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초음파적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진단 가치

        김정만,이동엽,고인준,이은봉,Kim, Jung-Man,Lee, Dong-Yeob,Koh, In-Jun,Lee, Un-Bong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rrelate the degree of sonographic medial meniscal extrusion with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these 32 patients, with medial meniscal tear who went on arthroscopic surgery, 14 patients had the medial meniscal tear and 18 patients had both lateral and medial meniscal tear. The extent of meniscal extrusion without meniscal tear was assesed in 24 patients who did not show meniscal tear on MRI. The extent of meniscal extrusion was measured between tibial medial joint line (excluded osteophyte) and the outer margin of the medial meniscus. Kellgren-Lawrence grading scale was assessed in plain X-ray image and the location of lesion was assessed during arthroscopic surgery. We also measured the extent of meniscal extrusion on MRI and sonography respectively, and compared each other.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medial meniscal tear and both lateral and medial meniscal tear, patients with medial meniscal tear, patients with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al tear, patients without meniscal tear (P value<0.05). Conclusion: The Meniscus tear must be considered when sonography shows the meniscal extrusion more than 5 mm in length. 목적: 초음파상 진단되는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반월상 연골 파열과 관련된 의의에 대해 자기 공명 영상과 관절경 소견을 연계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내측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있어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던 32예로서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14예, 내측 및 외측 동시 파열 1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반월상 연골 파열이 없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탈출의 정도는 자기공명 영상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이 없는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정도는 골극을 제외한 경골의 내측 관절선부터 내측 반월상 연골의 변연부까지 계측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Lawrence (K-L) 등급을 평가하였고, 관절경 수술 시에 병변의 위치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소견을 비교하여 자기 공명 영상과 초음파에서 반월상 연골의 탈출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관절경 소견 상 반월상 연골 파열이 있는 군 전체,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이 있는 군,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이 동반 파열된 군 들과 파열이 없는 정상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초음파 영상에서 5 mm 이상의 탈출이 있을 때 반월상 연골 파열을 의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

        김정만,이동엽,고인준,김상일,Kim, Jung-Man,Lee, Dong-Yeob,Koh, In-Jun,Kim, Sang-Il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ause of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24 patients with tenderness at pes anserinus, 23 patients were female and 1 patient was male, and their average age was 65.9 years old. We checked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by history taking & physical examniation and then, checked the pes anserinus for the presence of bursitis by US in outpatient clinic. With no evidence of bursitis by US, we injected steroid-lidocaine mixture intraarticularly and checked whether the tenderness disappeared after 2~3 minutes. Results: There was no case with bursitis at pes anserinus by US.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diminished in 2-3 minutes after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the steroid-lidocaine mixture. After 6 weeks follow up, 16 patients(66.7%) had little or no tenderness at pes anserinus. 8 cases had the recurrence of tenderness recurred, 4 cases underwent arthroscopic operation on the meniscal tear, and 1 case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All cases underwent any operations had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disappeared. The others 3 cases did not undergo total knee arthroplasty despite of radiologic obliteration of knee joint adequate for Kellgren-Lawrence grade IV. Conclusion: Without the bursitis at Pes Anserinus, patients the osteoarthritis may have the tenderness due to the referred pain. 목적: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거위발 압통이 있었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65.9세, 여자 23명, 남자 1명 이었다. 외래에서 거위발 압통 여부를 문진 및 진찰 소견으로 확인 후 초음파 검사로 거위발 점액낭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점액낭염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관절내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에 주사하고 2~3분 후 압통이 자연 소실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4예의 거위발 압통이 있는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 상 점액낭염이 확인된 예는 없었다.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 주사 한 후 전 예에서 2-3분 후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6주 후 외래 추시 시에 16예(66.7 %)에서는 모두 거위발 압통의 소실 및 관절 내 삼출액이 감소 또는 소실되었다. 6주 추시 시 압통이 재발된 8예 중에서 4예는 반월상 연골의 파열로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고, 1예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을 시행한 전 예에서 추시 시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3예는 Kellgren-Lawrence grade IV로 관절 간격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으나 슬관절 전치환술은 시행하지 않은 예들이었다. 결론: 골 관절염에서 거위발 압통의 원인은 거위발 점액낭염이 없어도 발생하며 그 기전은 연관통으로 생각된다.

