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F_Ring을 이용한 대용량 트래픽 처리 시스템

        이달원(Dalwon Lee),고대식(Dae-Sik Ko),김동환(Donghwan Kim),최상용(Sang-Yong Choi)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The advances in IoT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technologies have enabled various devices to work together, also causing the amount of traffic between systems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se situations, real-time processing of large traffic is critical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al status, failure status, and security threat of the system and network. In this paper, a system using PF_Ring is proposed which is capable of extracting meaningful data from high-capacity traffic of 5Gbps in real-time. The proposed system installed PF_Ring in the Linux system kernel, periodically executed PF_Ring using the Collector Handler to collect traffic and read the data through Packet_preprocessor to operate in parallel. The experiment results hav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fully handle the entire traffic within one minute, which is the next pre-processing cycle, with the loss rate of 0% in processing the 5Gbps collected packets and pre-processing time of approximately 47 seconds.

      • 후면 덧쌓기에서의 침투류 및 사면안정해석

        이달원 ( Dalwon Lee ),노재진 ( Jaejin Noh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 지구를 대상으로 후면 덧쌓기에 의한 둑 높이기 전·후에 정상류와 비정상류 조건으로 홍수위시와 수위급강시의 침투류 해석과 사면안정해석에 의해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둑 높이기 전·후의 정상류와 비정상류에서 공극수압은 상류사면에서는 정(+)의 공극수압을 나타내다가 코어를 통과하면서 급격히 감소하고 하류사면에서는 점차로 부(-)의 공극수압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신설저수지와 접속부에서 넓은 영역으로 분포하고 하류사면에서도 제체 덧쌓기와 매우 다른 정(+)의 공극수압을 나타냈다. 특히 기존저수지와 신설저수지의 접속부에서 공극수압은 수위 급강하시에도 감소하지 않고 크게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제체 덧쌓기와는 다른 설계방법이 고려되고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코어중앙에서 심도별 공극수압 변화는 상부에서는 약간씩 감소하고 하부에서는 거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둑 높이기 전후의 동수경사는 코어 하부에서 1.2∼2.0 범위로 집중되어 파이핑에 대해서 불안정하게 나타났고, 상류와 하류사면에서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둑 높이기 전후의 정상류와 비정상류 조건하에서 총저수량에 대한 1일당 허용누수량과, 제체 100 m당 누수량은 안전관리기준 이내로 나타나서 파이핑에 대해서는 안전하였고, 누수량은 제체 덧쌓기보다 더 작게 나타났다. 3. 둑 높이기 전후의 정상과 비정상류 조건에서 상류와 하류사면의 안전율은 정상상태에서 매우 크게 나타났고 수위가 급강하함에 따라 감소하다가 비정상류 상태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안전율은 둑 높이기 전에는 상류사면이 크고, 둑 높이기 후에는 하류사면이 크게 나타났지만 기준안전율 1.2이내에 포함되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둑 높이기 전후의 과잉공극수압은 상류사면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여 부(-)의 과잉공극수압이 나타났고, 하류사면에서는 매우 작게 나타났다. 평균유효응력은 코어 하부에서 가장 크고 집중적인 분포를 나타내고, 둑 높이기 후에는 점점 더 큰 분포형태를 나타냈다. 둑 높이기 전의 변위는 나타나지 않았고, 둑 높이기 후에는 상류사면에서 0.02∼0.06 m범위로 분포범위가 더 넓게 나타났다.

