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말기 암 임종 환자 돌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금희 경성대학교 임상약학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caring experience of hospice volunteers for patients with terminal stage of cancer by examining the essence of their special experience. This study chose to use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by Giorgi in the qualitative researches to understand subjective experiences and to analyze in-depth interviews of participants. The 6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pecially selected as typical examples of hospice volunteers who have dedicated to patients with terminal stage of cancer for more than 3 years to focus on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pproach of hospice care. One participant was in his 80s and five participants were in their 50s. 6 hospice volunteers were asked for permission to this study. They were interviewed in-depth two or three times from January to April, 2015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he interviews lasted at least 90 - 150 minutes and were carried on until no more data was revealed. As a result, 677 sense groups were selected, which were summarized into 119 sense groups. The sense groups were again categorized into 28 subfactors, which were again categorized into 10: ‘Decided to be a hospice volunteer for meaningful life ’, ‘Unlike expected, felt inhospitality’, ‘Tried to gain trust by showing sincerity’, ‘Felt proud from helping patients be happy’, ‘Felt proud from helping patients improve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Felt proud from helping patients overcome fear and watching their bright and hopeful faces’, ‘Felt sadness from watching the patients suffer’, ‘Controlling emotions in order to stop the affective involvement’ ‘Change of life due to hospice volunteering’, and ‘Continue with hospice volunteer care and devote to the society’. To be specific, study participants started caring service as hospice volunteers while thinking about the meaning of death and the purpose of life due to personal crisis such as retirement, bankruptcy and bereavement. They first try to establish trust with patients with a humble attitude,, and start the first dialogue during physical care: shampoo hair, foot massage, aroma therapy, and bath. They are with the patients in times of loneliness, and then help the patients spend a happy and ordinary day. The patient is helped to recover if the family relationship is bad. Through all the activities, hospice volunteers feel very rewarded and proud of themselves. In addition, they felt proud from helping patients overcome fear and watching the patients’ bright and hopeful faces and felt sadness from watching the patients suffer. When patients passed away, hospice volunteers tried to control their emotions to stop themselves from engaging emotionally. As a consequence, they feel happy with the life itself, start to value their lives more, and even have positive thoughts about death. As a result, hospice volunteers continue to work as community members as well as hospice volunteers. As for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caring experience of patients with terminal stage of cancer, hospice volunteers find out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through activities that help the patients. Consequently,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hospice service by volunteers' experiences and provided specific methods of psychological care for patients with terminal stage of cancer. Limitations to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초등 학교환경 실태에 따른 아동 미술작품 전시(展示) 방안

        이금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미술수업 결과물인 미술작품이 아동들에게 교육적, 정서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점을 인식하고,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시활동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전시는 아동들의 창조적 산출물을, 자신은 물론 관람객과 대화하게 하는 소통의 힘을 가진 장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시된 아동들의 결과물들은 과정과 결과의 의미가 함께 내포된 ‘작품’으로 인정 된다. 그러므로 아동들의 미술작품 전시는 감상활동을 더욱 흥미있고 풍부하게 해줄 뿐만아니라 전시된 작품을 통하여 성취감과 자신감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전시회를 준비하는 과정을 통하여 협동심과 사회성을 기르고 미술문화를 용이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를 지니게 한다. 이처럼 전시활동은 감상활동을 통한 창의적인 조형능력의 함양은 물론 미술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학교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 및 장식적인 역할까지도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전시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 소재지, 학급 규모, 교직경력, 미술교과전공(심화) 유·무 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시활동의 필요성이나 유용성, 선호도 등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였으나 실천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교사들이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학교의 전시 공간 등의 물리적인 환경의 미비로 인한 전시 활동의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셋째, 전시 장소로 교실과 복도를 많이 이용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넷째, 학기초 전시 계획수립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전시에 있어서 아동작품의 질을 크게 비중에 두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섯째, 회화영역 작품 전시의 비율이 높으며 조소와 공예 전시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여섯째, 전시활동과 관련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에는 대다수의 교사들이 동의하고 있으나 직접 참여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교사도 상당수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통하여 전시활동을 위한 교사의 실천의지를 일깨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교실공간, 복도, 학교 공용 공간 등 학교환경에서 실천가능한 전시 활동을 예로,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더 나아가 가정과 사이버 공간까지 확대시킬 수 있었다. 