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나타나는 공통 모티프에 관한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6 No.-

        본고는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절름발이’ 짝 모티프에 주목하고자 한다.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우리부부는 숙명정으로 발이 맞지않는 절늠바리인것이다.”라는 「날개」의 서술에서 따 온 명칭이다. 본고는 이 명칭을 통해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특정한 인물의 짝―경제적으로 무능한 남자와 주로 사회적 하층계급인 여자의 짝―을 가리키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박태원과 이상의 소설을 ‘지시적인(referential)’ 내러티브로 읽는 해석의 유효성을 인정하면서, 이로부터 벗어나 이들 소설을 ‘허구적인(fictional)’ 내러티브의 위치로 복귀시켜서 살펴보고자 한다.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박태원과 이상이 공유하는 문학적 모티프로서 소설의 구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모티프를 통해 두 사람이 구현하는 주제가 서로 명확히 변별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절름발이’ 짝 모티프가 박태원 소설에서 먼저 출현하여 그 특성들을 선취한 점을 상기할 때, 이상 소설에 등장하는 ‘절름발이’ 짝 모티프 역시 ‘모상’으로부터 ‘타블로’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경제적으로 무능하여 여자에게 생활을 의존하는 남자와 사회적 하층계급 여자의 짝을 다룬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박태원의 초기 소설에서 먼저 등장한 바 있다. 특히 「비량」에서 초점을 맞추어 형상화하는 관계가 그것이다. 이와 같이 박태원 소설에서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룸펜 인테리’인 남자의 축에 중심을 둔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룸펜 인테리’의 무능함을 폭로하는 장치로 활용됨으로써 창작집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 실린 소설의 주요 인물들이 공유하는 ‘룸펜’적 성격을 강조한다. 한편 이상은 「지주회시」를 필두로 하여 ‘절름발이’ 짝 모티프를 활용한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박태원의 ‘절름발이’ 짝의 남자가 ‘룸펜 인테리’라는 사회적 특수성을 지닌 인물군을 가리키는 것인 데 반하여, 이상의 ‘절름발이’ 짝의 남자는 아방가르드적 예술가를 가리키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이상 소설에서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예술가로서의 자의식을 상실한 남자의 후일담을 서술하기 위해 활용되는 문학적 장치이다. 즉 경제적으로 무능하여 생활을 의존하는 남자와 사회적 하층계급 여자의 짝이라는 기본 형태는 고수되어 있으나, 이상 소설의 ‘절름발이’ 짝 모티프가 박태원 소설의 그것과 분기하는 지점은 남자의 모델이 은유하는 바가 다르다는 데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function of the literary motif, a ‘limping’ couple, shown in the early novels of Park Tae-won and Lee Sang in common. This paper named the common motif as a ‘limping’ couple after the description in 「Nalgae」: “We make a limping couple destined never to keep in step.” This paper refers to a specific couple motif shown in the early novels of Park Tae-won and Lee Sang by this name. Usually in their early novels, a financially incompetent man and a woman of lower social position make a ‘limping’ couple. This paper regards these novels as ‘fictional’ narratives, although preceding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se novels as ‘referential’ narratives are still valid. A ‘limping’ couple motif is one that Park Tae-won and Lee Sang use in common. Although this motif plays a key role in composition of their early novels, the themes crystallized by this motif ar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this motif appears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first, a ‘limping’ couple motif in the novels of Lee Sang has a valid reason to be interpreted as ‘fictional’ device rather than ‘referential’ one. A ‘limping’ couple motif appears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earlier than those of Lee Sang. One of the early novels of Park Tae-won, 〈Biryang〉,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nancially incompetent man and a woman who is a barmaid. As this paper analyzes this novel, a ‘limping’ couple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puts emphasis on the man who is a ‘lumpen intellectual’. In these cases, a ‘limping’ couple motif functions as a literary device to expose an incompetence of lumpen intellectuals, which is a common characteristic displayed by the characters in his story collection, 〈A day of Gubo the novelist〉. On the other hand, Lee sang started to publish novels focusing on a ‘limping’ couple motif with 〈Jijuhoisi〉 in the lead. Though a man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refers to a ‘lumpen intellectual’, who has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social contexts, a man in the novels of Lee Sang refers to an avant-garde artist. In the novels of Lee Sang, a ‘limping’ couple motif functions as a literary device to descript a follow-up story of a man who abandoned his ambition to be an avant-garde artist regardless of his own will. In other words, the basic formation made by Park Tae-won, an ill-matched couple of a financially incompetent man and a woman of lower social position is kept in the novels of Lee Sang, too. Though in the novels of Lee Sang, a ‘limping’ couple motif crystallizes different themes for a man refers to a different model from that of Park Tae-won. While a ‘limping’ couple motif is usually used to descript incompetence of a ‘lumpen intellectual’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the same motif is used to descript despair of an avant-garde artist in case of Lee Sang.

