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CD4<sup>+</sup>CD25<sup>+</sup> T세포의 분포와 이식편대숙주병

        이대형,정낙균,정대철,조빈,김학기,Lee, Dae Hyoung,Chung, Nak Gyun,Jeong, Dae Chul,Cho, Bin,Kim, Hack K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12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공여자의 이식편과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에서 $CD4^+CD25^+$ T 세포 분획의 분포를 알아보고 급성 이식편대숙주병(GVHD)과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17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받은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검체를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과 절대 세포수를 알아보았다. 결 과: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은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에서 각각 0.90%, 1.06%이었으며 차이가 없었다(P=0.62).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절대수는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이 각각 $6.18{\times}10^5/kg$와 $25.85{\times}10^5/kg$으로 급성 GVHD 비발생군이 발생군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9). 급성 GVHD 비발생군의 말초혈액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에 2.11%, 3개월에 1.4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28), 급성 GVHD 발생군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각각 2.47%와 2.3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0). 결 론: 본 실험을 통하여 저자들은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분포와 이식 후 환자의 급성 GVHD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은 검증할 수 없었으며 이식 후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에는 조절 T세포보다 GVHD와 연관된 활성화된 T세포의 분획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되나 추가적인 조절 T세포의 표지자를 이용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ies of $CD4^+CD25^+$ T cells in donor graft and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s in recipients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and their association with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Methods : Seventeen children who underwent HSCT were investigated. $CD4^+CD25^+$ T cells in samples from donor grafts and recipient peripheral blood were assessed by flow cytometry at 1 and 3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Results : $CD4^+CD25^+$ T cell frequencies in the graf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cute GVHD (0.90% vs. 1.06%, P=0.62). Absolute $CD4^+CD25^+$ T cell number in graft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acute GVHD than in those without acute GVHD ($6.18{\times}10^5/kg$ vs. $25.85{\times}10^5/kg$, P=0.09). Patients without acute GVH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 percentage at 3 months compared to those at 1 month after HSCT (2.11% vs. 1.43%, P=0.028). However, in patients with acute GVHD, $CD4^+CD25^+$ T cell percentage at 3 months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percentage at 1 month after HSCT (2.47% vs. 2.30%, P=0.5). Conclusion : The effect of frequencies of $CD4^+CD25^+$ T cells in donor grafts on acute GVHD after HSCT could not be identified, and the majority of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s in patients who underwent HSCT may be activated T cells related to acute GVHD rather than regulatory T cells. Further studies with additional markers for regulatory T cells are needed to validate our results.

      • 국산 머루주의 품질 특성 및 생리기능성

        이대형,유형은,이종수,Lee, Dae-hyoung,Yu, Hyung-Eun,Lee, Jo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5 自然科學論文集 Vol.15 No.1

        To develop a new functional fruit win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wild grape wine (WGW)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foreign grape wine (FGW). Ethanol contents of WGW was 11.0%, similar to that of FGW(10.6%), but total acidity(0.67%)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A_{520}$: 0.32) of WGW were higher than those of FGW(0.4%, 0.22). Antioxydant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WGW which is related in anti-aging functionality were 93.6% and 53.0%,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FGW(85.9%, 42.5%). from this results, we concluded domestic wild grape wine is very excellent functional fruit wine.

      • 소아 심부 경부 농양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대형 ( Dae Hyoung Lee ),김선미 ( Sun Mi Kim ),이정현 ( Jung Hyun Lee ),김종현 ( Jong Hyun Kim ),허재균 ( Jae Kyun Hur ),강진한 ( Jin Han Kang ) 대한소아감염학회 2004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1 No.1

