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천식환자에 대한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

        이덕순,김찬규,조병모,Lee, Duck-Soon,Kim, Chan-Kyu,Cho, Byeong-Mo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02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9 No.1

        The asthma is a clinical syndrome having three symptoms; dyspnea, wheezing and coughing, due to the narrowing of trachea in pulmonary system. Specially the asthma is common in children.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Treatment as to asthmatic children. The Kinesio Taping Treatment was used on the Pectoralis major and Posterior diaphragm of twenty five asthmatic children(19 male, 6 female) for the period from September 1, 2001 to September 20, 2001. Peak expiratory flow rate(PEFR) for the condition of pulmonary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Pocket Peak and wheeling and coughing symptom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using the taping and after the kinesio taping increase of the PEFR(p<0.001).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using the kinesio taping and after the kinesio taping improvement of the wheezing sign(p<0.001).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using the kinesio taping and after the kinesio taping improvement of the coughing symptom(p<0.001).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비교 연구: 시각장애 고등학교 및 전공과 교육과정 편제를 중심으로

        이덕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2

        This study has its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by suggesting the discourse on the expansion of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based on internationally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and Japanese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finding a way of expanding vocational subjects through consideration and review of the current vocational education structure in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researched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and Japan and the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focusing the examples of high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are lacking in consideration for the properties and requests of various disabilities and the number of courses and subjects available (18 courses in 9 subjects) is significantly limited. For example, the result shows that the vocational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Japan are 77 courses in 12 subjects and the specialized(vocational) curriculum for general students in Korea who show almost identical quality in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performance capability are 448 courses in 10 categories. Based on this finding,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ocational education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s in Korea who need special education are significantly limited compared with their various types of impairments and selectable occupations. Second, the elective curriculum serves as provision of various opportunities. For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must provide more opportunities by organizing and forming various elective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 with disability in curriculum of the national level like specialized elective subjects in the option-centered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or the various vo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in Japan. Third, it was suggested that, as a specific improvement method, it is necessary to seek a drastic expansion of the scope and number of vocational subjects and courses for the students who currently need special education and to consider a plan for organizing curriculum which can provide more in-depth and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 with disability by converting the detailed courses that are categorized by subjects in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to regular subjects like ‘Medical Massage’ subject. Fourth,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re as follows; ⅰ) reorganization of the vocational curriculum which are not organized in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but which are internally organized in many special education schools(classes) into a new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ⅱ) as in case of Japan, the identification of a plan for expanding various kind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ther than ‘Medical Mass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ho have no choice but to select the vocational curriculum limited to ‘Medical Massage’, ⅲ)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various vocational subject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ⅳ) in case of the vocational subjects established by schools, the provision of various supports according to organization of new curriculum (such as provision of additional teachers, development of course books, provision of funds for publishing such books, etc). 본 연구는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검토 및 재고를 통해 직업 교과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를 통해서 한국에서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확대에 대한 담론(談論)을 제기하여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국가 수준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과 시각장애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은 다양한 장애영역의 특성 및 요구에 따른 고려가 상당히 미흡하며, 선택할 수 있는 교과 및 과목 수(9개 교과 18개 과목)도 지나치게 제한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의 경우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한 직업교육과정은 12개 교과 77개 과목이며, 한국의 경우도 발달수준과 학업수행능력에서 거의 동질적인 특성을 보이는 일반학생들을 위한 전문(직업)교육과정은 10개 계열 448개 과목으로 세분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한국의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와 과목 수는 다양한 장애영역 및 선택 가능 직종에 비해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 교육과정의 기능은 다양한 기회를 부여하는 것인 만큼 이를 위해 한국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도 일반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전문 선택 교과나 일본의 다양한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처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장애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선택 교과 및 과목들을 구성하고 편제하여 보다 많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구체적인 개선 방법으로는 현행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 및 과목의 범위와 수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서 교과별로 영역화되어 있는 세부 분야를 ‘이료’ 교과처럼 과목으로 전환하여 장애학생들에게 보다 심도 있고 전문성 있는 직업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 방안들을 강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제언으로, 국가 수준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지 않지만 많은 특수학교(급)에서 자체적으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직업 교과들을 국가 수준 직업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이료’ 교과로 제한된 직업교육과정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해 일본의 예처럼 ‘이료’ 외의 다른 종류의 직업 교과를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정신지체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직업 교과를 신설·확대하고, 학교 자체 설치 직업 교과의 경우에는 신설 교육과정 편제에 따른 제반 지원책(교사수급 추가 지원, 교과용도서 개발 및 편찬 경비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점자 읽기 · 쓰기 준비도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덕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8 시각장애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rope a plan to apply braille points education through rhetorical embellishments happened by proposing a new prospect of education for reading/writing braille points before entering school and a basic plan to embody a program of blind children for reading and writing on the basis of the search for domestic/foreign braille points learning program for children. To settle the problem of the study, the study used literary study.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rough the literary study, educat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by reflecting education program for reading/writing braille points in the process of kindergarten education to improve rhetorical embellishments of blind children positively before entering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proposed contents for reading/writing braille points design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on domestic/foreign braille points program and the appendix to be the basic data by reorganizing them according to each unit school's actual conditions and infants and children's characteristics. 이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점자 읽기ㆍ쓰기 준비도 교육의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 발생적 문식성을 통한 점자 준비도 교육의 적용 방안, 국내외 유아용 점자 학습 프로그램 사례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시각장애아동의 점자 읽기ㆍ쓰기 준비도 프로그램 구안을 위한 기초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는 취학 전 시각장애아동이 문식성을 기르려면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부터 점자 읽기ㆍ쓰기 준비도 교육을 적극적으로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 기초 자료로 제공된 국내외 점자 준비도 프로그램과 연구 결과 모색된 점자 읽기ㆍ쓰기 준비도 구안 방안과 내용을 단위학교의 실정이나 유아 및 아동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고찰: 총론을 중심으로

