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문학의 정서 향유를 위한 상상적 경험 쓰기 교육 연구- 영화의 활용을 중심으로 -

        이나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classical literature and imaginative experience writing using medium texts, to examine their emotional enjoyment patterns and to derive implications of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To this end, I selected the ancient song <Gongmudohaga> as a text, and I wrote and wrote class to write imagination of future life with my spouse. The learner 's imaginative experience writing activity reveals the process of enjoying the speaker's feelings revealed in the <Gongmudohaga>. Since learners have never experienced emotions that are caused by the death of their spouse, the movie helps them to enjoy richer emo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xisting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is able to take an opportunity to move to the learner - centered literary education away from the practice of standardized knowledge transfer for text analysis. 본고는 고등학생 학습자들이 고전문학을 배우고 매체 텍스트를 활용하여 상상적 경험 쓰기를 한 결과를 분석하여 그들의 정서 향유 양상을 살펴보고 이 과정을 통해 고전문학교육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대가요 「공무도하가」를 텍스트로 선정하였으며, 작품을 읽고 배우자와 함께 지낼 미래의 삶을 상상하여 쓰는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습자의 상상적 경험 쓰기 활동에서는 「공무도하가」에서 드러나는 화자의 情緖를 자기의 삶에서 향유해 나가는 과정이 드러나게 된다. 학습자들은 배우자의 죽음이 유발하는 정서를 직접 경험해 본 적이 없으므로 영화의 도움으로 보다 풍부한 정서 향유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고전문학교육이 텍스트의 분석을 위한 化石化된 지식의 傳受 위주로 이루어지던 것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意義가 있다.

      • KCI등재

        고전시가의 번역텍스트 쓰기 교육 연구

        이나향 ( Lee Na-hya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5 No.-

        고전문학교육 연구의 어려움이 난해한 원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들은 고전의 원문에 주목하기보다는 현대에도 유용한 고전의 내용적 가치를 찾는 데에 치중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고전 원문 해독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이를 위해 원문의 번역 텍스트 쓰기 활동을 제안한다. ‘번역(translation/traduction)’은 본래 하나의 언어로 작성된 원문을 다른 언어로 작성된 번역문으로 바꾸는 과정으로, 주로 서로 문화가 이질적인 두 국가 사이의 언어를 변환하는 작업이다. 언어의 차이와 원문에 대한 충실성을 이상으로 하는 언어학적 번역이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해석학적 번역이론이 등장했는데 이는 표면적 언어의 차이보다 언어가 담지하고 있는 문화나 세계관의 차이를 바탕으로 번역을 보는 입장으로 번역의 본질을 ‘해석’으로 보았다. 고전시가의 현대어 번역은 ‘문화적 차이를 전제한 언어의 해석’이라는 관점에서 번역의 영역에서 논의될 가능성을 갖는다. 고전시가의 번역 활동은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 언어를 생성하는 문제이지만 본질적으로 문화적 맥락이 이동되는 문제이며 학습자의 문화적 맥락 안에 포섭된 고전 원문의 문화적 맥락은 새롭게 생성된 학습자의 언어와 결합하면서 학습자의 이해 가능한 체험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황의 <도산십이곡>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실제 번역텍스트 쓰기를 수행하는 양상을 살펴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고전 원문의 이해 지점을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어휘의 선택적 교체, 보충, 생성을 통해 각각 텍스트 차원의 심층적 이해, 문장 차원의 추론적 이해, 단어 차원의 창의적 이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시가의 번역텍스트 쓰기는 서정적 체험을 해내기 힘든 작품을 학습자의 이해 가능한 영역으로 편입시켜 학습자들이 자신의 체험 안에서 고전시가를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고전문학에 대한 낯설음을 해소하고 현대의 학습자들이 고전문학으로 한 발 더 다가서게 하는 데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 The research about the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focused on the useful contents inspite of the classic original text. This study suggests that writing a translational text of classical poetry with sympathetic to the difficulties of the classic original text. "Translation/Traduction" is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original text written in one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The translation of classical poetry into Modern Korean is likely to be discussed in the area of translation in terms of 'Language interpretation of the premise that cultural differences'. Translation of classical poetry that generates the language, when viewed superficially, but the problem is essentially a cultural context that is moved. This study examined patterns of writing a translational text which have been targeted < Dosansibigok > of Yi Hwang. We could determine what the learners to reach th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text-dimensional, inferential understanding of the sentence- dimensional, creative understanding of the word-dimensional. Writing a translational text of classical poetry has a significance that learners could understand the classical poetry within their own experience. This study aims at the learners stand one step closer to the classical poetry without fear of stranger.

      • KCI등재

        일반논문 : 율곡의 선명(善鳴)사상과 문학교육 내용 구조화의 한 방향

        이나향 ( Na Hyang Le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5 No.-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문학교육의 내용영역은 내용체계에 있어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왔다. 이러한 변화는 실제로 교육의 내용이 달라진다기보다 이들 간의 관계와 범주의 구분이 달라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육과정의 내용 범주에 따라 교과서가 기획되고 교실의 수업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교육 내용의 성격을 보다 분명히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범주간의 관계를 구조화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고전 문학론인 율곡의 선명사상에 주목하여, 선명의 기원과 관계를 통해 문학 교육 내용의 성격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이고 입체적인 구조화의 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문학교과서에 실린 <어부사시사>단원의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내용의 구조화에 따른 목록을 예시하였다. 이 논의는 우리 성현의 실천적 고전 문학론을 검토함으로써 현대의 문학교육을 위한 근거를 정립하고 실제의 적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henever reforming the curriculum, the contents area of literary education show a significant change on contents system. This change could be viewed as a change the relationships and categories than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education. Since the content categories on curriculum determines the text book planning and the lesson in classroom,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roperty of contens plain and structuralize the realationship in content categories. Therefore, this study made sure of the proerty of contents and proposed a direction of the practical structuralization on the contents of Literay Education on the focusing the ‘Seonmyeong’ thought of Yul-gok. Also we exampled the contents directiory according the structuralization of content considering the <Eobusasisa> in the textbook. This study have a significant that establish the grounds and attempt the practical application for Literary Education of today by examining the classical literary theory.

      • KCI등재

        시조 가집의 교재론적 가능성 고찰

        이나향 ( Na Hyang Lee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7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nsiderate the possibility as textbooks of Sijo Gajib in educational perspective. Gajib has been considered as derivation and textual change from the original text. But in the educationl perspective, Gajib would become the textbooks which has potential hierarcy and provide authentic experiences. Considering the potential deveolpment level of students, horizontal arrangement of Gajib with the original text has a hierarchy of effects on the students. And Gajib as the acceptance to the original text affords the students the chance to have diverse experience in various direction. And Gajib pull the practice of experience throuhgh one direction which has deepen. This affect which has been realized the authenticity by text which has potential hierarcy arranged in horizontal. There`s no saying how the student will react and receive any life. But open the creative world with the original text, we look for different experience of the literature. Gajib is considered for educational cannon as playing a mid-level text which decresing phychological bu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