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陶厓 洪錫謨의 和陶詩 연구

        이관성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4

        Doae Hongseokmo that he served Doyeonmyeong as a lifelong teacher that named his ho(號) after a do(陶). Doae, who had shown no great interest in the government post since he was a child, finally realized his dream of return to the Countryside, At this time (1851), He composed a poem 29 subject 119 works. In this study, I considered his hwado-poet to be three main themes. First, he recited ' Life's 反芻 and remorse. ' As if to be a work built in his later years, he looks back on life and repents on the path to life. He is sorry for his failure in his career and the consequent neglect of his life as a poet. The rest of his life, based on these past reflections, pursues Dao(道) and sings about the back to the rural of all of his ears that dreamed of becoming an ideal world. A poem written in the character of Doyeonmyeong is a transliteration that avoids the chauvinistic nature of the poem and accepts it calmly without fear of the mainstream life and death of the god, Doae is singing her own direction based on this achievement of Doyeong Myeong's poet.

      • KCI등재

        미수 이인로의 시세계 연구의 일단

        이관성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8 No.-

        Lee In-Ro was a bureaucrat and writer of the Korea Dynasty's Military Dictatorship Period which witnessed the sudden collapse of the existing values. He started his official career in the central government but didn't rise to the level where he could exercise his administrative skills and abilities to the full. A practical Confucianist, he showed a strong will to concern himself with public issues. What he faced, however, was the unbreakable barrier of reality. Under the dark days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he was deeply frustrated at being in adverse circumstances but, on the other hand, struggled within himself to keep his conscience clear as a scholar. Lee In-Ro also showed a tendency to get over his frustration through Taoist meditation. His infatuation with Taoism was not an escape from reality but the attainment of a state of overcoming worldly desires and feeling joy inside. His Taoist inclination was accompanied by "Back-to-Nature" tendency. Having failed to return to Nature due to harsh reality, he found his Utopia in Nature surrounding him. He pursued the world of unity through harmony with Nature. His pursuit was a way of confirming the existence of himself in reality. 미수 이인로는 고려 무신집권기의 문인으로, 정권을 잡은 무인들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지적 능력을 갖추고도 권력의 중심부에서 소외되어 자신의 능력을 펼치지 못한 인물이다. 그는 젊었을 때 경세적인 학문인 유학을 바탕으로 세상에 참여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현실은 이인로의 그러한 의지와 능력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가 바라본 현실은 암울하였으며, 자신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현실에 대하여 울분은 토로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는 학자로서의 굳건한 廉潔意識을 가지고 가치관이 전도된 세상에서 올바른 길을 걷고자 한다. 유교를 바탕으로 한 현실참여의 문로가 막힌 상황에서 그는 도가 사상에 심취하여 현실의 암울한 상황을 극복하려 한다. 그러나 그러한 도가의 심취는 일종의 현실 도피의 성격이 아니라 그 안에서 자신의 정신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무하유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다. 즉 인간은 물욕을 극복하고 담박한 정신경계를 이루어 내면의 희열을 느낄 수 있는 독자적인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의 당호로 추정되는 「逍遙堂」이란 시는 구속이 없는 절대 자유의 경지를 노래한 것으로, 그의 도가에 대한 지향을 극명하게 드러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의 도가적인 사상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화귀거래사」가 있다. 현실과의 부조화로 인한 도가적인 사상으로의 몰입은 자연귀의적인 양상으로 표출된다. 그는 자연을 감상하면서 도가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의 도가에 대한 선망을 노래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소망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평생을 개경의 권력의 주변에서 맴돌았다. 그의 자연귀의의 소망은 현실에서 이루어질 수 없었고 다만 그가 접할 수 있는 자연 안에서 이상향을 그리워 할 뿐이었다. 단절된 귀거래의 소망은 현실의 자연에서 자연과의 융화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 KCI등재

