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 논문 : 대학"읽기-쓰기"강좌에 대한 학생 요구도 조사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독서학회 2008 독서연구 Vol.0 No.19

        본 연구의 목적은‘읽기-쓰기’강좌와 관련한 연구물 검토와 학생 요구도 조사를 통해 앞으로 의사소통능력 함양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2000년 이후 각 대학은 교양교육의 질 관리라는 차원에서 기존의 국어, 작문 강좌를 폐기하고 다양한 전공 연구자들을 통해 인문적 교양 함양을 위한 의사소통능력 함양 프로그램을 신설하였다. 그 일환으로‘읽기-쓰기’ 강좌가 개설되었고, 이런 프로그램을 운영·관리하는 연구자 및 담당 교수들에 의해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진전되어 왔다. 논의 경향은 교양교육의 목적 및 운영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서부터 프로그램 내용의 선정 및 교수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이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과정 중심의 독서·작문이론이 실제 수업의 현장에서 도외시되고 있다는 의문을 갖게 되었다. 이런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금까지‘읽기-쓰기’ 강좌와 관련해 어떤 연구들이 축적되어 왔으며, 공백인 채로 남아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제시하였다. 즉, 앞으로 수업 및 학생 평가에 관련한 연구가더 이루어져야 하며,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에 관련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개설한‘글읽기와 쓰기’강좌를 수강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생 요구도 조사의 결과 분석 및 해석을 통해, 학생이‘읽기-쓰기’강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수업의 내용?방법 및 질 제고의 차원에서 반드시 고찰되어야 할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각 대학 및 담당 교수들의 관심 대상에서 벗어나 있었다. 셋째,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함양 프로그램이 성공적인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학생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 basic sources for developing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For this study research studies concerning reading and writing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s were reviewed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urses, who were taking the courses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Findings showed that, first,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e ideas of reading and writing that can shap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general education programs.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just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developing a administrative system, the selection of the course contents, and developing instructional methods; second, there is a short of empirical studies on how students perceive the courses they are taking which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designing a quality curriculum.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 need for further research regarding reading and writing courses` assessments and students` evaluations of the courses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what they need for a quality general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두 개의 불경사건(不敬事件)과 천황제교육의 향방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일본이 ‘일본적 근대교육’의 이미지를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두 개의 불경사건, 즉 우치무라 간조와 이노우에 데쓰지로가 연루된 사건을 통해 일본 근대 천 황제교육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논의를 전개한다. 이들 사건은 1891년과 1926년이라는 시간적 간격을 두고 일어났지만, 모두 천황의 위상을 둘러싼 논쟁의 성격을 띤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1930년대 이후의 천 황제교육의 이미지를 확고히 하는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논의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불경사건이 일어났던 1891년과 1926년 전후의 사회·정치적 배경과 각각의 불경사건에서 제시되었던 논쟁의 핵심 내용, 그리고 사건의 경위 등에 관해 검토해 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체제의 유지에 방해가 된다고 판단되는 행동이나 사상에 대해 ‘불경’이라는 이름을 붙여 자유로운 생각의 유포를 차단했던 통제의 방식과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천 황제교육의 이미지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지를 고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feature of the Tenno system education in modern Japan by examining two incidences of lese-majesty related to Uchimura Kanzo and Inoue Tetsujiro. These incidents have a meaning of the control to the thought and the act which resist the Tenno`s authority. Uchimura`s incidence of lese-majesty occurred in 1891. Uchimura who did not pay respect to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in a school ceremony was exposed to blame from students and teachers. The character of this incident was converted into the dispute about the collision with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nd Christianity by Inoue. After all, Uchimura was expelled from the school and the basic principle of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was adopted as contents of school education. The incidence of lese-majesty which involved in Inoue arose in 1926. Because of contents of “Our National Polity and National Morality”(1925) written by Inoue, Inoue was exposed to criticism from the ultra-nationalists. This book was banned and Inoue`s tone of argument returned to the 1910s. The feature of the Tenno system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wo incidences of lese-majesty can be said as follows: a) The incidence of lese-majesty was utiliz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ideology of Tenno system education and to make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into the basic of National Morality; b) Regardless of social standing and political-inclinations, the thought and the act contrary to the basic principle of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became a target of blame; c) The image of the Tenno system education strengthened by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was fixed in the 1930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실업보습학교 제도 연구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4

