. Backpackers, who used to handle travel products in the field, became omnidirectional travel creators as they expanded their scope to content in the media era. In this process, they developed a sense of professional mission and secured customers by creating their own commercial products. These changes laid the foundation for a new travel industry which could make the most of crises such as COVID-19. The final section (Chapter V) examines the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differentiation of travel creators and the travel industry, which expanded in scope from the mid to late 2010s to early 2020s, and analyzes the changes in values surrounding overseas travel. The expansion of the overseas travel industry arrived with the emergence of Facebook-based travel community services and an influx of experts in other fields as the travel industry expanded into the content business. Travel creators' products were now characterized by high prices, leisurely schedules, unique themes and small-volume production. They aimed for the pursuit of local experiences, as well as community trips made by creators and team members. Consumers were now primarily in their 50s and 60s and belonged to the top 10% of the new upper middle class. These new consumers were willing to search actively to find the desired product. In the process of all those changes, overseas travel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past values and at the same time as a tool to explore and express new values. Today, the values surrounding overseas travel are differentiating from national development to individual happiness, patriarchy to feminism, and geographical communities to transnational data communities, which illustrate the changes in consciousness that appear with globalization. Overall,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ourism research at four essential points. First, the changes in Korean overseas travel culture is analyzed by connecting globalization to Korea's specific situ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national informational capitalism and new IT cam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Korean overseas travel industry and individuals' positions. Second, the new manpower flowing into the travel industry is analyzed against the backdrop of changes in Korea from a manufacturing-oriented society to an informational service society, and from a labor-first society to a leisure-oriented society. The study strives to avoid the fragmentary perspective of mainstream media with a focus on historical connectivity and individual subjectivity. Third, the study looks at how, as Korea's class structure changed, the initial pattern of mass travel gave way to more differentiated experiences, especially for travelers in the top 10% economic bracket. Finally, Korea's overseas travel i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global events such as the protests of 1968, the Internet Revolution,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COVID-19 crisis, to describe complex transnational interactions. Overseas travel thereby provides an important window on globalization in Korean society.

      • 방치기간에 따른 PBD의 통수능 효과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PBD Discharge Capacity to Leave Period

        이민영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BD method which is the one of Acceleration of Consolidation Methods that shorten consolidation time for fast settlement is applied for recent soft ground. Deviation of discharge capacity is large according to ground condition, construction condition and soil property. Also, When embankment reloading isn't conducted instantly after PBD setting due to rain or lack of embankment material supply. It cause leaving period problems. But Cause and analysis of this problems for discharge capacity is lack. So, ground improvement and discharge capacity is investigated by implementing Composite discharge capacity test for analysis of effect factor of PBD discharge capacity with leaving period. After fix the vertical drain on a cylindrical cylinder, put churned sample into the cylinder. Then leave 0, 30, 60, 90 day, and then load the loading step of 30, 70, 120 kPa using a pressure device. Discharge capacity of vertical drain on leave period showed 4.2~7.8% reduction between 0 day and 30 day, 5.9~9.0% reduction between 30 day and 60 day, 5.0~9.1% reduction between 60 day and 9 0day. The longer the leave period, discharge capacity reduced. Reduced discharge capacity due to settle effect to sample gravity and reduce gab to rearrange of particles. Also, Discharge capacity reduced to loading step on leave period can be confirmed experimentally. Final settlement to Asaoka method is the smallest settlement and the longest consolidation time to 90 day leave period versus 0day leave period. On the other hand, 0 day leave period showed the shortest consolidation time and the largest settlement. 최근 연약지반에서는 공사기간 중에 압밀에 의한 침하량을 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압밀시간을 단축시키는 압밀촉진공법 중 하나인 PBD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는 시공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지닌 압밀촉진 공법 중 하나이다. PBD는 통수능력이 연약층의 두께에 비례하여 영향을 크게 받는 성질이 있으며, 배수재 타설 방법과 관련하여 배수재 타입 시 사용되는 맨드럴, 타입기기 및 방식에 의한 주변지반의 교란영향으로 배수성능이 저하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반조건, 시공조건, 지반 제반 토질특성에 따라 통수능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PBD타설 후 강우나 성토재료 수급의 불안정 등 기타 현장여건에 따라 성토 재하중을 바로 실시하지 못해 수개월동안 방치에 따른 배수재 통수능의 문제점 원인 및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방치기간에 따른 PBD 통수능의 영향인자를 분석하기 위한 복합 통수능 시험을 실시하여 지반개량 및 통수능 평가를 하였다. 원통형 실린더에 배수재를 고정한 후에 교반한 시료를 투기한 후 0 day, 30 day, 60 day, 90 day 방치시킨 후에 가압장치를 사용하여 30, 70, 120 kPa의 하중을 가해 이때의 단위 시간에 따른 유출량을 측정하였다. 방치기간에 따른 배수재의 통수능은 방치기간 0 day에서 30 day은 4.2%~7.8%, 방치기간 30 day에서 60 day의 경우 5.9%~9.0%, 방치기간 60 day에서 90 day은 5.0%~9.1%감소율을 보였으며 방치기간이 길어질수록 통수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시료 자중에 의한 침하효과와 입자들의 재배열로 인한 간극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통수능이 감소하였을 것이라 판단되어진다. 또한, 방치기간에 대한 구속압에 따라 통수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saoka방법에 의한 최종 침하량은 방치기간 90 day이 방치기간 0 day에 비해 압밀시간이 길고 침하량은 가장 작으며, 반면 방치기간 0 day은 압밀시간이 짧으며 침하량은 가장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있어 담임교사와 학생간의 상관관계와 통합여부에 따른 차이

