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초등학교의 일상지리적 특성 고찰

        이간용(Khan-yong Le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4

        본 논문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소재하는 K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그 일상지리적 특성을 고찰한 사례연구이다. 우선 이 학교의 교육 공간은 구성의 개방성과 활용의 유연성을 지향하고 있었다. K학교장은 교육 활동에 따라 다양한 공간적 변위를 연출하며 솔선과 실천의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 행사 공간에서는 교육적 본연성과 참여성이 강조되고 있었고, 구성원들은 공적 공간에 대한 분별과 존중이 체화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정과는 쌍방적 소통이 원활하였고 지역 사회의 다양한 공간적 자산을 학습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결국, K초등학교의 일상지리적 특성은 학교 공간의 개방성과 유연성, 학교장 리더십의 솔선성과 실천성, 행사 공간에서의 교육적 본연성과 참여성, 공적 공간에 대한 분별성과 존중성, 지역 사회와의 소통성과 다변성 등으로 정리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a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y of everyday life of a elementary school in the USA. The everyday of K school in California state was observed as a case from the spatial perspectives. This school space was open in terms of a physical layout and was flexible in using it educationally. The principal exercised the leadership of who took the initiative and set an example.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annual events put emphasis on this very purpose and participation. The school members were accustomed to discern a personal from a formal spaces and respected each other’s domains in their everyday lives. And this school communicated actively with the students’ homes and made educationally the best use of the various spaces in a local community.

      • KCI등재

        남아시아 4국의 지리평가 특성 비교 분석 -인도의 HSC, 파키스탄의 HSCC, 방글라데시의 HSC, 스리랑카의 GCE A-Level 지리시험을 중심으로-

        이간용 ( Khan Yong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9 No.3

        이 연구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등 남아시아 4국의 지리평가가 지니는 특성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4국의 지리평가는 형식면에서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의 두 영역(domain)으로 대분되고 각 영역은 몇 개의 하위부문(section)으로 세분되는 시험편제를 취하며, 선택형보다는 서답형의 비중이 높고, 서답형 문항은 여러 하위 문제로 구성된 세트식 문항체제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에 따라 내용면에서도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의 계통적 주제 중심으로서 두 영역이 거의 동등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인도와 스리랑카는 자국지리, 파키스탄은 자연지리 및 세계지리, 방글라데시는 지리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중시하는 차별화를 보였다. 그리고 모두 지리적 사상 및 현상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지리적 사고를 평가하고자 의도하고 있으나, 대체로 지리적 탐구보다는 선지식의 파지나 적용 위주라는 공통점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방글라데시는 다양한 수준의 지리적 사고력을, 파키스탄의 경우 비교적 단순한 지리적 사실지식의 재생력을 평가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형식과 내용면에서 전반적으로 스리랑카와 인도의 지리평가가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보다 질적 및 양적으로 앞서 있었다. 특히 스리랑카와 인도의 백지도 기반 문항은 위치와 분포 등 지리학습의 기본에 충실한 형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되었다. This study compare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assessment of four South Asian countries: India, Pakistan, Bangladesh, and Sri Lanka. Their geographical assessment is divided into two domains, physical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in terms of form, and each domain takes a test system that is subdivided into several sub-sections. There is a higher proportion of the supply type than the multiple-choice type. The items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a set-type item format composed of several sub-problems. Accordingly, in terms of content, it is a systematic theme center of physical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and has a common point in that the two areas occupy almost equal weight. However, India and Sri Lanka are relatively differentiated in that they place importance on understanding their own geography, Pakistan on physical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and Bangladesh on understanding geography methodology. And all of them are intended to evaluate various levels of geographical thinking on geographical ideas and phenomena, but they have shown in common that they mainly focus on retaining or applying prior knowledges rather than geographical inquiries. However, relatively, Bangladesh tends to evaluate different levels of geographical thinking skills, and Pakistan tends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relatively simple knowledge of geographical facts. Overall geographical evaluation of Sri Lanka and India was ahead of Bangladesh and Pakistan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In particular, the blank map-based questions of Sri Lanka and India were noted in that they were faithful to the basics of geography learning such as location and distribu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리 평가 특성 고찰