        陶厓 洪錫謨의 「觴詠圖」 九首 小考

        이관성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3

        This thesis is a kind of interdisciplinary study which is a study of sang-yeongdo' play, which is a kind of traditional play in folklore, and its playability in combination with the aspects of Chinese characters. As you can guess from the name, the sang-yeongdo shows the meaning of 'drinking plate, writting poetry and enjoying the sightseeing.' To enjoy this trip properly, you must have a thorough knowledge of the testimony of the town, and you should know how to write poetry and prose. In other words, it induces competitiveness between education and writers through an interesting and soft way of play. Studies on sang-yeongdo in the field of folklore have recently been reported in academia through the doctoral thesis, including the concept, play aspect, and meaning in play. However, they could not present the work that showed the actual performance aspect, but I found out 'sang-yeongdo' nine poem's in the martial arts of Hong Seok-mo and I examined the realization aspect of the 'sang-yeongdo. Doae's works, which were built at this time, are beyond the tendency of simple poetry, which is schematized in order to enjoy play, and show a high level of assurance of the artist' s consciousness and literary character. 이 논문은 민속학적인 측면에서 전래의 도판놀이의 일종인 觴詠圖 놀이에 대해, 그 演行 양상을 한문학적인 측면과 결합하여 살펴본 일종의 학제간 연구에 해당한다. 상영도는 이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술을 마시고 詩作을 하며 유람을 즐기는 놀이판’이란 의미를 지닌다. 상영도 놀이는 한 판의 여행인데, 이 여행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文鄕의 고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져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詩文을 작성할 줄 알아야 한다. 즉 이는 놀이라는 흥미롭고 부드러운 방식을 통해 참여자들에게 학문과 作文의 경쟁을 유발한다. 민속학적인 분야에서 상영도에 대한 연구는 최근 박사논문을 통하여 그 개념과 놀이 양상, 그리고 놀이에 담긴 의미 등 상영도의 전체적인 면모가 학계에 보고되었다. 그렇지만 그 실제 연행 양상을 보인 작품을 제시하지 못하였는데, 필자는 陶厓 洪錫謨의 시에서 「觴詠圖 九首」를 발굴하여 상영도의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때 지어진 도애의 작품은 놀이를 즐기기 위하여 도식화된 단순한 詩作 경향을 넘어서 작가의 의식과 문학성을 담보한 수준 높은 경지를 보이고 있다.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홍석모의 <황성잡영(皇城雜詠)> 소고(小考) -조선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연경의 시적 형상화-

        이관성 ( Kwan Sung Lee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8

        陶厓 洪錫謨(1781~1857)의 「游燕藁」에 실려 있는 <皇城雜詠>은 조선 문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초반 연경의 모습을 시로 표현한 작품이다. 「유연고」는 1826년에 도애의 부친인 薰谷 洪羲俊(1761~1841)이 동지정사로 연행을 떠나게 되자 도애는 子弟軍官의 자격으로 陪行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여행 과정에서의 견문을 한시로 기록한 일종의 기행시집이다. 이 가운데 <황성잡영>은 도애가 청의 수도인 연경의 모습을 7언 절구 100首의 연작시 형태를 통하여 집중적으로 그려낸 것이다. 도애의 「황성잡영」에는 청에 대한 상반된 인식이 엇갈려 나타난다. 아직도 잊지 못하는 숭명의리정신과 그에 바탕한 우리 민족의 굴절된 역사에 대한 안타까움이 여타 연행록과 큰 궤를 같이 하는 사고방식이라면, 청의 발달한 문화, 문물, 상업 등에 대한 현실 인식의 바탕위에 그에 대한 부러움과 청조의 실질적인 지위를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모습에서 도애의 세계관이 남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도애는 민속과 민풍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일생을 통해 꾸준히 採錄하였는데, 이러한 행위의 근저에는 민중에 대한 사랑과 아울러 그가 영위하던 도시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가 자리 잡고 있다. 도애는 연행을 통하여 이런 관심을 중국까지 확대하였는데, 그것은 중국의 발달된 문화를 소개하는 한편 발전적인 방향으로 수입하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 있다. 「황성잡영」은 19세기 초반 조선의 문인이 중국의 수도인 연경의 곳곳을 객관적으로 살핀 바탕 위에 현실의 세계를 긍정하고, 나아가 발전적인 중국의 문물과 이에 바탕한 도시문화를 새로운 가치관으로 바라보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Hwangseong Jabyeong`, which is composed of 100 sets of a quatrain with 7 Chinese characters in line in Yuyeongo, is a record of diverse figures of life in Yeongyeong based on the citizen`s view in 19th century. This writing depicted Yeongyeon`s daily scene with two points of view in place (inside and outside of a palace). Do-e illustrated, in front part of the writings, overall figures of the palace, securing a bit of objective view point on the Ching dynasty. Outside of the pace, Do-e demonstrated commercial activities in abundant resources and urban life customs and festivities of average citizens based on a comfortable and romantic living. Different apprehensions on the Ching dynasty were laid in Do-e`s `Hwangseong Jabyeong`. While the pathos on the resident pre-Ming spirit and the national history of distortion based on the spirit would be a parallel way of thinking with Yeonhaengrok, a positive attitude to adopt a practical status of the Ching dynasty in an enviable fashion based on the realization of cultural, civil and of Ching would be Do-e`s another outlook on the world. Do-e showed a deep interest in folk customs and manners and continuously transcribed them, in which his affection for people and his positive contemplation of urban life he had enjoyed were involved. He expanded this interest to China through Yeonhaeng, which not only introduced the advanced culture in China, but displayed his intention to import this culture in an expansive manner. `Hwangseong Jabyeong` would be evalu on the basis of the objective ground that an 19th century`s man of letters looked all around China, and further, that contemplated China`s civilization and its fundamental civil culture with a new sense of value.