또한 평면작품에 치중되어 있는 전시 경향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었으며 이를 위해 작품 형태에 따른 전시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전시활동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기·학년초 구체적인 전시 계획이 강조되어야 함을 밝히고, 단원 재구성을 통한 수업진행과 전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미술교육에서 작품전시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아동 표현 결과물이기 때문이며 전시회 개최에 대한 동기 유발은 아동 작품에 대한 교육적, 정서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미술교육에서 아동미술작품 전시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학교의 전시환경을 점검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작품전시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 COVID-19로 인한 중학생의 온라인 체육수업 몰입이 수업태도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금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비대면 온라인 체육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고, 중학생의 온라인 체육수업 몰입이 수업태도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학생들의 운동지속의사를 위한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경기도 중학교에서 온라인 체육수업에 참여한 700명으로 하였으며, 이 중 570명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4.0과 AMOS Versio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및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test와 ES 검증, 상관관계 분석과 단순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온라인 체육수업에 참여한 중학교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업 몰입, 수업태도, 운동지속의사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의 특성을 세밀한 파악하여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 증진, 수업 난이도 조절 등을 통해 성별에 차이 없는 효율적인 온라인 체육수업을 위한 교사와 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다. 둘째. 교사는 중학생의 온라인 체육수업 몰입이 수업태도 및 운동지속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친 콘텐츠 활용중심수업, 실시간 쌍방향 수업 유형을 장점을 기초로 하여 체육교육역량이 포함된 질 높고 다양한 온라인 수업방법을 연구, 제작해야 한다. 셋째, 중학생의 운동지속의사를 높이기 위해 수업 몰입을 통한 긍정적 수업태도 형성은 중요하다. 이에 온라인 수업에 몰입하고 긍정적인 태도로 체육수업에 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가정과 학교의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효과적인 온라인 체육수업을 하기 위해서 교사가 학생에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사에게 저작권 윤리 연수, 교사협업 프로그램, 교과 연수 등을 통해 체계적이고 다채로운 수업 콘텐츠를 연구 및 제작을 위한 근무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iveness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identifying the effects between class immersion, class attitudes,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00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won-do and Kyeonggi-do, of which 570 were used.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ES using SPSS Version 24.0 program and AMOS Version 24.0 program. Post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who participated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class immersion, class attitude, and exercise persistence. The role of teachers and schools in effective online sports education is important to understand gender characteristics in detail, impro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djust the difficulty of education. Second,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classes Content utilization-oriented classes and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positively affected middle school students' class immersion, attitude, and willingness to continue exercising. Therefore, teachers should study and produce qualitative and diverse online teaching methods,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objectives, based on two types of classes. Third,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positive attitude toward middle school students by concentrating on their lessons in order to increase their desire to continue exercising. In addition, support from homes and schools is need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an immerse themselves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atte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a positive manner. Fourth,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concentrate on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study and produce systematic and diverse curriculum contents through copyright ethics education, teacher cooperation programs, and curriculum education.

      • 장애등급제 폐지의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이금희 성결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장애등급은 1981년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처음으로 제정된 이듬해 장애등급 기준을 규정하고 1989년에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되면서 장애인등록제가 시행되었다. 이후 2007년 노무현정부가 장애등급재심사 제도를 도입하면서 장애등급제 폐지의 논란이 시작되었고, 2017년 12월17일 장애복지법 개정에서 장애등급제가 폐지되는 것으로 정책이 변화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장애등급제 폐지 정책결정과정 상의 주요행위자 및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사회적 배경 요인에 주목하면서 장애등급제 폐지 정책결정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형성·변화되었으며, 이러한 정책결정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주요행위자들의 특징을 중심으로 정책변동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책결정의 행위자와 정치·사회적 배경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고 정책결정과정의 동태성 파악에 유용하며 정책결정의 우연성을 강조하는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에 근거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특히, 정치·사회적 배경 요인들이 형성한 정치적 위기및 사건의 결정적 계기와 주요 행위자들의 역할이 정책결정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주로 문헌 자료를 이용하여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등급제 폐지 정책결정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 주요 행위자는 다음과 같다. 장애등급제 폐지에 장애인단체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특히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를 중심으로 타 단체들과 연대하여 세력화한 후 끊임없는 투쟁과 문제 제기로 정책의제 형성에 결정적인 주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장애등급제 폐지 정책결정과정에서 정치·사회적 배경 영향요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장애등급제 폐지 결정과정에서 급작스런 박근혜 정부의 퇴진, 장애인등급제 폐지를 주장한 문재인 정부의 등장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즉 대선과 국정농단으로 인한 정치적 위기의 역동성이 정책결정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국, 장애등급제폐지 정책결정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장애등급제의 정책결정의 계기는 문제 흐름과 정치 흐름에서 장애인단체의 장애등급폐지 문제의 이슈화와 폐지운동이 중요하게 작용하였고, 정치·사회적 요인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으로 촉발된 급작스런 정치적 격변이라는 정치적 변동의 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정책대안 과정에서 장애인단체는 장애인등급제의 전면폐지를 주장하였지만, 기본적으로 중증·경증으로의 단순화 과정을 주장한 정부안이 관철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장애등급제 폐지에 대한 논의는 학계와 장애계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는 되었으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전문적 대안 제시와 타 부처와의 공조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사회복지정책의 발전적 변화를 위한 이론적, 실천적함의를 제시하였다.