        이간용(Lee, Khan-yo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3

        본 연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리 교육적 특성을 지리 평가의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리 교육과정 및 대학입학시험(NSC)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리 교육은 4~12학년에 걸쳐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식, 기능, 가치·태도 등 세 영역의 목표를 조화롭게 추구하였다. 내용 조직 원리로서 동심원적 방식이 적용되었고, 지리 학습에서 특히 공간 역량의 함양이 강조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리 평가는 형식면에서 다양한 평가 도구의 동원, 세트 문항 형식의 순차적 산물형 문항 구조, 그리고 자료 기반형 문항 구성 등을 통하여 지리 지식의 구성 능력을 중시하였다. 내용면에서는 기상 및 국지 기후, 하천의 수문 지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취락 지리 및 경제 지리를 중심으로 내용 요소가 선정되어 지리적 현상에 대한 분포 인식 및 개념 정의, 특성 기술이나 요인 제시, 관계 설명이나 대안 모색 능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지도 주제에서는 지형도 및 정사 사진 지도, GIS 자료를 바탕으로 독도, 분석, 해석 능력을 평가하였다. 행동 요소의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지리적 탐구를 지향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지리 내용 지식의 이해와 지도학적 기능을 평가하는 비중이 높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features of geography assessment in Republic of South Africa. Materials used for analysis are geography examinations (2015~2017) of National Senior Certificate (NSC). Geography education in Republic of South Africa is implemented systematically during 4~12 grades. The curriculum is toward developing balance in three behavior domains: knowledges, skills, and attitudes. It adopts concentric principle to organize contents of their school geography, with emphasis on fostering spatial competence of students. The geography syllabus is highly compatible with NSC geography examinations. These examinations used a variety of measurement tools, testlets of ordered outcomes style, and resourcebased questions to evaluate students’ abilities to construct geographic knowledges. Subjects of the geography assessment include understandings of weather, local climate, hydrogeography in physical geography, settlement geography, economic geography of the country in human geography, and skills of read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topographic maps, orthophoto maps and GIS. The geography assessment in Republic of South Africa intends to estimate candidates’ abilities of geographical inquiries. But in practices, it assesses geographic content knowledges in terms of behavior element.

      • KCI등재

        러시아의 지리 평가 특성 분석 -국가통합시험(ЕГЭ)을 중심으로-

        이간용 ( Khan Yong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features of the geography assessment of Russia. The main data for analysing are the geography examinations(2009-2013) of the Unified State Exam(ЕГЭ). In terms of formal aspect, the exams are standardized in their format, i.e. materials presenting, items organizing, and regional versions. In particular they are consist of three parts and use multiple-choice questions, short-answer questions, and supply questions respectively as a measurement tools. In terms of contents aspect, the exams cover subjects of geographical research methods, physical geography, population geography, economic geography, regional geography, Russian geography, geographical aspects of global problems. The content elements for assessment are standardized. The behavioral domains for assessment are geographical knowledges, skills, and application, and a fact knowledges of geography are emphasized relatively. Also the exams are relatively focused on Russian geography and more a country than a region as a spatial unit. In short geography assessment of Russia is characterized by standardization in form and contents of exams.