        목 적 : 소아 경부 농양은 항생제의 발달과 더불어 감소하는 질병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 발생 사례들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0년간 경험한 소아 경부 농양 사례들의 발생양상, 임상경과, 항생제 감수성과 치료법을 분석하여 향후 이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가톨릭의대 성모자애병원, 성빈센트병원, 성가병원, 의정부 성모병원에서 세균배양검사, 경부 CT, 경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경부 농양으로 진단받은 16세 이하 94례의 소아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검사결과, 치료와 예후에 대한 후향적 자료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1) 2000년부터 경부농양의 연간발생이 증가하였다. 2) 연령 분포는 생후 26일에서 15세(중간값 4세), 남녀비는 1 : 1.04이었다. 3) 임상양상은 발열 73.4%(n=69), 인후통 37.2%(n=35), 경구 섭취량 감소 34%(n=32), 목 주위 통증 27.7%(n=26), 연하통 20.2%(n=19)의 순이었다. 이외 에도 경부 운동 거부 6.4%(n=6), 두통 6.4%(n=6), 사경 4.3%(n=4), 천음 2.1%(n=2), 호흡곤란 2.1%(n=2)이 있었다. 4) 이학적 진찰 소견으로는 경부 종괴 67%(n=63), 인두염 46.8%(n=44), 편도염 36.2%(n=34), 경부 림프선종대 28.7%(n=27), 후인두벽 융기 24.5%(n=23)의 순이었으며 경부강직은 4.3%(n=4)에서 있었다. 5) 경부농양의 위치는 하악하 34%(n=32), 편도주위부 29.7%(n=28), 인두 후부 11.7%(n=11), 이하선내 7.4%(n=7), 인두 주위부 6.4%(n=6), 이외 두 곳 이상에서 발생한 경우가 10.8%(n=10)에서 있었다. 6) 33명의 환자 중 농양과 혈액 세균배양검사에서 총 35례의 균주가 동정되었다. S. aureus 34%(n=12), group A beta hemolytic streptococcus 28.64%(n=10), Viridans Streptococci 14.3%(n=5)의 순이었다. 대부분 그람 양성균으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결과에서, vancomycin 96.4%, 3세대 cephalosporin에 88.9%, cephalothin에 86.4%, penicillin에 51.7%에서 감수성을 보였으며, 그람 음성군에서는 amikacin에 66.7%, 3세대 cephalosporin에 100% 감수성을 보였다. 7) 총 입원일은 9.2±4.4일이었으며, 총 항생제 투여기간은 15.5±5.1일, 이중 정맥 항생제 투여기간은 8.8±4.3일이었다. 8) 일차적으로 선택한 항생제로는 대부분 penicillin이나 1, 2세대 cephalosporin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 중 일부에서는 증상의 호전이 없어 metronidazol이나 clindamycin을 대체 내지 추가하였다. 9) 치료는 항생제만을 사용한 경우 18.1%(n=17), 항생제와 함께 외과적 처치를 병용한 경우 81.9%(n=77)이었으며, 이 두 군간에 입원기간, 총 항생제 투여기간, 정맥 항생제 투여 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 론 : 소아 경부 농양은 최근 들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임상양상도 과거와 다른 경향을 보인다. 조기진단이 가능해 짐에 따라 호흡곤란이나 천명과 같은 기도폐쇄 소견이 감소한데 반해 두통, 경부강직, 경부 운동 거부, 사경과 같은 두경부증상, 증후에서 이상 소견이 증가하고 있다. 원인균은 주로 그람양성균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번 조사 결과 1세대 cephalosporin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임상적으로 안정화 되 있고 기도 폐쇄가 보이지 않는 환아에서 외과적 처치를 병용하는 것이 항생제 치료 기간 및 입원 기간 단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Retropharyngeal and parapharyngeal abscesses are often distinguishable from other head and neck abscesses on clinical grounds, but these infections can combine and the presentations are similar to one another. Because of the advances of antibiotic therapy, the frequency of the diseases decreased considerably, but recently the incidence of neck abscesses has increased. We sought to describe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patients with deep neck abscess, and implications on management. Methods : For 10 year periods, 94 cases of char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ho were diagnosed as neck abscesses aged below 16 years old(between January 1993 to August 2003) in 4 hospitals. Deep neck abscesses were diagnosed by surgical pus drainage, neck CT (homogenous, hypodense area with ring enhancement) and neck sono findings. Results : The annual incidence of deep neck abscess has been increased since 2000.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4 years(range, 26 days∼15 years); 63% of the patients were younger than 5 years. Abscesses in the submandibular space(34%)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peritonsillar space(29.7%), retropharyngeal space(11.7%), combined(10.8%), parotid space(7.4%) and parapharyngeal space(6.4%). Fever(73.4%), sore throat(37.2%), decreased oral intake(34%) and neck pain(27.7%)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In 6 children(6.4%), there was refusal to move neck, in 6(6.4%) headache, and in 4(4.3%) torticollis. Respiratory distress was observed in only 1 patient(2.1%) and stridor in 1 other(2.1%). The most common physical examinations were neck swelling/mass(67%), pharyngitis(46.8%), tonsillitis(36.2 %), and cervical lymphadenopathy(28.7%). Neck stiffness was observed in 4 patients(4.3%). Total 35 organisms were isolated in 33 patients. The most common organisms cultured by patients` blood or pus were S. aureus(34%) and S. pyogenes(28.6%). Most organisms were gram positive, and had sensitivities in vancomycin(96.4%), cefotaxime(88.9%), cephalothin (86.4%), trimethoprime-sulfamethoxazole(83.3%), and clindamycin(77.8%). 77 patients(81.9%) underwent surgery plus antibiotics; 17 patients(18.1%) were treated with antibiotics on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duration of admission, fever after admission, and antibiotic treatment.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deep neck abscess has increased recently and the major symptoms have been changed. The incidence of respiratory distress or stridor is decreasing, while the incidence of abnormal head and neck symptoms and signs like headache, neck stiffness, refusal to move neck, or torticollis are increasing. Gram positive organisms are predominant, S. aureus i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S. pyogenes. 1st generation cephalosporin has high sensitivity on gram positive organisms. Treatment with surgery plus antibiotics dose not significantly decrease total duration of antibiotic treatment or admission compared to treatment with antibiotics alone.