        이민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담임교사가 지각하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특성과 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거리감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작하였다. 또한 현재 통합여부에 따라 교사들과 학생별로 사회적 거리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거리감을 측정해 본 결과 학급의 담임교사와 일반학생들 사이에 정확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담임교사가 1인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를 측정할 수 없어 담임교사의 영향에 의한 결과라고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학급에 장애아동이 소속되어 있는 지에 따라 장애인에 대해 지각하는 사회적 거리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측정치를 분석해 본 결과 통합여부에 관계없이 사회적 거리감 점수가 나타났다. 또 현재 소속된 학급에서 장애 급우와 함께 생활하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간에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치를 분석해 본 결과에서도 통합여부에 관계없이 사회적 거리감 점수가 나타났다. 이는 학급 내 특수교육대상자 유무가 담임교사와 학생들이 느끼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문제와는 별도로 학년별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학년별 담임교사의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생에 있어 학년별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3, 4, 5, 6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진행 된 본 연구에서 학년이 높아 질 수록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정도가 가까워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있어 담임교사는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앞으로 교육현장에서 학생을 지도하며 관계를 맺고 있는 담임교사들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장애이해교육과 인식개선 활동 등이 활발히 이루어져야겠다. 둘째, 후속적으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 한다. 셋째, 앞으로 다양한 학교군과 지역군으로 확대 된 학년별 차이 검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학년별로 적절한 장애이해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type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cialties of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homeroom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researching to see whether differences of social distance felt by teachers and students exist according to integration.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felt distance by using a survey regarding the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it was seen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to some extents, even though not exact, between a class’ homeroom teachers and general students. However, sinc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igure could not be measured because there is only one homeroom teacher, it may be unreasonable to interpret it as a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the homeroom teacher.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easurement made in order to find out if there is a difference on the social distance felt on recogniz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conditions whe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included in classrooms teachers are currently in charge, the scores of social felt distance were revealed without any relationship with integration. Moreover, even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easurement made in order to study the difference of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between students who work with classmate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ho do not in currently belonged classes, the scores of social distance felt appeared without any relationship with integr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felt by homeroom teachers and students is hardly influenced by whether or not the targets of special education are in class. For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by grades, aside from previous research issues, even 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ocial felt distance of homeroom teachers by gr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with students in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by grade. In this research which was processed around students in grade 3, 4, 5, and 6; it was seen that positive feeling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rose with the higher grades because the degree of social distance felt was close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related to the research. First, as seen in the research, since homeroom teachers influence students to some extents regarding the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professional and systemic comprehension education and re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about disabilities for homeroom teachers who are guiding and making relations with students in education fields should be actively established in the future. Second, deeper studies about subordinat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distance felt should be continued subsequently. Third, if researches on verification of difference by grades which will be extended to diverse schools and districts in the future continue, it is thought to be helpful in developing disability comprehension programs for each grade.