      • KCI등재

        아프리카 지폐 아이코노그래피의 지역적 특성과 그 지리교육적 함의

        이간용 ( Khan Yong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논문은 아프리카 지폐 아이코노그래피의 지역별 특성을 주제 및 소재 면에서 밝히고, 그 지리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자료는 아프리카 56개국의 현행권 최신 시리즈(2020년) 259종이었다. 분석 결과, 아프리카의 지폐 아이코노그래피는 주제와 부제의 조합 면에서 지역별로 비교적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곧, 북부 지역에서는 종교와 역사, 서부 지역에서는 인물과 산업, 중부를 비롯한 동부 및 남부 지역에서는 인물과 자연, 그리고 도서 지역에서는 자연과 자연의 조합 비중이 높았다. 따라서 인물 주제를 제외한다면 북서(모로코)-남동(마다가스카르) 방향으로 전통-산업-자연 주제를 강조하는 공간적 변화 패턴을 보였다. 아프리카의 지폐 아이코노그래피에는 실로 다양한 소재가 등장하였는데, 전체 지폐 중 자연 관련 소재의 등장 빈도가 높았고(75.3%), 특히 절반 이상의(51.4%) 지폐에 동물 소재가 등장하는 공통점도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지역별로도 비교적 분명한 차이가 있어, 북부 지역에서는 사원과 유물유적, 서부를 비롯한 동부 및 남부 지역에서는 정치인과 동물, 중부 지역에서는 민속공예와 정치인, 도서 지역에서는 동물과 지도를 소재로 활용하는 빈도가 높았다. 이처럼 아프리카의 지폐 아이코노그래피는 주제와 소재 면에서 지역별로 다채롭지만, 대략 북부 지역일수록 인문화, 동남부 지역일수록 자연화의 경향이 뚜렷한 공간적 패턴이 나타났다. 이는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 정치와 경제 상황, 그리고 자연환경의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세계의 다양성, 인간-자연 관계의 현대적 이해, 그리고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심층적 이해 등의 측면에서 가치 있는 지리교육적 함의를 지닐 것이다. This aticle is to elucidat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frican banknote iconographies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material, and its implications for geographical education. The research data included 259 current banknotes(2020) in 56 African countr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African banknote iconographies showed a relatively distinct regional difference in terms of combination of subject and subtitle; religion and history in the north, figure and industry in the west, and figure and nature in the east and south, including the middle, and nature and nature in the islands. African banknote iconographies really featured a variety of materials. Among them, nature-related materials appeared frequently(75.3%) and animal materials appeared especially on more than half(51.4%) banknotes. However, there were relatively obvious differences among regions; mosques and relics in the north, and politicians and animals in the east and south, including the west, folk crafts and politicians in the central, and animals material, but there is a spatial pattern that shows a distinct trend of humanization in the northern region and naturalization in the southeastern region.

      • KCI등재

        아프리카 케냐의 지리 평가 특성 분석

        이간용(Lee, Khan-Y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아프리카 케냐의 지리 평가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케냐의 2012~2016년 간 대학입학시험(KCSE) 지리 시험 문항이다. 케냐에서는 학년별로 체계화, 계열화한 지리 평가 요목을 마련해 놓음으로써 수험자들에게 지리평가를 위한 정향감을 제공하고 있었고, 이 평가 요목과 실제 시험 문항 간 정합성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모 학문의 이원적 구조를 반영하는 문항 체제는 자연 지리와 인문 지리 간 내용적 균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하였다. 세트식 문항 구성과 서답형 평가 도구를 동원하여 지리 개념 및 현상에 대한 지식, 이해, 적용 등 다양한 수준의 행동 요소를 측정하고자 의도하였지만, 대체로 지리적 탐구보다는 지리적 지식의 기억과 이해에 대한 평가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케냐의 지리 평가에서는 지도 및 사진 자료의 해석, 도식화 등 공간 정보 처리 기능과 함께 야외 답사 수행 능력 등 지리 방법론의 적용 역량을 중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features of geography assessment of Kenya. The materials for analysis are the geography examinations(2012~2016) of KCSE. The contents of geography examination syllabus of KCSE are sequenced systematically by each grade, and take a role to suggest clearly assessment elements and learning direction of geography for candidates. The syllabus is highly compatible with the geography examinations. The main themes of the assessment are physical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The questions of supply-type as a measurement tool serve to organize geography knowledges for candidates, and measure a manifold level of behaviour elements. The geography assessment puts emphasis on more geography knowledges and understandings than geographical inquiries. And the geography assessment of Kenya emphasizes abilities to apply practical methods of geography, for example spatial data process skills and field works.

