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실습생의 수업대화 연구

        이경면 ( Kyung Myu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교육실습생들이 수업 중 사용한 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업대화능력 향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실습생들은 이름 부르기, 설명 및 안내, 수업태도 요구 등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직접적이고 구체적이며 기능적인 수준에서 다양한 대화전략들을 사용하였으나 아동들의 사고를 확장시켜줄 수 있는 확산적 대화, 높은 수준의 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실습생들은 장애학생들에 대한 낮은 대화 기대와 학생들의 낮은 반응에서 오는 당혹감 등 부정적 느낌과 상황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신을 통제하기 위한 대화전략들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향후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수업대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중 장애아동들의 비언어적 단서를 읽고 언어화 함으로써 풍부한 대화환경을 유지하기, 다양한 상호적 수업대화를 경험할 수 있는 현장실습 등을 포함한 여러 노력들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 teachers` instructional conversation who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nd to increase the ability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Student teachers are using various, direct and functional conversation strategies such as calling, explaining, guiding, and demanding attitudes, but not appeared divergent, and high level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Also, they are using strategies to control themselves in order to overcome negative feeling and confused situations caused by the low conversational feedbacks from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y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various efforts such as reading nonverbal cues, extending practice situations where the student teachers can experience various, and mutual conversation are needed.

      • KCI등재

        장애학생 및 가족의 지역사회통합 지원 모델로서 한국 품앗이 전통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이경면 ( Lee Kyung My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품앗이의 개념과 의미 및 변천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장애학생 및 가족의 지역사회 통합 지원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대안의 하나로서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의존성, 유익성, 개인성의 원리 등 ‘상호 호혜적’ 정신을 토대로 하는 품앗이는 시대의 변화와 요구에 따라 그 형태와 접근방식이 다양하게 해석되고 발전되어 왔으나 장애학생 및 가족의 지역사회 통합의 원리와 상통하는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합을 위한 대안적 원리의 하나로서 다양한 적용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인터넷, 스마트폰, SNS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새로운 형태의 품앗이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변화하는 현대사회와 장애학생 및 가족들의 요구 등을 고려하면서 품앗이 전통의 가치와 방법들을 통합 지원 과정에 적용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oncept, meaning of Pumasi tradition,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Pumasi a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support community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At the result of this study, Pumasi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dependency, benefit, and individuality. It’s forms and approaches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nge of age and social needs. However, Pumasi and the Principles of community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have many things in common. Therefore, it`s possible to say that the Pumassi tradition has applicability as an alternative principle to support community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internet, smart phones, SNS showed applicability of new type of Pumassi. Based on the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 and changing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it is need to actively seek for programs to apply the values and methods of Pumasi to support community integration.

      • KCI등재

        음악 교육이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뇌과학적 근거

        이경면 ( Lee Kyung Myun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연구 Vol.28 No.-

        음악 교육은 언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최근 신경과학 및 인지과학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과 언어 능력의 관계에 관한 논문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음악과 언어는 귀와 뇌로 구성된 청각 경로를 일부 공유하고 있으며, 음악을 통한 청각 경로의 발달은 언어 처리의 효율성도 증가시켜 말을 더욱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듬과 읽기 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의 소개를 통해 계획된 리듬 훈련이 어떻게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소개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융합적 음악 교육의 가능성을 짚어보고자 한다. How is musical training related to language learning?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reviews recent research on the relation of music and language competence in the field of neuro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Both music and language are processed in the common auditory pathway and the auditory pathway shaped by musical training facilitates the processing of linguistic sounds. In addition, by reviewing studies on the rhythm and reading ability, this paper explains how rhythm training improves reading skills. The possibility of a new music program converging musical rhythm and language is also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scientific research on language and music.

