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의 색채에 의한 공간 시나리오 연구

        이민아(Mina Lee)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헬스케어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의료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종합 서비스 환경으로,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경험의 공간 시나리오가 중요하다. 사례 연구를 통해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의 공간 시나리오를 연구하여, 공간색채의 기능과 공간 시나리오와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효과적인 공간 경험과 서비스 전달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공간디자인 주요 인자인 색채가, 공간의 분위기 조성만을 부각시킨 휴식 기능과 병원 브랜드의 상징적 기능의 정보 전달을 위한 매개에만 적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헬스케어공간의 사용자에게, 공간에서의 심리적 안정감뿐만 아니라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의 인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시각적 자극 요인에 대한 계획적인 공간디자인 구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간 색채 기능을 적극 활용한 계획적인 공간디자인 구현에 의한 서비스스케이프는, 사용자와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주요 채널로 작용할 것이다.

      • KCI등재

        공간디자인 분야에서의 헬스케어디자인 연구 경향 분석

        이민아 ( Mina Lee ),박혜경 ( Heykyung Park ),오찬옥 ( Chanohk Oh ),백지원 ( Jiwon Baik ),김석태 ( Suktae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화된 현대사회는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양한 분야에서 헬스케어디자인에 주목하였고, 이는 헬스케어 환경인 공간디자인 분야에 집중되어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을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하여, 헬스케어공간디자인이 갖는 현시점의 쟁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까지 축적된 헬스케어공간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체계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경향 분석을 위해, 2018년 11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키워드 검색, 학술지 분야 한정, 전문가 5인 판단으로 총 499건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1) 헬스케어디자인에서의 공간 의의를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공간을 개념화하여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의미를 밝히고, (2) 헬스케어디자인 관련 키워드로 KCI 시스템으로 대상논문을 추출하고, (3)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를 시계열, 연구방법, 그리고 대상공간, 중점 행위자, 디자인 요소 등의 공간디자인 하위주제를 유형화 하여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메타분석 결과, (1)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는, 2002년을 시작으로 전통적 헬스케어디자인 범주인 환자와 의료인의 행위 영역인 병원 중심에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고령자복지공간으로, 그리고 일반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일상공간까지 헬스케어공간이 확대되며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2) 연구방법으로 사례분석, 설문조사, 실험 및 평가가 수행되어,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된 결과물의 방향성 제시를 위해 실증적 연구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3) 효과적인 헬스케어공간 구현을 위해 공간디자인 요소를 단일 요소가 아닌 복합적으로 제시하는 연구 경향을 발견하였다. 또한 (4) 공간의 주된 기능이 직접적인 의료를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타 기능의 공간에서도 정신적·육체적 건강 기반의 삶의 질 향상을 요구하는 사용자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 경향도 발견하였다. (결론)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를 메타분석한 본 연구는 전반적인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1차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로, 헬스케어디자인을 통한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이 갖는 시지각적 결과물의 방향성을 발견하는 데 의미 있는 연구이다. 앞으로 공간 이외의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 경향도 분석하여, 각 디자인 분야별 헬스케어디자인 연구가 주목한 쟁점을 비교함으로써 헬스케어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종합적 디자인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y life, the aging modern society has paid attention to healthcare design in various fields, which was mainly researched in the spatial design field of a healthcar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to date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healthcare design centering on spaces to provide materials for current issues and to predic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Method) Met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by selecting 499 papers in total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until November 2018, from keyword search, limited to journals, and 5 experts' judgement. In this study, (1) the healthcare space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space in healthcare design was conceptualized to reveal the meaning of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2) subject papers were extracted by the KCI system with keyword related to healthcare design, and (3) a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sub topics of spatial design such as time series, research methods, target space, key actors, and design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meta analysis, (1)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taring from 2002 with expanding healthcare spaces from a traditional healthcare design category focusing on hospital, the area of behavior of patients and medical professionals, to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and even to everyday spaces for healthcare. (2) As research methods, empirical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analysis, survey, experiment and evaluation were mainly carried ou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ser-centered design results, and (3) the trend of research was found that suggests spatial design elements in complex rather than single to realize effective healthcare spaces, and Also, (4) the research trends was found that deal with users who dem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not only in the space for direct medical care but also in other functional spaces. (Conclusions) This study, which meta analyzes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is a follow-up to the first study that analyzes the trend of overall healthcare design research, and is meaningful to find the direction of visual and perceptual results of the user's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healthcare design. By analyzing the trend in healthcare design research focusing on design other than spa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material for enabling comprehensive design prediction for healthcare design in the future by comparing issues of healthcare design research in each design sector.