      • KCI등재

        ‘아이愛’의 수용과 축출 -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4

        이 논문은 이광수의 첫 단편소설『愛か』(1909)와 이후 이 소설을 ‘다시 쓰기’한 「윤광호 (1918)」에 초점을 맞춰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을 한 피식민자의 자기 근대화와 그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자각 · 축출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1900년대 후반 이광수를 포함한 도쿄 유학생 집단 내에서 근대화가 중요한 당면 과제로 공유되었다. 이들은 사회와 국가의 근대화를 위해서는 먼저 그 구성원이 될 근대화된 주체 ‘개인’을 형성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그 주요 수단으로 예술에 주목했다. 이광수는 『愛か』에서 전근대 체제에서 해방된 ‘개인’을 형성하는 기술로서 ‘愛’를 문학화했다. 여기 포착된 ‘아이’의 핵심은 주체의 내면을 불안, 초조, 기대, 절망, 분노와 같이 통제 불가능한 감정이 융기하는 무대로 경험케 하는 것이다. 이 텍스트의 목표는 ‘아이’를 통해 ‘내면’이 지각되는 것, 즉 ‘아이’의 수행성 그 자체를 포착하는 데 있었다. 여기서 ‘아이’는 자아를 개별적이고 고유한 내면의 소유주로 거듭나게 하는 ‘근대화’의 기술이다. 이 표상 모델은 당시 일본 학생 문화에서 유행하던 소년애(少年愛) 모델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그 핵심은 ‘아이’ 자체의 특성인 ‘정신성’의 전유에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광수가 전유한 ‘아이’ 모델은 피식민자에게 기입된 타자성이다. 이 기술은 피식민자가 자기 근대화의 도구를 제국에서만 획득할 수 있다는 일종의 식민주의적 증명으로도 기능한다. 이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자각과 축출은 「윤광호」에서 텍스트화되었다. 이광수 문학의 무게중심이 ‘개인’보다 ‘민족’으로 더욱 기울면서 감정의 위상과 기능 역시 변화하게 되었다. ‘개인’을 형성하는 ‘근대화’ 기술이었던 감정은 이제 ‘개인’을 ‘민족’으로 귀속시키는 공동체 형성의 기술로 변화한다. 「윤광호」는 ‘개인’을 형성하는 ‘근대화’ 기술로서 ‘아이’를 수용했던 『愛か』를 의도적으로 다시 씀으로써, ‘아이’를 민족으로의 탈개인화를 방해하는 장애물로 다시 발견하고 그 주체의 죽음을 도출했다. ‘아이’의 식민주의적 성격을 직시하고 부정하는 「윤광호」의 작업은 주체의 민족주의적 탈식민 과정으로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정은 또한 부분적으로 호모섹슈얼리티를 비정상으로 규정하는 서구적 근대성에 의지해 수행되기도 하였다. ‘아이’를 성적이고 개별적인 육체에 결박된 것으로 표상하는 작업은 서구 발 성 과학 담론의 호모섹슈얼리티 표상 모델을 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에 나타난 ‘아이’의 수용과 축출은 서구 발 근대화라는 거대한 운동의 지평을 벗어나지 않는다. This paper analyzed representation of homosexuality/homosexual love in Lee Kwang-soo’s fiction as a progression from self-modernization to expulsion of the colonial modernity focusing on his first short story “Aika[愛か]”(1909) and “Yoon Kwang-ho[윤광호]”(1918) which is rewritten version of “Aika”. Modernization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hallenge in the late 1900s within a group of Korean students in Tokyo, including Lee Kwang-soo. They shared the perception that in order to modernize society and the nation, they must first modernize individual who will become its members, and regarded art as a major means. Lee Kwang-soo utilized Ai愛 as a technique to free individual from the pre-existing system. The core of it captured here is to experience the inner side of the subject as a stage where uncontrollable emotions such as anxiety, nervousness, expectation, despair, and anger rise. The goal was to capture the interiority formed by experiencing Ai. Here, Ai is a technology of making an owner of his own unique individual interiority. This representation model takes the form of Shonenai which was popular in Japanese student culture at the time, but the core of it lies solely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Ai itself, the spirituality. In this sense, Ai which was originated in Japan is Otherness engraved into the colonized. Ai functions as a kind of colonialist proof that the colonized can achieve self-modernization only by the empire. The awareness and eviction of this colonial modernity was captured in “Yoon Kwang-ho”. As the center of gravity of Lee Kwang-soo"s literature has shifted more to nation/ethnicity than to individuals, the status and function of emotions has also changed. Emotions that used to be techniques to form modernized individuals now change into community-building techniques. By deliberately rewriting “Aika”, which accepted Ai as a modernization technology that forms an individual, “Yoon Kwang-ho” rediscovered it as an obstacle to building of the national community and derived the death of the subject. “Yoon Kwang-ho” which faces and denies the colonialist nature of Ai, can also be read as the nationalist decolonization process of the subject. However, such denial was also partly carried out by Western modernity, which defined homosexuality as abnormal. This is because representing homosexual love as tied to a sexual and individual body is to follow the homosexual representation model of Western sex science discourse. In this sense, the acceptance and expulsion of Ai depicted in the representation of homosexual love in Lee Kwang-soo"s fiction does not deviate from the horizon of the great movement of modernization from the West.

