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의 입면 변화에 따른 일사량 분석 -Skyline 변화를 중심으로-

        이덕형,최창호,Lee, Duck-Hyung,Choi, Chang-H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7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27 No.2

        Recently, the point of view about housing environment in the city ha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of the center of housing to the subject of land- utilization-control for interaction of buildings. Right of light is the center of this issue in other words. Also many interests about the beauties of the city have increasing centering around Europe etc. This is to change a city design into the characteristic design from the exiting uniform design. As if reflect this situation, recently we are setting up the night illumination and constructing a building which acted as Land Mark like the Jong-Ro Tower. And Apartment Housing was being built various form deviate from a existing standardized form and skyline. Existing studies about sunshine of Apartment Housing have dealt with just about a standardized Apartment Housing form. So this study analyzed a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for Right of light and change of sunshine environment on Apartment Housing which have a various skyline for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스러움의 전복(顚覆) : 문화코드로서의 유로지비

        이덕형(Lee Duck Hy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1

        러시아 정교문화사에서 독특한 ‘문화코드’를 내포하는 ‘유로지비’ 현상을 러시아-비잔티움의 정교 문화적 전통과도 결부시켜 ‘성스러움의 전복(顚覆)’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본 논문은 초월적 성스러움의 가치 추구를 ‘역으로’ 입증코자 했던 이와 같은 유로지비의 문화 현상이 국지적인 문화적 사실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문화적 이데올로기적 관점들을 반영하는 역동적 문화-실체로 간주한다. 이를 통해 이와 같은 성스러움의 초월적 가치추구가 어떻게 내재화되고 또다시 이것이 어떻게 문화적으로 현시-표상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고찰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뿐만 아니라 문화 현상으로서의 역사적 사실(史實) 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문화 현상이 패러다임으로서의 문화적 코드화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기호론적 관점을 다시금 상기시키고, 이와 같은 문화 코드가 공시적 구조 속에서 또다시 어떻게 의미상의 변천을 거치게 되는가 하는 점을 통시적 역사성의 관점과 병행해서 - 체계들의 체계 - 살펴본다. ‘Holy Fools for Christ's sake’ is a person who acts like a madman or fool but is viewed as a normal person feigning insanity for ascetic purposes. He was called saloi in the Byzantine tradition and was known as jurodivy in Russia. Only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this radical manifestation of Christian kenoticism constitute a particular order of canonized Saints. These saints are also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a special kind of Christian asceticism. Chronologically Holy Fool as a form of ascetic life made its first appearance in Kievan Russia with the conversion to Christianity, and its climax came in the sixteenth century of Muscovite period. In Russian Orthodoxy holy foolishness has long been a mode of popular religiosity; the most popular, a truly national form of ascetic life. The status of Holy Fool within Russian Orthodox Church has changed throughout the history. In the eighteenth century Holy Fool could be detained by the police in lunatic asylum along with conventional madman. But one can see that the paradox of Holy Fool embrace not only the rational but the immoral-ascetic-irrational side of personality. Holy Fool's nakedness and madness are one of the radical form of anti-human culture. However it is not the negation of faith, but negation by means of faith. In this respect askesis is a mean of against sensuality and is akin to the life of ancient cynics. The archetypal patterns of the Holy Fool is a classical variant on the subjet of not only Pushkin and Dostoevsky, but also Russian post-modern novel in which contained the mythopoetic characteristic of the jurodivy as a cultural codes. Like a phenomenon of Holy Fool based on the negation of the beautiful, russian post-modern novel often gravitates toward negative form of Hero. S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mechanism which makes one look for a hidden meaning beneath officially sanctioned representations.

      • KCI등재

        상트페테르부르크 여름 정원의 바로크 알레고리

        이덕형(Lee Duck Hy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여름 정원의 바로크 조각상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언어를 살펴보면서 그 알레고리가 지닌 의미와 더불어 서구 가톨릭 세계의 바로크와 러시아 근대 문화 사이의 길항 관계를 조명해 보는 것에 있다. 러시아 제국의 수도 한 가운데에 이교도의 사유체계였던 그리스 로마 신화의 조각상을 도입하여 서구 유럽의 바로크 스타일과 문화적 소통의 시대를 마련하는 표트르 대제의 개혁은 여름 정원의 조성 과정 속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그가 애착을 보이던 여름 정원의 조경은 러시아의 오랜 정신적 토양이었던 비잔티움 정교회의 상징적인 표상의 전통으로부터 일탈을 의미함과 동시에 러시아의 새로운 근대적 모더니티, 이른바 ‘새로운 러시아’가 시작되는 시대의 상징적 형상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알레고리 언어에 대한 보들레르의 새로운 자각과 이것을 서구 근대의 수사적-문명사적 특성으로 제시하는 가다머와 벤야민, 그리고 폴 리쾨르의 관점을 대조하면서 상트페테르부르크 여름정원의 조각상들이 상정하는 알레고리의 함의를 다루려는 이 논문이 의도하는 바는 알레고리가 지닌 문화적 특성의 또 다른 형식을 - 러시아 근대 문화의 맥락과 대비하여 - 제시하는 것이다. 몽테스키외가 『법의 정신』에서 표트르 대제의 개혁을 평가하고 있듯이 그가 조성한 여름 정원의 조각상은 러시아의 근대를 상징적으로 표상하는 상징 기호이지만 그 조각상의 알레고리는 오히려 러시아 근대 문화의 모더니티에 대한 메타-알레고리가 된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여름 정원에 등장하는 알레고리의 기호를 통해 러시아 근대문화의 모더니티가 지닌 알레고리의 이중적 함의를 살펴보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 KCI등재