        본 연구에서는 조선총독부의 식민지교육정책이 일본의 교육정책 및 교육제도의 이식과 변용을거쳐 수행되었다는 문제의식 아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실업교육정책, 특히 실업보습학교 제도의 성립과 전개 과정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첫째로 일제강점기 실업보습학교가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인지를 살펴보았고, 둘째로 일제강점기를 통해 실업보습학교 제도가 어떤 변화 과정을 거쳤는지에 관해 고찰했으며, 셋째로 일제강점기 실업보습학교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제시해 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총독부의 실업보습학교 정책이 일본에서의 정책적 흐름과 궤를 같이하며 진행되기는 했지만, 제도가 충실히 뿌리내리게 하는 정치·사회·경제적 기반의 차이로 인해 조선에서의 실업보습학교 제도는 정책적 지원 없이 조선인의 요구를 최소한의 수준에서 수용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불어 조선총독부의 식민교육정책이 일본의 교육제도 및 교육정책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일국사적 관점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 연구를 통해 최근 회자되는 관계사 또는 트랜스 내셔널적 연구방법의 가능성을 탐색해 볼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해 보고자 했다. In this paper, I focus the discussion on how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policy was formed and changed by the Governor 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discussion bears in mind that the educational policy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developed through a transplant and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educational system in Japan. For this purpose, first, I examine when and where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was started. Second, I investigate the kinds of changes that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underwent in Korea and Japan. This is necessary to grasp the feature of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as well as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clearly. Lastl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 proposed the feature of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s are as follows: (a)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in Korea was the implantation of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from Japan; (b)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while claiming to advocate ‘assimilation’ was based substantially on ‘discrimination’; (c) although the educational policy of Korea should be studied based on Korea and Japan’s relationship, research thus far has examined the policies based on each country’s individual history. I suggest a new method of examination based on the trans-national history of Korea and Japan’s interactions.

      • KCI등재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 -2000년대 중반 이후를 중심으로-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일본에서 발표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에 관해 고찰해 보기로 한다. 교육학의 기초분야 연구에 대한 위기가 회자되는 최근의 한국 상황을 인식하면서, 일본의 연구자들은 어떤 주제와 내용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떤 연구방법을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더불어 일본의 교육사 연구자들이 몸담고 있는 학계의 상황 및 이들이 매년 개최하는 교육사학회의 분위기도 전달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단지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을 살펴본다는 단순한 궁금증 해소를 넘어, 같은 동양 문화권의 인접 국가이면서 서로 다른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생긴 교육사연구 및 교육사학회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사연구와 학회활동의 지점과 방향을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trend on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in Japan after the mid 2000s. I examine the Japanese researchers`s research topics and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ademic journal. Also, I try to understand the academic circumstances through the programs of the academic conference.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variety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To expand the research spectrum of historical studie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verall images of the educational histo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before now, it is ascending the interests to the people``s history, social history, and life history that has been research methods of other fields. To reenact the vivid educational situation of the past, these research methods should be used and applied in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pool the primary sources. A proper view of history is based on the exact record of the past. To collect and organize record of the past, we look for the state aid and the inquiring mind of the researchers.

      • KCI등재

        일본교육철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이명실(Lee, Myung-Sil) 한국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in Japan. I examine the Japan researchers research topics and methods based on analysis of the academic journals, Also, I try to understand the academic research environment through programs of academic conferences.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studies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in Korea. Firstly, that is the necessity to present a variety of research subject and method. To expand the research spectrum of philosophical studi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in other countries and fields. In recent decades the research methods as linguistic analytics, structuralism, and the logic of liberal education have been attracted many atten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hilosophical studies of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or field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foster the younger generation for the activating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studies. Also we should learn how the various and wide researcher pooling system have constructed in other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전공투운동과 ‘자기부정’의 논리 : 도쿄대학 투쟁을 중심으로

        이명실(Lee, Myung-Sil) 한국일본교육학회 2018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3 No.2

