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의 전통 가옥 내 ‘붉은 구석’과 ‘벽난로 구석’의 신앙적 요소와 기능

        이건욱(Lee, Kun Wook)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0 러시아학 Vol.- No.21

        이 글은 러시아의 전통 가옥 ‘이즈바(Изба)’에 조성된 ‘붉은 구석(Красный угол)’과 ‘벽난로 구석(Печной угол)’이 가진 신앙적 요소와 기능을 고찰한다. 집은 개인의 안전과 안녕을 보장한다. 러시아인들은 집터를 택하는 것부터 집을 짓는 매 단계마다 주술적인 각종 의례들을 행하고, 집 내부에는 신격들이 좌정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한다. 붉은 구석은 기독교(러시아 정교회) 도입 이전 태양신과 조상신에서 이콘으로 현현되는 기독교의 신격들이 자리한다. 동남쪽 방향에 위치한 붉은 구석에는 이콘 외에도 식탁, 의자 등 여러 가지 소품들을 설치함으로써 성소의 역할을 부여한다. 붉은 구석은 남성의 공간이며, 혼례와 같은 통과의례적 상황을 제외하고는 여성들의 접근을 불허한다. 붉은 구석의 대각선 정면에 위치한 벽난로 구석에는 불의 신격과 러시아의 전통적인 가신인 다마보이가 살고 있다. 온기를 제공하고,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벽난로도 하나의 제단이 되며, 집 구성원들을 보호한다. 벽난로 구석은 철저하게 여성들의 공간이며, 이 곳에서 여성들이 하는 가내수공업, 음식조리, 출산 등이 행해진다. 기독교의 신과 기독교 도입 이전의 신격들이 좌정하고, 지정학적 방위와 남녀가 구분되며, 출생과 죽음의 의례가 교차되는 두 구석은 상호보완적인 이원론적 역할을 통해 러시아인들의 하루와 평생을 지배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religious elements and functions of the “Red corner” and “Stove corner” created in the traditional Russian house “Izva”. The house guarantees personal safety and well-being. Russians perform magic rituals at every stage of building a house, from choosing a house, and create a space for the gods to sit inside. The red corner is the place where Christian deities manifested by the icon of the sun god and ancestral god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Russian Orthodox Church). The red corner located in the southeastern direction gives the role of a sanctuary by installing various accessories such as dining tables and chairs in addition to icons. The red corner is a man’s space, and women are not allowed to access it except for ceremonial occasions such as wedding. In the stove corner, located in the diagonal front of the red corner, is the fire deity and the traditional Russian trail, Domovoy. A stove that provides warmth and cooks food also serves as an altar and protects house members. The stove corner is thoroughly women’s spaces, where domestic women’s crafts, food, and childbirth are performed. The two corners where the god of Christianity and the gods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are settled, where geopolitical defense and gender are separated, and the rites of birth and death are crossed, dominate the day and life of the Russians through a complementary dualistic role.

      • KCI등재

        러시아 귀신 루쌀까(РУСАЛКА) 연구

        이건욱(Lee Kun-Wook) 한국무속학회 2003 한국무속학 Vol.0 No.7

        러시아에서는 익사, 자살, 살해, 행방불명된 처녀의 영혼을 ‘루쌀까’라고 한다. 또한 루쌀까는 사산아, 세례 받지 못하고 죽은 어린이의 영혼을 가리키기도 한다. 루쌀까는 사람을 괴롭히고 질병을 옮기는 해로운 귀신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풍년을 가져오는 역할을 하는 주요한 귀신이다. 루쌀까는 물이나 숲, 들판 등에 살고 있으며, 초여름인 루쌀나야 주간에 주로 활동한다. 어린 루쌀까를 자식으로 삼기도 하며, 남자들을 ‘유혹’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곳곳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보통긴 머리카락을 풀어헤치고 있으며 촉촉하게 젖어 있다. 주로 그네를 타고 놀며, 바느질이나 실타래, 옷감 등을 좋아한다. 사람들은 ‘루쌀까 보내기’를 통해 풍년과 액막이를 기원한다. ‘루쌀리아 주간’, ‘루쌀까 보내기’와 같이 신격의 이름자체가 명명되어 의례로서 행해진 것은 러시아에서 루쌀까가 유일하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ussian spirit(soul) ‘rusalka’. According to russian folklore, the virgin who drowns, it commits suicide and the virgin who is murdered become ‘rusalka’. Also the child who dies before receive baptism, stillborn child and from the parents imprecation it receives and the child who dies become ‘rusalka’. Their activity usually duration from end of May until middle of June. They are active in river, lake, forest and field. But practically they appear in the water’s edge. Rusalkas entice men and tickle until men die. And they ruin the crops. On the other hand for men they look up lost domestic cattles, give us rain and help women needlework. To protect their hazard, russians make an incantation and make a taliaman. On summer rusalkas ready to go to their place where they live in fall, winter, spring. So, russians make a special ritual for seeing off rusalka. Many russian researcher reguard rusalka as demon. But refuting that rusalka is demon, author write that rusalka was spirite helping men’s life in ancient times. And author think that this dualism(rusalka is good or bad) is maden by russian orthodoxy.

