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전기 한양방어체제의 논의와 군사제도 운영의 실상

        윤훈표 서울역사편찬원 2013 서울과 역사 Vol.- No.83

        Ever since A.D. 1396, construction of a fortress for the new capitol, Hanyang, has started. The construction was led by a military officer named King Taejo(太祖). However, in terms of defensive facility, it had its weak points. Accordingly, in order to relieve the issues of lacking defensive ability, founding contributors such as Jung Do-Jeon(鄭道傳) took the lead. They implemented a military innovation and strengthened the central army and tried their best in defending the new capitol and guarding the fortress. However, due to issues in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the uprising of the Prince revolted and the whole country went into chaos. Due to the uprising, the capitol was moved to Kaesung(開城) in 1399. Taejong(太宗) who ascended to the 3rd king moved the capitol to Hanyang once again. Based on such change, they restructured the defense system centering on a totally different political standpoint. However, due to issues of the poor lives of the citizens, there were no major construction such as building a fortress. At last, as King Taejong was dethroned and King Sejong(世宗) became the king,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for Hanyang was reactivated. Also, he constructed a castle that could be used as an evacuation shelter during emergency near Hanyang. Additionally, the central army that defended the capitol was expanded. A Military branch was newly established to guard and monitor the fortress. The newly established defense system of Hanyang has affected the future generations. King Munjong(文宗) and King Sejo(世祖) who succeeded King Sejong, aggressively strengthened the military defense ability. Based on such state, the Hanyang defense system was altered. First, they repaired the fortress and upgraded their defense ability. Furthermore, they increased the military resource and restructured the order and control system. However, a sudden strengthening of the military ability rendered big burdens to the citizen. They needed to strengthening the defense of Hanyang and also relieve the burden of the citizen at the same time. This was done by King Sungjong(成宗) during his regime. However, he wasn’t able to bring up an innovative policy and followed traditional policies. As a result, the defense ability weakened. 기존의 거시적 입장에서 조선 전기에는 한양의 방어 체제가 제대로 구축되지 못했다는 평가에 대해 일단 그 구체적 실상을 파악하고 의미를 되새기고자 시도했다. 태조 3년 한양으로 천도한 뒤부터 본격적인 방어 체제의 구축 작업이 추진되었다. 무장 출신인 태조는 핵심 방어 시설인 성곽 축조를 주관하였다. 하지만 대규모 인력 동원에 따른 부담 등으로 시설면에서 취약한 부분이 없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고자 수비 병력의 운영과 방위 계획의 수립 등과 관련해서 개국공신인 정도전 등이 여러 조치를 베풀었다. 주로 병제 개혁 등을 통해 미약한 부분을 보강하였다. 이들은 역할 분담과 상호 협력을 통해 굳건한 방어 체제의 수립에 힘썼다. 정변을 통해 즉위하기에 이른 태종은 개성에서 한양으로의 환도를 계기로 종전과 다른 각도에서 방어 체제를 정비했다. 외적으로 정치 군사 협력을 강화시킨 명과의 관계를 원활히 유지하고, 특히 내적으로는 어수선한 틈을 타고 돌발할지도 모르는 반대 세력의 제압을 위해 국왕을 정점으로 피라미드 형태와 같은 군 퉁솔 체계를 확립하였다. 특히 후자와 관련해서 민생 안정 등의 이유로 도성 건설 같은 대규모 인력 사업은 재위 기간 중 유보시켰다. 그러나 최악의 상황 발생을 염두에 두어야 하므로 태종이 상왕으로 물러나고 세종이 즉위하는 것을 계기로 도성 수축과 일장산성 등의 피난성이 축조되었다. 더불어 중앙군도 확장시켰다. 도성의 순찰과 감시를 담당할 병종도 정했다. 이렇게 구축된 체제는 후대까지 많은 영향을 끼쳤다. 천도 이후 세월이 흐르면서 대내외에 걸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토목보의 변이 일어난 뒤 북방의 불안이 점증되면서 문종 때 보다 적극적인 무비책이 강구되었다. 이는 한양 방어에도 반영되었다. 도성 시설의 보수로 방어력이 보강되면서 援城 설정 등의 대책도 강구되었다. 여기에 5사제로의 개편을 통한 병력의 적절한 운용이 첨가되었다. 火車라는 최신 무기를 개발도 포함되었다. 경비 병력의 확충을 위해 거주민을 활용하는 방안을 구상하기도 했다. 실행에 옮겨지게 되는 것은 정변을 겪으며 집권했던 세조대였다. 양성지의 사보론 같은 능동적 방위책이 제시되었으나 거대 인력의 동원에 의한 성곽의 수축은 곤란했으므로 병력 확장과 통제력 강화 등을 통해 방어력을 높이는 것에 집중했다. 5위제로의 개편과 함께 경비 병력으로 거주민들로 편성되는 잡색군을 조직, 동원하고자 했다. 그러나 현실을 무시하고 무리하게 밀어부쳤다는 주장에 힘입어 성종대에 이르러 크게 후퇴하거나 폐지되었다. 이후 더 이상 새로운 체제를 마련하지 못하고 고식적인 대책에 머무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사회 변화, 특히 상대적으로 한양의 그것이 복잡하면서도 빨랐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이나 제도로 대응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었다. 혁신적인 방안이 요구되었으나 당시 상황에서는 힘들었으며 다른 부문과의 균형도 고려해야 하므로 실행이 곤란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태종대 지방군제의 개편 방향