      • KCI등재

        논문 : "후기" 신소설의 장르지형학: 파연(破緣)의 문법과 욕망의 전시 -이해조의 「박정화」론

        이경림 ( Kyung Rim Le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7 No.-

        1910년을 전후하여 문명개화 담론에서 이탈하는 신소설 일반은 대중을 계몽하는 대신 대중의 흥미에 영합하는 통속적인 작품의 집합으로 간주되어 온 경향이 크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집합 내부에서 일어났던 정성적 변화에 주목하고 그 구성적 잠재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이해조의 『박정화』에 주목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작품이 신소설 내에서 하위장르로서 가지는 유형적 특이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이성이주로 강릉집이라는 인물 형상의 특이성에서 비롯되었음을 규명하는 것이다. 『박정화』는 당대 신소설의 맥락에서 볼 때 상당히 특이한 작품이다. 『박정화』의 특이성은 일차적으로 이 소설의 모본이 이해조가 즐겨 차용하던 서사적 허구의 레퍼토리에 속하지 않았음에서 유래한다. 1910년 3월부터 5월까지 『대한민보」에 연재된 『박정화』는 한 달 전에 『황성신문』에 연재된 「소시종투신향(少侍從偸新香), 노참령읍구연(老參領泣舊緣)」 (1910.2)이라는 한문단편 서사물을 모본으로 삼고 있다. 전작들에서 이해조가 기존의 서사적 허구, 즉 ``소설``의 다양한 유형들을 ``소설의 체제``로 실험했던 것에 비하여, 『박정화』를 기점으로 ``실지사적``에서 취재했다는 점이 강조된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이해조가 사용한 ``실지사적``이라는 개념은 ``신문지면에 게재된 사실적 기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박정화』는 ``소시종`` 서사를 한글로 옮기며 대화나 묘사 등 소설화 기법을 활용하여 분량을 늘리고 후반부에 새로운 서사를 덧붙여 완성된 텍스트이다. 『박정화』는 전통적 소설 유형인 가정소설이나 애정소설에서 보이는 일반적 태도와는 달리 ``파연``의 문법을 중심으로 하는 카운터장르로서 성립한다. 이처럼 ``파연``을 중심으로 하는 서사 구조는 강릉집의 형상화 원리에서 비롯하는 바가 크다. 『박정화』는 강릉집을 중심으로 하여 ``자발적 욕망``을 가진 ``근대적 개인``이라 칭할만한 인물들을 만들어냈다. 특히 강릉집은 성적 욕망의 주체로서의 여성으로 형상화되어 당대의 성(性)에 관한 지배적 담론과는 거리를 두고 나타난다. 서술자의 의도는 강릉집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을 당대 도덕의 타락이라는 측면에서 제시하고 독자를 계도하는 것이지만, 텍스트는 이 인물의 욕망을 현실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표상하며 서술자의 의도로부터 어긋난다. 또한 강릉집은 다른 인물들에 비해 욕망들의 ``다중 패러다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훨씬 복잡하게 형상화된 인물이다. 이러한 점에서 강릉집은 심층적인 수준에서 근대성을 내장한 인물로 해석될 수 있다. 자기 욕망의 추구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여성 인물은 이해조 소설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유형인 것은 물론, 신소설 일반의 경우를 고려하더라도 상당히 이례적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볼 때 『박정화』는 1910년대 신소설이 문명개화 담론으로부터 탈각하여 나아가는 도상(途上)에서 주목해 볼 만한 정성적 분기점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박정화』를 필두로 하는 작품 내지 서사 유형의 계보를 수월하게 작성할 수 없는 것은 이 작품이 당대의 ``이야기`` 지형으로부터 지나치게 돌출해있었음을 의미한다. It is general to consider late Sinsoseol as corrupted forms. At 1900`s, Sinsoseol built its reputation for dedication to enlightening project which was regarded as a strategy to protect its nation-state. However, most researches agree that late Sinsoseol which appeared around 1910 has lost its drive to educate its readers and became popularized.