      • KCI등재후보

        陶厓 洪錫謨의 생애와 시세계

        이관성(Lee kwan-Sung) 대동한문학회 2005 大東漢文學 Vol.22 No.-

        『東國歲時記』의 저자로 알려진 홍석모(1781~1857)는, 耳溪 洪良浩(1724~1802)의 손자이며, 이조판서를 지낸 薰谷 洪羲俊(1761~1841)의 아들이다. 역시 이조판서를 지낸 冠巖 洪敬謨(1774~1851)가 그의 사촌형으로, 소위 경화사족에 해당한다. 그는 『陶厓詩集』, 『陶厓詩文選』, 『游燕藁』, 『賞心錄』 등의 저술을 통하여 6000 수 이상의 시를 남으로 남겼으나, 현재까지 그의 생애조차 정확하게 연구된 것은 없다. 홍석모의 본관은 豊山으로 初名은 錫榮이며 字는 敬敷이고, 호는 玉灘居士, 九華齋, 陶厓, 近窩, 紫閣山人, 望西堂, 사翁, 一兩軒, 餐勝子이다. 1781년 7월 29일 한양 훈도방 泥峴(지금의 충무로2가)에서 薰谷 洪羲俊과 용인이씨로 부사를 지낸 李章祜의 따님(1760~1835)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도애의 어린 시절의 교육은 조부인 이계 홍양호의 밑에서 이루어졌다. 도애는 이계로부터 경전과 서예를 직접 배운다. 그 후 도애는 賞心契와 菊社 등의 시사를 통하여 시 공부를 계속하며, 시로 문단에 이름을 날린다. 한편 도애의 학문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도교와 불교에 대해 개방적인 자세를 지녔다는 것이다. 그는 이계를 모시면서 도교와 불교에 대하여 방대한 독서를 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며, 스님들과 교유관계를 맺는다. 『南華經』을 읽었다는 진술이 있고, 『산해경』을 읽은 독후감을 장편의 시로 남기기도 한다. 도애는 유가의 경전 공부에 대하여 “딱딱한 밤을 씹는 것 같고, 마른 우물을 파는 것 같아서, 조용히 潛心하여 깊이 사색하려하면 곧 졸음이 몰려온다.”고 하였으며, 선비들이 배격했던 중국의 패관소설을 읽은 것으로 보인다. 도애는 50권 21책의 『도애시집』, 『도애시문선』의 金ㆍ石ㆍ絲ㆍ竹편, 『遊燕藁』의 天ㆍ地ㆍ人편에 모두 6000수 이상의 시를 남겼다. 작품수가 많은 만큼 시의 내용도 여러 양상을 보이는데, 국토자연을 노래한 기행시, 민초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나타낸 시, 민족 전래의 민속과 연희에 대한 시, 다른 작가에서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잡체시, 정물에 대해 읊은 시, 그리고 친우들과의 수창시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 중 필자는 도애의 시세계에서 나타나는 세 부분, 즉 유람하면서 바라본 국토자연과 그 안에 깃들어 살고 있는 민초들의 삶, 그리고 그들의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삶의 즐거움과 위안을 제공하는 민족 전래의 풍속과 연희의 세 단락이 ‘우리 것에 대한 애정’이라는 한 주제의 흐름 아래 연결된 고리의 연속이라고 파악하였다. Hongsukmo(1781~1857), who is famous for writing Dongkuksyesiki(동국세시기), is the grandson of Hongyangho(洪良浩 1724~1802) who was a prominent scholar in the later of the Chosun dynasty, is the son of Honghejun(洪羲俊 1761~1841) who was occupied the minister of Yijo(吏曹). He wrote Doyaesijib(『도애시집』), Doyaesimunsun(『도애시문선』), Yuyeongo(『遊燕藁』) and Sangsimrok(『상심록』), but up to now what kind of study on him have not been done. He was directly taught Kyungjun(經典) and Seyae(書藝) by Hongyangho. And later he organized sisa(詩社)s which were named sangsimkye(상심계) and kuksa(菊社), made a name in literature. Otherwise making observation of his scholary feature, he maintained open attitude against buddhism(佛敎) and taoism(道敎). Furthermore he read enormous book of buddhism and taoism. he read the paekwan(稗官) novel of china. He wrote poet more than 6000. I think that there are three category in his poet world under the ‘love for Ours' of subject. There are 1.national nature 2.the life of people 3.traditional amusement.