      • 홍수시 여수토 접속부의 세굴모형실험

        이달원 ( Dalwon Lee ),이태호 ( Taeho Lee ),이영학 ( Younghak Lee ),홍혁기 ( Hyukkee Hong ),홍지혁 ( Jih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농업용 저수지는 모두 측수로형 여수로로 설계 시공되고 있어 구조적으로 최대홍수량이 유입할 경우 수위상승으로 월류량이 급증하면 월류부가 잠류영향을 받게 되므로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되고, 측벽에서 쳐오름 현상으로 월류되기 때문에 여수토 접속부가 세굴되면서 유실이 발생되고 점차적으로 저수지가 완전 붕괴에 이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 강우에 의해 여수토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월류되었을 경우에 붕괴거동을 규명하기 위해 대형모형실험 실시하고, 제체와 여수토 접속부에서의 공극수압, 토압, 침하, 붕괴거동 등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홍수위 상태에서 공극수압은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다가 수위급강하 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고 여수토 접속부에서 약간 크게 나타났다. 토압 변화량은 상류사면과 댐마루에서 급격한 상승과 하강을 나타냈고 나머지 위치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월류시의 공극수압은 초기월류단계에서 상류사면, 여수토 접속부 부근의 댐마루, 하류사면 선단부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나머지 위치에서도 약간씩 증가하였다. 월류량 급증단계에서는 여수토 접속부에서만 약간씩 증가하였고 나머지 위치에서는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첨두월류단계에서는 모든 위치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월류시의 토압은 초기월류단계에서는 상류사면만 약간 증가하였고, 월류량 급증단계에서는 여수토 접속부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나머지 위치에서는 일정하였으며 첨두월류단계에서는 모든 위치에서 큰 증가현상을 나타냈다. 3. 저수지 붕괴 형상은 여수토 방수로에서 일정하게 월류되는 과정을 모사하였기 때문에 월류 초기단계에서는 여수토 접속부부터 점차로 세굴이 발생하였다. 월류량 급증단계에서는 접속부에서 붕괴폭과 깊이가 증가하면서 사면 중앙부근으로 붕괴범위가 확대되었다. 첨두 월류단계에서는 사면전체로 확대되면서 붕괴영역도 커지고 세굴폭과 깊이가 증가하면서 여수토 접속부의 댐마루가 완전히 붕괴되었다. 전반적으로 붕괴형태는 특정한 형태를 나타내지 않고 댐마루를 월류하면서 가장 취약한 부분부터 세굴이 시작되고 세굴폭과 깊이가 증가하였고 붕괴영역이 하류선단부부터 점차로 상부쪽으로 확대되면서 댐마루가 완전히 붕괴되는 거동을 나타냈다.

      • 간척지의 밭기반 조성을 위한 설문조사 연구

        이달원 ( Dalwon Lee ),노재진 ( Jaejin Noh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에서는 석문 간척지구, 새만금 간척지구, 화옹 간척지구, 영산강 간척지구 농업용지에서 효율적인 밭 기반조성을 위하여 간척지구내의 수도작과 전작 재배 농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간척 농지의 작부체계, 영농규모 및 영농수입 수준, 제염관리 및 대책, 토양유실 및 토층개량 등을 조사하고 밭작물 전환시 희망 작목과 정부지원 요구시설 등을 파악하여 밭 기반조성을 위한 설계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1. 석문 간척지구의 작부체계는 수도작 12%, 전작 18%, 겸작 70%로 임대계약형태로 형태로 재배되고 있고, 제염성이 강한 콩, 고추, 마늘 등의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염분피해는 48%로 수확량이 약 30%정도 감소되었고, 토양이 미사질토로 구성되어 배수가 불량하며 수도작 위주로 설계된 배수체계로 인하여 대부분 습해피해가 발생되었다. 수도작에서 전작으로 전환하기를 희망하는 농가는 36% 이고, 정부에 요구하는 지원시설은 보조금 지원>관개 및 배수시설>임대기간 연장>하우스 시설>제염시설>기술교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새만금 간척지구는 경작형태는 수도작 72%, 겸작 21%, 전작 7%이고, 밭작물은 고추>감자>깨>콩>마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염분피해 농가는 36%이고, 생산량 감소는 10~20% 이며 제염대책은 73%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밭전환시 희망재배 작물은 콩>감자>고추>마늘>상추 순으로 나타났고,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등으로 55%가 밭 전환에 반대 하였다. 밭작물 전환 시 정부에 요구하는 지원시설은 관개 및 배수시설, 보조금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3. 화옹지구는 미래형 농업단지 조성모델을 위하여 적용된 시범지구로 가경작 면적 684 ha에서 임시 및 일시경작하고 있다. 경작형태는 수도작 50%, 전작 46%, 겸작 4% 이고, 밭작물은 고추>콩>들깨>포도>감자 순으로 나타났다. 밭작물 전환시에 54%가 반대를 하였고, 희망재배 작물은 포도>감자>콩>인삼>토마토>고추 순으로 도시근교 농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밭작물로 전환 시 정부에 요구하는 시설은 관개 및 배수시설, 태풍방제시설 등으로 나타났다. 4. 영산강 간척지구는 대규모 농어업회사(5개)가 713 ha 면적에 30년 동안 밭작물 재배를 위해 장기임대하고 있고, 용수문제가 심각하여 수도작 위주의 토양은 밭작물 재배에 적합한 농지로 전환해야 하고, 초기 시설 투자비용은 많지만 영농수입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밭 작물 재배시 지하수나 담수호는 염도가 높아 피해가 크고, 제염관리대책으로 객토가 필요하며, 습해피해가 심각하여 기계적 배수시설 설치를 요구하고 있는 상태이다.