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ifferent point of view to read these late Sinsoseol works. As a starting point, this paper focused on Lee Haejo`s Cold-Hearted Flower for this work has some interesting points to receive atten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is work`s location on early 20th century`s genre topography, and to study on the peculiarity of Gangneungjib who is a heroin. Lee Haejo used exiting plentiful repertories of narratives to create a new work. Usually he adopted narrative motives from novels of Myng dynasty or of other western cultures. However, in case of Cold-Hearted Flower, he used a real-time narrative as a model. Sosijongtusinhyang was serialized only a month ago. For Lee Haejo, it was natural to try various forms of narratives as a resource to give him a prototype for his works. On the occasion of publishing Cold-Hearted Flower, he emphasized that he covered ``actual cases`` to write this work. From the contexts, what he meant by ``actual cases`` is e stimated as a ``narrative published on newpaper.`` Cold-Hearted Flower is an elaborated Sinsoseol version of Sosijong narrative. Cold-Hearted Flower shows a unique attitude compared to its contemporary genres such as Gajungsoseol or Yunaesoseol. The main narrative structure of Cold-Hearted Flower which locates this work as a countergenre to Gajungsoseol or Yunaesoseol is to break relationships in front of readers. This unique composition is involved in the principles making Gangneungjib. In this work, most characters are represented as modern individuals who have spontaneous desir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discourse circumstances of the time, Gangneungjib who represents her desires as natural ones needs to be interpreted as a problematic heroin. The purpose of the writer is to display her immorality and to educate readers, but the text represents her desire as a universal, natural one in front of readers. Moreover, she reveals multi-paradigmed interiority. She has multiple desires which conflicts each other when a lot of characters are formulated as flat ones. For these reasons, Gangneungjib can be interpreted as an elaborated character with certain modern features. Unfortunately, despite of its uniqueness, Cold-Hearted Flower seems to be failed in starting its own genealogy. Considering the horizon of expectation of the time, I can assume that the very fact that it shared less with contemporary other works backfired.

