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포로수용소에서의 음악과 평화 -반도와 구루메를 중심으로

        이경분 ( Kyungboon Le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음악연주로서 특별한 수용소로는 독일의 집단수용소KZ 뿐 아니라, 제1차 대전 중 일본의 포로수용소가 있다. 칭다오 전투에서 항복한 약4,700명의 독일/오스트리아 포로들은 일본으로 이송되어 1920년 귀국할 때까지 포로수용소 내에서 음악연주를 비롯하여 다양한 문화 활동을 전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차 대전 중 음악활동이 매우 활발했던 일본의 구루메와 반도 포로수용소를 통해 음악과 평화의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독일 베를린 리히터펠데(Berlin-Lichterfelde) 연방아카이브에 보존되어 있는 독일적십자 문서를 비롯하여 독일병사들의 일기, 회고록 및 당시 일본 신문자료와 일본외무성자료 등을 참고로 일본 포로수용소에서 어떻게 심포니나 현악사중주와 같은 클래식음악 연주가 가능했고, 이러한 활동을 허용한 일본정부의 정책적 의도는 무엇이었으며, 과연음악=평화 또는 음악=휴머니즘의 관계가 성립하는지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일본포로수용소의 음악활동을 국내학계에 소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활발한 음악활동이 반드시 휴머니즘적 수용소라는 등식이 성립하지 않음’을 밝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Japanese P.O.W. camp in Bando in the Shikoku Island during the WWI is regarded as ‘a paradise’ of the German-Austrian prisoners and the peaceful P.O.W. Among the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heir musical performances have contributed to this positive reputation. By analyzing German documents of the Federal archive Berlin-Lichterfelde in Germany, diaries and memories of the prisoners as well as Japanese documents in the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this study explores how music related to peace in the Japanese P.O.W. camp, particularly in the case of Bando and Kurume due to their enormous musical activities, and which political purposes Japan had aimed to. It further examines the interrelation between music and peace.

      • KCI등재후보

        엔카의 소비와 일본대중문화의 상실감: 1980,90년대를 중심으로

        이경분 ( Kyungboon Lee ) 한국음악학학회 2014 음악학 Vol.22 No.1

        본 논문은 고도성장의 거품경제가 폭락하여 일본사회전반에 불안한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시기인 1990년대 전후 엔카의 소비를 통해 일본대중문화의 변화를 살펴보고 일본사회가 욕망하는 시대적 정서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엔카에 대한 음악적 분석이 아니라, 엔카의 소비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일본 대중문화에 나타나는 컨텍스트의 변화에 집중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은 인문학과 음악학을 접목, 융합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먼저, 1980년대 말 일본사회에서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애착심이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지 복고풍의 문화현상에 대해 살펴본 후, 국민적 문화로 승격된 엔카가 1990년대 미디어에서 어떻게 소비되었는지 분석한다. 특히 1990년대 인기를 끌었던 방송 ≪엔카노 하나미치≫ 등 미디어에서 소비되는 엔카의 스트레오타입을 분석하고 허구의 시대에 엔카의 인기가 높은 원인을 엔카의 픽션화 그리고 1990년대 일본대중문화에 드리워진 ‘오리엔탈리즘적 향수’의 정서로 서술한다. By the end and after the High-Growth Era more Japanese people tended to an consume oriented image of sophisticated lifestyle and they seemed to be globalized. Contrary to these phenomena, enka, which had been on the decline after 1970, was explosively consum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karaoke-box. This study explores what demands of the time related to remarkable consume of enka, whereupon two keywords such as ‘fiction’ and ‘internal exotic’ could be analyzed.