      • SCOPUSKCI등재

        마이크로 웨이브로 처리한 산양삼 첨가가 전통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대형(Dae Hyoung Lee),강희윤(Heui-Yun Kang),이용선(Yong-Seon Lee),조창휘(Chang-Hui Cho),김순재(Soon-Ja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6

        산양삼을 이용한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전통 약주를 개발하기 위해 증자 멥쌀에 140%의 물을 혼합하고, 증자쌀 대비 3%의 개량누룩(Rhizopus sp.)과 1.5%의 건조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여 2일간 20℃에서 발효시켜서 밑술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밑술 대비 200%의 쌀을 첨가한 120%의 물을 혼합하고 정제효소를 0.08% 첨가 한 다음 발효 3일후 산양삼을 첨가하여 20℃에서 발효시켰다. 산양삼 첨가량에 따른 에탄올 생성량을 조사한 결과 산양삼 1.2%를 첨가했을 때 18.5%의 에탄올이 생성되었고 산양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에탄올 생성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증자 발효와 무증자 발효방법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각각 18.0와 18.5%로 증자 발효와 무증자 발효간에 에탄올 생성능에 차이는 없었다. 산양삼 처리 방법에 따른 전통 약주중의 사포닌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한 산양삼을 첨가하여 제조한 산양삼약주의 경우 791 ppm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생 산양삼을 첨가한 시료는 460.69 ppm, 증자한 산양삼 첨가의 경우에는 753.02 ppm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었다.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시간에 따른 산양삼 첨가 약주의 사포닌 함량을 측정할 결과 90초와 120초와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120초가 넘게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했을 경우 산양삼의 외부 조직이 탄화되어 관능적으로 향이 나빠졌으며 맛에서도 좋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산양삼 1.2%를 첨가했을 때 에탄올 생성량과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산양삼을 마이크로웨이브로 90초 처리하여 첨가한 전통 약주가 가장 높은 사포닌 함량을 보였다. To increase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yakju, we prepared seed cultures by fermentation at 20℃ for 2 days after addition of 140% water, 3% nuruk and 1.5% yeast into cooked rice. After the 200% cooked rice, 120% water and 0.08% commercial saccharifying enzyme were added to seed cultures and fermented for 2 days at 20℃, wild ginseng was added and then further fermented for 5 day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yakju were investigated. Ethanol was produced (18.5%) by the addition of 1.2% wild ginseng. However, ethanol content was not increased by addition of microwave treated-wild ginseng and rice (either cooked rice or raw). The traditional yakju obtained by fermentation at 20℃ for 5 days, after 90 sec of microwave treated-wild ginseng was added into main fermentation broth, showed good total acceptability and also contained 791 ppm saponin.