      • 초음파를 이용한 슬관절 내측 불안정 평가 -측정기법-

        김정만,이동엽,고인준,김승민,Kim, Jung-Man,Lee, Dong-Yeob,Koh, In-Jun,Kim, Seung-Mi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2

        목적: 슬관절의 내측 측부 인대 손상으로 인한 내측 불안정의 정도 측정 시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동적으로 측정하는 기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내측 측부 인대의 손상이 있었던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관찰 시에 손상 직후 운동제한 보조기(limited motion brace)를 착용시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수상 직후, 6주 및 12주에 초음파로 내측 불안정성의 치유 경과를 관찰하였다. 평가는 슬관절을 30도 굴곡시키고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대퇴골의 내측f 상과의 직하부에서 경골의 골 기시부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였다. 결과: 초음파 이용 시 내측 상과(medial epicondyle) 직하부에 골피(cortex)가 직선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부위와 경골 근위부의 관절 연골 둥근 부분 직하부의 골피 시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내반 및 외반은 하지 중력 만을 이용한 생리적 상태로 초음파 시야를 조정하면서 동적으로 측정하여 항상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초음파는 내측 불안정의 정도 평가 시에 내측 측부 인대의 추가 손상 없이 내반 및 외반의 동적 상태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ethod of dynamic sonographic measurements in the evaluation of the MCL injury of the knee joint while applying valgus and varus stres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cases of MCL injury from January to April of 2008 was used for the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medial instability, sonography was used immediately after injury, 6 weeks and 12 week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with limited motion brace. The length between the foot of the medial femoral epicondyle and the most proximal point of the tibial cortex was measured in 30 degrees flexion with valgus and varus stress of the knee joint. Results: The foot of the medial epicondyle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proximal tibial cortex underneath the round portion of the articular cartilage were always able to be seen on ultrasonography, even in varus and valgus stress with gravity in 30 degrees flexion of the knee joint. The results of measurements were always constant. Conclusion: Sonography can be used in evaluation of medial instability under the dynamic valgus and varus stress of the knee joint without further injury.