      • 3-컷 에피소드를 활용한 유아의 공감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이민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3-컷 에피소드를 활용한 유아의 공감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이민영 (지도교수 : 권오식) 인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정서는 인지 및 언어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영유아기에 중요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수단이다. 특히 타인의 정서와 동일한 정서상태에 도달하게 하는 공감(empathy)은 유아로 하여금 상황에 적합한 행동으로 유도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지능의 핵심개념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공감능력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유아의 공감능력 측정도구의 문항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유아의 공감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어떠한가? 상기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하위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은 유아의 생활과 생태학적 타당성을 지닌 정서단어들을 선정하여 이를 3-컷 에피소드로 만들어진 문항을 제작하는 것이며, 연구 2는 연구 1에서 만들어진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는 먼저 국내에서 이루어진 몇 개의 정서단어연구(이만영, 이흥철, 1990; 안신호, 이승혜, 권오식, 1993; 한덕웅, 강혜자, 2000; 박인조, 민경환, 2005; 정비영, 2016)에 근거하여 338개로 이루어진 정서단어 총집을 만들고 이를 몇 단계 절차를 거쳐 49개 정서단어로 축소하였다. 49개 정서단어는 다시 유아적합성 평정을 거쳤으며 22개 정서단어가 최종 선정되었다. 22개 정서단어는 각 정서를 잘 경험할 수 있는 22개의 정서상황(예: ‘기쁘다’라는 정서에 대하여 ‘생일에 선물을 받는 상황’)으로 전환되었으며 정서상황을 세 개의 연속된 그림으로 표현함으로써 3-cut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문항을 작성하였다. 연속된 그림 속의 주인공의 정서를 둘 또는 세 개의 선택지 중에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공감능력을 측정하였다. 선택지는 4-5세용의 경우 정답, 유관한 답, 그리고 오답으로 이루어진 3지 선택형으로 구성하여 각각 2점, 1점, 그리고 0점으로 채점하였으며, 3세용의 경우 정답 및 유관한 답으로 이루어진 2지 선택형으로 구성하여 각각 2점과 0점으로 채점하였다. 22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인 공감능력 측정도구(3-Cut Episode Empathy Test: 3-CEET)는 연구 2에서 신뢰도 계수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ʼsα를 산출하였으며(α=.607), 정비영(2016)과 공존타당도를 산출하였다(공존타당도 r=.54). 마지막으로 3-CEET 검사의 결과를 정적정서/부적정서로 나누거나 기본정서/복합정서로 나누어 각각의 발달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기존 연구를 반복검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 확인한 결과는 3-CEET가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결과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3-CEET의 한 가지 제약으로는 만 3세 유아의 기억의 한계로 인해 2지 선택형으로, 만 4~5세가 3지 선택형으로 답지가 제시됨으로써 만 3세와 만 4~5세간의 우연히 맞출 확률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만 3세의 수행과 만 4~5세 유아의 수행을 채점하는 방식에 차이를 두었는데 이로 인해 3세 유아의 수행과 4-5세 유아의 수행을 비교할 때 주의를 요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ol for Measuring Children's Empathy Using 3-cut Episodes Lee, Min-Young (Advisor:Prof, Kwon, Oh-Seek, Ph. D.)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Emotion is a major tool for social interac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who are under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y and language. Especially, empathy, which makes someone have the same emotional state of other, is the core concept of social intelligence because this leads preschoolers to know the emotion of other people and to do a situation-appropriate behavior.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empathy of preschoolers.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items of measurement tool for empathy of children? Research problem 2. How ar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 for empathy of children? Two substudies were executed. Study 1 is for the development of items, including the process of selection of emotion words and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emotion words to a 3-cut episodes situation. Study 2 is for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items produced by study 1. More details can be as below. In study 1. we made an item pool on the basis of some studies of Korean emotion words(Mahn-Young Lee & Heung-Choel Lee, 1990; Shin-Ho Ahn, Seung-Hye Lee & Oh-Seek Kwon, 1993; Doug-Woong Hahn & Hye-Ja Kang, 2000; In-Jo Park & Kyung-Hwan Min, 2005; Bi-Yeong Jeong, 2016). The emotion words pool was reduced to 49 words through several process such as MDS, HCA. The 49 words were submitted to rate the appropriateness of ecological validity to children’s life, and finally 22 words were selected. Each emotion word is, in turn, converted to a certain emotional situation where the emotion can be cleary experienced. For example, the emotion word ‘joy’is converted to ‘receive a gift on my birthday’situation. 22 emotional situation were carefully chosen. We completed an item by division of one emotion situation into successive 3 drawing episode (3-cut episode). We measured children’s empathy if they know the emotion of leading character in the episode by choosing one of two (or three) emotion word. The choices were composed of a correct answer, relevant answer, and incorrect answer for 4 and 5 years old children, and weighted 2 point, 1 point and 0 point each. For 3 years old children, the choices were a correct answer and relevant answer, and weighted 2 point and 0 point each. In study 2, we tried to validate this newly developed tool for measuring children’s empathy(3-Cut Episode Empathy Test: 3-CEET). The Cronbachʼsαfor reliability was α=.607. The concurrent validity with Bi-Yeong Jeong(2016) yielded r = .54. Lastly, the developmental trends of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basic/complex emotion based on the data from 3-CEET replicated the prior studies. All these indices implies that 3-CEET yields some reliable and valid datum. One limitation of 3-CEET is that the chance level between 3 years old and 4-5 years old is not same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number of choices. We corrected the different chance level by different weighting system. But it is to be careful if you try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3 years old children and that of 4 – 5 years old children.