        일본에서 학생운동이 1960년대를 상징하는 것이었다고 한다면, 1968년은 니혼대학(日本大学)과 도쿄대학(東京大学)을 시작으로 전개되었던 전공투운동의 시대였다. 1968년 5월 니혼대학에서, 그리고 같은 해 6월 도쿄대학에서 결성된 전공투(全共闘, 전국학생공동투쟁회의)는 1969년 1월경이 되면 대학 측의 학생 분산정책과 기동대 투입, 그리고 정부의 규제 등으로 점차 소멸되어갔지만, 이후에도 전국의 각 대학에서는 전공투가 결성되었고 도쿄대학 전공투의 운동방법이 확산되어 갔다. 전공투는 대학 측과의 대중단체교섭(단코, 団交)을 요구하며 바리케이트를 세워 전체 학교를 봉쇄하는 방식으로 정부나 대학 측과 대립하였고 기존의 학생운동과 달리 정치적 사안에 무관심했던 학생(무관심파, non-political)이나 당파에 속하지 않았던 학생(무당파, non-sect radical)들을 적극 참여토록 하는 조직론을 통해 대중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초기의 전공투운동은 대학의 부정부패에 대한 반발과 학생을 고려하지 않는 권위주의적 대학시스템을 주된 표적의 대상으로 삼아 전개되었지만 점차 민주주의나 평화라는 슬로건이 갖는 허구성이나 자본주의 체제의 비판, 그리고 ‘자기부정’과 ‘대학해체’를 주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전공투운동, 특히 도쿄대전공투에 주목해 그 슬로건의 성립 배경과 그것이 현재 우리사회에서 빈발하는 시민운동에 주는 시사점에 주목에 논의를 전개한다. If the student movement in Japan represented the 1960s, 1968 was the time of the All Campus Joint Struggle Committee(Zenkyōto) struggle. Zenkyōto, which was organized at the Nihon University in May 1968 and at the University of Tokyo in June of the same year, was weakened in January 1969 due to the university’s student decentralization policy, the putting the riot squad and the government’s regulations. Nevertheless, Zenkyōto was organized at various universities across Japan, and the movement’s method and slogan in the University of Tokyo were widely spread. The nascent Zenkyōto movement criticized authoritarian school management, but gradually moved on to asserting that the illusions of the democracy and capitalist systems, and self-negation and university dismantlement.

      • KCI등재

        근대적 교육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전근대적 가치의 위상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0 한국교육사학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18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근대적 국민국가 구축 과정에서 전개되었던 근대교육의 양상과 거기서 강조된 통합 논리의 특징과 의미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근대적 교육의 전개과정에서 근대적 가치와 전근대적 가치가 어떻게 수용되고 배제되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첫째, 근대 공교육 이념이 제도화하는 과정에서 가톨릭을 모든 공적 영역에서 배제했던 프랑스의 라이시테 원칙과 보편적 교육을 강조했던 미국의 커먼스쿨 운동은 전근대적 가치의단절과 근대적 가치의 창출을 전제로 성립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둘째, 근대 일본의 정신적 통합 논리로 제시되었던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조선정부가 추진한 국민국가 만들기의 과정에 나타난 통합 논리는 전근대적 가치와의 단절을 전제로 했던 서구의 경우와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개되었음을 고찰하였다. 셋째, 일본의 식민정부인 조선총독부는 근대적 가치와 전근대적 가치의 단절과 수용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조선인의 정신적 통합을 위한 식민정책을 추진했음을 고찰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종종 보편적 과정으로 인식되는 근대교육의 원칙과 이념은 실제 근대적 교육의 전개 과정에서 각국의 사회?경제?정치적 상황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을 통한 공유된 가치의 필요성을 논할 때 근대적 교육의 이념과 원칙이 여전히 생명력을 가져 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modern educatio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odernized nation in Korea. I examine how modern and premodern values had been accepted and exclud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education. First, I scrutinize how the laicite principle in France and the common school movement in America created the modern values. The laicite principle in France excluded the ideology of Catholic in the institutional process of the modern public education while the common school movement in America emphasized the universal education ideologically. Second, I explore how the ideology of the Emperor system in the Japanese Meiji-government and the logic of the national integration in Joseon Dynasty accepted the pre-modern values. Those values had developed in different ways from the Occident where the pre-modern values had been disregard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Japanese Meiji-government had to accept the ideology of the Emperor system to integrate the nation. The attempt of Joseon Dynasty to reform the nation based on the Confucianism maintained the premodern values. Third, I identify how the Japanese colonial ideology to integrate Korean nation demonstrated the complexity and intricacy of the modern value formation in Korea.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took advantages of two contradictory ideologies: the pre-modern values of Confucianism and the modern values of Christianity. Two combined ideologies rationalized the control of the people in the colonial era. I discuss the complexity and the multi-layered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public education found in the processes of the modern nation formation in many countrie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 방법 재고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에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이 쓴 글을 평가하는데 표준화된 지표는 존재 할 수 있는가? 있다면 그 항목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나?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한 공정성·객관성은 담보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가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먼저, 평가에서 많이 지적되는 점은 평가의 객관성, 공정성의 문제이다. 이는 평가의 기준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거나 기준이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기인한다. 즉 평가자의 기준에 학생들이 동의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도 공감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한다면 공정성, 객관성의 시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기준을 제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목표를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학생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제시해 주어 학습 참여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완성된 글만을 가지고 학생의 전체 글쓰기 능력을 측정할 것이 아니라 글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한 것이다. 즉 결과 평가만이 아니라 과정 평가도, 총괄평가만이 아니라 형성평가와 진단평가도, 그리고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도 활용한다면 평가의 적절성이 보다 담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흔히 평가는 학업 성취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모든 수업 활동이 일단락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꾸어 생각하면 평가는 모든 수업활동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평가의 내용은 당연히 수업에서 도달해야 할 목표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수업 내용이 되며, 다음 수업의 목표 설정과 수업 내용의 결정에 기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따라서 ‘평가’의 의미를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하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Is there a standardized index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made by learners in university? If so, what items are those standardized index made up of? Can we prov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items without raters` subjectivity? It was discussed about w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al programs in university, to have objectivity,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considered in the first place is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evaluation methods. This is due to alterability and ambiguity of those raters` standards, which means that learners don`t agree with the standards of evaluation methods. But if those standards are clear enough to obtain learners` consents, there will not be “right and wrong” on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be defined in behavior terms to present clear standards. These behaviorally stated objectives can make learners know what behavior they should do and participate in an active process which involves active efforts of the learners themselves. Secondly, evaluation methods have to include various kinds of evaluation methods, which means learners` academic writing abilities should not only be evaluated by their written results, but also by their writing process. That is, mor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of the academic writing in university must not only contain evaluation of written results, but also that of writing process. And it also needs not only summation evaluation method, but also formative evaluation metho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 and ability / growth referenced evaluation method. Usually, evaluation is used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or objectives after completion of the whole educational process. However, in other words, evaluation can be starting point of whole educational process. The contents of evaluation can be helpful to decid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o achieve defined goals. It can also afford materials to meet the next educational courses. Therefore, the meaning of “evalu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evaluation on the whole edu- cational processes.”