      • 전방 십자 인대의 일차 봉합술 후 MRI 소견

        김정만,고인준,이동엽,이윤민,Kim, Jung-Man,Koh, In-Jun,Lee, Dong-Yeob,Lee, Yoon-Mi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 후 전방 십자인대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봉합사 견인 결찰(pull-out) 기법으로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을 시행한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1.4개월(범위: 12~60개월)이었다. 외래 방문시 신체 검사 및 KT-1000 arthrometer (MEDmetric, San Diego, CA) 측기로 안정성을 검사하였으며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으로 추적하였다. 남아 있는 활막 소매(synovial sleeve)의 위치로 정의한 파열부의 위치에 따라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제 1군은 파열이 대퇴골 부착 부위부터 근위 1/3 실질부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2군은 파열이 근위 1/3 실질부 보다 원위에 위치하는 경우로 하였다.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소견을 일정한 주기로 촬영하였으며 봉합된 십자인대의 주행 경로, 경계의 명확성, 두께 및 신호 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Lachman검사와 flexion-rotation drawer 검사는 음성이었으며 Pivot-shift 검사는 1도 이하였으며 건측과 환측의 KT-1000 arthrometer 차이는 평균 1.4 mm(범위: -1.0~2.5 mm)로 측정되었다. 파열부 위치에 따른 분류로 제1군은 11예, 제 2군은 6예가 해당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모든 예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전반적인 연속성은 유지되고 있었으나 10예(58.8%)에서 경도의 처진 주행 경로를 보였고 6예(35.3%)에서 경도의 불명확한 경계를 보였으며 8예(47.1%)에서 두께의 증가, 5예(29.4%)에서 신호 강도의 증가를 보였다. 모든 항목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시상면상 제1군의 2예(18.2%), 제 2군의 5예(83.3%), 전체 환자의 7예(41.2%)에서 대퇴골 부착 부위의 후방 변연부 실질부의 국소 결핍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제2군에서 의미 있게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p=0.035). 결론: 일차 봉합술 후 임상적으로 불안정이 없는 슬관절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소견으로 주행 경로의 처짐, 경계의 불명확, 두께 및 신호 강도의 증가, 대퇴 부착 지점의 국소 결핍 등의 비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한편 대퇴 부착부의 국소결핍 소견은 파열의 위치와 관계가 있다. Purpose: To investigate 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of arthroscopic ACL primary repair with sutures pull-out technique were followed for 21.4 months (range: 12 to 60 months). Stability was assessed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KT-1000 arthrometer (MED metric, San Diego, CA) and postoperative MRI checked with tim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ear which was defined with the location of remained synovial sleeve. Group I (11 patients) comprised that the tear was located within proximal 1/3 of ACL substance and group II (6 patients) comprised below proximal 1/3. 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CL were evaluated by its course, sharpness, thickness and signal intensity using 3 grade system and correlated with its location of tear. Results: In all cases, Lachman test and flexion-rotation drawer test were negative, pivot-shift test was less than grade 1 and the mean side-to-side difference by use of KT-1000 arthrometer was 1.4 mm (range: -1.0 to 2.5 mm). The overall continuity of the repaired ACL was well maintained in all cases. However, mild sagging was observed in 10 cases(58.8%), mild obscure contour in 6 cases (35.3%), increased thickness in 8 cases (47.1%) and slight increased signal intensity in 5 cases (29.5%).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parameters between 2 groups. And a focal defect at the femoral attachment site in sagittal image was observed in 7 cases (41.2%) of all patients which comprised 2 cases (18.2%) of group I and 5 cases (83.3%) of group II. It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group II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35). Conclusion: Some abnormal MRI findings such as mild sagged course, obscure contour, increased thickness and signal intensity, the focal defect at femoral attachment site could be observed even though the stability was well maintained clinically. We thought that the focal defect was affected by the location of tear of ACL.

      • SCOPUSKCI등재

        1,2,4-Triazine Ⅰ ; 6-Oxo-1,6-dihydro-1,2,4-triazine 유도체의 Tautomeric 평형에 관한 연구

        이재근,박무덕,이동엽,김우식,Jae-Keun Lee,Moo-Duk Park,Dong-Yeob Lee,Woo-Sik Kim 대한화학회 1988 대한화학회지 Vol.32 No.4

        잘 알려져 있지 않는 6-oxo-1,6-dihydro-1,2,4-triazine 유도체 합성을 시도하였다. 가능한 각 tautomer의 model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들의 UV Spectra를 물과 alcohol용매 상에서 비교하여 tautomeric 평형을 검토하였다. 기대했던 상당량의 6-hydroxy tautomer는 관찰되지 않고 대부분 6-oxo-tautomer로 용액상태에서 존재함을 알았다. Synthesis of 6-oxo-1,6-dihydro-1,2,4-triazine derivatives was tried. The model compounds of the possible tautomers were synthesized. The tautomeric equilibrium of 6-oxo-1,6, dihydro-1,2,4-triazine derivatives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ir UV spectra and those of model compounds. 6-oxo-tautomer was exclusively detected in water and alcohol solutions without observation of the expected 6-hydroxy tautomers.

      • KCI등재

        땅강아지(Gryllotalpa ori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허진철(Jin-Chul Heo),이동엽(Dong-Yeob Lee),손민식(Minsik Son),윤치영(Chi Young Yun),황재삼(Jae-Sam Hwang),강석우(Seok-Woo Kang),김태호(Tae-Ho Kim),이상한(Sang-Ha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4

