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교육에서 디지털(Digital) 매체의 활용 방안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이미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상에 쉽게 노출되어 있는 디지털 매체들을 활용하여 뉴미디어 미술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접할 수 있도록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적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시대의 흐름에 걸맞은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마련하고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디지털 매체들이 확산되었고, 디지털 매체의 사용은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어 우리의 생활환경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예술 작품에 대한 미학적 기준과 패러다임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디지털화로 인하여 수많은 시각 정보 이미지들이 유포되고 복제되며 복제된 이미지는 복제의 복제를 거듭하며 원본의 개념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복제물이 실재를 대변하는 시뮬라크르 현상은 자연스레 스며들어 우리의 생활과 소비, 소통 방법마저 변화시켰다. 디지털화는 시뮬라크르를 예술의 새로운 영역으로 가능하게 만들어 기존의 제작방식, 소통, 감상 시스템에서 벗어난 뉴미디어 미술로 확장시켰다. 뉴미디어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하나의 예술적 도구로써 많은 예술가들에게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미술의 흐름을 뉴미디어 아트라고 하며 웹아트, 컴퓨터 아트, 인터랙티브 아트 등으로 불리는 다양한 개념의 현대 미술이 등장함으로써 미술의 표현 범위가 확장되었다. 이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흐름 속에서 뉴미디어 미술의 비중이 커지고 있으나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첨단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에게 형식적인 교육만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뉴미디어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자들이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을 올바르게 인지하여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기회를 제공하고자 본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Ⅱ장에서는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와 현대미술에서의 시뮬라크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뉴미디어 미술의 개념, 특성 그리고 작가들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뉴미디어 미술교육의 의의, 필요성을 고찰한 후 중학교 3학년 미술 교과서에 나와 있는 뉴미디어 미술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뉴미디어 미술교육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의 시급함을 확인하였다. Ⅴ장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토대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에게 끼치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였다. 뉴미디어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이 현대미술을 쉽게 인식하고 새로운 예술세계를 이해하며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는데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주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을 통해 미래의 주체적인 미디어 활용자로서 성장하는 데 발판을 마련해 줄 것이다. 또한 실생활과 직결된 미술교육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다. 본 프로그램이 앞으로의 미술교육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learning measures according to the stream of times for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by investigating and applying an education program so that they can fully understand and approach new media art utilizing digital media that people are easily exposed to in daily life. With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various digital media are widespread in the modern society, and using them has become part of our daily life, making essential changes in our life environment as well as innovative changes in the aesthetic standard and paradigm for art works. Due to digitalization, numerous visual information images are distributed and reproduced, and reproduced images are reproduced again and again, losing the originals' concepts. The phenomenon of simulacre where copies represent the originals has naturally permeated into our life, consump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even transforming them. Digitalization has made simulacre a new area of art, expanding it to new media art out of the existing production methods, communications, and appreciation systems. As an artistic tool that can be easily accessed, new media are utilized by a number of artists. Such trend of modern art is called new media art, and the emergence of a variety of concepts of modern arts including web art, computer art, and interactive art has expanded the expression range of art. Although the new media art has grown i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flows, schools provide students living in this cutting-edge era only with formal educatio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new media art education, the researcher studied this program in order to help learners fully understand and properly utilize different visual images and provide them with the education opportunity. Chapter Ⅱ is based on the media theory by Marshall McLuhan and simulacre by Jean Baudrillar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simulacre from modern art, an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types, and artists of new media arts are theoretically investigated in chapter Ⅲ. Chapter Ⅳ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new media art education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new media art included in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developing a program where new media art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utilized was urgent. In chapter Ⅴ, an art education program using digital devices is developed based on such necessity, which was applied on the ground. As a result, this program was proved to have a variety of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for learners. The program utilizing digital media in new media art education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easily recognize modern art, understand the new art world, and adapt to the stream of times as well as provide a foothold for them to grow as independent media users in the future through the initiative and integrated education. Furthermore, as art education directly related to daily life, it will create better educational value. This program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in the future.