        제로 기호(signe zéro)의 부정성과 형식-체계의 내파(內破)

        이덕형(Lee Duck Hy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8 노어노문학 Vol.20 No.4

        이 논문의 목적은 ‘무’ 또는 ‘장소의 부재’로 상징되는 ‘제로 기호’의 속성을 통해 체계의 해체와 내파, 체계의 내부와 외부의 길항 작용, 계사의 현전과 부재의 존재론적 의미를 살펴보고, 러시아 형식주의와 소쉬르를 거쳐 하나는 체코 구조주의와 구조주의, 그리고 후기 구조주의로 이어지는 흐름을, 다른 하나는 소비에트-러시아 내부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된 바흐찐과 로트만의 문화 기호론의 계보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소쉬르와 러시아 형식주의가 제시한 체계성은 이와 같은 계보를 거쳐 이제 해체와 내파를 특징으로 하는 ‘중심의 부재’와 ‘다원적 다중심성’, 그리고 그것으로부터의 탈이데올로기로 인해 새로운 출구를 모색해야 되는 시점에 도달했다. 여기서 우리가 만일 체계를 중심과 동의어적 표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면, 로고스 중심주의의 해체는 동일성을 지향하는 사유 체계의 해체에 상응한다. 그러므로 체계의 내부에 역설과 모순을 배제하거나 그와 같은 대립들을 정반합으로 통일시키는 변증법적 ‘모순의 통일’이 로고스 중심주의의 수사학이었다면, 체계를 해체시키는 모순과 역설이 체계 내부에서 구조적으로 혹은 의미론적으로 순기능의 역할을 보여주는 과정은 ‘모순의 공존’ 또는 ‘모순의 병렬’ 시대를 암시한다. 하이데거의 ‘공존재(mitsein)’를 상기시키는 이와 같은 모순의 공존은 이질적인 것들의 다성성과 잡종성을 ‘하이브리드’ 또는 ‘통섭’이라는 용어로 표현하는 모순-세계화 시대의 특징적인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시대적 에피스테메의 원리를 제로 기호(signe zero)의 부정성에서부터 시작하여 고찰한다.

      • KCI등재

        무인 항공기의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C-대역 주파수 상향 변환기 설계

        이덕형(Duck-Hyung Lee),오현석(Hyun-Seok Oh),정해창(Hae-Chang Jeong),염경환(Kyung-Whan Yeom) 한국전자파학회 200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논문에서는 무인 항공기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소요되는 주파수 상향 변환기의 설계, 제작 및 평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무인 항공기내 통신 시스템의 사양은 관제 장비와 무인 항공기간의 최대 통신 거리뿐만 아니라, 배치 및 정비 보수의 용이성을 위해서 특이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결정된 특이성을 고려하여 C-대역 주파수 5.25~5.45 ㎓에 동작하는 주파수 상향 변환기를 설계 구현하였다. 이때 주파수 상향 변환기는 통신 시스템의 최적의 동작을 위하여 일정 출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해 자동 이득 제어 회로를 추가하였다. 제작된 변환기는 -15~-10 ㏈m 입력에 대해 일정 출력 +2±0.5 ㏈m을 출력을 보였다. 또한 전 대역에서의 스퓨리어스가 -60 ㏈c 이하이며 인접 채널에 대한 누설 출력이 -40 ㏈c 이하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무인 항공기 적용 및 주파수 허가 대역의 이동을 고려하여, 주파수 상향 변환기 내의 국부 발진기 신호를 1 ㎒ 간격을 갖는 synthesizer로 구현하였으며, 제작된 synthesizer는 offset 주파수 100 ㎑에서 -100 ㏈c/㎐의 위상잡음 특성을 가진다. In this paper, we present design, fabrication, and measured results for a frequency upconvert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UAV(Unmanned Aerial Vehicle). The specifications of suc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quires the special features of maximum range of communication as well as deployment in UAV and repairing. The frequency upconverter operating at 5.25~5.45 ㎓ in C-band was designed and fabricated considering such special features. The AGC function was included because the required output power should be constant for optimal system operation. The fabricated upconverter showed a constant output power of +2±0.5 ㏈m for the -15~-10 ㏈m input. Spuriouses were below -60 ㏈c and the adjacent leakage power was below -40 ㏈c. In addition, LO sources in the upconverter was implemented using the frequency synthesizer with step 1 ㎒. This is for the application to the situation where multiple UAVs employed and the possible change of the permitted frequency band. The synthesizer showed a phase noise of -100 ㏈c/㎐ at the 100 ㎑ frequency offset.