      • KCI등재
      • KCI등재

        김교제 신소설에 나타난 ‘악’의 표상에 관한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한국근대문학회 2017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8 No.1

        근대 초기 대중적 차원에서 선과 악은 구체적 사회관계 속에서 인간이 주고받는 도움과 해(解)로 감각되는 개념이었다. 행동의 사회적 질을 기준으로 선악을 판단하는 감각은 전근대 소설 전통에서도 공유되는 것으로, 김교제 작품은 물론 신소설 일반의 근저에 존재한다. 그러나 이 기본태도 위에서 근대 초기 악의 표상은 서로 다른 맥락과의 접속 하에 다양한 양상을 띠고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사를 악인이 주도하는 구조를 가진 신소설에서 ‘악’의 문제는 오히려 다소 단순하게 논의되어온 경향이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기초가 된 문제의식이다. 본 논문은 김교제 신소설에 나타난 악행들에서 그 내용상의 새로움을 찾기는 어려우나 그것을 표상하는 태도에서 근대적 변용양상이 드러난다고 보았다. 김교제 신소설에 나타난 악의 표상에서는 그 구현 주체의 젠더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이 드러남을 볼 수 있다. 『치악산』 하, 『목단화』에는 전통적 가정소설로부터 유래한 악인형인 후처가 등장한다. 이들은 전처 소생·며느리와 같은 특정 인물을 향한 맹목적 악의(惡意)를 드러내고 축출, 납치, 인신매매, 살인과 같은 악행의 연쇄를 촉발한다. 텍스트는 그 원인을 편협함, 악독함과 같이 이들이 타고난 성격적 결함으로 수렴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전통적 소설에 비교해 볼 때 김교제 신소설에서 나타난 특징적 변용 양상은 이 ‘여성적 악’이 풍속의 문제로 확장된다는 점이다. 『치악산』 하와 『목단화』에서 여성인물에게 가해지는 악행은 부녀자 인신매매가 성행한 풍속의 전모를 드러낸다. 여성의 성(性)을 둘러싼 ‘음란방탕’으로 규정된 이 풍속은 근대교육에 의해 교화될 수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에 비해 ‘여성적 악’의 근본적 원인인 성격적 결함에 대하여 개과천선이라는 고전적 대응 이상이 제시되지 못했다는 점이 한계로 보인다. ‘여성적 악’이 교화 가능한 것으로 표상됨에 반하여, ‘남성적 악’은 교정 불가능한 것으로 표상된다. 『마상루』, 『치악산』, 『목단화』, 『현미경』에서 권력, 지위, 재물, 아내와 같은 자본을 소유하려는 욕망은 대개 남성인물을 통해 표현된다. 이들의 악행은 성격적 결함이 아니라 그들에게 결여된 특정 자본을 욕망한다는 사회적 차원에 그 원인을 가진다. 그런데 이들이 욕망하는 자본은 특정 대상이 아니라 ‘아무나’로부터 빼앗아올 수 있는 것이며, 그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납치, 인신매매 등 과격한 범죄적 행위가 요청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들의 욕망은 공동체 치안(治安)에 대한 위협으로 표상된다. 공권력을 사유화한 악인 역시 공동체 다수에 피해를 입힌다는 견지에서 이와 같은 표상 방식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이에 대한 대응은 악인을 물리적으로 격리·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그 대응의 주체로 전통적 서사에서 초월적 주체인 ‘하늘’이 부각되었던 것과 달리 김교제 신소설에서는 ‘법과 질서’의 주체인 근대국가가 부각됨을 볼 수 있다. I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the concept of good and evil/bad was recognized as the quality of social behavior. The sense of help and harm which people experience in their reality was set in core of the concept. This traditional way of judging good and evil based on the quality of behavior had been extended from premodern narratives to Sinsoseol as a basic paradigm. The representation of evil itself tended to diversify as it was connected to varying social contexts. The distinct feature regard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Sinsoseol is that villains tend to take the initiative. However, representations of evil in Sinsoseol have been regarded in rather simplified way, that they were derived from traditional references or they were identified with representations of the premodern as enlightenment discourse of the day defined old as evil. The contents consisting evil/bad acts itself are not that varied from traditional one, however, I tried to analyze changing aspects of the way of representing it. The representation of evil in Kim Gyoje"s works tends to be genderized. Chiaksan, Mokdanhwa present "evil second wife" character which was originated from traditional genre called Gajungsoseol. They bear malice toward their stepchildren or spouses of them. Their malice triggers series of evil acts such as kidnapping, human trafficking, and murder. Texts tend to describe its cause as an innate one, as a characteristic flaw. Compared to traditional narratives, it is characteristic that this "evil of woman" tends to extend to the realm of custom. In Chiaksan and Mokdanhwa, evil acts directed to the body of heroin reveal the practice of woman trafficking prevailing in society. Texts describe modern education can rectify the immorality among the mass. However, the innate characteristic flaw which triggered evil acts from the beginning seems to be uncorrectable by the mean of enlightenment. In these texts, evil second wives suddenly recover their good nature at the end. Although "evil of woman" is represented as a reformable one, "evil of man" is described as an unreformable one. Masangru, Chiaksan, Mokdanhwa, Hyunmigyung present male characters desiring certain things such as power, status, wealth, wife. Their evil deeds originated from that certain desires consisted within social contexts. Objects of their desire are something that can be taken from other members of community, therefore they require extreme acts that can be identified with criminal behaviors. From this perspective, privatizing governmental power is represented as evil as well. "Evil of man" tends to be represented as a threat to public order. Responding to this kind of evil requires physical isolation of evil doer based on law and order, and Kim Gyoje"s works represent the state as a main responding agent.

