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귀함과 고결함, <양반전>의 인물 대립과 양반상(兩班像)

        이강엽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0

        This article discusses the character confrontation of the <Yangban-je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nity and nobility. First, after looking at the characters of Bangkyeong-gak Oeje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nity and nobility, the disagreement of the dignity of social status and the nobility of mind were emphasized. Secondly,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characters of the <Yangaban- jeon> permeates each other between dignity, lowliness, integrity and vulgarity. It is a confrontation between Jeongseon yangban vs lowly rich, Jeongseon Yangbang vs reeve. As a result, it reveals a total mess where no one side can live off ordinarily, unlike other works from Bangkyeong-gak Oejeon where dignity and nobility are in a paradoxical relationship. Third, if we examine the yangban image in <Yangban-jeon> while looking at the whole composition even considering business contract documents, the name, the desire, and the shame that Park Ji-won insists in <A Debate on Honor> become important criteria. 이 글은 존귀함과 고결함의 관계에서 <양반전>의 인물 대립에 대해 논하였다. 첫째, 존귀함과 고결함의 관계에 입각하여 『방경각외전』의 인물들을 살핀 결과, 신분의 존귀함과 정신적 고결함의 엇갈림이 강조되었다. 둘째, <양반전>의 인물은 정선양반 대 천부(賤富), 정선 양반 대 군수가 양반 대 상민, 사(士) 대 대부(大夫)의 대립구도를 보인다. 전자에서 정선양반은 표면적으로는 고결한 정신 상태를 보이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몰염치한 면을 드러내는 이중성을 보이며, 천부 또한 표면적으로는 양반에 상응하는 덕목을 갖춘 듯이 기술되지만 그 이면에는 남의 어려운 틈을 타 사욕을 채우려는 욕망이 드러난다. 후자에서 정선 양반은 선비의 미덕을 갖춘 훌륭한 양반으로 기술되지만 그 이면에는 생활력이 부족한 무능력함을 드러내며, 군수는 표면적으로는 관할 백성들을 편안하게 다스리고자 애를 쓰는 면이 부각되지만 그 이면에는 특정세력의 이익을 위해 간계를 쓰는 사악함을 담고 있다. 결과적으로 『방경각외전』의 다른 작품들처럼 존귀함과 고결함이 역설 관계를 보이는 게 아니라 어느 한쪽도 정상적으로 살아나가기 어려운 총체적 난국임을 드러낸다. 셋째, 전체구성에서 <양반전>에 나타나는 양반상을 살피면 박지원이 <명론(名論)>에서 주장한 명(名), 욕(欲), 치(恥)는 중요한 준거가 된다. 박지원은 세상 모든 사람들이 군자일 수 없기에 명과 욕과 치를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세상이 잘 다스려진다고 보았는데, <양반전>의 세 인물은 최소한 어느 한쪽의 부족으로 인해 한결같이 결함을 지니게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九雲夢>의 문학지리학적 해석

        이강엽 한국어문학회 2006 語文學 Vol.0 No.94

        ]This paper presents a new interpretation of Guunmong, 'Nine Clouds Dream'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creating a map based on locations mentioned in the novel because narrative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story. First, Hyeongsan (衡山) of Mt. Hyeong symbolizes a world of condensation or a space for cultivating the Dao (xiudao, 修道). Although the mountainwas located at the periphery of mundane world, it served a center or the omphalos because priest Yukgwan and madam Wi resided in the eastern and southern part of the mountain respectively. Second, Seongjin and eight nymphs changed from condensation to diffusion by living differentlives. In the map, Seongjin traveled from Hyeongsan in South to Pungdo in West and then to Suju in East by becoming Yangsoyu. The eight nymphs also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and developed relations with men from different social classes. Yangsoyu then explored the entire world through two times of traveling as well as his journey to the place where national examination was held. Third, at the peak of his wealth and prosperity, Yangsoyu settled down. He gathered the eight nymphs through arrangement of palace and gisaengs (singing and dancing girls) through holding a hunting game in Nakyuwon, concentrating the entire world. In the end, he left mundane world by traveling to Yeonhwa Temple through Chuimi Palace. With the map of Guunmong, we can confirm images of center, totality and ascendance.