      • KCI등재

        윤이상과 아시아

        이경분 ( Kyungboon Lee ) 민족음악학회 2017 음악과 민족 Vol.0 No.54

        윤이상은 1967년 서베를린에서 남한으로 강제 연행되어 고문을 받고 간첩혐의에 죽을 고비를 넘긴 후 독일에서 세계적 음악가로 자리를 잡았지만, 끝내 고향에 돌아오지 못하고 망명음악가로 일생을 마감했다. 유럽작곡계에 진입하여 성공한 아시아 최초의 작곡가로서 윤이상의 현대 음악사적 업적은 ‘동아시아적 전통을 서양 예술음악의 언어로 재용해’했다거나 ‘아시아음악문화와 서구 음악문화의 본질적 특수성을 연결’시킨 것으로 칭송된다. 그의 위대함과 중요성이 거론될 때 윤이상 음악의 원천인 한국음악은 항상 ‘아시아’라는 상위개념 속에 용해되는 경향을 가진다. 그의 음악세계에서 아시아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윤이상 스스로 자신의 음악에서 아시아적인 것을 ‘중국과 한국의 궁정음악 언어만이 아니라, 도교나 불교적 특성을 담은 신화적 소재나 조형예술 소재들 전체를 지칭’한다. 하지만 윤이상이 말하는 아시아에 일본은 들어있지 않다. 그의 음악세계에서 일본은 어떠한 역할도 하지 못했는가? 본 논문에서는 윤이상의 창작세계에서 아시아의 의미를 살펴보고, 윤이상과 일본의 관계를 조명하여, 이것이 그의 디아스포라적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서술하고자 한다.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of Isang Yun in the Western contemporary music history is regarded as “translator of the Asian music aesthetics into Western music language”. Yun himself has often defined the origin of his music world comes from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esthetic. However, Japanese music seems not to have any place in his music world. Also in the interviews and lectures of Isang Yun Japan has been seldom appeared in the context of Asian music. On the contrast to this fact, the musicians among the Asian countries which Yun had the most familiar relationship with were the Japanese. And Yun has had twelve Japanese music students in his Berlin period, while Korean students were only few. Which role has Japan played in the music world of Isang Yun? This study explores meanings of ‘Asia’ in Yun’s Music world and the his relationship to Japan. To conclude, this article examines the question whether and how his diaspora life could be connected with a meaning of ‘Asian master’ which Yun might prefer to ‘Korean master’.

      • KCI등재

        한국전쟁기 포로노래의 역할 : 포로 통제수단으로서의 금지곡

        이경분 ( Lee Kyungbo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 논문은 한국전쟁 중 포로들의 노래가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라는 전제하에 유엔측 수용소 당국이 강력한 포로 통제를 위해 제정한 금지곡 규정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포로들에게 금지된 노래는 무엇이지, 금지곡 규정이 언제, 어떤 배경에서 등장했는지 탐구하였다. 또한 금지 곡목의 작은 변화에서 나타나는 수용소정책과 금지곡 규정의 애매함도 분석하였는데, 그 예로서 수백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봉암도 사건’을 자세하게 다루었다. 용초도 수용소에서는 금지곡 규정의 애매함을 개선한 5곡 허용규정을 시행하였으나, 오히려 노래는 포로를 통제하기 위한 강력한 통제수단이었음이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전쟁 중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무장 해제당한 포로들이 수용소 당국에 저항하는 수단으로서 노래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지만, 유엔군측의 노래에 대한 ‘과잉 반응’은 포로의 노래가 그 이전의 전쟁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높은 정치적 가치’를 부여하는 결과를 낳았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기의 유엔군 포로수용소의 특징 중 하나는 금지곡 제정과 이로 인한 유혈사태에서 보여주듯이, 노래를 둘러싼 수용소 당국과 포로 간의 갈등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prohibited songs established by the UN camp authorities for strong prisoner control.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d what songs were banned from prisoners, what background the prohibited song regulations appeared. It also analyzed the ambiguity of prohibited song regulations, as an example, the Pongamdo Incident, which caused hundreds of casualties, was dealt with in detail. The Yongchodo POW camp implemented a five-song allowance rule that improved the ambiguity of the prohibited song regulation, but rather, it turned out that the song was a strong means of control to POWs continued to complain and protest. In conclusion, while the role of songs by the unarmed POWs in the Koje Island POW camp as a means of resisting the camp authorities was very important, the U.N. military's excessive response to the song resulted in a high political value of songs that was unimaginable in previous wars. In other word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 POW camp during the Korean War is the conflict between the camp authorities and prisoners over the song, as shown by the enactment of the banned song and the resulting bloodshed.

      • KCI등재

        중일전쟁 시기 동아시아 교향악단 교류

        이경분(Kyungboon Le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8 아시아리뷰 Vol.7 No.2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1939년은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교향악단 역사에서 중요한 해이다. 하얼빈교향악단의 일본투어가 있었고, 일본의 뉴심포니오케스트라(일어로 新交響楽団)가 첫 해외투어로 경성연주회를 개최한 특별한 해이다. 한반도의 관점에서 보면, 역사상 처음으로 외국 전문오케스트라가 경성에서 연주하는 사건이 있었던 해이다. 평화로운 시기에도 없었던 두 교향악단의 연주여행이 한꺼번에 이루어졌던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면상의 문제로 뉴심포니오케스트라의 연주여행은 추후에 밝히고) 지금까지 국내 음악학계에 전모가 소개되지 않은 하얼빈교향악단의 연주여행만 자세하게 다루고자 했다. 특히 중일전쟁 중에 하얼빈교향악단의 연주여행이 가지는 의미와 일본 평론가들의 혹평과 그 배경, 교향악단이 부재했던 경성의 음악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교향악단과 교향악이 전쟁 중에 어떠한 문화·정치적 위상을 가졌는지 밝히고자 한다. 1939 is a special year when not only the Harbin orchestra carried out a Japanese concert tour, but also the Japanese New Symphony Orchestra began its first abroad tour since its establishment. Therefore, two concerts performed by foreign orchestras were held in Kyungsung in 1939. It seems not to be a coincidence but related to the Second Sino-Japanese War which began from the beginning of 1939, a new phase with the unprecedented defeat of the Japanese. This can be conjectured because the Harbin orchestra was sent to Japan as a “Japan-Manchukuo Anti-Communism Art Delegation” in order to propagate anti-Communism. This study explores the political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concert tour of the Harbin orchestra and the reactions of Korean musicians after the concert in Kyungsung in 1939.