      • KCI등재

        약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효모와 누룩 첨가량의 영향

        이대형 ( Dae Hyoung Lee ),강희윤 ( Heui Yun Kang ),이용선 ( Yong Seon Lee ),조창휘 ( Chang Hui Cho ),김순재 ( Soon Jae Kim ),이종수 ( Jong Soo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39 No.3

        쌀 품종과 발효제 및 효모 첨가량 등이 약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다산쌀, 고아미 2호쌀, 큰눈쌀, 추청쌀, 영안쌀을 이용해서 약주를 제조한 후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알코올함량은 추청쌀을 이용해 제조한 약주가 18.9% 가장 높았고 고아미 2호쌀이 14.0%로 가장 낮았다. 발효 온도에 따른, 누룩과 효모 첨가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20℃에서 누룩 2%, 효모 0.8%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의 알코올 함량이 18.4±0.5%로 최고를 나타내었고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15℃에서 누룩 3%, 효모 0.8%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 역시 알코올 함량이 높고 기호성도 비교적 우수하였다. 담금 회수, 발효방법, 가수량에 따른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발효 3일에는 9.9-10.6%의 에탄올이 생성되었으나 발효 7일에는 17.1-17.2%로 에탄올 생성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멥쌀대비 100%로 급수하여 만든 죽을 3단 담금 하여 발효 시켰을 때 19.2%의 에탄올을 생성하여 가장 높았고 기호도도 우수하였다. Effects of rice varieties, fermentation temperature, nuruks and yeast on the quality of ya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were investigated. Among various yakju made by using some rice varieties, Chucheong yakju produced the highest ethanol of 18.9%. The maximum amount of ethanol was produced when 2% nuruk and 0.8% yeast were added to cooked Chucheong rice and fermented at 20℃ for 10 days. This Chucheong yakju also showed the best overall acceptability.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3 kinds of Chucheong yakju made by cooked rice and uncooked rice and gruel rice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Ethanol contents of uncooked rice- Chucheong yakju and gruel rice- Chucheong yakju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0.6% and 9.9% after 3 days fermentation to 17.1% and 17.2% after 7 days fermentation.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e gruel rice - Chucheong yakju was the best in total acceptability with sweety and refreshing tastes.

      • KCI등재

        누룩 전처리에 따른 약주의 품질 특성

        이대형(Dae Hyoung Lee),서재순(Jae Soon Seo),하태문(Tai Moon Ha),이용선(Yong Seon Lee),조창휘(Chang Hui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2

        본 연구에서는 약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누룩 추출수의 미생물 제어와 누룩 이취 감소 조건을 검토하였다. 누룩추출온도별 효소 활성에서는 50℃ 처리구에서 glucoamylase 효소 활성이 184.3 U/mL를 나타내었다. 효모는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며 특히 60℃ 이상에서는 효모가 사멸하였다. 약주 발효 특성은 발효 기간에 따라서 알코올 생성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브산칼륨 첨가에 따른 α-amylase의 활성은 감소하였다. 소브산칼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효모와 일반세균 모두 감소하였다. 활성탄 종류의 경우 α-amylase 효소 활성은 CN 1 활성탄이 다른 활성탄보다 높은 41.5 U/mL를 나타내었고 많은 알코올을 생성하였다. CN 1 활성탄 100 ppm을 첨가했을 때 약주 제조의 최적 조건이었다. 일반 누룩을 사용한 약주 제조법과 비교했을 때 누룩을 50℃ 추출 시 소브산칼륨 200 ppm을 첨가한 후 CN 1 활성탄 100 ppm을 넣어 만든 누룩 추출수로 약주를 제조했을 때 가장 좋은 약주를 만들 수 있었다. 이때 약주의 특징적 색인 노란색을 나타내는 b 값은 가장 낮은 0.12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위의 방법으로 누룩 추출수를 제조하면 미생물이 감소하면서도 누룩취가 저감된 누룩 추출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누룩 추출수를 약주 발효에 적용하면 안정적인 발효와 함께 누룩취가 저감된 약주를 제조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yakju prepared through reduction with pre-treated nuruk microorganisms, and activated carbon being used to reduce the off-flavor. Glucoamylase enzyme activity with nuruk extraction was determined to be 184.3 U/mL at 50℃. Nuruk microorganisms were observ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and were killed above 60℃. Alcohol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the fermentation period. The activity of α-amylase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otassium sorbate, and increasing amounts of potassium sorbate resulted in decreased numbers of yeast and microorganisms. In nuruk extraction, the use of CN 1 activated carbon showed higher α-amylase activity of 41.5 U/mL, compared with other activated carbons tested. Therefore, high alcohol containing Yakju was produced through fermentation, and was considered best with activated carbon. The optimum amount of CN 1 for Yakju was determined to be 100 ppm. To summarize, our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with the general manufacturing method, premium Yakju was produced when the nuruk was extracted at 50℃ with 200 ppm of potassium sorbate, and fermented by adding 100 ppm of CN 1 activated carbon. The b-value, representing the yellowness index of Yakju, exhibited an SCNE of 0.12.