      • KCI등재

        바보설화의 전통과 현대적 변모 양상

        이강엽 洌上古典硏究會 2002 열상고전연구 Vol.15 No.-

        This thesis aimed at researching the tradition and modern transformation of fool-folktales. To purpose it, first, I confirmed old tradition of fool-folktales, and second, studied Jaedamjip(a kind of gag collection), modern novel, and humor of PC-network. There are five type in old fool-folktales, i.e.'foolish coduct' type, 'foolish nobleman' type, 'foolish son-in-law' type, 'idiot's filthy tales' type, and 'good luck of fool type'. The following is result of researching modern transformation of fool-folktales founding on comparing with old fool-folktales. First, humor in Jaedamjip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 writing as popular taste. Generally, following old fool-folktales, it described cultural shock occuring in transition period. Also it taught readers new problems born in new age, and urged enlightenment. Second, foolish character presented in modern novel of Yoojeong Kim, Mansik Chae, and Taeeung Chio. They has important social meaning of colonial tyranny, confusion in independent period, and wound of war, through complex narrative. Third, humor of PC-network(internet) has characteristic showing attactive attendance. It seems to make out of giving consolation for modern people pained by heavy competition. And it function as instant responding with current questions.

      • KCI등재
      • KCI등재

        설화의 ‘짝패(double)’ 인물 연구

        이강엽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3

        This paper took a look at the aspects and meaning of the characters acting as partners through the story created by the two characters appearing as partners in traditional stories. First, this paper took a brief look at the concept of partners and summarized how they would be exposed in a folk tale. Partners are the beings who assume their allness basically when two of them are together, but they appear as divided into two, and thus ultimately a couple of characters in pursuit of their lost allness are clearly exposed like the siblings in an inseparable relation. This paper selected three works including Cheonjiwangbonpuri, Onwihimnaegi and Hyeonwuhyeongjedam which belong to a myth, legend, and folktale respectively in which confronting characters are diversely revealed to be twins, brother & sister and brothers. Second, this paper took a look at the aspect of the characters acting as partners in traditional stories. The partners-daebyeolwang/sobyeolwang- appearing in Cheonjiwangbonpuri, from the viewpoint of its origin, can be wrapped up as ‘good/evil composition’ between ‘Cheonjiwang and Sumyeong’, and ‘nobility/lowliness composition’ between ‘Cheonjiwang and Seosuamm.’ Onwihimnaegi takes on an aspect of a head-to-head showdown between Cheonbushin and Jimoshin, and masculinity and feminity in its origin, but the one party victory ultimately leads to an enormous collapse far from inducing a new order. The two talents shown by two brothers in Hyeonwuhyeongjedam are complementary, so without one party, the other party cannot properly exist independently, finally doing miracles on their dying mother’s resuscitation. Third, concerning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acting as partners appearing in traditional stories, this paper took a look at it from the three aspects of the cause of a showdown, task, and conclus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ause, the Cheonjiwangbonpuri shows a sacred marriage with the look of ‘Cheobu’ and ‘Jimo’ while the remaining two works show a deficient situation where only a lone mother appears. The task carried out by the characters acting as partners includes ‘riddle/ flowering’, ‘outing to Seoul/castle-building’, and ‘coming up with a prescription/ finding a medicine’ which are filled with the contents symbolic of masculinity and feminity respectively. In the conclusion of a showdown in the three works, the characters in Cheonjiwangbonpuri occupy their own world according to their own task while the sister and brother were defeated to death by their mother in spite of the high probability of feminity’s victory in Onwihimnaegi. In contrast, feminity wins the victory but two brothers managed to achieve their initial goal- curing their mother of a disease by virtue of complementary relations with masculinity in Hyeonwuhyeongjedam. Conclusively, the traditional stories featuring partners are composed of the contents featuring two characters paradoxically going all out for harmoniously whole life by exposing two characters’ differentiation through the placement of the two characters, who started from the same origin with each other, as partners. 이 논문은 설화에서 짝패로 등장하는 두 인물이 벌이는 이야기들을 통해 짝패 인물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폈다. 첫째, 짝패의 개념을 살피고 설화에서 어떻게 드러날지 개괄했다. 짝패란 본래 둘이 함께 있어야 전체성을 지니게 되어 있는 존재가 둘로 분화하여 나타나서, 궁극적으로는 다시 그 잃어버린 전체성을 추구하는 한 쌍의 인물로, 통상 형제간처럼 불가분의 관계에서 잘 드러난다. <천지왕본풀이>, <오뉘 힘내기>,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의 세 작품을 택하는데 이들은 차례로 신화, 전설, 민담에 속하며, 그 대립하는 인물이 쌍둥이, 남매, 형제로 다양하게 드러난다. 둘째, 설화 속 짝패 인물의 양상에 대해 살폈다. <천지왕본풀이>의 ‘대별왕/소별왕’의 짝은 그 근원에서 볼 때 ‘천지왕/수명’의 ‘선/악’ 구도와 ‘천지왕/서수암’의 ‘존귀/미천(尊貴/微賤)’ 구도를 함께 갖는 짝패로 정리될 수 있다. <오뉘 힘내기>는 그 근원에서 천부신과 지모신, 남성성과 여성성의 맞대결 양상을 띠며, 어느 한쪽의 승리가 새로운 질서를 이끌어내기는커녕 도리어 엄청난 파탄을 몰고 온다.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의 형제가 보인 두 가지 재능은 상보적이어서, 어느 한쪽이 없으면 나머지 한쪽도 제대로 존립할 수 없는 것으로, 결국 어머니를 되살리는 기적을 이루어낸다. 셋째, 설화에 나타난 짝패 인물의 의미에 대해, 대결의 근원, 과업, 귀결이라는 세 측면에서 살폈다. 그 근원에서 본다면 <천지왕본풀이>가 천부(天父)와 지모(地母)의 꼴을 갖춘 신성혼의 형태라면, 나머지 두 작품은 홀어머니만이 등장하는 결핍된 상황을 보인다. 각 작품의 짝패 인물이 벌이는 과업은 각기 ‘수수께끼 / 꽃 피우기’, ‘서울 다녀오기 / 성 쌓기’, ‘처방전 내기 / 약 구하기’로 각각 남성성과 여성성을 상징하는 내용을 채워진다. 대결의 귀결은 <천지왕본풀이>가 각각의 과업에 따라 제 세상을 차지한다면, <오뉘 힘내기>는 여성성이 승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에 의해 패배하여 죽음을 맞지만,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은 여성성이 승리하지만 남성성과의 보완적 관계에 의해 본래의 목적인 치병(治病)을 달성한다. 결론적으로 짝패가 등장하는 설화는 서로 같은 근원에서 출발한 두 인물을 짝패로 배치하여 차별성을 드러냄으로써 역설적으로 그 둘이 한데 어우러진 온전한 삶을 추구하는 이야기이다.

