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疲勞判定方法으로서의 Flicker値에 關한 檢討

        李基奭 中央醫學社 1942 中央醫學 Vol.11 No.2

        In order to examine the fluctuation of flicker values, the author selected. 11 adults. Averge age of the subjects was 21 years, and five of the, subjects had, myopia. The subjects. were tested under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physical exercise by the ergometer bicycle for three minutes of 2.958 H. P. /min. dark adaptation and reading under bright illumination. The results of the above mentioned experimen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Flicker values decreased-3.5%N4.5% after exercise compared with the values obtained before exercise. 2. Flicker values did not change markedly before and after, reading under' the-bright, illumination, but in two cases, their values increased after reading. 3. Flicker values showed marked decrease after dark adaptation compared with those before the experiments. 4. Flicker values of the myopic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visual. group in al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mentioned above.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경북 경산지역 도시와 농촌 초등학생의 굴절상태

        이기석,박승온,정지원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Vol.19 No.4

        Purpose:To employ the basic data on visual acuity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naked vision and refractive statu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C) inside and outside Gyeongsan-si Gyeongbuk. Methods: As part of the project named ‘Making Bright and Clear Eyes’ sponsored by Gyeongsan Office of Education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in 2015, we compared and analysed by regional groups data of total 529 school children on refractive errors using a auto-refractometer, and naked vision of those not wearing glasses and visual acuity of those wearing glasses in one elementary school with a school nurse teacher (urban elementary school, UES) and 5 elementary schools without a school nurse teacher (rural elementary schools, RES). Results: In naked vision of those not wearing glasses, the mean of vision was 0.79±0.23 in UES and 0.78±0.23 in the RES, which is not significant, and also the distributions of vision between two regions were shown little differences. In grade comparison while naked vision of a high grade group was lower than a low grade group (p<0.05) only in RES different from U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two region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aked vision between gender was found. In comparison of spherical equivalent power, children in UES are myopic much more than those in RES (p<0.05). On visual acuity of those wearing glasses, the means of visual acuity in urban and rural regions were 0.88±0.20 and 0.82±0.21, respectively, showing that refractive correction of those in UES was better, which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rate of under-correction in vision of 0.7 or less, it appeared that children in RES were 12% higher than those in UES. Conclusion: Unlike preceding research on vision and refractive errors of ESC with division of a regional characteristics as two areas, unde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time for near work is by far exposed as the use of smart-phone is already popularized, it would be considered social concern on vision care and prevention, and observation of the change in visual acuity of the whole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pecially to conduct research on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myopes and acceleration of myopic progression in low grade school children. 목적: 경북 경산시 내외의 초등학생들의 나안시력 및 굴절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시력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방법: 경산교육지원청 주관 ‘밝고 투명한 아이(eye)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 9월-10월 동안 보건교사가 있는 1개의 초등학교(도시)와 미 배치된 5개의 초등학교(농촌) 총 529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한 굴절이상도 검사, 안경 미착용자의 나안시력과 안경착용자의 교정시력을 측정하여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안경미착용자의 나안시력에서 도시 초등학생들의 시력은 평균 0.79±0.23이며, 농촌은 0.78±0.23으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두 지역 간의 시력 분포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년별 비교에서는 도시 초등학생과는 다르게 농촌 초등학생에서만 고학년이 저학년 보다 나안시력이 떨어졌지만(p<0.05), 지역별 비교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성별에서도 남녀 간의 의미 있는 나안시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등가구면 굴절력의 비교에서는 도시 초등학생의 근시가 농촌보다 많은 근시를 갖고 있었다(p<0.05). 안경착용자의 도시와 농촌지역의 평균 교정시력은 각각 0.88±0.20와 0.82±0.21로 도시 초등학생들의 교정 상태가 좋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0.7이하의 미교정 비율은 도시 초등학생들이 농촌 초등학생들보다 오히려 12%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특성을 구분한 초등학생 시력과 굴절이상도에 대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스마트폰 보급의 대중화로 인한 초등학생들의 근거리 작업시간 증가로 초등학생들의 시력변화 특히, 저학년의 근시증가와 근시도의 가속화에 대한 예방과 사회적 관심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고대도시의 방리제(坊里制)( 조방제(條坊制) ) 와 도시구조에 대한 소고