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상담에 대한 학부모와 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이미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과 학부모가 기대하는 상담 간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학부모 상담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아 부모의 요구가 반영되고 만족도높은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기초 자료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 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167명과 학부모 1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부모 상담에 대한 심도 있는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12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학부모 상담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간의 기대 및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상담 실시 횟수, 상담 시기 및 소요 시간과 관련하여 학부모와 교사 사이의 인식은 유사하였으나, 학부모는 교사에 비해서 더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상담의 횟수와 시기에 있어서 학부모와 교사 모두 2회가 적당하다고 응답한 수가 가장 많으나 학부모의 경우 ‘1회’나 ‘4회’, 또는 ‘수시’ 등의 다양한 응답이 나왔다. 교사들은 정기적이고 공식적인 상담을 원하는 반면 학부모들은 문제가 발생할 시 언제든 수시로 상담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시간에 대해서 보육교사와 학부모 모두 평일 오후를 가장 선호 하였다. 다만 학부모의 경우 평일 오후 외에 평일 야간, 주말 등을 선호한다는 의견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상담 소요시간을 살펴보면 교사와 학부모 모두 20-30분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다양한 시간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도 있었다. 본 결과는 상담시간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학부모의 의견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전 조사 등을 통해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다만 시간 외 근무로 업무가 가중되는 교사의 입장을 고려해 적절하고 실제적인 보상이 뒤따라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둘째, 상담 방법 및 상담의 안내 방법으로는 교사 학부모 모두 가정통신문을 선호했고 대부분 2주 전에 안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 기관에서는 상담을 위해 작품모음집이나 발달기록지, 일화기록이나 사전 질문지 등을 활용하였으며, 사진과 영상 자료 등의 사용 빈도는 비교적 낮았다. 반면 학부모는 상담 시 유아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각 기관은 학부모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학부모상담 시 교사의 태도 중 교사와 학부모 모두 교사의 행동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교사의 행동과 표정, 자세에서도 학부모는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대면 상담 이외 전화상담이나, 모바일 앱, 문자, 카톡, 밴드 등 온라인상에서 할 수 있는 대안적인 상담 방법에 대한 의견들이 있었다. 종합하면, 학부모와 교사간의 학부모 상담에 대한 인식은 유사하였으나, 학부모는 교사에 비해서 더 다양한 의견과 요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교육기관에 처해진 상황에 따라 사전 조사 등을 통해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학부모 상담을 계획하고 조절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부모 상담에 있어 교사 스스로 느끼는 문제점은 상담에 대한 전문지식을 뽑았고 학부모의 관심 부족과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시간 부족도 문제점으로 인식 하고 있었다.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면담 사례집, 선배 교사의 상담 영상, 시뮬레이션, 동료 멘토링은 학부모 상담의 질적 향상을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 노래중심 음악치료가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의 불안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미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는 불안 요소를 찾아 불안적 특성을 범주화시킴으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불안을 감소시키고 학교 적응을 도우며, 더 나아가 건강한 음악치료사로서 준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M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을 때,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 17명을 모집하였다. 참여자들은 세 개의 다중 그룹 편성에 의거하여 음악치료 그룹, 비디오 시청 그룹, 통제 그룹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음악치료 그룹의 임상 실험은 주 1회, 45분 세션으로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1회기와 10회기에 각각 연구자에 의해 재구성된 불안과 학교적응 척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의 불안적 특성을 학문적, 임상적, 음악 기술, 진로 4가지로 범주화 시킬 수 있었다. 이것을 참여자들의 음악 전공 여부에 따라서 분석하였는데, 학문적, 임상적, 진로에 대한 불안 요소에서는 음악 전공자와 비전공자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음악 기술면에서만 음악 전공 여부에 따른 불안 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결과 1에서 나타난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들의 불안 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로 시행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들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학교 적응을 도울 수 있었다. 불안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로는 음악치료 그룹의 상태-특성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2.25% 감소했으며, 비디오 시청 그룹은 1.58% 증가하고, 통제그룹은 2.8% 증가했다. 이를 통해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신입생의 불안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셋째, 학교적응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로는 음악치료 그룹의 학교적응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6.61% 증가했고, 이에 반해 비디오 시청 그룹은 0.59% 감소했으며, 통제그룹은 2.43% 감소했다. 이를 통해서 노래중심 음악치료가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을 돕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다. 넷째, 음악치료 프로그램 상에서 나타난 질적 분석에서는 참여자의 개별적인 불안 요소들을 발견하고, 그룹 음악치료 안에서 서로 긍정적으로 지지하며, 해결하는 과정 가운데서 불안이 감소하고 그룹 간의 친밀감 형성을 통한 학교 적응을 돕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으로서 겪는 불안 요소들을 고찰하고, 이러한 불안 요소들을 감소시키며 학교 적응을 돕는 데 효과적인 중재로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dentify anxiety factors specific to new postgraduate music therapy students and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nxiety, and by doing so, to reduce their anxiety through a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and help their school adaptation, and ultimately to prepare them as effective music therapis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of M University in Seoul. Seventeen music therapy students were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the procedure and objective of the research were explained to them.