      • SCOPUSKCI등재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효모 88-4로 제조한 술의 증류 특성

        이대형(Dae-Hyoung Lee),이용선(Yong-Seon Lee),서재순(Jae-Soon Seo),원선이(Seon-Yi Won),조창휘(Chang-Hui Cho),박인태(In-Tae Park),김태완(Tae-Wan Kim),김재호(Jae-Ho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에서는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효모를 이용한 증류주의 제조특성을 검토하였다. 발효 마지막 날의 술덧 분석결과 알코올은 최종 발효 시에는 17.2%를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succinic acid가 최종 발효 시 가장 높은 7,164.7±85.2 ppm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입국에서 유래된 citric acid가 1,995±124.3 ppm로 높게 검출되었다. 증류 조건에 따른 알코올 분석 결과 초류를 7% 버리고 본류를 50%까지 받아 증류 수율이 낮은 증류 조건 6이 알코올이 가장 낮은 29.6±0.0%였으며 본류만 30% 받은 증류 조건 4가 가장 높은 59.9±0.1%였다. n-propanol 분석 결과는 1, 4번 조건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163.4±18.3, 174.0±0.1 ppm이 측정되었고 isobutanol의 경우에도 n-propanol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1, 4번 조건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234.5±28.2, 231.7±1.0 ppm이 측정되었다. Acetaldehyde는 1, 4번 조건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303.4±4.5, 325.4±13.1 ppm이 측정되었다. 증류 직후 공통적으로 14개의 휘발성분이 확인되었고 증류주 전체적으로 높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은 isoamyl alcohol이었다. 초류 커트와 상관없이 본류를 50% 받은 3, 5, 6, 7 번 증류 조건에서 달콤한 향을 나타나는 isobutyl alcohol, pleasant fruit과 floral 향을 내는 ethyl octanoate 높게 검출되었다. 증류 후 관능결과로는 1번 조건이 전체적인 기호도와 종합적 평가(5.8±0.9)에서 가장 좋은 관능평가를 받았다. This study reviews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distilled liquor prepared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88-4 separated from traditional Nuruk. From analysis of soju mash (sool-dut)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17.2% of alcohol was detected in the final fermentation with succinic acid present at the highest level (7,164.3±85.2 ppm). From the analysis of alcohol content in different distillation conditions, distillation condition No. 6 showed the lowest amount of alcohol (29.6±0.0%), whereas distillation condition No. 4 showed the highest amount (59.9±0.1%). N-propanol has been detected at the highest level in distilled liquor under conditions No. 1 and 4, each being 163.4±18.3 and 174.0± 0.1 ppm, respectively. Isobutanol showed a tendency similar to n-propanol. Distilled liquor in conditions No. 1 and 4 has shown the highest acetaldehyde level, each being 303.4±4.5 and 325.4±13.1 ppm, respectively. After distillation, 14 volatile substances were found in common, with isoamyl alcohol present at the highest levels in all the distilled liquors. Distillation conditions No. 3, 5, 6, and 7 have shown high levels of isobutanol that emits a banana-like fragrance and ethyl octanoate that emits a pleasant fruity and floral fragrance.

      • KCI등재

        누룩 사용 발효주로 제조한 증류주의 숙성 용기 및 기간에 따른 특성

        이대형(Dae-Hyoung Lee),박인태(In-Tae Park),이용선(Yong-Seon Lee),서재순(Jae-Soon Seo),정재운(Jae-Woon Jung),김태완(Tae-Wan Kim),김재호(Jae-Ho Kim),안병학(Byung-Hak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0