      • 자궁근종수술에 대한 질식 전자궁적출술과 복강경보조 질식 전자궁적출술의 비교 연구

        이민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between total vaginal hysterectomy(TVH) and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rectomy(LAVH) as the surgery of uterine myoma.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TVH(n=78) and LAVH(n=78) from September 2007 to September 2009. (Results) The age, history of vaginal delivery and size of uterus measured by USG of patients in both groups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The history of previous abdominal operation were 46.2% in TVH group and 44.9%. The average bleeding amount were 233.97±160.13mL in TVH group and 192.94±107.64mL in LAVH group. The average weight of the extracted uterus were 375.40±211.83 g(69 g ~ 1200 g) in TVH group and 375.40±211.83 g(69 g ~ 1300 g) in LAVH group. All of theses did not have statistic significance. The combined operation of adnexa were 28.2% and 7.7% in each group respectively which had significance. The mean operative time of TVH group(87.41±40.64 min) was longer than LAVH group(68.78±24.06 min)(p=0.004).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more often in the TVH group(12.8%) than in the LAVH group(3.8%), but did't have significance. these complications were treat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except one case of LAVH which injured bladder. (Conclusions) Many researches were studied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of TVH and LAVH but the result is controversial. In our study, other factors except time of operation and combined operation have no difference between two surgeries. Also, some results wa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Ongoing research into the pros and cons of the two methods of operation must clearly identify. We must be able to choose the better methods of operation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and well training would needed. 목적 자궁근종의 수술법으로 질식 전자궁적출술(total vaginal hysterectomy, TVH)과 복강경 보조 질식 전자궁적출술(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의 장단점을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9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근종으로 TVH를 받은 78명과 LAVH를 받은 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TVH를 시행한 군과 LAVH를 시행한 군에서 환자의 연령, 질식 분만력, 수술 전 초음파로 측정한 자궁의 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복부 수술 기왕력은 TVH군에서 46.2%, LAVH군에서 44.9%가 있었고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중 출혈량은 각각 평균이 233.97±160.13mL 과 192.94±107.64mL, 수술 전후 헤모글로빈의 변화는 1.43±1.60 g/dL, 1.02±1.35 g/dL 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출된 자궁무게는 TVH군에서 81 g에서 1200 g사이로 평균 375.40±211.83 g이며 LAVH군이 69 g에서 1300g 사이로 평균 372.25±180.42 g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반된 수술은 전체 수술에서 17.9%였으며 TVH군에서 28.2%, LAVH군에서 7.7%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TVH가 LAVH보다 수술 적응증 외 동반된 수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술시간은 TVH군의 경우 61분에서 90분 사이가 가장 많았고 평균 87.41±40.64분, LAVH군의 경우 60분이하의 경우가 가장 많았고 평균 68.78±24.06 분으로 TVH의 수술시간이 통계상 유의있게(p=0.004) 더 많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후 합병증은 TVH군에서 10예(12.8%), LAVH군에서 3예(3.8%)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TVH와 LAVH 수술법에 대해 수술전 요인과 수술후 결과에 대해 비교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 결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도 수술 시간과 동반된 수술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에서는 두 수술간의 차이점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으며 이전 연구 결과와는 다른 결론이 도출되기도 하였다. 지속적인 연구로 두 수술법의 장 단점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환자의 상황에 따른 최선의 수술법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 적절한 수련이 요구된다.