      • 조선시대 직물문양을 응용한 핸드페인팅 의상 제작

        이금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세계가 단일화 된 통합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자국 문화의 근원을 알리고 전파 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에 우리 것에 대한 우수성을 깨달아 우리들 각자의 개성을 찾고,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전통문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할 때이다. 전통문양은 그 나라의 역사와 의식을 반영함과 동시에 상징적인 조형물로써 오래전부터 활용 되어져 왔으며, 전통문화의 계승과 재현은 옛것을 재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재창조가 가능하여진다. 따라서 전통문양을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생활 속에서 활용 할 때 그 가치와 의미는 더욱 커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통 문양이 잘 나타나 있는 조선시대 직물문양 중 10개를 모티브로 한 현대의상을 제작하여 우리나라 전통문양의 우수성을 알리고, 핸드페인팅의 실용화에 가능성을 두고 상품으로서의 가치와 전통 문양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대 직물 문양을 중심으로 문양의 모티브를 전개 하였고, 이에 이론적 연구로서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문양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직물문양에는 우리 민족 고유의 멋이 재창조되어 있고 다른 나라의 전통문양과 구분 되는 우리만의 특징적 양식을 갖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위해 국내에서 출판된 단행본 및 국내의 학위 논문, 학회지 논문, 간행본, 전문서적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선행 연구 자료를 토대로 문양을 분류한 후 현대 의상을 제작하여 핸드페인팅 기법을 이용해 전통 문양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직물 문양을 응용한 모티브를 핸드페인팅 기법을 이용해 제작한 의상에 표현함으로써 희소성의 가치를 높이고, 독창적 디자인 개발에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우리만의 전통 문양을 핸디크래프트적인 다양한 디자인 개발과 및 대중화 ·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계절별 웨딩 메이크업의 표현과 예비 신부들이 선호하는 웨딩 메이크업

        이금희 圓光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production surpasses the consumption of cosmetics, PR and marketing completion is getting intensified. Accordingly,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osmetics brands, a survey has been performed on 215 general public group and 210 beauty professional group. They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regarding the preference of domestic and overseas brand, perception and usage of esthetics and color cosmetics, selection of origin and perception properties in case of product purchase, perception on product and service quality of cosmetics, and using behaviors of cosmetics as self?recording metho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and AMOS program and the results are follows. 1. I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public group and beauty professional group, the biggest group was 20s (39.5%) and 40s (38.1%) respectively in age. In both group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married group was the biggest as 59.5% and 53.5% respectively. According to occupation, Student was the biggest sub?group in general public group as 31.2% and Professional in professional group as 61.9%. In case of education, undergraduate was the biggest in general public group as 37.7% and postgraduate or up was the cosmetics, color (refinement), brand and product type important. 5. Among 8 kinds of origin selection and recognition properties (manufacturer, quality, color, price, function, container and package, fragrance and feeling after use), beauty professional group perceived overseas cosmetics better in color, price and fragrance than general public group, overseas cosmetics users perceived 8 selection and recognition properties excluding ‘container and packaging’ better than domestic cosmetics users. 6.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regarding the perception on product quality of cosmetics were appropriate, two groups perceived appropriateness the most important among 4 recognition factors (appearance, reliability, fitness and aesthetic value) for product quality of cosmetics that they usually buy,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reliability. Overseas cosmetics users evaluated 4 recognition properties of Product Quality better than domestic cosmetics users. 7.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4 factors (sympathy, confidence, response and effectiveness) regard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cosmetics that they usually buy were appropriate, beauty professional group evaluated higher than general public group, and overseas cosmetics users evaluated 4 recognition factors better than domestic cosmetics users. Although the percep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domestic cosmetics was lower than overseas cosmetics, they answered that the service quality was better than average. 