      • KCI등재

        『三國遺事』「紀異」篇 敍述原理

        이강엽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6 No.-

        이 논문은 三國遺事 紀異의 神異에 초점을 두어 그 서술원리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첫째, 紀異 편 敍를 검토한 결과, 그 신이함은 이야기 주인공의 ‘영웅적인 행위’와 함께 ‘하늘의 표지’와 ‘땅의 변화조짐’이 함께 일어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가령, <고조선>의 경우, <제왕운기> 등과는 달리, 환인이라는 하늘의 뜻만 중시되는 것이 아니라 환웅의 의지, 삼위태백이라는 땅의 상태, 자식을 갖기를 소망하는 웅녀의 마음 등이 함께 드러난다.둘째, 三國史記 등의 자료와 비교한 결과, 三國遺事 紀異 편의 자료는 고조선, 고구려, 백제 등의 자료에서는 天의 표지와 地의 변고가 대칭으로 드러나면서, 상대적으로 국가 건국 등의 공식적 행위에 대한 관심이 적고 민족의 계통 등에 더 큰 관심을 보인다. 혁거세, 탈해, 알지 등등의 자료에서는 임금을 맞이하는 과정을 서술하면서, 天의 의지 역시 人의 호응에 맞물려 함께 일어나는 것으로 서술한다. 김유신, 장춘랑파랑, 김(박)제상의 경우는 등장인물의 비범성이 하늘과 땅의 照應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파생한 결과로 나타난다.셋째, 紀異 편의 서술의 신화적 맥락을 살핀 결과, 우선 기이의 제1과 제2의 구분이 신라의 흥망성쇠의 기준에 따른 것으로, 국가가 흥하고 망하는 이치가 신화적으로 서술된 것이 紀異이겠는데, 이는 신화 주인공[제왕, 영웅]이 하늘의 표지와 땅의 변고를 제대로 이해하고 대응하는가에 따른 것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중심의 동양신화 전통에서 찾을 수 있는, ‘창조’가 아닌 ‘운행’의 관점에서 쉽게 이해될 만하다.