      • Parkinson's disease-related neurotoxicity induced by tricyclic antidepressants

        이민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Parkinson's disease (PD) is the second most common neurodegenerative disorder and characterized by degeneration of doparminergic neurons in the substantia nigra of the brain. The PD is induced by combination of age,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or pesticides. The degeneration of dopaminergic neurons by these factors results in irreversible motor dysfunction via neurotoxicity of oxidative stress or protein aggrega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antidepressants or antipsychotics can induce PD-like symptoms. Tricyclic antidepressants are heterocyclic chemical compounds used primarily as antidepressants. Accumulating evidence shows that antidepressants including tricyclic antidepressants could cause parkinsonism even after drug discontinuation. But there is no evidence tricyclic antidepressants are a direct cause of PD. In this study, I examined neurotoxicity of tricyclic antidepressants, amitriptyline and desipramine in SH-SY5Y, a human dopaminergic neuroblastoma cell line and in mice. The drugs reduced cell viability, ATP-levels in vitro and decreased the synaptic transmission in vivo. And the drugs also induced mitochondrial damage morphologically and bax activation in vitro and PD-related behaviors in mi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ricyclic antidepressants have toxicities in dopaminergic neurons both in vitro and in vivo, raising a possibility that they might be causally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PD.

      •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경력개발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이민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network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effectiveness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employe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and career development effectiveness.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power influence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employees. This study used a survey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three parts: social networks(task advice network & friendship network), sei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effectiveness(career adoptability &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316 employees in 25 private organizations and 339 employees in 26 public organizations from February 5 to March 2, 2018. To test the hypotheses, (1)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model using AMOS 22.0, and (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using AMOS several model fit indices including the chi-square (χ2), goodness of fit index (GFI>.90), comparative fit index (CFI>.90), root mean square residual (RMR<.05),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80) were interpreted to examine the level of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Hair et al.,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ask advice networks, out-degree centrality and out-closeness centr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ndirect effects on career adopt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However, out-degree centrality and in-degree centrality negatively affected career adoptability. Second, in friendship networks, in-degree centrality affec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negatively, and between centrality positively affected career adoptability. In addition, out-degree centrality, in-degree centrality, and out-closeness positively affecte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rd, in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out-degree centrality and out-closeness centrality of task advice networks positively affec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had indirect effects on career adopt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ourth, in the private sector, out-degree centrality of task advice networks negatively affected career adoptability, between centrality of task advice networks positively affec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out-closeness centrality of friendship networks positively affected subjective career success. Otherwise, in the public sector, between centrality of task advice networks negatively affecte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between centrality of friendship networks positively affected subjective career succ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riv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mployees’social network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First, activating social networks among employees, this study suggested solutions to operate a horizontal organization or a network organization such as task force team and matrix organization. Second, facilitating self-directed learning of employees, this study proposed that HRD department should conduct individual development plan and evaluation of leader's concerns for subordinate's growth. Third, improving effectiveness of career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ed the formal mentoring program concentrated on friendship. 