      • KCI등재

        시베리아 투바 공화국 샤마니즘 고찰

        이건욱(Lee Kun-wook) 한국무속학회 2002 한국무속학 Vol.0 No.5

        투바 민족은 현재 시베리아에 있는 러시아 연방 트이바 공화국에 살고 있다. 우리에게는 다소 거리감이 있는 낯선 민족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잘 살펴보면 오랜 역사속에서 주변 민족과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샤머니즘을 나름대로 형성하여 발달시켜 왔다. 본고에서 필자는 이러한 투바 민족이 가지고 있는 샤머니즘의 그 양상과 특징을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전체적으로 다섯 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우리에게 낯선 투바 민족에 대해 전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두 번 째 단락에서는 투바 샤머니즘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단락에서는 소비에트 시절부터 논란이 되고 있는 무당의 입무 과정에 대해 러시아 학자들의 논쟁을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네 번째 단락에서는 실제 무당의 의례를 민족지적 조사 자료를 토대로 서술하였고, 특히 시베리아 무당의 주요 역할인 질병 치료에 관한 의례를 소개하였다. 또한 무당의 질병 치료에 관한 러시아 학자들의 논쟁을 다음 장에 소개하였다. 결론에서는 소비에트 시절 탄압으로 침체기를 맞이하였지만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부흥기를 맞고있는 투바 샤머니즘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 일련의 과정과 여기에서 보여지는 특징을 중심으로 러시아 학자들이 관찰하고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논하였다. The Tuva race lives in Republic of Tyva, Federal Russia in Siberia at present. The Tuva has been developing Shamanism for ages through a cultural exchange with other neighbors although we are unfamiliar with this race. I have researched on various aspects and special features of Tuva Shamanism and have introduced them in this report. The report consists of five elements. Firstly I am introducing general features on Tuva race who is not well-known. Secondly I am explaining a process how Tuva shamanism has been developing. Thirdly I am compiling Russian scholars comments on a process of how to be a shaman. Fourthly it is being explained of shamanistic rites based on ethnography research reports. In particular, ceremonies of the treatment, which is one of major roles of Siberian shamans is being described. Lastly, I am adding the Russian scholars comments on a shaman treatment. In the conclusion of this report, it is being explained a series of a process of Tuva shamanism which is rapidly revived although it was not active due to suppression of the Soviet union and the special features related to this is also referred with research results conducted by Russian scholars.

      • KCI등재

        오로치 샤머니즘 고찰

        이건욱(Lee Kun-Wook) 한국무속학회 2003 한국무속학 Vol.0 No.6

        샤머니즘은 시베리아 제 민족들의 전통적 종교관이다. 샤머니즘은 그 안에 그 민족의 역사를 통해 면면이 내려온 정신?물질 문화를 담고 있다. 그래서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는 시베리아 민족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연구 테마이다. 본 원고는 시베리아에 살고 있는 여러 민족 중 오로치인들의 샤머니즘을 연구하였다. 이들의 샤머니즘 전통은 이웃 민족과의 교류를 통해 집적된 것으로서 오로치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는 주변 여러 민족들과의 비교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에서는 오로치 샤머니즘이라는 큰 주제 아래에 샤먼의 입무, 샤먼의 장비들, 제의 장소와 샤먼의 나무 ‘뚜’, 샤먼의 의례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비록 오로치 샤머니즘의 심오한 의미와 역할들에 대해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최신자료(1988년부터 1992까지의 조사)를 통해 현재 오로치의 샤머니즘에 대한 상황까지 살필 수 있었던 데에 의의를 둔다. Shamanism is a traditional spirit of religion to people in Syberia. Shamanism contains ethnic spiritual and material culture. Therefore, study on Shamanism is an essential theme to investigate the Syberian People. This paper introduces shamanism of Orochi people who are one of the races living in Syberia. Their shamanism has been develop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and this will enable us to compare to a study of other neighbor people. On the subject of Orochi shamanism, the author makes a study of becoming shaman, his attributes, a place of shmanistic ritual, shaman’s tree ‘Tu’ and it’s procedure. Though the author dosen’t fully understand meanings of Orochi Shamanism, this paper gives a chance for readers to get a knowledge of Orochi shamanism that was acquired through the lastly materials(1988~1992 years).