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music therapy group, video watching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no intervention. The music therapy group received a song-focused music therapy intervention throughout over the 10 sessions (45 minutes per a session), and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in session 1 and 10, respectively, using an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scale readapt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xiety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erapy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cademic demands, clinical practices, music skills and future careers. These types of anxiet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major (music majors vs. non-music major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academic, clinical and career anxiety between music majors and non-music majors, but anxiety about music skills was different between music majors and non-music ones. Second, th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applied as an intervention to reduce the anxiety factors observed in the new post graduate music therapy students as presented above reduced their anxiety and helped their school adaptation. I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n the students' anxiety, the music therapy group showed a decrease in the state-characteristic score by 2.25%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at in the pretest, but the video watching group showed an increase by 1.58% and the control group an increase by 2.8%.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new post graduate students' anxiety. Third, i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n school adaptation, the music therapy group showed an increase in the school adaptation score by 6.61%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at in the pretest, but the video watching group showed a decrease by 0.59% and the control group a decrease by 2.43%.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helping new post graduate students' school adaptation. Fourth, in the qualitative analysis made in the course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we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anxiety was reduced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each participant's personal anxiety factors, inducing the participants to support one another positively and relieving anxiety and that their school adaptation was helped by the formation of intimacy among the group member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anxiety factors experienced by new post graduate music therapy students and executed a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as an intervention effective in reducing such anxiety factors and helping school adaptation.

      •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영향요인간의 관계

        이미아 부산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two major purposes. First i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with ADHD. Second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ADH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its affecting variables(severity of ADHD symptoms, parent-teacher partnership, mother’s warmth, teacher’s and peer’s support) To develop a measuring tool of a children’s competence an open questionnaire was held on mothers who have an elementary school child and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ocially competent childrenm and based on it question items were developed. Then, questionnaire inquiry was given to 260 mothers with an elementary school child and exploring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on it. Through exploring factor analysis, for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45 question items were derived from 6 factors of empathy, extroversion, self-management, emotional control, expressiveness, and social knowledge comprehension. A whole reliability on this scale was revealed high at .94 and reliability on 6 factors was shown .76 ~ .91.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ADH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its affecting variables questionnaire was held on boys in their 3-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o was diagnosed with ADHD and on medication treatment at University hospitals and pediatric psychiatry in Busan and Gyeongnam area, and their mothers, 119 persons all told. To ADHD children questionnaire was given on their supporting teachers and peers while to their mothers, questionnaire was given on the severity of ADHD symptoms, parent-teacher partnership, and mother’s warmth, both data collected. On the data collected this way, correlation was performed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related variables and to find the relations between each affecting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was performed. Summing up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above data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severity of ADHD symptoms was shown to affect directly or indirectly the social competence of ADHD children and proved to have the highest effect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mpared to mother’s warmth, perceived support from teachers and peers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Besides, severity of ADHD symptoms were revealed to affect indirectly ADHD children’s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through a medium of mother’s warmth and teacher’s support. Second, mother’s warmth was revealed to affect directly ADH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influence proved to be the next higher variable than severity of ADHD symptoms. And this mother’s warmth was shown to be affected by the severity of ADHD symptoms. Third, parent-teacher partnership was shown to affect positively mother’s warmth and it was revealed to affect indirectly ADH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a medium of mother’s nursing behavior. Fourth, support from teacher in class was shown to strongly affect peer’s support but not