      • KCI등재

        도애(陶厓) 홍석모(洪錫謨)의 금강산 유기, 『간관록(艮觀錄)』 일고(一考)

        이관성 ( Lee Kwan-sung )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1

        도애는 餐勝子라는 호에서 알 수 있듯이 남다른 旅行趣를 지녀 어릴 때부터 조선팔도의 대부분을 유람하였다. 그는 단지 유람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기록하고 詩作하여 유기로 남기는데, 조선 제일 명산인 금강산에 대해서도 『간관록』이라는 유기를 남긴다. 이 책은 목차격인 노정기, 헐성루에서 바라본 금강산의 전체적인 지리를 그린 歇惺樓眞面, 서문 격인 題辭, 내외산일기로 구성된 일기형식의 기록, 각주격인 각각의 대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묘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금강산의 모습을 파악하기 용이하게 하였으니, 즉 일종의 종합 여행 안내서 내지 지도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9세기 초반 賞心契를 중심으로 활약했던 일군의 소론 학자들은 유기의 正體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직접 유기를 통해 자신의 이론을 구현해내었다. 이들은 당대 유기가 의론 위주임을 비판하고 유기의 본질인 경치의 사실적인 묘사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도애는 자연 대상을 묘사하기 위해서는 마음으로 깨우칠 것[心得]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사물을 감각에 의존하여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의 본질까지 파악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景, 境, 情, 事의 네 가지 요소를 깨우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도애의 『간관록』은 관암의 「해악기」를 箚記한 것으로 보이지만, 기록의 많은 부분은 자신이 한 말이다. 특히 경치 묘사에 있어 실경의 특징을 잡아 상세하게 그려내고 있으며, 의논을 최대한 축소하고 있다. Doae, as seen from Chanseungja, a vocative for him, has an extraordinary amount of travel and does not just stop for a tour, but leaves it as a record. And the Gangwanrok, a Keumgangsan excursion in this study, has this tendency. This book is made up of Nojoenggi corresponding to a table of contents, Heolseongru-jinmyeon depicting the overall geography of Keumgangsan observed from Heolseongru, a diary-type record consisting of Jesa, Naewoesan-diary corresponding to the preface, and a detailed elaboration and description of each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notes. As this configuration was organically linked to make it easier to see the overall appearance of Keumgangsan, that is, it can be regarded as a sort of comprehensive travel guide or guidebook. A group of Soron scholars who were active in Sangsimgye in the early 19th century argued about the identity of Yugi and claimed to return to the realistic depiction of Yugi`s essence, scenery. Doae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awaken in mind to describe natural objects (Shimdeuk; Gained by mind]. This means that you do not depend on the senses but look at the nature of the objects to grasp the essence. For this, he argued that the four elements of Gyeong, Gyeong, Jeong, and Sa (景, 境, 情, 事) should be enlightened. In addition, it takes the form of `chagi(箚記)` through a lot of reading, but draws the characteristics of Shilgyeong in the description of the scenery in detail, and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discussion is minimized.

      • KCI등재후보

        뇌경색에 대한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치료

        이관성 ( Kwan Sung Lee ),양승호 ( Seung Ho Yang ),전신수 ( Sin Soo Jeun ),박춘근 ( Chun Kun Park )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08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5 No.4

        Although there has been vast advance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diseases, ischemic stroke remains the main cause of serious adult disability and mortality in the world. Stem cells have shown notable functional restoration by cellular transplantation in experimental models of stroke. Furthermore, stimulation of endogenous adult stem cell-mediated repair mechanisms in the brain might offer new avenues for stroke therapy. However, important scientific issues need to be addressed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underlying mechanisms in the critical steps of stroke. In this review, we summarize preclinical experimental studies using bone-marrow derived stem cells for the treatment of stroke, and discuss the parameters to be determined for transplantation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