      • KCI등재

        뚜바 샤머니즘의 과거와 현재

        이건욱 ( Lee Kun-wook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5 한국시베리아연구 Vol.8 No.-

        시베리아 지역은 우리 민족문화형성에 있어 하나의 시원으로 여겨지는 곳이다. 하지만 그 지역 민족들에 관한 문화연구는 전무한 형편이다. 이 원고는 이에 시베리아 제 민족들 중 뚜바 민족의 샤머니즘에 대한 간단한 고찰을 통해 북방 연구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뚜바민족은 현재 러시아 연방 띄바 공화국에 살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뚜바 민족이 차지하는 비율이 여타 시베리아에 있는 민족국가보다 월등히 높다. 높은 자민족 비율은 또한 자민족 문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뚜바 정부 및 지식인들은 뚜바 고유의 문화 요소 중 샤머니즘에 주목하고 있고, 정책적으로도 많은 관심과 지원을 표명하고 있다. 뚜바의 전통 샤머니즘은 주변 민족과의 접촉을 통해 형성되었다. 특히 투르크계 민족의 전통 종교관은 뚜바 샤머니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샤먼의 입무과정 및 의례, 무구 등은 기존 주변 시베리아 민족들의 요소들과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현대 뚜바 샤머니즘의 연행과정에 대해 이 원고에는 실제 샤먼의 연행 전 과정을 담았다. 또한 현재 뚜바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러 샤먼들의 인터뷰를 통해 소비에트 시절 단절되었던 전통이 어떻게 현대에 다시금 완벽한 형태로 보존되는가를 연구하였다. 이 원고를 통해 우리는 소비에트 이후 시베리아제 민족들이 어떻게 자민족 문화를 복원하는 가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한국문화의 원형으로써 뚜바 샤머니즘의 형태를 조금이나마 연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e tuvinian lives in republic of Tyva, Russian Federation in Siberia at present. The Tuva has been developing shamanism for ages through a cultural exchange with other neighbors although we are unfamiliar with this people. I have researched on various aspects and special features of Tuva shamanism and have introduced them in this report. This report consists of five elements. Firstly I am introducing general features on Tuvinian shamanism. Secondly I am explaining important souls, whom shaman cults of personality. Thirdly I am compiling about shaman. How can become shaman, which ritual needs to future shaman. Fourthly it is being explained of shamanistic ritual based on ethnography research report. And lastly, I am adding the shaman's attributes. In the conclusion of this reports, it is being explained a series of a process of Tuvinian shamanism which is rapidly revived although it was not active due to suppression of the Soviet union and the special features related to this is also referred with research results conducted by other scholars.

      • KCI등재후보

        서울지역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

        이건욱(Lee, Kun-woo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0 民俗硏究 Vol.0 No.21

        필자는 주로 비교민족학과 도시민속을 연구하고 있다. 많은 지인들은 우리네 전통문화도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는데, 도시와 해외를 조사할 여유가 있냐고 묻곤 한다. 그런데 국가가 세계 속에서 어느 정도 자신의 목소리를 낼 위치가 되면,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 있는 다양한 일에 개입을 하듯이 학문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해 관심사가 넓어지는 것이다. 우리 민속학은 여러 선학들의 노력으로 나름대로 세계에서 알아주는 수준에 올라섰다. 높아진 위상 속에서 국제적으로 우리 문화에 대한 많은 관심들이 쏟아지고 있는 현실을 본다면, 우리의 학문적 지평은 농어촌뿐만 아니라 현대와 도시, 세계로 넓혀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좀 더 정교하고 구체적인 우리 문화에 대한 모습을 그려낼 수 있다. 또한 현재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시에 살고 있다. 민속학은 사람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당연히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은 어디든 찾아가서 녹음기를 들이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도시민속조사는 민속학의 새로운 조사주제로써 관심을 보여주는 단계가 아니라 농어촌을 조사하듯, 전통문화에 대해 열심히 기록을 하듯 열심히 연구해야 할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원고의 주제는 서울지역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이다. 이것은 지난해 있었던 안동대학교에서의 발표문을 손 본 것이다. 당시 주제를 정하지 못한 필자에게 주최 측에서 친절하게도 이렇게 정해준 것이다. 마을 문화 연구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안동대학교는 백년 후 브리태니커 사전에서 ‘마을’이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반드시 안동대학교라는 단어도 함께 등장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일단 이 주제의 키워드는 세 가지가 될 것 같다. 도시, 마을, 전통문화이다. 본문에서 이 세 가지 키워드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고, 사례들을 정리하여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 에 대해 필자의 견해를 피력해보고자 한다. 도시지역 연구의 대상지는 서울의 아현동과 정릉동이며, 최근 직업인 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바, 관련 조사를 통해 얻은 사례들도 이번 발표에 활용할 것이다. 평생을 살아 온 도시에서의 경험도 간간히 소개할 것이다. 도시에 비교 대상이 되는 농어촌 마을은 필자가 그간 조사했던, 경북 포항지역 어촌마을과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구 마을들, 충남 서산 지역 마을, 전북 순창군 등의 사례이다. This thesis is on the urban ethnography focusing on Seoul and its modern Korean urbanites. The study contains the research result of life and culture of modern city dwellers of Korea. Korean cities have formed rapidly. Especially the city with a long history such as Seoul, many migrants came to settle from the outside as a result of rapid industrialization after the liberation. The meaning of population migration is not only in the movement but also in the blending of the migrant’s culture with the existing culture. This study describes the changes in the community culture and customs following the formation of the city. It also suggests a new approach in the research method considering the urban ethnography is different from the rural ethnograph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