      • KCI등재

        마르크시즘의 틈과 연대하는 전향자의 표상: 김남천의 「녹성당(綠星堂)」론

        이경림 ( Kyung Rim Le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8 No.-

        본 논문은 김남천의 「녹성당」에서 ``연대하는 전향자``의 표상을 발견하고자 했다. 그간 「녹성당」은 김남천의 자전적 소설이자 ``자기고발``의 소설 군(群)에 속하는 작품으로 독해되어 왔다. 이는 『문장』에 발표되었던 「녹성당」 텍스트에서 주인공 박성운은 작가 김남천과 동일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방 후 출간된 창작집 『삼일운동』에 재수록된 「녹성당」 텍스트에서는 박성운과 김남천의 동일성을 암시하는 표지들이 모두 소거되어 있다. 텍스트 개작 양상과 『삼일운동』 수록본 「녹성당」 텍스트 말미에 기재된 부기(附記)를 고려했을 때, 본 논문은 『삼일운동』 수록본 「녹성당」이 『문장』 발표본 「녹성당」에 시간적으로 앞서는 텍스트일 것이라고 추정한다. 「녹성당」에 등장하는 ``연대하는 전향자``의 표상은 그간 전향자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해왔던 김남천의 비평으로 회수되지 않는다. 이러한 거리는 김남천의 비평 활동이 입각해 있던 마르크시즘 이론 체계로 포섭 되지 않는 잔여가 있으며, 이 잔여들이 문학적 형상을 통해 드러났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녹성당」을 독해함으로써 전향자의 죄의식이라는 주제를 살펴보고, 그 죄의식을 해소하기 위해 연대와 저항이 요청되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녹성당」에 등장하는 전향자 표상은 ``자기고발``의 대상이 되었던 그것과 층위를 달리함을 알 수 있다. ``자기고발``의 대상이 되었던 전향자 표상이 자신 안의 소시민적 성격, 즉 ``유다적인 것``에 패배함을 고통스러워하는 형상인 반면, 「녹성당」의 박성운은 ``유다적인``을 내적으로 수리한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소설에서 주목되는 것은 ``유다적인 것``을 수리한 전향자의 죄의식과 그 해소의 방식이다. 「녹성당」에서 박성운에 결합되어 있는 녹성(綠星)의 기호가 연대와 저항의 상징이라는 점, 그리고 박성운이 부정적 전향자의 표상인 철민을 구제하려 하면서 동시에 타자의 부름에 응답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향자의 죄의식은 연대를 통한 저항을 모색함으로써 해소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를 통해 「녹성당」이 일제 말기 전향자들이 기획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연대와 저항의 형태를 모색했던 소설이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representation of ``a convert banding together`` in the novel Nokseongdang written by Kim Nam-Cheon. Meanwhile, Nokseongdang has been interpreted as one of the Kim Nam-Cheon`s autobiographical and self-reflective novels. The warrant of this interpretation was that Park Seong-Woon the main character of Nokseongdang was identified with Kim Nam-Cheon the writer in the text of Nokseongdang which was included in Munjang. However, the marks suggesting the sameness of Park Seong-Woon and Kim Nam-Cheon were removed in the text of Nokseongdang which was re-included in Samilundong,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Day. Considering the aspects of modification of the text, this paper deduces that Nokseongdang in Samilundong is prior to the one in Munjang. The representation of ``a convert banding together`` cannot be fallen back to his critiques, since his critiques had been put an emphasis on the negative aspects of converts. This means that somethings cannot be explained by principles of Marxism, which back Kim Nam-Cheon`s critiques up, and these things come reveal themselves through figures i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to search for the theme of a convert feeling guilty and to reveal that solidarity and resistance were asked to become free from guilt. First, you can see that the representation of a convert in Nokseongdang is quiet different from the one which was the object of self-reflection. While the latter is tormented by a guilty conscience caused by defeat to ``Judas``, the former is no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way of becoming free from guilt of a convert who accepted ``Judas``. Considering that the sign of green star connected to Park Seong-Woon stands for solidarity and resistance, and that Park Seong-Woon keeps trying to save Chul-Min who represents a convert fallen and to respond to a call of others, this paper concludes that a convert can become free from guilt by searching for the possibilities of resistance through solidarity.