      •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후의 제체변화와 상태평가기준 개선

        이달원 ( Dalwon Lee ),이영학 ( Younghak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재해예방 및 안전관리를 위하여 둑 높이기 사업이 완료된 충남, 충북, 전북지역 저수지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둑 높임 후의 제체 특성변화와 각 시설물별로 상태평가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방법은 제체 덧쌓기, 후면 덧쌓기, 이설쌓기 등을 기본으로 설계 시공되어 기존 물관리 기능에 산책로와 휴식공간 등의 친수공간 기능을 향상시켰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리모델링이 진행될 저수지는 둑 높임시 제체 중심축의 이동방법, 댐마루 쇄석 보호공법 적용, 상류사면 기존사석 교체, 하류사면 누수량 측정과 수직필터와 수평필터 설치방법 검토, 웨어 전면부의 사석보강, 급경사로 보수보강방법, 여수토 방수로 절취사면을 최소화하고 콘크리트 박스 형태로 시공하는 방법 등을 설계시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저수지의 상태평가는 개별부재별로 댐마루, 상류사면, 하류사면, 조절부, 급경사로 구분하고 상태평가내용 및 기준에 의해 평가지수를 산출한 결과, 충남지역 13개 저수지의 복합부재 평가지수는 3.11 - 4.73 범위, A 등급 1개소, B 등급 9 개소, C 등급 3개소로 나타났다. 충북지역 5개 저수지의 복합부재 평가지수는 4.00 - 4.49 범위, B등급 5 개소로 나타났고, 전북지역 6개 저수지의 복합부재 평가지수는 3.90 - 4.60 범위, A 등급 1 개소, B 등급 5개소로 나타났다. 3.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이 완료된 충남지역, 충북지역, 전북지역 등 24개소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댐마루, 상류사면, 하류사면, 조절부, 급경사로 등에서 침하, 유실, 사면불안정, 누수, 사석 침하 및 공동현상 발생, 콘크리트 균열 및 손상, 물넘이 전면의 사석 미시공, 식생, 여수로 측면의 사면 불안정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현재의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을 소규모 저수지에 적용하기에는 평가항목이 너무 다양하고 복잡하여 경제적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상태평가 항목 및 기준에 의하여 세분화 되어 있는 상태평가지수가 오히려 파이핑과 같은 저수지 붕괴 위험성이 높은 요소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각 항목별로 유사하고 중복되어 있는 평가내용을 삭제, 축소, 통합하여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만을 선정하는 방향으로 상태평가항목과 기준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실내모형실험에 의한 농업용 저수지의 하류사면 리모델링 방법

        이달원 ( Dalwon Lee ),이영학 ( Younghak Lee ),김철한 ( Cheolhan Kim ),홍석민 ( Seokmin Hong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업용 저수지를 리모델링할 경우에 제체 덧쌓기에 의해 시공하고 있는데 이는 제체의 코어, 필터가 정상적이란 판단 하에 설계된 것이지만 실제 제체의 코어와 필터는 너무 오랜 기간이 경과되어 본래의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둑 높이기하면서 코어만 있고 수직 및 수평필터가 기능을 하지 못하는 조건에서 하류사면을 보강하였을 경우에 실내모형실험을 실시하고 공극수압과 토압거동을 비교분석하여 현장적용 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코어만 있고 수직 및 수평필터가 기능을 하지 못하는 조건 (Case 4)에서의 공극수압은 코어 하부, 중부, 하류사면 모두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하류사면을 수평필터로 보강한 경우(Case-5)는 모든 위치에서 일정하고 작게 측정되어 코어를 통과한 침투수가 수평필터로 신속하게 배출됨을 알 수 있었다. 코어와 수직필터만 있는 경우(Case 6)의 공극수압은 상류사면에서 수위 상승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코어 하부와 중부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하류사면을 수평필터로 보강한 경우(Case-7)는 공극수압의 반응속도도 느리고 Case-6보다 작은 값을 나타냈다. 이 방법은(Case-7)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코어가 차수역할을 하고 통과된 침투수는 수평필터가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때문에 리모델링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코어만 있는 경우(Case-4)의 토압은 수평필터를 설치한 경우(Case-5)보다 상류사면과 코어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하류사면에서는 필터 설치여부와 관계없이 침투수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작고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류사면의 토압은 공극수압보다 약간 작게 나타나 수압할렬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칭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앞으로 필터 기능이 소멸된 노후화된 저수지를 리모델링할 경우에는 하류사면의 일부를 절취하여 예상되는 침윤선보다 높은 위치에 수직필터를 설치하고, 수평필터의 간격은 파이핑이 발생되지 않도록 3-D 침투해석으로 구한 후토우 드레인에 연결하여야 저수지의 붕괴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월류에 의한 저수지 제체의 붕괴 거동