      • KCI등재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 물리적 증거의 디자인 연출 특성 연구 -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

        이민아 ( Mina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건강한 생활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헬스케어 목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그 중에서도 사용자에 반응하여 서비스 경험을 발생시키는 물리적 증거에 대한 디자인적 접근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적 증거에 반영된 공간디자인 표현요소와 공간 사용자경험디자인 표현 특성과의 관계 연구를 통해, 헬스케어공간에서 서비스 개선을 위한 물리적 증거의 디자인 연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헬스케어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와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론 고찰과 대표적인 헬스케어공간으로 Y병원의 로비공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적으로 헬스케어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에서 물리적 증거가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 유형화와 그에 따른 특성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서비스 유형과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에 대한 개념적 의미와 표현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의 물리적 증거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사례공간을 직접 방문하여 분석모형을 기준으로, 물리적 증거에서 공간디자인 표현요소인 자극인자와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 표현요소인 반응인자 간의 서비스 경험을 생성시키는 관계 구조를 종합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 서비스스케이프의 물리적 증거는, 웨이파인딩과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브랜딩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공간디자인 표현요소 중 색채를 중심으로 공간 사용자경험이 가능하도록 집중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또한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 특성 중 시각적 자극과 지속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심리적 만족감을 유도하고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공간의 서비스 경험을 원활하게 만들었다. 특히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 표현특성이 최다 적용된 사인 및 미디어 관련 물리적 증거는, 서비스스케이프 내에서 연속적 경험의 흐름을 위한 효율적인 웨이파인딩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장치임을 알았다. (결론)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는 치료만이 아닌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관리 및 질병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환경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프로세스 내에서의 물리적 증거는, 사용자의 경험을 형성시키는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 표현 인자에 반응하기 위한 공간디자인 표현요소의 적극활용이 주요함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능동적인 서비스 경험을 위한 복합 감각적 지각 영역으로서 효과적인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 관점에서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contemporary society, there is heightened interest in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rough healthy living. In this respect,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the servicescape that provides medical services for healthcare. In particular, a design approach to physical evidence is needed, to generate service experience through response to user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design expression methods of physical evidence for service improvement in healthcare spac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factors of spatial design reflected in physical ev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User eXperience Design (SUXD) expression. (Method) We looked into the lobby of Y hospital as the most typical healthcare space, along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servicescape and SUXD of healthcare space. In the first place, we presented the typification of services to be implemented by the physical evidence in the servicescape of healthcare space and their characteristics. A model was presented for analysis on physical evidence of healthcare space servicescape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conceptual meaning of SUXD, the proposed service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Based on the analytical model, we performe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structure that generated the service experience between the stimulus factor, the expression factor of spatial design in physical evidence, and the response factor, the expression factor of SUXD, by making direct visit to the space of concerned case. (Result)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the physical evidence of servicescape was intensively reflected to enable spatial user experience based on the color among the expression factors of spatial design in order to provide the wayfinding, communication and branding services. In addi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as induced through visual stimulation and constant provision of inform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UXD, along with an increased accessibility, so as to facilitate the spatial service experience. Particularly, the physical evidence related to the signage and media, which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SUXD expression, was found to be the major mechanism allowing the wayfinding and communication services to be delivered efficiently for continuous flow of experience within the servicescape. (Conclusion) The healthcare space servicescape should be created not only for medical treatment but also for healthcare and disease prevention to achiev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at, active utilization of the factors of the spatial design expression was found to be important for the response to the factors of SUXD expression which would form the user experience in regard to the physical evidence. The servicescape should be planned from the perspective of SUXD to enable effective service communication as a realm of multi-sensory perception for active service experience in the period ah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