      • KCI등재

        사회주의는 어떻게 폭력을 길들였는가

        이경림 ( Lee Kyung-r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0 No.-

        이 논문은 사회주의적 폭력 표상의 구조와 효과를 _카프작가칠인집_(1932)을 통해 분석해 보인 글이다. 사회주의 문학이 초점을 맞추는 두 종류의 폭력은 ‘자본주의가 인간에게 행사하는 폭력’과, 이에 대한 대항수단으로서 정당성을 획득하는 ‘프롤레타리아의 폭력’이다. 자본주의의 폭력성은 프롤레타리아를 자본주의 체제의 비참하고 무지한 피해자로 표상하는 스타일을 통해 드러난다. 프롤레타리아는 피해자의 위치에 섬으로써 폭력의 정치적 정당성을 획득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타일은 동시에 폭력의 주체인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기도 한다. 「제지공장촌」, 「소작촌」, 「양회굴뚝」 등은 노동자 간 분열이 프롤레타리아 폭력의 가장 취약한 부분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분열에 대항하기 위해 프롤레타리아 폭력의 내부를 폭력적으로 구성하는 방식이 정당화된다. 폭력의 주체에 대한 이러한 불신은 프롤레타리아 폭력을 ‘임박한 위협’이라는 임계에 제한하여 표상하게 한다. 이러한 스타일을 통해 사회주의가 운동의 핵심자원인 프롤레타리아 폭력에 대해 품고 있는 무의식적 공포를 읽을 수 있다. 「원보」, 「씨름」 등에서는 폭력의 관점에서 서열화된 프롤레타리아 내부의 ‘계급들’의 존재가 드러난다. 특히 「씨름」은 『카프작가칠인집』의 타 텍스트들과 비교해볼 때, 폭력이 고유 의 폭력적 논리를 따라 조직되는 양상을 직관적·노골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씨름」은 이데올로기를 초과하는 영역에서 폭력이 ‘더 큰 힘에 대한 매료’라는 비이성적인 방식을 따라 조직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씨름」은 이론이 폭력을 장악하려는 시도의 한계를 보여주면서 그것을 넘어선다. 『카프작가칠인집』은 프롤레타리아 폭력의 조직 방식, 그리고 이 운동을 통해 예기치 않게 노출되는 폭력의 본성과 딜레마―폭력의 임의성과 통제불가능성, 폭력의 주체에 대한 불신과 공포, 폭력의 관점에서 재서열화되는 계급-내-계급―를 드러낸다. 이처럼 텍스트가 ‘의식’을 초과하는 지점들에 주목함으로써 사회주의 문학을 다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structure and effect of marxist representation of violence / Gewalt through K’ap’ŭjakkach’irinjip[KAPF Seven Writers’ Works](1932). This anthology reveals the typical structure of marxist representation of violence / Gewalt. Two kinds of violence / Gewalt that this anthology focuses on are first, “violence exercised by capitalism against humans” and second, “violence of the proletariat,” which acquires legitimacy as a countermeasure against first. The violence of capitalism is manifested through the style of representing proletariat as a miserable and ignorant victim of the capitalist system. The proletariat acquires the political legitimacy of violence by serving in the victim’s position. However, at the same time, this style also reveals distrust in the violence-maker, the proletariat. “Chejigongjangch’on[Paper Factory Village]”, “Sojakch’on[Temamt Farm Village]”, “ Yanghoegulttuk[Cement Factory Chimney]”, etc. show that division among workers is the most vulnerable part of proletarian Gewalt. Thus, the way in which the in- 83 한나 terior of the proletarian Gewalt is violently constructed to counter the division is justified. The distrust of the main subject of violence has limited representation of proletarian violence / Gewalt as a “imminent threat.” Through this style, one can read the unconscious fears that marxism harbors about the proletarian violence. The existence of “classes” inside the proletariat, which is ranked from the point of view of violence, is revealed in “Wonbo” and “Ssirŭm[Wrestling]”. In particular, “Ssirŭm[ Wrestling]” is unique text in that it has intuitively and spiritually shaped the pattern in which violence is organized according to its own violent logic, compared with other texts in the anthology. This text shows how violence is organized in areas that exceed ideology, in an irrational way of “attempting greater power.” In this sense, the text goes beyond ideology, marking the limits of an attempt to take over violence. K’ap’ŭjakkach’irinjip[KAPF Seven Writers’ Works] reveals the typical organizational style of proletarian violence / Gewalt, and the nature and dilemma of it unexpectedly exposed. By paying attention to points where text exceeds “consciousness” like this, marxist literature may be re-readable.