      • KCI등재

        보은담(報恩譚)의 새로운 이해와 교육

        이강엽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7 No.-

        This paper is aimed at looking into the educational direction on the basis of a new understanding of favor-returning stories. There are two points in discussion; one is to switch the sight of favor from a favor-requiter-centeredness to a favor-doer-centeredness; the other is to treat more than a story in which a simple ‘exchange’ or ‘transaction’ of getting repaid immediately after doing favor. First, when we turn our eye from favor-repaying to favor-doing, i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reduce the harmful effect of overly stressing the obligation in human relations and to build up our autonomy. There exist diverse patterns of favor-repaying stories in which a favor-doer actually hides his/her identity when doing favor, and also when repaying favor, the very person involved in doing favor avoids being repaid directly, through which one can go beyond his/her own narrow sight of understanding a favor-repaying story as an ‘exchange’ or ‘transaction.’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vor-doing stories, in many cases,favor-doers are in severe destitution or dire straits, or once lived in luxury,but only to get into difficulty. This means they go through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ir sympathy toward the people or animals that are faced with a difficult situation once they are trapped in a harsh environment. It’s quite proper to consider such contents in educating favor-doing stories; in other words, instructors are supposed to remind students that there is profundity going over the form of ‘repaying’ in favor-repaying by rejecting a story of an immediate favor-repaying is made, and to get students not perceive the act of getting repaid as an ‘exchange’ or ‘transaction’ by introducing a story of a favor-doer’s setting a certain limit even in case he/he gets repaid for doing favor immediately. In addition, instructors are supposed to awaken students to the reason why a favor-doer becomes a beneficiary at the moment of doing favor through a favor-returning story in which the favor-doer improved his/her own unfortunate destiny. 이 논문은 보은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그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자 씌어졌다. 논점은 크게 두 가지로, 하나는 報恩者 중심에서 施恩者 중심으로 시각을바꾸는 것이며, 또 하나는 보은담을 은혜를 베풀어 즉각 보답을 받는 단순한 ‘교환’이나 ‘거래’가 일어나는 이야기 이상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첫째, 報恩에서 施恩으로 눈을 돌릴 때, 인간관계에서 의무를 지나치게 강조하는폐해를 줄이고 자율성을 키워주게 된다. 실제로 보은담에는 은혜를 베풀 때 베푸는사람의 존재를 숨기기도 하고, 은혜를 갚을 때도 은혜를 베푼 당사자가 직접 받는방식을 피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유형의 보은담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보은담을 교환이나 거래로 협소하게 파악하는 시각을 넘어설 수 있다. 둘째, 보은담의 자료를 검토한 결과, 施恩者는 대단히 궁핍하거나 어려운 처지에있거나 매우 잘살다가 어렵게 된 경우가 많다. 이는 어려운 환경에 처하게 되면서어려운 처지에 처한 사람이나 동물에 동정심을 발휘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는 까닭이다. 보은담의 교육 또한 그러한 내용을 감안하는 편이 온당하다. 즉각적인 보은이이루어지는 이야기를 지양하여 ‘되갚기’의 형식을 넘어서는 깊이가 있음을 주지시키고, 즉각 되받더라도 일정한 한계를 정해주는 이야기 등을 통해서 교환이나 거래로인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은혜를 베푸는 순간 베푸는 사람이 자신의 나쁜 운명을 개척하는 보은담을 통해서 은혜를 베푸는 사람이 스스로 은혜를 입는 과정을깨닫게 함으로써 시은과 보은의 순환고리를 벗고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사고를 도울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