        본 연구에서는 누룩 사용 발효주로 제조한 증류주를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에 숙성시키며 숙성시간별 증류주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알코올 분석 결과 알코올은 40.4∼39.3%로 시작하였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의 알코올은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휘발 산도는 감압증류 항아리 및 스테인리스 용기 숙성에서 약간 상승하였다. Acetic acid의 함량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 모두에서 변화하지 않았다. 2-Thiobarbituric acid(TBA)는 증류 직후 감압증류가 상압증류보다 낮았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TBA 값은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 모두 큰 변화가 없었다. 숙성에 따른 증류주의 fusel alcohol 중 n-propanol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지 않았으며 iso-butanol은 항아리 숙성의 경우 측정값이 감소하였으나 스테인리스 용기는 변화가 없었다. 향기성분의 경우 항아리 보관에서 증류 직후보다 180일에서 좀 더 다양한 향기 성분이 측정되었으며 특히 고비점의 향기성분들이 많아졌다. 스테인리스 용기 역시 0일차보다 180일에 좀 더 다양한 향기 성분이 나타났으나 그 양은 상대적으로 항아리보다 적었다. 항아리 숙성 관능 결과 180일에는 감압 50 cmHg의 관능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상압 80℃ 증류주는 0일에 비해 180일의 관능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wine using Nuruk according to the type of aging container (jar or stainless container) and aging time. Alcohol analysis was initiated at 40.4~39.3%, and alcohol contents in the jar and stainless container decreased as aging time increased. Volatile acid content slightly increased in the reduced pressure (RP) jar and stainless container and showed a different result in the atmospheric pressure (AP) container. Amount of acetic acid did not change either in the jar or stainless container as aging time increased. In the case of 2-thiobarbituric acid (TBA), RP was lower than AP after distillation, and TBA value did not change much either in the jar or stainless container. In the case of fusel alcohol by aging time, n-propanol content did not increase either in the jar or stainless container as aging time increased. Iso-butanol content was reduced in the jar but did not change in the stainless container. In the AP container, more aromatic components were measured on the 180th day of aging time than after distillation. High boiling point aromatic components increased in particular. In the stainless container, more aromatic components were generated on the 180th day of aging, but their amount was relatively lower than in the jar. In the jar aging sensory test, the sensory score at RP 50 cmHg was highest on the 180th day of aging. In the case of AP 80°C liquor, sensory score on the 180th day was the most improved.

      • SCOPUSKCI등재

        혼합잡곡 증류주 제조를 위한 발효 특성

        이대형(Dae Hyoung Lee),정재운(Jae Woon Jung),이용선(Yong Sun Lee),서재순(Jae Soon Seo),박인태(In Tae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쌀과 다양한 잡곡 원료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발효조건 및 증류 품질을 검토하였다. 잡곡 발효주를 제조 후 증류하여 최적 발효조건 및 증류조건 검토 결과 보리 100% 만으로 발효시킨 경우 알코올이 5.6%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쌀을 이용한 경우 1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수 첨가량을 달리한 실험에서는 대조구로 설정한 수수 무첨가 시료의 경우 알코올이 19.0%로 나타났으며, 수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알코올이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결과에서는 수수 5% 첨가 증류주에서 높은 관능결과를 나타내었다. 입국첨가량에 따른 증류주의 관능평가 결과 입국 7% 첨가시에 향과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좋았으며 입국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기산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분도 쌀 첨가량(40, 50, 60, 70%)에 따른 증류주의 발효특성을 살펴본 결과 알코올과 산도는 첨가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초기 발효에서는 malic acid와 lactic acid였으나 발효 후기에는 citric acid와 lactic acid로 바뀌었다. 최종적으로 발효방식은 동일하게 하면서 원료에 있어 쌀과 혼합잡곡을 이용한 증류주의 관능평가 결과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혼합잡곡 증류주가 약간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향기 성분 분석 결과에서는 부드러운 향을 내는 ethyl palmitate의 %area가 잡곡 증류주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mixed grain-derived hard liquor with enhanced favor and taste. Firs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according to the grain used showed that rice and adlay produced high alcohol outputs of 15.2% and 13.3%, respectively, while that of barley was low at 5.6%. In an experiment in which different amounts sorghum flour were added, the sample without sorghum flour showed an alcohol content of 19.0%. The effect of adding up to 7% ipkuk (koji) was examined in a sensory test. Comprehensive pre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ipkuk.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alyses of distilled liquor into which milled rice (5% degrees of milling of unpolished waxy rice) was added showed that alcohol content and acidity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its addition. Finally, an analysis of aromatic ingredien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ethyl palmitate, which produces a smooth aroma, was the highest in distilled liquor made of mixed gr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