이 연구의 목적은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경력개발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먼저,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과 경력개발 효과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구성원 집단별로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경력개발 효과성의 영향 관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고, 효과적인 경력개발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구성원들이다. 민간기업의 경우 경력의 이동과 개발이 가능한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5명 이상인 팀 단위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공공조직의 경우, 순환보직으로 경력을 이동할 수 있고, 팀(집단)의 규모가 대부분 5인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균등한 규모를 갖춘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2월 5일부터 3월 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민간기업은 353부를 수거해(회수율 88.3%)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잘 못 응답한 37부를 제외하고 최종 25개 기업의 55개 팀 31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 자료율 89.5%). 공공조직은 390부를 수거해(회수율 90.5%)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잘 못 응답한 41부를 제외하고 최종 26개 조직 59개 팀 33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 자료율 86.9%). 총 655부가 본 연구의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유효 자료율 81.9%).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적 네트워크는 과업 중심 네트워크와 친교 중심 네트워크를 묻는 문항을 활용했고,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배을규, 이민영(2010)이 개발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경력개발 효과성 중 경력 적응력은 Savickas와 Porfeli(2012)의 Career Adapt-Abilities Scale(CAAS)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경력성공 중 경력만족은 Greenhaus 외(1990)의 5개 문항, 직무만족은 Mobley 외(1994) 5개 문항, 고용가능성은 Johnson(2001)의 5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해당 측정도구는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수렴 타당도, 판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UCINET 6.0,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네트워크 중심성과 구조적 공백 지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자기주도학습 능력, 경력적응력 및 주관적 경력성공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 계수(Cronbach'α)를 산출하였다. 넷째,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경력개발 효과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경력개발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구성원들이 측정문항을 유사하게 인식하였는지를 파악하고자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일곱째,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집단별 변인 간 구조적 관계와 영향력(경로계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절차를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과업 중심 네트워크 특성 중 외향 연결 중심성과 외향 근접 중심성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교 중심 네트워크 중 내향 연결 중심성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낮은 수준이지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경력개발 효과성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모든 모형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경력 적응력과 주관적 경력성공, 즉 경력개발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과 경력개발 효과성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친교 중심 네트워크 특성 중 매개 중심성이 경력 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외향 연결 중심성, 내향 연결 중심성과 외향 근접 중심성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업 중심 네트워크 중 외향 연결 중심성과 내향 연결 중심성은 경력 적응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과 경력개발 효과성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친교 중심 네트워크 관련 특성들에서는 유의한 매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과업 중심 네트워크 중 외향 연결 중심성과 경력 적응력,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 외향 근접 중심성과 경력 적응력,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유형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과업 중심 네트워크 중 외향 연결 중심성과 외향 근접 중심성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민간기업의 친교 중심 네트워크에서 매개 중심성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공조직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유형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이 경력개발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과업 중심 네트워크 특성 중에서 민간기업 구성원의 외향 연결 중심성이 경력 적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교 중심 네트워크 특성 중에서는 외향 근접 중심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민간기업과 공공조직 유형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이 경력개발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과업 중심 네트워크 특성 중에서 민간기업 구성원의 외향 연결 중심성이 경력 적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교 중심 네트워크 특성 중에서는 외향 근접 중심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공조직 구성원의 과업 네트워크 특성 중 매개 중심성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첫째, 이 연구는 중견기업 이상 대기업 구성원과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모든 민간기업과 공공조직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다. 향후 다양한 산업 분야의 민간기업과 다양한 형태의 공공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비율표집을 통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의 결과 중,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의 부(-)적 효과가 나타난 경우가 발생했다. 향후 후속연구에서 사례를 추가하여 영향력의 추이를 살펴보거나, 인터뷰 혹은 심층면접을 통해서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 비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사회적 네트워크 수준에 대한 적정 수준을 탐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이 연구는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가 동일인에 의해 동시간대 주관적으로 측정되었으므로, 동일 방법 편의의 가능성 혹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응답의 대상을 다양화한 연구 또는 종단 연구가 필요하다.

      • 숙성에 의한 우엉 뿌리의 chlorogenic acid 함량 변화