      • KCI등재

        도시민의 공간 정향 특성 분석

        이간용(Khan-Yong Lee)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민의 공간 정향 특성을 밝혀보려는 것이다. 주요 분석 자료는 지난 10여 년 간 (2005-2014)에 걸쳐 인천 연수구 일대에서 수집된 110개의 약도이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도시민의 공간 정향 요소 및 정향 체제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향 요소 면에서 볼 때 도시민의 공간 정향에는 통로, 결절, 지구, 랜드마크를 비롯하여 언어 단서 등 모두 5개의 정향 요소가 동원되고 있었다. 정향 체제의 특성은 정위(定位) 및 지향(指向) 면에서 살펴보았다. 정위의 경우 다시 기준 축(軸)과 정치(定置) 분포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도시민의 공간 정향에서는 대로에 기반한 횡축 의존성이 뚜렷하였고 좌표 체계상 중앙부 정치 선호 경향이 상대적으로 짙었다. 지향의 경우 다시 상방위(上方位)와 조망(眺望) 시각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도시민의 공간 정향에서는 북상향적 특성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외심적 조망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도시민은 5대 정향 요소를 동원하여 수평축을 정위 축으로 삼아 좌표 체계상 중앙부에 자신을 정치시키면서 외심적 조망 시각을 통해 북상향을 지향하는 방식으로 공간 정향을 이루는 경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traits of the spatial orientation of urban residents. The analysis materials are the 110 rough maps which have been collected for the last ten years in Yeonsugu, Incheon metropolitan. The urbanites’ spatial orientation are analysed from an aspect of the orientation elements and the orientation frame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urban dwellers make use of five elements - path, node, district, landmark, and language clue for their spatial orientation. Again the orientation frames of the urban people are investigated in terms of locating and directing in space. In regard to the former, they tend relatively to depend on horizontal axes based on broad streets and to prefer to position at the center on coordinate system. With reference to the latter, they show to be north-at-the-top directed tendency and to hold higher proportion of exocentric perspective than egocentric. Consequently urban residents tend to form spatial orientation with using five spatial elements, leaning horizontal axis, positioning themselves at the central part of coordinates, directing toward north-at-the-top through exocentric perspective.

      • KCI등재

        초등「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지도 자료 및 지도 기능 학습의 특성과 문제점 분석

        이간용 ( Khan Yong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5 No.2

        본 논문은 초등 사회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도 학습에 대하여 더 나은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본격적인 연구에 앞선 문제 제기 성격의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현행 초등「사회」교과서에 나타나고 있는 지도 자료 및 지도 기능 학습의 특성과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그 시론적(始論的)인 개선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3∼6학년「사회」교과서에 등장하는 모든 ``지도 자료``와 ``지도 기능`` 학습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그 특징과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지도 자료의 경우, 색상과 디자인의 일관성, 정보의 질과 양, 축척의 선택, 지도 관련 개념의 활용, 그리고 지도 제시 방식 등의 측면에서 학습 주제와 조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지도 기능 학습의 경우, 내용의 선정 및 조직의 측면에서 개인적·사회적 및 학문적 적합성을 부분적으로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수치 지도 학습, 조망 학습, 좌표식 위치 학습, 그리고 주제도 작성 학습 등을 강화하는 보완책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사회경제적인 변화에 비추어 볼 때, 지도를 주로 이해의 대상으로 여기는 기존의 학습관에서 벗어나 정보 저장과 전달의 적극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응용중심의 지도 학습관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p learning activities`` in current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alternative ways to solve the problems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of the study focused on two aspects: map materials and map skills in social studies texts (grade 3-6).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map materials of texts do not coincide with the learning subjects of texts; its have no consistence in aspect of colour and design, have no coherence in aspect of quality and quantity of map contents. And its have a many problems in terms of scale choosing, concept using, and map presenting. The map activitie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do not reflect personal, social and disciplinary needs in terms of scope and sequence of map learning.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proposed that introduce the concepts of digital map, perspective, grid reference system, and thematic map making to map learning in social studies of new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ap-applying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