      • KCI등재

        1910년 전후의 『교육시론(教育時論)』에 나타난 일본인의 ‘조선 및 한국교육’ 인식

        이명실(Lee Myung-Sil) 한국일본교육학회 201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3 No.3

        본 논문에서는 1904년부터 1914년까지 일본에서 발행되었던 『교육시론』을 중심으로 거기에 나타난 일본인의 ‘조선 및 한국교육’ 인식을 고찰해 보았다. 이 시기는 제1-3차에 걸친 한일협약이 체결되어 한국의 재정․외교․교육의 권한이 일본의 간섭 아래 들어갔고, 1910년 일본의 강제병합으로 한국의 주권이 침탈되었던 때였다. 이러한 사회․정치적 변화의 시기에 『교육시론』이 일본의 독자들에게 전달하려 했던 ‘조선 및 한국교육’의 이미지는 어떤 것이었을까? 첫째, 필진들의 ‘한국인 및 한국문화’에 대한 서술은 혐오에 가까운 비하적 표현에서 한국인의 교육가능성을 인정했던 글까지 다양했다. 둘째, 한국의 교육기관으로 서당은 구태나 구습의 이미지로, 사립학교는 종교계 학교에 주목해 서술되었다. 그런데 이들 학교에 대한 조치는 양적규모나 외국과의 국제적 관계 때문에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유학생 수의 증가로 유학생에 대한 인식은 ‘활용’을 강조하는 논조에서 ‘단속’과 ‘규제’를 강조하는 논조로 변화되었다. 이 시기 『교육시론』에 나타난 ‘조선 및 한국교육’에 대한 글은 한일병합 전과 후, 그리고 필진의 한국교육경험에 따라 영향을 받았지만 그 의도가 한국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perception of ‘Joseon and Korean education’ by Japanese in the KyōuikuJiron which was the educational magazine published in Japan from 1904 to 1914. First, the descriptions of ‘Koreans and Korean Culture’ ranged from disparaging expressions to describing educational possibilities. Secon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Seodang was described with an image of old school, while private schools were described focusing on religious schools. Third,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abroad, the perception of foreign students had changed from ‘use’ to ‘restrict’ and ‘regulations’. Although the description of ‘Joseon and Korean Education’ was influenced by whether or not it was pre-1910, there was no doubt that the intention was to ensure the legitimacy of Korean do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