      • KCI등재

        ≪히로시마 내 사랑≫에서의 영화음악과 반전평화의 의미

        이경분 ( Lee Kyungboon ) 한국음악학학회 2017 음악학 Vol.25 No.1

        미군정 지배 하의 일본에서 오랫동안 금지되었던 히로시마 원폭에 관한 영화가 처음 공개된 것은 1952년 8월 신도 가네토(新藤兼人)감독의 ≪원폭의 아이≫(原爆の子)이다. 이어 1953년에 세키카와 히데오(關川秀雄)감독의 ≪히로시마≫(ひろしま)가 히로시마의 시민과 교육계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8만8천5백명 엑스트라 참여) 원폭직후의 참상을 재현하는 두 번째 영상이 되었다. 세 번째 영화는 6년 후 공개된 일본과 프랑스 합작영화 ≪히로시마 내 사랑≫이다. 이 영화는 나치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참상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영화≪밤과 안개≫(Nuitet brouillard)로 주목을 받았던 젊은 감독 알랑 레네(Alain Resnais)의 작품으로 1959년 6월 프랑스에서 ≪Hiroshima mon amour≫, 일본에서는 ≪24시간의 정사≫(二十四時間の情事)로 각각 개봉되었는데, 당시로서는 불편한 주제인`원폭`을 다룬 것뿐 아니라 영화 미학적으로 획기적인 영화로 평가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히로시마 내 사랑≫의 해석에서 내러티브에 못지않게 중요한 영화음악의 역할을 살펴보고 내러티브, 영상, 영화음악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영상을 해석하고자 한다. 영화음악은 과거의 트라우마를 가진 여주인공의 심리적 변화를 해석해주고, 결국 그녀의 트라우마가 치유되어 새로운 인식에 도달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이 영화가 음악적 평화 반전영화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The Japanese-French film Hiroshima mon amour, published in 1959 by Alan Resnais, is considered as “a wonder in the postwar film history” due to its modern way of interpreting reality. The astonishing film music of Hiroshima mon amour, in particular using the counterpoint and leitmotiv functions, give obvious messages to screens which alone remain unclear. This study addresses the understudied film music exploring a new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is film. While Hiroshima mon amour was often received as a film about the mechanisms of memory and forgetfulness, the comments of film music show that Hiroshima mon amour can be a film to express the human search for personal happiness and peace, and the constant awareness of collective tragedy and threat.

      • KCI등재

        음악과 정치: 마유즈미 도시로(黛敏郎)와 일본우익 - 모더니스트에서 기미가요제창운동가로

        이경분 ( Kyungboon Lee ) 한국음악학학회 2016 음악학 Vol.24 No.2

        본고는 전후 일본의 현대음악계를 이끌어나갔던 작곡가 마유즈미 도시로(黛敏郎, 1929~1997)가 50년대 모더니스트에서 70년대 기미가요제창 운동가로 변모하는 과정을 서술해 보고, 마유즈미와 기미가요의 관계를 통해 음악과 정치의 한 단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변화는 마유즈미가 일본 전통에 심취하는 것에서 시작하므로 먼저 마유즈미가 전통적 소재로 창작한 대표작품<열반교향곡>(涅槃交響曲, 1958)과 오페라 <금각사>(金閣寺, 1976)를 중심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일본전통문화의 수호자로서 정치적 우익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그 배경에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1925~1970)의 할복사건이 자리 잡고 있으므로, 미시마와의 관계를 분석한 후, 미시마의 죽음이후 완전히 우익화된 마유즈미가 주장하는 기미가요 제창론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음악적으로 그리 중요한 장르가 아닌 국가 <기미가요>에 집착하는 마유즈미의 작품세계에 우익사상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음악·정치적 상관관계를 서술하는 것이다. This study depicts the process of the Japanese composer Mayuzumi Toshiro`s transformation from a avantgarde musician to a activist for Kimigayo Singing Movement. Analyzing his works the Symphony Nirwana and Opera Kinkakuji (the Golden Pavilion) his devotion to Japanese tradition and Buddhist music could be regarded as a first stage to being a conservative musician. However, after his experience with Mishima Yukio`s suicide in 1970, Mayuzumi turned finally to be a rightist and began speak out to appeal for public singing the Kimigayo. This study explores how his rightist thinking and activity influenced his music world and how relates music to politics.