8. In Cosmetics Purchase Properties among Cosmetics Usage, general public group answered most frequently as under 90,000 won and beauty specialist group as over 100,000 won monthly as monthly spending in cosmetics. 66% of general public group and 52.4% of beauty professional group preferred domestic brand and 34% of general public and 47.6% of beauty professional group preferred overseas cosmetics. For the place that they buy cosmetics, general public group answered cosmetics shops in the neighborhood and cosmetic shops in downtown while beauty professional group answered department store. It was shown that they used their purchase experience or collected advice from friends or family members. Among purchase properties, general public group perceived appropriateness to their skin and beauty professional group perceived quality the most important thing. 9.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3 factors regarding the purchase behaviors were appropriate, and both groups evaluated importance in the order of repurchase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Regarding consumption behaviors, both groups evaluated highly in the order of‘motivation to make?up, level of make?up and intention of use of cosmetics, and beauty professional group evaluated them higher than general public group. 10. In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product quality and service quality of cosmetics made positive (+) influence on purchase behavior and consumption behavior. As brand value plays important roles in marketing in the 21st century and domestic cosmetics is highly perceived by general public and professionals in product quality, service quality, consumption behaviors and purchase behavior, it is needed to manage product quality and service quality which are product selection properties and expand and develop the industry as systematic and strategic export driven integrated industry so that Korean cosmetics can enjoy global world?class brand image. 현대 사회는 경제발전과 고도성장으로 인해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웨딩문화에도 많은 변화를 미치게 되었고, 웨딩메이크업 역시 변화를 거듭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현대의 웨딩은 트랜드와 상황에 맞는 예식을 진행함으로써 특정한 계절을 선호하지 않고 예식을 진행하고 있어 이에 사계절 색상의 웨딩메이크업을 연구하여 예식을 앞두고 있는 신부들이 선호하는 웨딩 메이크업을 연구 하고자 첫째 사계절 색상, 피부질감, 헤어컬러의 조화와 상승효과를 비교 분석하기위한 자극물을 제작하여 시술 전 ? 후의 색도변화를 관찰하였고, 둘째 제작한 자극물을 이용하여 사계절 웨딩 메이크업, 피부질감, 헤어컬러에 관한 예비신부들의 피부질감의 조화, 헤어컬러의 조화, 각 계절 웨딩 메이크업에 대한 선호도를 설문 조사한 후, SPSS Ver.19.0 프로그램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 유의성 검증,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 시술 전 ? 후 얼굴의 피부 색도를 측정 한 결과 시술 후 명도는 이마, 코, 턱에서 높은 명도가 나타났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이마, 코, 턱에서 시술 전에 비해 낮아지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시술 전의 피부색도의 차이를 시술 후 피부색도의 차이를 낮춰주는 결과가 나왔다. 명도가 가장 높은 부위는 콧등이고 적색도가 가장 높은 부위는 입술이며 황색도가 가장 높은 부위는 턱으로 측정 되었다. 매트와 글로시를 비교 했을 때 글로시의 명도가 이마, 코, 턱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며 사계절 명도의 순서를 살펴보면 여름의 명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봄의 명도, 겨울의 명도 마지막으로 가을의 명도가 가장 낮게 측정 되었다. 2. 설문지의 조사 결과로 일반적 특성에서 대상자는 결혼을 앞 둔 직장인 예비 신부들로써 연령은 30~34세대의 연령이 33.9%로 가장 많았으며 선호하는 여배우 스타일은 외국여배우보다는 우리나라 여배우를 66.4%로 많이 선호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일주일동안 화장하는 횟수는 6~5일이 34.6%로 가장 많이 나왔고 어울리는 머리색은 어두운 갈색이 50.0%으로 가장 많이 나왔고 갈색이 26.1%, 검정색이 23.9%순으로 나왔다. 이는 우리나라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많아지면서 결혼연령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화장횟수도 많아지며, 이들은 웨딩문화의 변화와 웨딩 메이크업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사료된다. 3. 웨딩에 적당한 계절은 가을46.5%로 나왔고 웨딩 메이크업시 컬러선택의 요인은 계절이 32.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는 계절색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4. 봄 웨딩메이크업에서는 선호하는 이미지가 피부질감은 매트함을 헤어컬러는 블랙과 브라운의 조화를 선호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이미지로는 매트한 피부질감에 블랙 헤어컬러의 조화를 선호하였다. 다른 계절로의 응용성과 뷰티메이크업으로의 응용성의 적용에는 ‘그렇다’가 43.8%, 40.6%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로 조사되었다. 5. 여름 웨딩메이크업에서는 선호하는 이미지가 피부질감은 글로시함을 헤어컬러는 블랙을 선호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이미지로는 글로시한 피부질감에 블랙 헤어컬러의 조화를 선호하였다. 다른 계절로의 응용성과 뷰티메이크업으로의 응용성의 적용에는 ‘그렇다’가 50.9%, 36.7%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로 조사되었다. 6. 가을 웨딩메이크업에서는 선호하는 이미지가 피부질감은 매트함을 헤어컬러는 블랙과 브라운의 조화를 선호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이미지 역시 매트한 피부질감에 브라운 헤어컬러의 조화를 선호하였다. 다른 계절로의 응용성과 뷰티메이크업으로의 응용성의 적용에는 ‘그렇다’가 45.6%, 44.5%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로 조사되었다. 