to affect significantly ADH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support perceived by a child was revealed to be negatively affected by the severity of ADHD symptoms. From abov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reached. Above all, to summarize the conclusions of research question number 1, the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one that reflects well our country’s social, cultural characteristics by participations of mothers who have an elementary school child and teachers. In addition, we decided that its reliability is also good enough to be used for assessing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in our country. That is, the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the proper one by which a mother can evaluate the social competence of an elementary school child in our country. Next, to summarize the conclusions of research question number 2, it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said that ADH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leared up in this study is much affected by the severity of ADHD symptoms, mother’s warmth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Of these, severity of ADHD symptoms not only affects directly ADH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ut also affects it indirectly through a medium of mother’s warmth and teacher’s support. This means that even if ADHD children show a decreased level of behavioral problems than before through medication treatment, their behavioral problems are still a variable that hinders a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at through a more multi-dimensional approach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should be decreased. Second, a mother’s warmth is a variable that directly affects ADH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it affect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next higher than severity of ADHD symptoms. This means that warmth of a mother, who is chiefly accountable for ADHD children’s upbringing with many interactions, is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 and that through a mother’s warmth ADHD child can make a positive change in his personal relations, including with his peers. Third, partnership between parent and teacher indirectly affects ADH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a medium of a mother’s positive nursing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better partnership between parent and teacher, the more positive direction a mother’s nursing behavior changes in, and consequently, it can affect the ADHD child’s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 유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영향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사회적으로 유능한 아동의 행동 특성에 대해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문항 개발하였다. 그 다음으로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260명에게 개발된 문항내용에 반응하도록 하여 이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은 공감, 외향성, 자기관리, 정서조절, 표현성, 사회적 지식 이해의 6개 요인 45개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전체 신뢰도는 .94로 높게 나타났으며, 6개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76-.91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유능성 측정도구는 문항을 개발하는 단계에 서부터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와 교사들이 참여하여, 사회적으로 유능한 아동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자유롭게 응답해 주었기에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특성이 잘 반영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도 양호하여 향후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영향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산?경남의 대학병원 및 소아정신과에서 ADHD로 진단받고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초등학교 3 ~ 6학년 남아와 그들의 어머니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ADHD아동들에게는 교사 및 또래지지에 관한 설문을, 어머니들에게는 ADHD 증상의 정도, 부모-교사 협력, 어머니의 온정?격려적 양육행동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에 대해 사회적 유능성과 영향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함께 각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ADHD아동의 개인적 특성인 ADHD 증상의 정도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해 다른 환경적 요인들보다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ADHD 증상의 정도는 ADHD아동의 사회적 환경 요인에 해당하는 어머니의 온정?격려적 양육행동과 교사지원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어 결국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발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아동 어머니의 온정적이고 격려적인 양육행동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러 사회적 환경 요인들 가운데 어머니의 온정?격려적 양육행동은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교사 협력은 어머니의 온정?격려적 양육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ADHD아동에 대한 교사지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넷째, ADHD아동에 대한 교사지원과 또래지원 요인 모두는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을 정리하면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은 아동 개인의 특성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중에서 특히, ADHD아동의 개인적 특성인 ADHD 증상은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강한 부적 영향력을 보이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ADHD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가정이나 학교와 같은 사회적 환경 가운데 어머니의 온정적이고 격려적인 양육행동은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관련하여 강한 영향력을 가지는 요인이었다. 이와 함께 어머니의 온정적이고 격려적인 양육행동은 부모와 교사간의 협력을 통해 증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뿐만 아니라 부모와 교사간의 협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먼저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교사지원이나 또래지원이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ADHD아동 교육을 위한 대처방법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인해 충분한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는데 그 원인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ADHD아동의 사회적 관계에서 중요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와 또래들을 대상으로 ADHD에 대한 이해 및 교육을 위한 지원이 제공될 필요가 있겠다.

