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나무림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개체군에 관한 연구

        이명훈 ( Myung-hoon Y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는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 시 적정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개체군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2010년 8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매토종자 발아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면적과 초본 종수가 0.6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서생물지리학의 이론에 따라 최소생존가능개체군에 적용하여 면적과 유의성이 있는 네 변수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목본 종수, 목본 개체수, 초본 종수 및 초본 개체수 모두 5% 이내에서 유의하며, 회귀함수의 설명력은 58.3%였다. 종수와 개체수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한 개의 함수가 유의하였으며 함수의 설명력은 82.4%이고, 유의수준 1% 이내에서 정준함수의 정준근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 소나무림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 개체군의 크기는 면적 64m²이상, 종수 21종 이상, 개체수 120개체 이상을 권장하며 초본 종수의 영향에 따라 매토종자군집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의 적용 시 초본 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minimum viable population of a seed bank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pine forest using a seed bank. It examined the germinated soil seed bank from August 2010 to November 2011.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rea and the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were the highest at 0.686.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four variables including the number of woody species, the number of woody individuals, the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and the number of herbaceous individuals using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to the minimum viable population in studied plots showed that all four variables were significant with area at the level of 0.05, and R square was 0.583. One function was selected between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from th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function square was 0.824. Both canonical function and squared canonical correlation showed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01. The result of study recommended the area size of the minimum viable population in pine forest applied by seed bank to be larger than 64m², the number of species to be over 21, and the number of population to be over 120. It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determined the cluster size of the seed ban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erbaceous species that appear in the seed bank.

      • KCI등재

        매토종자와 현존식생과의 관계

        이명훈 ( Myung Hoon Yi ),김용식 ( Yong Shik Kim ),김도균 ( Do Gyun Kim ),박석곤 ( Seok Gon Park ),신현탁 ( Hyun Tak Shi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6

        현존식생이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소나무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 표토를 채취하여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유리온실로 옮긴 후 매토종자를 스티로폼 상자에 넣어 발아실험을 통해 매토종자 집단의 종조성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표토를 재취한 두 군락의 자생지에서 층위별, 군락별 및 수종별로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 및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매토종자에서 두 군락의 초본층에 출현한 식물종이 교목층과 아교목층, 관목층의 식물종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출현하였다. 두 군락 간 매토종자의 종수와 개체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현존식생과 매토종자에 공통으로 출현한 식물종수는 두 군락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매토종자에서 발아한 두 군락의 목본종은 천이중간 또는 후기의 수종보다 선구종 또는 주연부 수종의 발아율이 높았다. 따라서, 군락의 초본층 식물종이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우리나라의 동일한 삼림대와 위도를 고려한 군락별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존식생의 선구종 또는 주연부 수종이 매토종자로서 표토에 축적될 가능성이 높고, 이 수종이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influences the actual vegetation between the communlt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in southern Korea to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eed bank in the top soil.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tudied plots and transported to the Experimental Glasshouse at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and examined the germinated species individual numbers with species composition and germinated individual numbers by species. The overall germination status was the highest in the herbaceous layers than the layers of tree, sub-tree and shrub,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and between actual vegetation and seed bank in the two communities. The woody species marked in the seed bank as a pioneer or edge species than in the two communities which are in the stage of mid or late successional species. Although the plant species in the herbaceous layers was highly influenced to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eed bank, but no significantly different was showed within the same forest zone and latitudes of Korean peninsula. As the pioneer or edge species of the actual vegetation possibly will be higher the buried in the top soil layer and this phenomenon will influence overall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ed bank population.

      • KCI등재

        천성산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생육환경

        이명훈(Myung Hoon Yi),유성태(Sung Tae Yoo),장정걸(Jeong Gul Ja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4 No.4