        이달원 ( Dalwon Lee ),노재진 ( Jaejin Noh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둑 높임 시에 홍수위와 수위급강하시의 공극수압과 토압 변화, 월류에 의한 붕괴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체 덧쌓기에 대한 대형실내모형 실험을 실시하고 제체 상하류부 및 코어에서의 공극수압과 붕괴형태 등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홍수위 상태에서 공극수압과 토압 변화량은, 수위 상승에 따라 상류 성토사면과 코어하부 모두 급격하게 증가한 후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수위 급강하시에 성토사면은 빠르게 소산되지만 코어는 느리게 소산되었다. 저수지 둑 높이기 설계시에 코어를 경사형으로 시공하였을 경우, 코어하부에서는 공극수가 침투되어 공극수압과 토압이 증가하였으나, 하류사면에서는 누수에 의한 침투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안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정상류와 비정상류 상태에서의 공극수압은 모두 상류사면에서 정(+)의 공극수압을 나타내다가 코어를 통과하면서 감소하고, 하류사면에서는 점차 부(-)의 공극수압을 나타내었다. 침윤선은 정상류 일 때, 상류사면을 통과하다 코어에서 하부쪽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비정상류 일 때, 상류사면의 수위에 따라 감소하여 통과하다 코어 하부에서 하류사면의 지반 필터로 통과하였다. 3. 월류시의 공극수압은 상류 및 하류사면과 코어에서 모두 증가되었지만 하류사면은 세굴이 확대되면서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고 신설코어와의 경계부에서는 큰 변화기 나타나지 않았다. 토압은 상류사면과 코어 하부에서 크게 나타났고, 하류사면은 붕괴로 인한 사면 세굴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공극수압과 토압변화는 월류시 제체의 붕괴가능성을 미리 판단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월류에 의한 저수지 붕괴 현상은 댐마루 하류 부분부터 침식으로 붕괴가 시작되고, 하류사면의 토립자가 세굴되면서 점차로 커지는 점진적 붕괴 형태를 나타냈고, 최종적인 붕괴 형태는 사다리꼴로 형성되었다. 댐마루에서 성토체는 붕괴가 빠르게 진행된 반면에 코어에서는 일부에서만 붕괴되어 둑 높임시 코어는 붕괴 지속시간을 길게 할 수 있고 안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농업용저수지의 붕괴예방을 위한 월류유도수로 모형실험

        이달원 ( Dalwon Lee ),이영학 ( Younghak Lee ),허준 ( Joon Heo ),류정현,방석호 ( Seokho Bang ),박해진 ( Haeji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노후화된 농업용 저수지에서 이상 강우시 저수용량의 한계로 인해 여수토 방수로에서 홍수량을 배제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월류되면서 저수지의 전체 붕괴를 유발시키게 된다. 특히, 여수토 방수로 접속부는 이상홍수 발생 시 가장 취약한 양안 옹벽 배면부가 월류에 의해 세굴파괴가 진행되어 점차로 급류부의 완전유실이 발생되고, 하류사면의 붕괴를 가속화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영구적인 보강방법인 둑 높이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나, 국내 노후화된 저수지를 단기간내에 둑 높이는 방법은 비용 및 조직적인 문제로 한계가 있다. 대안으로 여수토 접속부를 댐마루 보다 낮게 굴착하여 월류유도수로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여수토방수로 접속부를 보호하고 계획홍수량 이상을 월류유도수로로 배제하기 때문에 제체 붕괴 확대를 억제하고 제체붕괴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효과적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수토 접속부에 응급적인 방법인 차수시트와 영구적인 방법인 콘크리트를 각각 설치하여 대형모형실험에 의한 월류유도수로의 효과성과 현장적용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계획홍수량은 여수토에서 배제하도록 하고, 계획홍수량의 20%∼40%를 월류유도수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폭과 깊이에 대하여 월류수심 (0∼3.4cm)을 조절하여 홍수량을 측정한 결과, 유도수로의 길이는 40cm, 수로 깊이는 홍수위의 기준높이에서 이상홍수량을 처리할 수 있었다. 차수시트에 의한 월류유도수로는 이상홍수량을 처리하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나, 현장에서 장기간 노출 시 재료 손상의 가능성이 있어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콘크리트로 포설한 월류유도수로는 현장적용성이 매우 우수하여 영구적인 방법으로 현장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장에 설치되는 월류유도수로는 여수토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이상홍수량을 한시적으로 처리하여 전체적인 저수지 붕괴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이 범위내에서 폭과 깊이, 재료 등을 선정하여 현장에 적용하는 방법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 후면덧쌓기 저수지의 침투류 해석과 응력-변형 거동