      • KCI등재

        최우정의 오페라 <1945> 연구

        이경분 ( Lee Kyungboon ) 민족음악학회 2020 음악과 민족 Vol.0 No.59

        2019년 9월 27일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에서 초연된 배삼식 대본의 최우정 작곡의 오페라 <1945>는 청중에게 외면되어왔던 창작오페라의 한계를 넘어서 언론과 문화계에서 화제가 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연극작품으로도 관심을 받았지만, 오페라로 탄생하여 1945년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밋밋한 역사적 날짜가 아니라, 생생한 현실로 형상화하는데 성공하였다. 본 논문은 오페라 <1945>를 ‘한국오페라’의 훌륭한 예로 평가하면서, 음악과 가사의 관계를 분석 고찰하였다. 선율과 가사가 한국어의 리듬에 따라 자연스러운 관계에 있고, 여러 가지 인용과 라이트 모티브의 사용으로 대본에서 말하지 않는 코멘트 역할도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오페라 <1945>의 음악적 짜임새가 드러나고, 여러 가지 유행가, 동요, 창가 등 다양한 장르들이 인용되었음에도 전체 음악적 줄기에 녹아들어 산만하지 않고 오히려 풍부한 음악드라마가 되는데 기여했다. Opera 1945 by composer Choe Uzong based on the libretto by the author Bae Samshik, premiered at the Seoul Arts Center's Opera House on September 27, 2019, is a work that has made headlines in the media and culture circles beyond the limits of other Korean opera that had been shunned by the audience. The Origin of this piece was a theater work with the same title 1945, premiered 2017 in Seoul Myoungdong Arts Theater. Opera 1945 shows how a “Korean Modern Opera,” like the opera Godnov Boris by Mussorgsky which Russian People are proud of, could vividly configure Korean people and it’s modern history. This paper asserts the Opera 1945 as an excellent example of “the Korean Modern Opera,”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lyrics. In conclusion, the musical construction of the Opera 1945 could be revealed, and it shows how various genres such as popular songs like Ulinun Manjuseon by Pak Sichun, children's song, and Chang’ga etc. were involved and inserted into the musical stem.

      • KCI등재

        베토벤 9번 교향곡의 일본화: 일본의 연말 다이쿠(第九) 현상의 비판적 연구

        이경분 ( Kyungboon Lee ) 세계음악학회 2018 음악과 문화 Vol.38 No.-

        The Beethoven 9th Symphony concerts take place throughout Japan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which is called in Japan “Daiku”. Why the Ninth, a notoriously difficult work that the members have to sing in German? It seems impossible for amateurs to sing, but they are urged to try harder and the feeling of accomplishment seems sublime. It represents the possibility of coming together in a common destiny. This article introduces on the in Korea almost unknown Japanese Phenomenon “Daiku” and will analyse it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with the questions: when it might begin, why December and Daiku were combined as a pair, why Japanese were encouraged not with the own traditional music but with Beethoven’s music. Finally, the phenomenon after the Fukushima disaster of 2011 will be described with a fake story of the ‘Japanese Beethoven’ Samuragouichi Mamoru in order to show how the image of Beethoven could be easily used to blind the victims of the March 2011.

      • KCI등재

        프란츠 에케르트는 대한제국 애국가의 작곡가인가?

        이경분(Kyungboon Lee),헤르만 고체프스키(Hermann Gottschewski) 역사비평사 2012 역사비평 Vol.- No.101

        The first official Korean national anthem was published in July 1st, 1902, as “Korean National Hymn after Korean motifs by Franz Eckert” and thus believed to be a composition by Eckert until today by the most authors. We have found, however, that a very similar melody was already published in 1896 by Homer B. Hulbert as an example of “Korean Vocal Music”. This melody, one of the very first examples in history of Korean songs transcribed to Western notation, was seemingly a Korean folk song of that time, and there are a number of resembling folksongs that were transmitted orally at least until the late 20th century. Despite slight changes, especially in the beginnings and closings of phrases, Eckert has used the melody as a whole, and his expression “after Korean motifs” obscures the fact that it was rather an “adaptation” of a particular Korean folk song. So Eckert may have “chosen” and has certainly “arranged” the melody of the first national anthem of Korea, but he is not the “composer” of it, at least in modern terms. It is interesting, however, that no historical document is known where Eckert calls himself the “composer” of the hymn, and the circumstances and misunderstandings that occurred about it are similar in several respects to the case of the Japanese national anthem “Kimigayo”. In this paper we reconsider the historical documents concerning this song in the light of the new findings, and we stres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Hulbert as a mediator between the Korean and Western music cultures at that time. Since Hulbert was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ers of Korean culture and supporters of the independence of Korea, his (perhaps unconscious) contribution to the genesis of the first national anthem of Korea should raise an increased interest in this early document of Korean-Western musical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