      •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지각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미아 부산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통놀이를 활용한 운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지각과 운동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전통놀이 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지각에 효과가 있는가? 2)전통놀이 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의 운동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3)전통놀이 프로그램 참여는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적유능성지각과 실제 운동능력 간 상관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3개 중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중등부 정신지체학생 14명(여자 8명, 남자 6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도구로 신체유능성지각 검사와 운동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총 12가지 전통놀이를 6주간 각 학교별로 주 3회 총 18회 실시하였다.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지각과 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유능성지각과 운동능력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놀이 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의 스킵을 비롯하여 제자리멀리뛰기, 공치기, 던져넣기, 차기, 잡기 등과 같은 운동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놀이 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지각 향상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놀이 프로그램 참여는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지각과 실제 운동능력 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two purposes. One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oth traditional play program on the perceived and actual physical competence for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MR). The other is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physical competence in adolescents with MR after traditional play program.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14 students with MR(8 females and 6 males), MA= 13.8. Also,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was measured by administering Pictorial Scales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Ulrich & Collier, 1990). Actual physical competence was measured quantitatively on the 10 gross motor skills represented on the pictorial scale of the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performed for 7 weeks. The traditional play program used as an exercise gross motor skill activity was a 45-minute one. This program put into practice three times a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Second, The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tual physical competence.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physical competence.

      • 베토벤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제5번 F장조 Op.24 '봄'》 분석 연구

        이미아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빈고전주의 음악을 높은 수준으로 완성하고 낭만음악의 길을 열어 교량적 역할을 한 작곡가이다. 베토벤이 살았던 18세기 후반은 프랑스 혁명(1789), 여러 전쟁들과 산업 혁 명 등의 사회 변화가 많이 일어나던 시기였다. 시민계급이 생겨나고 중산 층이 성장하여 귀족들의 전유물이던 음악 활동은 대중들에게까지 공유 할 수 있게 되었고 실내 음악이 유행하였다. 이 시기 베토벤은 궁정이나 교회 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곡을 하고 귀족들의 후원 아래 자유로운 음악 활동을 하였다. 베토벤은 1797년부터 1812년까지 총 10곡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남겼는 데 18세기에는 바이올린보다 건반 악기 위주의 소나타가 작곡 되던 시대였 다. 베토벤의 초기 바이올린 소나타 Op.12에서도 바이올린보다 피아노의 비중이 높은 경향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할 Op.24는 바이올린이 주제 선율을 먼저 시작하며 비중이 높아지고 뒤의 바이올린 소나타로 갈수 록 두 악기의 비중이 동등해짐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801년에 작곡된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제 5번 F장조 Op.24 ‘봄’≫을 분석하기에 앞서 베토벤 이전의 바로크에서 고 전시대까지의 바이올린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베토벤의 10곡의 바이올린 소나타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Op.24는 제3악장에 스케르초를 넣어 베토벤 의 바이올린 소나타 중에서 처음으로 4악장으로 확대가 된 작품이다. 이 곡은 고전적 형식을 토대로 작곡되었지만 제1악장에서 바이올린이 먼저 주 제 선율을 제시하며 역할이 좀 더 확대되었다. 제2악장에서 제1악장의 동 기를 코다에서 사용하여 악장 간의 통일성을 갖추고 제3악장은 짧고 경쾌 한 스케르초와 트리오로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대화적 진행이 특징이다. 제 4악장은 7부분 론도형식으로 리프레인이 네 번 반복 될 때마다 리듬과 선 율에 변화를 주었다. 베토벤은 이 곡에서 피아노와 바이올린이 서로 주제 선율을 주고받으며 비교적 균형적인 시도를 하게 되고 이후 제9번 소나타 에서 완전한 이중주적 작곡을 시도하여 낭만 시대의 작곡가들에게 이중주 소나타의 모델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