        주걱댕강나무는 세계적으로 중국 남부・일본 혼슈 이남에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경상남도 양산시 천성산에만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2003년도에 국내 야생 존재가 보고된 이래지금까지 식생구조나 생육특성 등 일체 선행연구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걱댕강나무 집단의 분포범위, 생육환경과 개체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주걱댕강나무의 적절한 현지 내・외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한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범위는 지리적으로 북위 35°24 58 에서 35°26 35 , 동경 129°05 43 에서 129°07 04 사이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도는 98 ~ 592 m, 반경 1.8 ㎞ 범위 내 능선과 사면, 계곡부 등 사방에걸쳐 햇빛이 어느 정도 확보되는 곳에서 소규모 군락형태로 관찰되었다.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식생구조는 소나무군집, 신갈나무-주걱댕강나무군집, 졸참나무-주걱댕강나무군집, 개서어나무아군집으로 분류되었고, 교목층을 우점하는 특정 분류군(소나무, 참나무류, 개서어나무)의 편중으로 종간 균등성은 낮았으며, 우점도 또한 특정 종 우점에 근접하는 식생형을 보였다. 주걱댕강나무 개체군 20개 조사구에서 측정한 전 분류군의 평균 수고는 교목층 8 ~ 13 m, 아교목층 3.4 ~ 6 m, 관목층1.2 ~ 1.7 m, 초본층 0.2 ~ 0.7 m 범위의 다층구조로 형성되어있었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비교적 높은 특징을 보였으나 모든조사구에서 토양산도(pH) 4.2 ~ 4.9의 강산성을 띠고 있어 식물생육에 요구되는 유효인산, 마그네슘 등 필수 원소는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지 내 주걱댕강나무의 엽록소 함량은36.74 ± 2.8로 식물구계학적으로 남부아구에 속하고, 주로 하층식생으로 분포하는 정금나무 집단의 35 ± 5.9와 유사하였으며, 수관열림도가 높아질수록 비례하여 엽록소 함량도 증가하는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은 입지특성과 층위에 따라 신갈나무, 철쭉, 털진달래, 쇠물푸레나무, 생강나무와 높은 양의 식생상관을 보였으며, 다층구조 수관층위에서 최고수고 3.4 m까지 형성되어 있었으나 평균 수고가 1.1 m로 주로 관목층과 초본층에 우점종으로 분포하였다. 주걱댕강나무의 개화 개체 수고는 최소 0.3 m에서 최고 3.4 m 범위였으며, 개화가 집중되는 수고는 1.0 ~ 1.8 m (평균수고 1.39 m) 사이였고, 평균개화율은 27.37%였다. 현지 내 보전에 있어서 임지 내수목의 생장은 기후, 미세지형, 토양조건 등에 의한 입지환경의영향을 크게 받는데, 이러한 입지환경 중 수목의 생육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는 광도와 온・습도 등 기후적인 인자이다. 조사 대상지에서 주걱댕강나무 치수가 많은 곳은 교목층이 없거나 아교목층이 없어 상대적으로 수광이 용이한 곳이었으며, 양지환경을 선호하는 주걱댕강나무 특성을 감안할 때 교목층을우점하고 있는 참나무류와 소나무,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사람주나무, 쇠물푸레나무, 털진달래, 철쭉 그리고 초본층의 조릿대 등과 생육 경쟁관계 형성 또는 이들로 부터 피음을 받을 것으로 보여 주걱댕강나무 집단의 개체수 감소를 방지하고 주걱댕강나무가 선호하는 광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층위별로 밀도조절 등 관리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주변식물 종들의 적절한 제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ange of D. spathulata identified in this survey was between N 35° 24 58 ~ N 35° 26 35 , E 129° 05 43 ~ E 129° 07 04 . It is located at an altitude of 98~592 m. The soil pH was strongly acidic in the range of 4.2~4.9, with a canopy openness of 18.56% and a chlorophyll index of 36.74 ± 2.80. As a result of the TWINSPAN analysis, 20 plots of 100 ㎡ each were divided in 4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monglica-Diabelia spathulata community, Quercus serrata-Diabelia spathulata community and Carpinus tschonoskii subassociation. The result of species diversity was 0.7615, and evenness and dominance were found to be 0.6077 and 0.3923, respectively. The height of D. spathulata is up to 3.4 m, and the average height is 1.1 m, with most of the species distributed as shrubbery and herbaceous. The average population density of the 20 plots was 1.635 individuals/㎡, the height range of flowering was 1.0 ~ 1.8 (aver. 1.39 m) and the rate of flowering was 27.37%. It’s propagation pattern was mainly formed by extending the rhizome to the side, creating a colony of ground stems.

      • KCI등재

        초외생성 검정을 이용한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간제어인과관계 분석: 아시아 5개국을 중심으로 / 논평 / 일반토론

        이명훈 ( Myung Hoon Yi ),송원호,최창규,정지만,박종규,박원암,오완근 한국금융연구원 2007 韓國經濟의 分析 Vol.13 No.1

        그랜저 인과관계에 근거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논문은 제어인과관계와 초외생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 아시아 5개국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금융발전에서 경제성장으로 일방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발전이 경제성장을 야기한다는 견해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한편 말레이시아의 경우에는 경제성장에서 금융발전으로 일방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도네시아와 태국의 경우에는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간에 양방향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간 인과관계의 방향은 아시아 5개국간에 서로 상이하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간 인과관계 방향에 대한 상이한 결과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미시경제학적 분석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에 대한 미시경제학적 접근은 앞으로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Unlike earlier empirical studies, all of which relied essentially on the Granger-causality test, this study utilizes the concepts of control causality and superexogeneity to examine the causality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in five Asian Countries; Korea, Singapore, Malaysia, Indonesia, and Thailand. I find that for the case of Korea and Singapore the financial development control causes the economic growth,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view that ``financial development causes economic growth`` in these countries. In the case of Malaysia, on the other hand, I find that the economic growth control causes the financial development. For Indonesia and Thailand, mutual causality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growth is found. Therefore, overall finding as to the dire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in the finance-growth nexus from five Asian countries is mixed. In evaluating the mixed results for the causal direction in the linkage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I realize that I am in need of the microeconomic analysis of the linkage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In this regard, a clearly promising area of research is microeconomic analysis of the linkage between the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 증권사 IT투자가 수익성에 미친 영향 분석