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야간보호 프로그램의 운영성과와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이경림(Lee, Kyung-Rim),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4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야간보호 프로그램의 운영성과와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야간보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센터장 197명, 야간보호교사 200명, 야간보호 프로그램을 받고 있는 아동 1,8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를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재화 문제의 경우 야간보호 프로그램 운영성과 중 친구관계와 아동참여 인권의 프로그램 운영성과가 이용아동의 우울불안,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또한 외현화 문제의 경우 친구관계의 프로그램 운영성과가 이용아동의 비행과 공격성의 감소에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outcomes of night care program and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in community child centers. Subjects consisted of 1,876 children, 200 night care teachers and 197 community child center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ntrolling for children"s, teachers", and centers" characteristics that we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psychosocial adjustment in previous research, service outcomes of night care program such as peer relations and participation/human rights appeare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depression/anxiety and social withdrawal. In addition, peer relations related service outcomes appeare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delinquency and aggression. Service outcomes of night care program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decreas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social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구논문 : 부산광역시 장산의 식물상

        이경림 ( Kyung Rim Lee ),문성기 ( Sung Gi Moon ),이정훈 ( Jeong Hoon Lee ) 한국환경과학회 201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Jang located at Haeundae-Gu in Busan. The survey for the flora was carried out from Oct. 2008 to Sep. 2009.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The flora consists of 5 forms, 22 varieties, 238 species, 198 genera, 91 families, 47 orders, 7 classes, and 3 divisions as total 265taxa. The typical communities were Osmunda japonica com., Stephanandra incisa com., Gleichenia japonica com., Eurya japonica-Pinus thunbergii com., Styrax japonica-Pinus thunbergii com., and Smilax china com. which were distributed along Forest Bathing Area and Yangun Falls, 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com., Carpinus turczaibovii var. coreana com and Pseudosasa japonica were distributed around the top of mountain.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species, the evergreen plants were observed 15taxa 14 genera 13 families, the naturalized plants 18taxa 17 genera 10 families, the specific plants categoriz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20taxa 18 genera 18 families, the endangered plant 1 specie Utricularia yakusimensis, and the cultivated plants were observed 21taxa 18 genera 14 famil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