        이민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엉 뿌리는 다양한 유효성분을 함유한 영양적 가치가 매우 높은 식품이며 최근 우엉에 존재하는 chlorogenic acid의 항산화 및 다이어트 효과가 밝혀지면서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chlorogenic acid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커피, 당근, 토마토 등의 숙성 연구는 있었으나 우엉 뿌리를 사용한 chlorogenic acid 축적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엉 뿌리 내 chlorogenic acid 함량 증가를 통한 건강 기능성을 강화하고자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에 따른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내산 우엉 뿌리를 현재 다이어트 보조 건강식품으로 판매하고 있는 50% chlorogenic acid 고 함유 그린 커피 추출물과 경쟁할 수 있는 제품으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숙성 온도에 따른 우엉 뿌리의 chlorogenic acid 함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각기 다른 온도에서 4일 건조한 결과, 25℃ 건조 시 chlorogenic acid 양은 7542.8 ㎍/g dry weight로 최대였으며 30, 35℃에서 건조 시에도 축적 효과가 있었다. 반면 70℃ 건조 시는 chlorogenic acid가 오히려 1/4로 감소했다. 건조 방법에 따른 chlorogenic acid의 축적 효과의 비교는 농가에서 일반적으로 건조 시 사용하는 햇빛, 그늘, 실내 건조와 실험 최적 온도인 25℃ 배양기에서 수행하였다. 그늘, 실내, 25℃ 배양기에서 4일 건조 시 chlorogenic acid 양은 8672.5, 8447.0, 8800.0 ㎍/g dry weight로 약 4.5배 증가했지만, 햇빛 건조 시는 3112.6 ㎍/g dry weight로 단지 1.7배 증가하였다. 우엉 뿌리 절편을 자외선램프(254 nm)로 조사하여 시간에 따른 chlorogenic acid 축적을 비교한 결과, 1, 2시간 조사했을 시 각각 5381.8, 5502.4 ㎍/g dry weight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실험구(4020.3 ㎍/g dry weight)보다 약 1.3배씩 증가하였다. 화학적 스트레스에 의한 숙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우엉 뿌리 절편에 methyl jasmonate와 식품첨가물인 H2O2, NaClO, HClO, ClO2를 처리하여 chlorogenic acid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NaClO와 ClO2 처리 시 chlorogenic acid 축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화학물질 중 숙성효과가 가장 뛰어난 ClO2를 0.02%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chlorogenic acid 축적량은 대조군 대비 약 1.2배 증가하였다. 미생물에 의한 chlorogenic acid 축적을 관찰하기 위해 우엉 뿌리에 4종의 균을 처리한 결과, 처리한 모든 종에 의해 축적 효과가 상승했으며 B. coagulans가 가장 뛰어났다. 우엉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법으로 비교한 결과, 숙성전보다 숙성 후에 항산화력이 3.3배 향상되었으며 B. coagulans와 ClO2를 각각 처리 후 숙성 시 일반 숙성보다 약 1.1배 향상되었다. 또한, 4일 숙성 시 우엉 뿌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은 숙성 전보다 2.3배 증가하였다. B. coagulans와 ClO2 처리 후 4일 숙성 시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5, 2.6배 늘었다. 숙성 전과 후 우엉 뿌리를 각각 추출하여 제조한 분말의 chlorogenic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숙성 후 제조된 분말 내 함량은 17.4%로 숙성 전보다 1.8배 늘어났다. Chlorogenic acid(CGA) possesse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and is abundant in many crops such as apples, carrots, and Arctium lappa root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ost-harvest of chlorogenic acid, but no study of improving chlorogenic acid accumulation in Arctium lappa has yet to be reported. In this study, increasing the content of chlorogenic acid in Arctium lappa root using several post-harvest method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conventional green coffee powder with 50% chlorogenic acid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chlorogenic acid was 7542.8 ㎍/g dry weight at 25℃(day 4) when Arctium lappa roots were dried at 25 to 35℃. However, the chlorogenic acid concentrations of extract from Arctium lappa which was dried at 70℃ was decreased by one quarter of its initial concentr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decrease of concentration is due to the inactivation of chlorogenic acid synthetase at the high temperature. The concentration of chlorogenic acid in dried Arctium lappa roots, which are dried in the shade, indoors, or incubators(at 25℃), increased to 8800.0 ㎍/g dry weight and had approximately 4.5-4.7 times higher concentration. By contrast, chlorogenic acid in dried roots accumulated approximately 1.7 times higher under sunlight. The post-harvest effect of UV-treated (1 and 2 hours) roots was increased at approximately 1.4 fold. The concentraion of chlorogenic acid in Arctium lappa roots sprayed with ClO2 and NaClO was elevated approximately 1.4 fold and ClO2-treated roots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chlorogenic acid (7312.8 ㎍/g dry weight). The concentration of ClO2 (0.0025-0.02%) also influenced the accumulation of chlorogenic aci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ncreased up to 7312.8 ㎍/g dry weigh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ClO2(0.04%)-treated roots. Arctium lappa roots sprayed with H2O2, HClO, and methyl jasmonate caused 3-20% decrease of chlorogenic acid. In Arctium lappa roots infected with B. coagulans, E. faecium, L. casei, and S. cerevisiae respectively, the conentration of chlorogenic acid increased approximately 1.2-1.8 fold. B. coagulans showed a dramatic effect on Arctium lappa roots; 8188.0 ㎍/g dry weight was obtained. The antioxidant effect improved 3.3 times after post-harvest comparing the antioxidant effect before and after post-harvest according to the DPPH method. In addition, the antioxidant effect of roots was increased by treatment with ClO2 or infection with B. coagulans. The change in concentration of total polyphenol showed a similar pattern to DPPH assay results.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the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depends on an increase in total polyphenol content. Roots infected with B. coagulans show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chlorogenic acid, were freeze dried and then analyzed antioxidant effect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within the roots. As indicated previously, the antioxidant effect was improved by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concentration of chlorogenic acid in dried Arctium lappa root powder increased from 9.5% (before post-harvest) to 17.4% (after post-harves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xtraction method and selection of species of Arctium lappa roots to increase the final chlorogenic acid content.