        동ㆍ식물의 추출물은 예로부터 생약으로 많이 이용이 되었는데, 이는 추출물 내에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 및 화합물을 포함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방에서 누고(樓姑)라고 알려진 땅강아지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와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활성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땅강아지는 DW, DMSO, 에탄올, 메탄올에 추출하였다. 실험 결과 땅강아지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FRAP 활성의 경우 DW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활성의 증가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yclooxygenase-2 promoter의 활성 저해는 DMSO와 에탄올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서 이들 추출물간의 특성을 잘 응용할 경우 항산화 및 항염증에 좋은 생물학적 재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remendous natural product extracts were used as a herb medicine remedy or therapy for centuries. Because these extracts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Gryllotalpa orientalis extract fo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hydroxy radical scarvenging and cyclooxygenase-2 promoter assays. Gryllotalpa orientalis extracts were prepared from solvents such as distilled water (DW), dimethyl sulfoxide (DMSO), ethanol and methanol. The results showed that Gryllotalpa orientalis extracts have potent DPPH (methanol extract), FRAP (DW extract) and hydroxy radical scavenging (DW and methanol extracts) activity than any other extracts used. A significant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Cox-2) promoter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presence of DMSO extract or ethanol extract. Collectively,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Gryllotalpa orientalis extract could be used for anti-oxidant and/or anti-inflammation agent for human or agricultural purpose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지역 신경 차단의 효과

        김정만(Jung-Man Kim),이동엽(Dong-Yeob Lee),고인준(In-Jun Koh),김종익(Jong-Ik Kim),라기항(Ki-Hang R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ropivacaine을 이용한 대퇴 신경, 폐쇄 신경 및 좌골 신경 차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향적 연구 방법으로 2004년 10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3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신 마취를 시행하고 수술 시작 직전 대퇴 신경과 폐쇄 신경을 차단한 139예, 대퇴 신경과 폐쇄 신경 및 좌골 신경을 차단한 123예, 그리고 창상 봉합 시 활액막 및 피하 조직에 lidocaine 국소 마취 만을 시행한 것은 124예이었다. 대퇴 신경을 차단한 예에서는 서혜부 도관을 유치하였고, 수술 10시간 후 도관을 통하여 0.375% ropivacaine을 주입하였다. 통증 정도는 visual analogue scale (VAS)로 수술 당일, 수술 후 24시간, 수술 후 48시간, 수술 후 6일째에 측정하였다. 각 군간의 통증 제어 효과는 one-way ANOVA 및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통계 검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VAS는 대퇴 신경과 폐쇄 신경 차단술을 시행한 군에서 수술 당일, 수술 후 1일, 2일, 6일에 각각 6.3, 5.6, 5.3, 4.7이었으며, 대퇴 신경과 폐쇄 신경 및 좌골 신경 차단술을 모두 시행한 경우에는 3.9, 4.3, 3.5, 1.9이었고, lidocaine 국소 마취의 경우에는 7.1, 6.1, 5.8, 5.2로 세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좌골 신경 마취를 추가한 군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다(p<.000l). 결론: ropivacaine을 이용한 지역 신경 차단술은 lidocaine 국소 마취보다 수술 후 통증 경감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대퇴 신경과 폐쇄 신경을 차단한 경우보다 좌골 신경을 추가적으로 차단한 경우에서 통증 경감 효과가 유의하게 좋았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emoral, obturator, and sciatic nerve regional blocks with using ropivacain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s a prospective study, we performed total knee arthroplasty for 383 patients from Oct. 2004 to Feb. 2009. There was 139 cases of femoral and obturator nerve regional block, 123 cases of femoral, obturator, and sciatic nerve regional block, and 121 cases of lidocaine local anesthesia at the synovium and subcutaneous tissue during wound closure. All the femoral nerve block cases used a femoral catheter for an additional ropivacaine injection at 10 hours after surgery. The pain was examin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VAS scores were checked on the day of surgery and at post operative 24 hours, 48 hours and 6 days. The pain control effects among the 3 groups were compared with one-way ANOVA test and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test.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VAS score on the day of surgery and at post operative 24 hours, 48 hours and 6 days in the femoral and obturator nerve block group, were 6.3, 5.6, 5.3, and 4.7, respectively. For the cases of femoral, obturator and sciatic nerve block, the VAS scores were 3.9, 4.3, 3.5 and 1.9, respectively, and the VAS scores in the lidocaine local anesthetic group were 7.1, 6.1, 5.8 and 5.2,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three groups (p<.0001), and the additional sciatic nerve block groups had significant effectiveness. Conclusion: Pain control with the ropivacaine regional nerve block is more effective than the lidocaine local anesthesia, and additional sciatic nerve block is a important factor for decreasing the postoperative pai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