      • KCI등재

        초등학생의 리듬-운동 동조화 능력 발달 연구

        이경면 ( Kyung Myun Lee ),이윤상 ( Yune S. Lee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포럼 Vol.26 No.2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5학년 아동 112명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메트로놈 소리에 대한 손가락 태핑 반응을 측정하여 청각-운동 동조화 능력의 발달적 측면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5학년으로 갈수록 응답 정확도가 증가하였으며, 학년별 차이는 BPM 120 빠르기 (500ms 시간 간 격)에서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5학년으로 갈수록 자극과 응답 간 시간 차이가 줄어들고 응답 변화도가 낮아졌다. 또한 3년 이상 악기 교육을 받은 3, 4학년 아동의 경우 BPM 120 빠르기에서 유의미하게 더 일관된 응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최초로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규칙적 리듬에 대한 운동 반응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결과 초등학생은 BPM 120 빠르기를 중심으로 청각-운동 동조화 능력이 발달하며 악기 훈련이 이 발달을 더 촉진하는 것을 보여준다. 언어 처리에서도 대략 500ms 간격의 시간적 규칙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언어 장애 아동의 경우 이 간격에 대한 태핑 반응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 교육을 통한 태핑 능력의 향상이 언어 처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By measuring tapping responses to regular beats, this study examined the auditory-motor synchroniz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result showed the highest tapping accuracy for 5thgrade students. Among four conditions with different tempi, the 120 bpm (beats per minute) condition showed the mos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ith the lowest response asynchrony and the highest response consistency for 5th-grade students. In addition, children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music training showed more consistent response in the 120 bpm condit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investigate the synchronization abilit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 indicates that auditory-motor synchronization develops mainly for 120 bpm and it is more facilitated by music training. It has been known that 120 bpm is also important for speech processing an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have lower tapping accuracy than normal children for bpm 120. Thus, this result implies that music training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by training auditory-motor synchronization.

      • KCI등재

        2008 개정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미술과에 나타난 활동분석 및 수업운영방안

        이경면(Kyung Myun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3

        이 연구는 2008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 미술과 안에 어떤 활동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활동들이 어떤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교과의 의미와 지도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분석결과 미술과 안에서 총 2,431개의 활동이 추출되었으며, 이들 활동을 유사한 활동 군으로 묶은 결과 언어, 지각․인지, 모방, 조작활동 등의 5개 영역에 걸쳐서 총 161개의 하위 활동유형이 나타났다. 이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조작 활동’이었으며, 그 외에도 발달에 관여하는 다양한 활동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미술과가 담고 있는 활동의 다양성은 타 교과와 특징 지워지는 것으로 교육적, 치료적 의미에서의 미술과의 잠재적 중요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향후 미술과가 담고 있는 활동요소들을 적절히 고려하여 개별화된 활동을 계획하고 진행함으로써 장애학생들을 위한 교육 및 치료서비스로서 미술과의 의미를 좀 더 확대해 나갈 수 있으며, 동시에 통합교과로서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study, 2,431 activities are found in the revised art curriculum 2008 for special school. These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161 subtype activities, such as communication, perception-cognition, imitation, operation-related activities, etc. The most noted activity is related to ‘operation.’ In addition, there were many kinds of activities that are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diversity of activities i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curriculum. It clearly shows the latent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as an education and a therapy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y considering the factors of activities in the curriculum and providing individualized activities, the meaning of curriculum can be extended and it can play a key role as an integrated subject.