        이명훈(Yi Myung Hoon),안종길(An Jong-Kil),최창규(Choi Changkyu) 한국경제연구원 2006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6-18 No.-

        증권사의 IT투자 확대가 수익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1992년부터 2004년까지의 금융정보화추진분과위원회가 발표한 「2004년도 금융정보화 추진현황」에 포함된 증권사 자료를 이용하여 수익성 방정식을 설정한 후 계량분석을 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증권사 전체적으로 IT투자의 확대가 증권사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동안 IT투자를 확대해 온 증권사의 전략은 수익성 측면에서 보면 올바른 방향이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대형 증권사의 경우에는 IT투자의 확대가 규모의 경제를 가져와 수익성을 높이는 효과가 뚜렷이 나타난 반면, 중소형 증권사의 경우에는 IT투자의 확대가 수익성을 증대시키는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하면 중소형 증권사가 대형 증권사와 동일한 IT투자 증대전략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Using IT investment data of 24 securities companies from 1992 to 2004 which are from Payment Systems & Treasury Service Department of the Bank of Korea, the effect of IT investments of securities companies on the profitability is analyzed. The IT investment proved to improve the profitability of all securities companies in consideration by pooled OLS model, random effects model, and fixed effects model. This positive effect of IT investments on the profitability of securities companies holds for big-sized securities companies. However, this effect is not detected for small- and medium-sized securities companies. Thes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overall, the strategy of increasing IT investments by our securities companies has been desirable. 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securities companies may have to reconsider their IT investment strategies.

      • KCI등재

        마을숲 유형에 따른 수종분포와 관리현황 -경산시 마을숲을 대상으로-

        이명훈 ( Myung Hoon Yi ),김용식 ( Yong Shik Kim ),신현탁 ( Hyun Tak Shi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6

        경산시에 있는 32개의 마을숲을 전수조사 하여 입지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을 분류한 바, 동구숲 8개소(25.0%), 동산숲 6개소(18.8%), 하천숲 7개소(21.9%) 및 마을주변숲 11개소(34.4%)를 확인하였다 동구숲에 출현하는 주요 수종은 느티나무가 34.3%, 은행나무가 11.2% 및 아까시나무가 10.5% 등을 확인하였으며, 동산숲의 경우 소나무가 56.8%, 상수리나무가 26.4% 및 느티나무가 4.3% 등을 확인하였다. 하천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40.4%, 왕버들이 27.1% 및 말채나무가 5.5% 등을 확인하였으며, 마을주변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21.7%, 상수리나무가 10.8% 및 말채나무가 8.9% 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마을숲의 대부분(71.9%)은 도로 때문에 분획화되어 서식처의 기능이 축소되었다. 마을숲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마을숲 복원을 위한 후대목의 육성 그리고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마을숲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등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types of village forest in Gyeongsan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a total of 32 village fores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indicated that village forests in Gyeongsan City can be classified as 8 village enterance forests(25.0%), 6 hillside forests(18.8%), 7 streamside forests(21.9%), and 11 village peripheral forests(34.4%). The major tree species in the village enterance forests are as follows: Zelkova serrata(34.3%), Ginkgo biloba(11.2%) and Robinia pseudoacacia(10.5%). The major tree species in hillside forests are: Pinus densiflora(56.8%), Quercus acutissima(26.4%) and Zelkova serrata(4.3%). The major tree species in the streamside forests are: Zelkova serrata(40.4%), Salix chaenomeloides var. chaenomeloides(27.1%) and Cornus wateri(5.5%). The major tree species in the village peripheral forests are: Zelkova serrata(21.7%), Quercus acutissima(10.8%) and Cornus walteri(8.9%). The habitat fragmentation due to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function of habitats for village forests has deteriorated. In order to improve it, the management plan should be implemented and the seedlings of village forest tree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and propagated. Furthermore, the public should be educated about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developing those village forests.

      • KCI등재

        종자파종과 삽목을 활용한 희귀식물 주걱댕강나무의 증식 특성

        장정걸,이명훈,Jeong Gul Jang,Myung Hoon Yi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Di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Landrein through seeding and cutting methods. The seed germination rate was meager (0.22~3.56%). In hardwood cutting, the highest rooting rate was 36.1% in sand + perlite (2:1) and 37.8% in 1000 PPM of IBA pre-treatment. Softwood cutting showed the highest rooting rate when the cutting diameter was 3 to 5 mm and the cutting length was 7 to 8 cm. In particular, the highest rooting rate of 80% was observed in the sand among the 8 cultivation media treatments. In the case of root cuttings, the rooting rate was 83.3~96.7% in all cultivation media. The highest rooting rate was observed when the diameter of the cutting was 7 to 8 mm, and the length of the cutting was about 10 to 11 cm. Among cutting methods, root cutting showed the highest rooting rate. Division showed a 100% rooting rate regardless of size or growth status. For Di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Landrein, propagation by cuttings was more efficient than seeding. However, Further research on th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and dormancy break of seeds is needed for seed propa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