        이덕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9 시각장애연구 Vol.25 No.3

        This research thesis studies the accessibility of the 2008 amended education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to that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focusing on the general guideline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to strengthen the accessibility to educational curriculum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do this, the background for the dire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pecial schooling and for the emphasis on the accessibility to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examined; and based on the generalities, the accessibility of amended edu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to that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analyz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thesis on the basis of th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The particular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on subject curriculum was limited to the level of comparing the general guidelines and particularities, and the research content was studied for through literary research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looking at the tendency of domestic special curriculum, in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general curriculum was the standard since the beginning of special curriculum, and differentiated the period of establishment and revision from general curriculum. With the dualistic system, there have been continuous efforts to reflect the particularity of special education in curriculum, and finally with the seventh revision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fter numerous trial and error did the effort to promote accessibility to general curriculum begin. The tendency of foreign special curriculum shows that many countries are recently making continuous efforts for special education to have access to general education. Also, the background to placing emphasis on the accessibility of special curriculum to general curriculum can be found in the change in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 for special education. Domestically, the broadening of inclusive education promoted the aim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preparing for 'constant revision' system adopted in the 2008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operated as the major factor. Internationally, it is rooted in the search for the accessibility to general curriculum and the connec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of all, after looking at the major revisions of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which is the subject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major revisions were reflected intactly in the revision of generalities of special curriculum, and even in particularities of subject curriculum. Particularities, however, exclude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High School Specialized Vocational Subjects Curriculum . Moreover, after analyzing the accessibility to general curriculum based on the background and fundamental direction of 2008 revisions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the constituting contents of general guidelines, it was concluded that in the case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special curriculum, other than the fact that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s included in the special curriculum, and that the organization, formation, and time (unit) allotment are added to the basic curriculum and the specialized vocational subjects of the elective curriculum, the overall organization and contents were common between the two.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 및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총론을 중심으로 하여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동향 및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조의 배경을 알아보고, 총론을 중심으로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토대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각론인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분석은 총론과 개략적으로 비교하는 수준으로 제한되었으며,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 내용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에는 교육과정 제정 초기부터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학교 교육과정과 제개정 시기를 달리하며 이원적 체제를 가지고 특수교육의 특수성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시도하여 왔으며, 많은 시행착오 끝에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향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국외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동향을 보면, 최근 많은 나라에서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일반교육과정에 접근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조의 배경은 국내외적인 특수교육 환경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국내적으로는 최근 폭넓게 변화되는 통합교육의 확대로 인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와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도입된 ‘수시 개정’ 체제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국제적으로는 많은 국가에서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 및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측면을 상당 부분 모색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둘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인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을 살펴본 결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은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총론의 경우 그대로 반영되었고, 각론인 교과 교육과정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다만, 여기서 각론의 경우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전문직업 교과 교육과정은 제외된다. 그리고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기본 방향 및 총론의 구성 내용을 중심으로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총론에 있어서 두 교육과정 간에는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유치원 교육과정이 포함되고,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전문직업 교과의 구성 및 편제와 시간(단위) 배당 기준이 추가된 것 외에는 전체 구성 체제 및 내용이 대부분 공통적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축제방문객의 방문동기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전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덕순 관광경영학회 2017 관광경영연구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iting motivation of festival visitors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to grasp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Jangsoo Hanwoorang Sagwa rang festival visitors, and two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up. The hypothesis test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festival visitors were the purchase of local goods, the out of routine and relaxation, the fun and interest, but family affection did not affect festival satisfaction. As a result of hypothesis 2, the prior knowledge about the festival visitor s' festival controls the influence of fun and interest motivation on satisfaction. If the visitors who want to meet the desire of fun and interest through visiting a festival have a lot of the prior knowledge about the festival, the satisfaction of the festival becomes bigger.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for potential festival visitors to be fully informed about the elements that can satisfy the fun and interest of the festival in preparation for the festival. Those who want to visit a festival can have various motivations,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ursuing the fun and interest has a big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festival, and for the festival visitors having a lot of the prior knowledge, the influence increases. Therefore, in planning and operating a festival, it is necessary to know how much fun and excitement the festival visitors can have and how effectively the information can be communicated in adv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