7. 겨울 웨딩메이크업에서는 선호하는 이미지가 피부질감은 글로시함을 헤어컬러는 블랙과의 조화를 선호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이미지 역시 글로시한 피부질감에 블랙 헤어컬러의 조화를 선호하였다. 다른 계절로의 응용성과 뷰티메이크업으로의 응용성의 적용에는 ‘그렇다’가 37.4%, 34.9%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대의 웨딩메이크업에서의 계절 색과 메이크업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피부질감과의 상호 조화는 이미지를 다르게 보이게 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헤어컬러의 조화는 계절색의 이미지에 또 다른 작용을 함으로 본 연구는 예비신부들이 예식 하는 계절의 웨딩메이크업을 선택함에 있어 만족감을 높이는 선택에 도움이 되고 웨딩메이크업에 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자료가 확보됨으로써 그 활용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청소년 놀이문화에 대한 이해 : 여수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금희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건전한 청소년 육성을 위한 바람직한 놀이문화가 올바로 정착될 수 있도록 청소년 놀이문화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과 함께 청소년의 자아실현을 돕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학교안과 밖의 놀이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주로 생활하는 학교, 학원, 가정에서의 놀이의 실태를 조사하고 청소년의 놀이문화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중학생의 놀이문화에 대하여 관찰하고 관찰 후의 서술적 설문과 유층표집으로 선정한 학생과 개별 및 집단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내의 놀이는 학생들에게 주어진 시간과 상황에 따라 활동성이 많은 놀이를 즐기기도 하고, 차분한 놀이를 즐기기도 하는 등 상황 변화에 적절히 적응하는 놀이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의 놀이는 학원과 가정생활의 놀이로, 학원에서는 비교적 시간의 여유가 짧은 관계로 군것질, 문자보내기, 짤짤이 등 단순하고 앉아서하는 놀이를 즐기고, 가정에서의 놀이는 주로 TV를 시청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놀이에서 나타난 문화적 특징은 청소년의 놀이 문화 실태에 근거하여 네 가지의 특징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청소년의 놀이는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 제한으로부터 무한하게 자유로워 질 수 있는 적응의 문화이다. 둘째, 청소년의 놀이는 함께하는 놀이가 아닌 개인 중심의 문화이다. 셋째, 청소년의 놀이는 재창출을 위한 여유와 휴식을 즐기는 놀이가 아닌 소일(killing time)의 문화이다. 넷째, 청소년의 놀이는 감각적이고 충동적인 단순유희형 문화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놀이를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놀이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놀이에 대한 성인들의 의식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건전한 놀이문화는 함께하는 즐거움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일깨워 나가야 한다. 셋째, 청소년이 스스로 자신들의 생활문화를 표출할 수 있는 공동체적인 놀이공간의 확보와 다양한 놀이의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에게 놀이가 단순한 소일(killing time)이 아닌 자기 발전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자각을 일깨워 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draw basic data to make the youth playing culture desirable, to understand it and to help the youth self-realization. To solve problems of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youth playing culture in or out of the school, I investigated the type of the playing culture around school, private institute, and their home where students spend all their time, and then researched the cultural characters of youth playing. As this study method, I observed the playing cultur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llected to analyze data from students who is selected with question papers and stratified sampling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chool, I found that students enjoyed active playing or inactive playing to adapt their situation according to their given free time. But after school, students spent most time in private institute and their home. In Hakwon(private institute), they didn't have much time so that they enjoyed relatively inactive playing such as eating snack, mailing with cell phone and gambling with coins. In their home, they usually spent their time watching TV or using computer. I could find out four characters of youth playing culture based on their situation. First, youth playing was the adaptive culture to be freed from time, space and money. Second, in the youth playing culture, individual activities was more important than group activities. Third, youth playing was not to enjoy the free time for recreation, but only to kill time. Fourth, youth playing was simple, sensitive and impulsive culture for entertainment. After all, here are some results as follows. First, Adult must change their minds to develope youth playing more positive. Second, students must recognize to start better playing culture with pleasure. Third, we must provide the public playing space and variou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ress their playing cuture. Fourth, there must be some education to understand students that youth playing is not for killing time but for self development.