      • KCI등재

        문화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카톨리코스(katholikos)-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소보르노스치(sobornost')

        이덕형(Lee Duck Hy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보편 교회’를 의미하는 초기 그리스도교의 카톨리코스는 지역적 민족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히브리적 유대교에서 벗어나 전세계적 전인간적 전계층적 보편성을 추구하던 사도 바울의 보편주의 윤리 정신을 반영하는 개념이다. 이 카톨리코스를 통해 그리스도교는 자신의 외연을 로마 제국 전역으로 확장할 수 있었는데, 카콜리코스의 보편 교회 형성에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할 내적 규준으로서의 ‘신앙의 통일’ 문제가 수반되고 있었다. 그리스 교부들은 삼위일체를 ‘존재론적 관계론’으로 보면서, 삼위가 자신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서로 연관을 맺으며 일체로 향한다는 ‘페리코레시스적 삼위일체’를 마련했다. 동방 그리스교부들의 신학의 중심에 놓여 있는 이 페리코레시스적 삼위일체는 오늘날의 융복합 시대에 자주 언급되는 ‘컨버젼스(convergence)’와 매우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것은 네스토리우스의 ‘시나페이아(synapheia)’처럼 ‘연합’하는 것도 아니고,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의 ‘신크라시스(syncrasis)’처럼 ‘혼합’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인터넷의 정보를 허브를 공유하듯이 자신의 본성은 변하지 않으면서 세 개의 위격 사이를 서로 상호 소통하는 일체를 말한다. 그러므로 키예프 루시가 10세기에 들어와 정교를 수용한 것은 페리코레시스의 삼위일체적 관점을 수용한 것에 다름 아니다. 이때 카톨리코스의 러시아 역어인 ‘사보르니(соборный)’라는 말이 사용되면서,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호먀코프와 슬라브주의자들에 의해 부각되는 소보르노스치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특히 19세기에 들어와 소보르노스치는 ‘러시아 이념’ 속에서 러시아 정신을 이해하는 단서이자 중심으로 대두되면서, 다양하고 이질적인 의미론적 혼종성의 스펙트럼을 형성하게 된다. 솔로비요프에게서는 소보르노스치적인 총체적 인식 체계인 ‘전일성의 사유’와 페리코레시스를 응용한 ‘사회적 삼위일체’가, 니콜라이 페도로프에게서는 불멸과 부활이라는 공통의 과제가, 그리고 1920년대의 유라시아주의가 바로 소보르노스치 개념의 연장선상에서 등장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카톨리코스-페리코레시스-소보르노스치’를 교리신학적인 개념을 넘어서는 문화적 패러다임으로 파악하면서, 이 개념들이 역사 속에서 노정하는 이데올로기의 모자이크적인 융복합의 성격을 고찰한다. Katholikos-Perichoresis-Sobornost' as Cultural Paradigm which is the main theme of this article means not only the sum total of all christian dogma but also cultural mosaic concepts established especially by the Eastern Christian community. For the first time when Ignatius wrote the letter to Smyrnaeans in the year 107, the word katholikos used as universal or general Church. After this about 4th century in the catholic church appeared Trinitarian theology as ‘regula fidei’. One of the Cappadocian Greek Fathers Gregory of Nazianzus who was deeply inherited to Platonism used the term ‘perichoresis’. He thought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Triune God is intensified by the relationship of perichoresis translated in latin word as circumincession. For him perichoresis regarded as the interrelationship or interpenetration of the Person of the Trinity. This is the dynamic circulation of love and freedom from each Person to the other in the Divine Communion. The doctrine of perichoresis has been important for a number of Eastern Orthodox theologians. In the 10th century the conversion of Kievan Rus' to Orthodox Christianity was a favorable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russian culture. Along with the byzantine influence on the realm of theology, the word katholikos was translated in Slavonic Church ‘sobornyi’ which can mean gathering, council, or cathedral. The sobornyi character of the Eastern Church is assured its faithful preservation of dogma and doctrine so-called ‘traditio apostola’. For Khomiakov, the true Church - unity par excellence - remains the Eastern Orthodox Church, because she has remained sobornyi. Khomiakov's concept of Church involves many characteristics with his ideal of Russia.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Khomiakov the soul of Orthodoxy is sobornost', what is known as integral conciliarity. His interpretation of the word sobornost' developped also in the philosophical system of Soloviev's uni-totality and the theory of Eurasian community.

      • KCI등재

        커튼월 내부 공기층의 BACK PANEL 표면온도에 관한 연구

        이덕형(Duck-Hyung Lee),손원득(Won-Tug Son),최현상(Hyun-Sang Choi),최영식(Young-Sik Choi) 한국산업융합학회 2011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14 No.3

        When applying back panel(this material is aluminum complex panel coated with fire resistance substances) for curtain wall, solar radiation and heat storage of indoor air occurs to result in thermal warpage for back panel.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find out the cause of thermal warpage and come up with a solution to prevent changes of back panel and reduce elements that bring negative visual elements. Also to solve this problem analyse that case to reduce heat transfer by inserting additional material and cases to increase air space d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