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지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명심(Lee Myung 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서지능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및 일반 대학생의 내용 검토 및 의견 수렴을 통해 측정도구의 내용 및 안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자기정서인식 4문항, 타인정서인식 6문항, 정서표현 3문항, 감정이입 3문항, 정서조절 4문항, 정서활용 4문항, 대인관계기술 4문항, 총 28개 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정서지능 측정도구를 분석한 결과, 총 7개 요인을 측정하는 문항들은 .89이상의 내적일치도를 보였으며 적절한 요인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조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대학생 정서지능 측정도구의 모델 적합도가 타당하였고,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역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가정한 의사소통능력, 한국판 단축 공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준비행동과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정서지능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that scal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and to test their validity. To do so, a preliminary survey was developed based on extant research on emotional intelligence, checking content and facial validity with the review and feedback from experts and the average college students. Next, analyzing data from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 a total of 28 questions were finalized, which are: four questions for self-emotion appraisal , six questions for other’s emotion appraisal, three questions for emotion expression, three questions for empathy, four questions for regulation of emotion, four questions for use of emotion, and four questions for relationship management. Analyzing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questions that measure a total of seven factors had a Cronbach’s α of over 0.89 which represents that it has a reasonable factor structure. In addition, from the factor analysis to test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model suitability of the scale were valid, as well a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esting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Communicative Competence, Korean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Short, career decision - making self -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we had hypothesized, al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outcome shows that of Scale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is valid and reliabl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평생교육정책에 대한 비교분석 및 시사점 - 역사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

        이명심(Myung-Sim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독일의 평생교육정책을 역사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의 평생교육정책에 바람직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독일의 평생교육에 대한 연구논문과 독일 연방 교육연구부(BMBF), 독일 성인교육연구소(DIE), 독일 성인교육협회(DVV), 유럽 성인교육협회(EAEA), 유네스코 평생학습연구소(UIL)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한 실무자료 등을 활용하여 한국과 독일의 평생교육정책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독일의 평생교육정책은 지역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가운데, 사회적·직업적 전문성 향상을 촉진하고 있으며, 한국의 평생교육정책은 정치적 민감성 때문에 시민교육이 지자체 단위의 평생교육 차원에서 미비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독일의 경우 평생교육 참여가 용이한 환경에 대한 구축을 통하여 평생교육 참여율에 대한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반해 한국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선진국에 비해 낮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평생교육정책은 교육에 있어서 독립이라는 이념적 원칙에 따라 사회의 요구에 자연스러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그에 반해 한국의 평생교육정책은 중앙정부에 의해 통제되는 경향이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독일의 평생교육정책은 한국의 평생교육정책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학습자의 교육 수요가 다양해짐에 따라 공급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체계에 대한 확대이다. 둘째, 직업분야의 평생교육에 대한 활성화이다. 셋째, 양질의 평생학습 지원을 위한 평생교육 예산 확대이다. 넷째, 지속가능한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in Korea and Germany, focusing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and to explore desirable ways to develop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in Korea. To this end, We compared and analyzed Korea and Germany"s lifelong education policy using research papers on lifelong education and practical data published by BMBF, DIE, DVV, EAEA, UIL, and NILE. As a result of the study, German lifelong education policy has improved social and vocational professionalism running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of region, Korean lifelong education policy lacks civic education in terms of local lifelong education due to political sensitivity. In addition, Germany is expanding the participation rate of lifelong education by constructing an environment where it is easy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while Korea"s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education is lower than that of advanced OECD countries. At last, the German lifelong education policy pursues a natural change in the needs of the society, the ideological principle of which require education be independent. On the other hand, the study confirms that Korean lifelong education policy tends to be control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Germany’s lifelong education polic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Korea’s lifelong education policy. First, This dissertation emphasizes the need for the learner-centered operation as the needs of educational consumers become more diverse. Secondly, It highlights the need for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career education. Third, The expans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budget to support good quality lifelong learning. Fourth, Holistic and long-term system for sustainable lifelong learning society needs to be struct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