        이기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999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대도시 평양, 경주에 적용된 방리제가 도시구조 형성과 분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지리적 시각에서 의문 제기하였다. 방리제의 기원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방과 리의 규모와 형태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뒷받침되지 않아 도시구조 자체에 대한 파악이 어려운 상태이다. 특히, 방의 봉폐 여부와 시장의 규모와 위치는 앞으로 기능적 구조 분화의 규칙성을 따지는 주요 기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방리제가 적용된 이래 도시구조 형성에 미친 영향은 의외로 크지 안았던 것으로 평가되며 현재 남아 있는 방명은 도 시의 윤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본다. This short paper deals with the question of Korean Ancient Cities Bangri(Gid) System introduced in Pyongyang and Kyongju, regarding whether the system was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urban structure. the origin of the Bangri system is not known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urban structure due to the lack of the exact form of they rectangular size created by Bang and Ri. In particular, the existence of the closed form of a Bang(one unit of rectangular size) and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markets will be applicable for judging the regularity of structural differentiation in Bangs function. In spite of a long practice of the Bangri system in the ancient cities, its impacts on urban structure formation was not great and overall, but the remains of the Bangs names in the present cities provide crucial evidence in identifying the layout of urban development.

      • KCI등재

        경북 경산지역 2학년 초등학생의 굴절이상 및 안경교정 상태

        이기석,정지원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4

        Purpose :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fractive and correction states of second-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d around Gyeongsan-si, Gyeongbuk Methods : As the 2nd project of 'Making Bright and Clear Eyes' sponsored by Gyeongsan Office of Education supporting the 1st project in 2015, second-year 1,662 people(3,324 eyes) of 27 of 31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 area participated to go through examination of their refractive and wearing glasses conditions. Refractive erro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equivalent spherical equivalent power, divided into urban and rural areas. Results : It was shown that 207 eyes(6.23%) were emmetropic and 3,117 eyes(93.77%) were ametropic(-1.01±1.32 D on average) in 1,662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of ametropes 2,693 eyes were myopic(–1.27±1.19 D on average) and 424 eyes(0.62±0.79 D on average), showing 81.02% and 12.75%, respectively. Of these, 454 eyes(27.31%) were wearing glasses, and 655 eyes (19.70%) had a visual acuity of less than 0.7 and needed correction. In the regional comparisons, the refractive errors of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1.01± 1.35 D and –0.87±1.23 D, respectively (p<0.010, t=-3.06). In the comparison of myopic students, urban students had -1.32±1.23 D and rural areas had –1.20±1.14 D(p<0.010, t=2.74),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hyperopic students. In the rate of wearing glasses, 5.78% of urb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re more glasses than rural students(p=0.001). Conclusion : In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only in the lower grade, an important period for the change of refractive error, myopia was the main cause of refractive error regardless of urban and rural region, and in future continuous research and countermeasures will be needed to track and prevent changes in myopia,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목적 : 경북 경산시 내외의 2학년 초등학생들의 굴절상태와 교정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 2015년 경산교육지원청 주관 ‘밝고 투명한 아이(eye)만들기’사업의 2차 사업으로 경산지역 전체 초등학교 31개교 중 27개교가 참여한 2학년 초등학생 1,662명(3,324안)을 대상으로 굴절상태와 안경착용 상태를 검사하였다.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등가구면굴절력을 기초로 굴절이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검사에 참여한 전체 초등학생 1,662명 중 207안(6.23%)이 정시, 3,117안(93.77%)이 평균 –1.01±1.32D의 비정시로 나타났으며, 비정시중 근시성이 2693안으로 평균 –1.27±1.19 D 그리고 원시성이 424안으로 평균0.62±0.79 D이었고, 근시안과 원시안의 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각각 81.02%와 12.75%를 보였다. 이 비정시안들 중 454명(27.31%)이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으며, 655안(19.70%)이 시력 0.7 이하로 교정이 필요한 상태였다. 지역 간 비교에서 도시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도는 각각 –1.01±1.35 D와 –0.87±1.23 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0, t=-3.06)를 보였다. 근시성 굴절이상의 비교에서는 도시지역은 -1.32±1.23 D, 농촌지역은 –1.20±1.14 D로 도시지역 학생들이 더 많은 근시성 굴절이상을 갖고 있었지만(p<0.010, t=2.74), 원시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0, t=1.71). 안경착용은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이 농촌지역 학생들 비해5.78% 정도 더 많은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다(p=0.001). 결론 : 굴절이상의 변화에 있어 중요한 시기인 저학년만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에서 도시와 농촌 지역에관계없이 근시가 주된 굴절이상의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급속히 증가하는 초등학생 근시의 변화 추적 및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