      • KCI등재

        가정 및 지역사회 환경맥락을 중심으로 한 자폐성 장애유아의 가족중심 교육활동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이경면 ( Lee Kyung Myun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아파트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가정 및 지역사회 안에서 가족들이 자녀에 대해 실시하고 있는 교육활동들을 탐색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요구와 문제들을 토대로 자연적 환경에서 가족중심 교육활동을 위한 방안 및 전략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가족중심 교육활동이 나타난 의미 있는 공간 및 관계들을 중심으로 가족중심 교육활동의 방안들을 모색하였는데, 아파트 내부공간, 아파트 외부공간, 이웃주민과의 관계, 지역하회의 중심적 공간, 지역사회 내의 다른 장애아 부모간 관계 등을 통한 가족중심 교육활동을 모색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내에서 가족중심 교육활동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였는데, 이는 개별유아의 요구분석 → 가정 및 지역사회 환경조사 → 의미 있는 맥락의 탐색과 계획 → 관계형성 → 정보제공 및 협조의 요구 → 참여 → 평가 → 참여 범위의 확장이라는 일련의 과정으로, 가족들이 지역사회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끌어 들여 자원화하고 이를 통해 교육적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볼 때, 이 연구가 갖는 의미는 첫째, 가족들이 자연적 환경 안에서 수행하고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활동들을 통해 가족중심 교육활동 적용의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는 점이고 두 번째 의의는 아파트 주거환경이 갖는 일반적인 동질성이라는 측면에 기초하여 볼 때 이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전략이 다른 유사한 아파트 주거환경 내에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이며, 세 번째 의의는 인구 과밀화와 이로 인한 대규모 신도시의 형성과 생활환경의 변화라고 하는 사회적 현상을 장애유아의 교육과 연관시켜 본 점이다. 이 연구를 기저로 한 후속 연구의 제안으로 첫째, 도시, 농촌, 아파트, 단독주택 등 좀더 다양한 지역사회 환경 및 주거형태를 대상으로 하는 폭넓은 연구를 통해 그러한 환경과 가족과의 관계, 그리고 그 관계 안에서의 가족중심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고 둘째, 가정 및 지역사회 환경 안에서 가족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활동과 개별 유아의 특성(유기체 변인)간의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research, surveyed were educational activities in families conducted by family members for children in a family and a local society focusing on apartment residential areas which have rapidly grown, and some methods and strategies for famil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under natural environments were sought based on needs and problems revealed during the survey. Through the research above, methods for family0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were surveyed based on meaningful spaces and relationships showing those famil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Those spaces and relationships were the interior space of apartment, the exterior space of apartment, relationships with neighborhood, central spaces in local societies, relationships with other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etc. furthermore, concrete strategies were surveyed to apply famil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into local societies. That is a serial process, analyzing the needs of individual child → investigating family and local society environments → seeking and planning meaningful veins → forming relationships → requesting information and cooperation → participations → evaluations → expanding the scope of participations, for families to actively induce relationships in local societies, to form resources, and to make educational tries through them. Seeing from those result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 Firstly,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amil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was surveyed through various and creative educational activities done by families under natural environments. Secondly, the strategies suggested in this research can be applicable to other similar apartment residential areas from the aspect of the general equality of apartment residential environments. Thirdly, social changes such as overcrowding, large size new cities, and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s were surveyed from the aspect of educations for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is research, subsequent researches can be suggested as follow. Firstly, it is necessary to broad research on the famil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and those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cities, agricultural countries, apartment, small houses, and the others. Secondly, the necessity of researches that full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임 초등특수교사의 교직소진에 대한 질적연구

        이경면(Lee Kyung M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초등 특수교육 현장에 신규 임용된 특수교사가 경험한 소진경험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각 학교현장 및 교원양성기관에서 초임교사 현장적응 지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특수교육현장에 임용된 후 1년이 된 초임 초등특수교사 6명(특수학급 3명, 특수학교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초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과다한 업무, 학교구성원 간의 갈등, 학생의 저성취, 선임교사의 소진된 모습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소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교사의 소진이 자신과 학생의 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 하였으며, 자신의 교육행위에 대한 긍정적 결과 및 피드백, 지원적 사회관계 등을 통해 소진회복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교사들은 자기관리, 학교⋅내외 지원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관계형성, 업무경감, 성취경험을 위한 환경마련 등의 소진예방 및 회복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직생활 초기에 성공적인 교직수행 경험의 제공, 예비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소진을 예방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근무환경개선 및 적응을 위한 학교-교원양성대학 간 협력, 소진상황에 대응하는 건전한 교직관 교육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xhaustion experience experienced by novis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for support plan for novice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s and university.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novice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been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for one year, a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It was found that novice teachers experienced burnout due to several factors in common, such as excessive work, conflicts among school members, underachievement of students, and exhaustion of senior teachers. They recognized that the teacher s burnou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own and students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y experienced burnout recovery through positive results and feedback on their educational behavior and supportive social relationships. Novice teachers suggested ways to prevent and recover from burnout, such as self-management, development of school/external support programs, social relationship formation, work reduction, and environment for achievement experienc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vision of successful teaching experience in the early years of teaching career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prevent and respond to burnout for preparato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to improve and adapt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It was suggested that sound teacher education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situation.

      • KCI등재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음악 프로그램의 가능성

        오은지 ( Oh Eunji ),이경면 ( Lee Kyung Myun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20 음악이론연구 Vol.35 No.-

        본 논문에서는 음악 중재(intervention) 프로그램을 통해 음악 교육이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연구한 최근 신경과학 논문들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악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기존 논문에서 사용했던 음악 프로그램이 언어 능력 향상에 왜 도움이 되는가를 분석하고, 이들 프로그램 가운데 한국어의 운율적 특징을 고려해 차별화 되어야 하는 내용들을 논의하였다. 또한 기존 논문들을 바탕으로 적절한 음악 프로그램의 실시 시기와 교육 시간을 알아보았다. This paper reviewed recent music intervention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sic training on language 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ies, a music program was proposed to develop Korean language ability. This paper analyzed why the music program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language ability and discussed what should be differentiated given the prosody of Korean.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how early and how long music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to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