      • 아파트의 판상형·탑상형 단위평면 특성 비교 연구 : 민간개발사 H사 단위평면 사례를 중심으로

        이금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9년 서울시는 공동주택 심의기준의 발표를 통하여 주동의 형태를 다양화와 함께 주동 형식 또한 거주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법적 기준으로 전환하였으며, 주동이 300세대 또는 5개동 이상의 아파트의 경우 최소 2가지 이상의 주동 유형을 의무적으로 반영해야한다고 명시함으로 이전의 획일적인 판상형태의 아파트만으로 건설 되어질 수 없는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고, 이에 따라 이후 다양한 판상형·탑상형 복합 형태의 아파트단지가 생겨났다. 하지만 이렇듯 아파트 주동 및 단위평면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이 다양하고, 사회적 변화, 제도적 변화, 시장 여건의 변화 그리고 거주자의 니즈(NEEDS)가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아파트 주동 형태의 대표적인 형식인 판상형·탑상형에 대하여 다각적 분석을 실시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며, 저출산·고령화·소가족화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의 대표적인 양식인 아파트 단위평면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파트 주동 유형의 대표적인 형식은 판상형과 탑상형을 대상으로 단위평면에 대한 정성적 분석 및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며, 실제 아파트 설계에 참여한 실무자 및 현재 설계 관련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아파트 단위평면 계획에 대한 개선방안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거주 후 가치 평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판상형·탑상형 단위평면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 판상형·탑상형 공급 현황을 조사한 결과 각각 Y형, L형 등 복합적인 주동형태로 공급되고 있으며, 각각의 유형마다 여러 장단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판상형의 경우 남향배치가 용이하고 맞통풍 구조 설계가 가능하며, 일반화된 설계 형태로 인하여 주거 공급이 비교적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조로운 단지경관 창출, 획일화된 평면 등의 단점이 있었다. 반면, 탑상형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단지배치가 가능하고, 독특한 평면구조 및 가변설계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판상형과 달리 모든 세대의 남향배치 및 맞통풍 구조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형태의 장점을 극대화한 평면 형태의 적용이 필요하며, 판상형 탑상형 두 형태는 단지 내 배치에 있어서 상호보완적인 형태로 공급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판상형·탑상형의 정량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리적인 규모 상에서는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판상형은 남향배치를 극대화 하기 위해 단위주호 전면칸 수를 높게 하는 형태의 평면으로 설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상형의 경우 공간의 다양한 활용을 위한 형태로 주로 설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아파트 배치 시 판상형의 경우 남향배치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탑상형의 경우 조망권 및 다양한 단지 배치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지 내 판상형 탑상형 단위평면세대수의 비율은 탑상형 20~30%가 적당하며, 판상형은 단위주호 전면칸 수 및 맞통풍 구조를, 탑상형의 경우 발코니 확장에 따른 실 사용면적 증가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거주 후 가치 평가분석 결과 판상형, 탑상형에 따른 아파트 분양가 및 실거래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동일한 유형의 단위평면이라고 할지라도 어떤 층별 입지조건 및 외기 면한 향에 따라 분양가격이 변화하는 것으로 조사하였다. 따라서 판상형, 탑상형에 거주하는 입주민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단위평면의 공급보다는 저층․중층․고층에 입지한 단위평면의 특징을 살린 특화설계의 도입 또는 외기에 면한 향의 개선이나 타 유형과의 형평성을 맞추기 위한 설계적 노력이 선행된다면, 결과적으로 입주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고 있는 주거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사회적 환경 변화 가운데 아파트 단위평면의 대표적인 형태인 판상형·탑상형을 대상으로 각각의 형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 판상형 및 탑상형은 각각의 장·단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은 어느 한 형태의 평면이 좋고 나쁘다는 측면의 접근이 아니라 상호적으로 보완해야 하며, 거주자의 가족구성, 개성, 취향, 라이프 스타일등을 고려한 선택의 과정을 통하여 복합적 공급 형태로 소비자들에게 공급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