        이달원 ( Dalwon Lee ),이광솔 ( Kwangsol Lee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본 연구에서는 후면 덧쌓기에 의해 둑 높이기를 시공 중인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정상류와 비정상류 조건으로 홍수위시와 수위급강하시의 침투류 해석, 사면안정 해석 및 응력-변형 거동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둑 높이기 전·후의 정상류와 비정상류 조건에서 공극수압은 상류사면에서 정(+)의 공극수압을 나타내다가 코어를 통과하면서 급격히 감소하고 하류사면에서는 점차로 부(-)의 공극수압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비정상류 조건에서는 기존저수지와 신설저수지의 접속부에서 공극수압이 넓은 영역으로 분포하고 하류사면에서도 제체 덧 쌓기와 매우 다른 부(-)의 공극수압으로 변화되었다. 2. 둑 높이기 전·후 코어에서의 동수경사는 한계동수경사보다 커서 파이핑에 대해서 불안정하게 나타났고, 상류와 하류사면에서는 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둑 높이기 전·후의 정상류와 비정상류 조건하에서 총저수량에 대한 1일당 침투수량과 제체 100 m당 누수량은 안전관리기준 이내로 나타나서 파이핑에 대해서는 안전하였고 누수량은 제체 덧쌓기보다 작게 나타났다. 3. 둑 높이기 전·후의 정상과 비정상류 조건에서 상류와 하류사면의 안전율은 정상상태에서 매우 크게 나타났고 수위가 급강하함에 따라 상류사면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하류사면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하류사면은 둑 높이기 후의 안전율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고, 전체적으로 정상과 비정상류 조건에서 상·하류사면 모두 기준 안전율보다 커서 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 둑 높이기 후의 홍수위 조건에서 수치해석에 의한 침하량은 상류사면에서 크고 하류사면에서는 작게 나타났으며 수위급강하 조건에서는 매우 크게 감소하였다. 평균유효응력은 코어 하부에서 가장 크고 집중되었으며, 수위급강하 조건에서는 기존 제체에서 약간 감소하였고 신설 제체에서는 홍수위 상태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최대전단변형은 정상류 조건에서 코어부분에 집중되는 경향을 나타냈고 수위급강하 조건에서는 기존 제체의 상류사면에서만 감소하였으며 기존 코어와 신설 코어에서는 변형이 나타나지 않았다.

      • Riprap으로 보강된 농업용 저수지 제체의 붕괴거동

        이달원 ( Dalwon Lee ),노재진 ( Jaejin Noh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가 이상강우에 의해 여수토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월류되었을 경우를 고려한 대형실내모형실험을 실시하고, riprap으로 보강하였을 경우의 제체와 여수토 접속부에서의 공극수압, 토압, 침하 및 붕괴거동 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iprap 보강 시 월류에 의한 여수토 접속부 및 코어에서의 공극수압은 담수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월류시 약간 상승하였으나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 제체보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여수토 접속부 상부, 중앙 및 하부에서의 토압은 월류 전·후에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상류사면, 코어하부 및 코어 증고부에서는 월류가 시작되면서 급격하게 상승한 후 감소하였다. Riprap 보강 시의 침하량은 침하계 설치부근의 둑마루가 붕괴되지 않아 급격한 침하 현상은 발생되지 않았다. 3. 월류에 의한 제체와 여수토 접속부에서의 붕괴 거동은 월류량 급증단계에서는 접속부 상부의 riprap에서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되어 다른 방법보다 붕괴폭이 약간 더 크게 나타났으나, 100분 경과 후에는 세굴깊이와 세굴폭이 더 작아 riprap이 세굴을 감소시키고 붕괴를 지연시켜 매우 우수한 보강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보강 시에는 제체 중앙부로 세굴이 확장되었으나 riprap 보강 시에는 중앙부로의 세굴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농업용저수지의 하류사면을 riprap으로 시공하는 방법은 이상강우시 월류에 의한 저수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방법으로 판단된다. 4. 월류에 의한 여수토 접속부의 공극수압은 무보강 시에는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붕괴깊이와 폭이 커질수록 그 영향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geotextile과 riprap으로 보강하였을 경우에는 변화폭이 작게 나타나 보강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이고 우수한 보강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여수토접속부에서의 토압은 보강방법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