      • 뉴테러리즘 대두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연구 : 정부와 군의 역할 모색을 중심으로

        이민영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9/11 terrorist attacks in the United States caused the term terrorism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raditional terrorism has emerged as a new paradigm of new terrorism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ety. New terrorism is causing terror to the unspecified number of groups or individuals, making the whole world fearful. As a result, countries have continued to study and present fundamental solutions to terrorism. Furthermore, as Korea is now a divided nation, North Korea is not free from constant provocations, and due to economic growth, more and more companies are entering the international market. As a result, the Korean terror against the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 and the terrorism I can not. Also, the level of provo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lligent in order to gain their interests, such as nuclear tests and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launch test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ase of New Terroris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errorism and new terrorism, and explain the response to new terrorism by country. Based on the security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past to present, I will analyze and evaluate the types of new terrorism that can occur and the new terrorism that can be caused by North Korea. It also explains Korea 's terrorism –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and the counter – terrorism response system of the ROK armed forces, present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and suggests ways for the government and military to respond to new terrorism. First, we will examine the basic concepts of terrorism, the causes of new terrorism, and examples of new terrorism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ompare and analyze the countermeasures by country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new terrorism in Korea I checked. In addition, the current situation of South Korea 's security is analyzed and the possibility and type of new terrorism by North Korea is presented. Basically, Korea is more likely to be terrorized by North Korea than other countries. Therefore, we think that the role of our military should be strengthened. However,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s new terrorism occurs, legal sanctions and numerous laws and regulations are created. Even after the anti-terrorism law is implemented, it is still a trial and error and is still a basic initial stage. In addition, since the terrorist operation is mainly conducted by the police, it is true that there is a lot of limitations in the future even though the role of the ROK military is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change of North Korea's new terrorism. In order to strengthen the role of our military against terrorism, we should supplement the legal regulations and enforcement regulations so that the army does not have any restrictions on terrorist operations. We will continue to research and implement terrorism-related doctrines and education and training, By expanding terrorist-related personnel and developing their capabilities, we will take measures to protect against military security objectives and military security facilities, so that the countermeasures against military terrorism will be more specialized and concrete. You will have to be ready. 미국의 9.11테러로 인해 국제사회 무대에 뉴테러리즘이라는 용어가 발생하였다. 전통적 테러리즘이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발전으로 뉴테러리즘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타났으며 뉴테러리즘은 주체가 불분명한 단체 혹은 개인이 불특정 다수에게 테러를 일으킴으로써 전 세계를 공포에 떨게 만들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테러에 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더군다나 우리나라는 현재 분단국가로서 북한의 끊임없는 도발에 자유롭지 못하고, 경제성장으로 인해 해외 진출 기업이 많아짐에 따라 국제 테러 조직에 의한 한국인 테러와,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및 위장 탈북자 등에 따른 테러도 무시 할 수 없다. 또한, 북한은 핵실험과 대륙 간 탄도미사일(ICBM)급 발사 실험 등 그들의 이익을 얻기 위해 도발의 수준은 점점 더 지능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 테러리즘과 뉴테러리즘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뉴테러리즘의 사례를 제시 하여 국가별 뉴테러리즘에 대한 대응을 설명하고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안보상황을 기반으로 우리나라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뉴테러리즘의 유형과 북한에 의해 발생 가능한 뉴테러리즘에 대해 분석 및 평가하겠다. 그리고 한국의 테러관련 법령 및 기구, 한국군의 대테러 대응체계를 설명하여 이에 관한 문제점과 제한사항을 제시하여 정부와 군이 뉴테러리즘에 대응할 수 있는 대응체계에 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려면 먼저, 기본적으로 테러에 관한 기본 개념과 뉴테러리즘이 발생한 원인 및 국제사회에서의 뉴테러리즘의 각종 사례를 살펴보고 국가별로 대응방안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에서의 뉴테러리즘 발생 가능성 및 각종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한국의 안보상황을 분석하여 북한에 의한 뉴테러리즘 발생 가능성과 유형에 대해 제시하고 이에 따른 정부와 우리 군의 테러 대응태세와 역할을 제시하였다. 기본적으로 타 국가보다 우리나라는 북한에 의한 테러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군의 역할이 강화 되어야 하는 것이 맞는다고 본다. 하지만 다른 선진국들은 뉴테러리즘이 발생함과 동시에 법적인 제재와 수많은 법령과 규율들이 생성되는데 우리나라는 테러방지법이 시행된 이후에도 수많은 시행착오와 아직 기본적인 초기단계에 불과하다. 또한 아직은 경찰 위주로 테러 작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향후 북한의 뉴테러리즘의 양상 변화에는 정작 우리 군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됨에도 불구하고 제한사항이 많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테러에 관한 우리 군의 역할이 강화되려면 군이 테러작전을 수행하는데 제한이 없도록 법적규정과 시행규칙 등을 보완 하고 현행 업무와 동시에 테러 관련 교리 정립 및 교육훈련을 지속적으로 연구 및 실시하며, 한국군 테러 관련 요원을 확충하여 그들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각 종 군사보안목표와 군사보안시설들에 대한 방호대책을 강구하여 군의 테러 대책 방안을 더욱 전문적이고 구체화시켜 향후 앞으로의 뉴테러리즘에 대한 대응태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