        윤훈표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3 No.-

        This thesis considered the reform of the local military system in the during King Taejong Epoch of the Joson Dynasty. In particular, rather than dealing with change of the system or specialties, this thesis mainly reviewed various kinds of projects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local military operations. Among other things, this thesis noted the project to draw up a reference value that sets the number of support taxpayer paid to the regular group. The standard was determined mainly based on the area of land owned by soldiers and the number of families under their control. As a result, land survey and census of population became very important.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land and census survey projects carried out at that time greatly influenced the direction of the work to reorganize the local military organization and the operating system. However, the reorganization project of the local military system was disrupted due to unexpected obstacles.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military system changed and finally came to naught. The trial and error and confusion that occurred dur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military system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were labor pains which were needed to establish a new system. The proces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Joseon Dynasty–style military system. 사병혁파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태종대 지방군제의 개편 방향을 토대를 이루었던 각종 정책 등과 관련해서 검토했다. 제도라든가 병종의 변천사 등을 다루기보다 운영상의 토대가 되었던 핵심 사업의 성과 등에 주목했다. 태종의 즉위를 계기로 군제 개편이 본격화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새로운 원리가 도입되었다. 지방군의 경우 태종 4년 5월 보유 전결수에 근거한 군정의 봉족 지급 규정이 제정되면서 병종의 서열화와 함께 각각의 전문성이 부각되도록 구축되었다. 이 규정에는 외방의 군액이 축소되는 것을 막는다는 이유로 지방에서 근무하는 진수군뿐만 아니라 중앙으로 번상하는 갑사, 시위군 등도 포함시켰다. 이는 도별로 중앙과 지방군을 함께 관리하는 체제를 반영했던 조치였다. 시초부터 양자의 문제가 연결되도록 했다. 하지만 봉족 지급의 기준이 되는 토지와 호구에 대한 조사가 미처 마무리되지 못했다. 미리 지급 규정을 정해 혼란 없이 편성을 마치려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사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장애가 발생하여 혼란에 처했다. 인보법․호패법까지 도입하며 정확한 호구 파악을 시도했으나 도리어 부작용만 초래해 중단되었다. 원래 빈부와 강약 등을 분간해서 공평하게 봉족을 지급하겠다고 공언했으나 실제의 상황은 많이 달랐다. 불공평에 대한 군정들의 불만이 고조되자 대책 마련에 고심했다. 급하게 시위군, 기선군, 진속군 등을 합해서 근무하는 등의 조처를 취했다. 당장의 불평을 잠재우려고 실행했던 임시 처방들로 인해 지방군제의 개편 방향이 다시 바뀌는 상황이 연출되었다. 합속 근무는 본래의 목표였던 지방군의 서열화, 기능과 역할의 전문화 등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시정책으로 갑사부터 소경전과 인정을 결합시킨 새로운 봉족 지급 제도를 강구했다. 그리고 이를 시위, 기선군 등에도 적용시키려 했다. 그러나 소경전과 인정의 다소를 파악하고 서로 결합시킨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서 봉족을 지급한다는 것이 당시 사회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힘들었다. 확대 실시가 곤란한 상황에 이르자 마침내 태종 4년 5월의 봉족 지급 규정이 속육전에 법제화되면서 회귀하게 되었다. 원점으로 복귀하는 쪽으로 방향이 전환되었다. 태종대 지방군제 개편에서 나타냈던 시행착오와 혼선 등은 새로운 체제의 수립을 위한 진통이었다. 그 과정을 통해 조선적인 군제 수립의 토대가 마련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동궐의 宿衛 체계의 변화

        윤훈표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8 서울학연구 Vol.- No.30

        This study considered the looks of being changed the Royal Guards system (宿衛體系) in the 17th century when the East Palace(東闕) started to function as Beopgung(main palace, 法宮). Due to Injo Restoration(仁祖反正), the Royal Guards system, which supported Gwanghaegun(光海君) regime, was momentarily collapsed together. The newly-emerged King Injo(仁祖) regime tried to overcome the confused image in the previous period within prompt time, and to reconstruct the stronger the Royal Guards system. However, rather than solving a problem by completely reorganizing the existing system, it did spread the work of swiftly reinforcing the vulnerable section by mobilizing an easy method. As a result, the considerable outcome could be accomplished within short time. However, it became an opportunity that causes another problem. Especially inside it, the privatel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er and his soldiers came to be positioned firmly. Entering the period in King Hyojong(孝宗) and King Hyeongjong(顯宗) when the project of strengthening the national defense with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as the slogan was driven extensively, the Royal Guards system was allowed to be veteran by carrying out the highly-intensified military drill such as largely increasing the number of soldiers and offering equipments, in order to solve a problem about the Royal Guards system. Due to this, the military power of more than 10,000 persons including Royal Guards(宿衛軍) inside and outside a castle town led to being gathered. However, from the end of the period during King Hyeongjong, it got overly obese, thus the assertion continued to be raised, which there is necessity of reducing Royal Guards of being the big burden to the finances. Nevertheless, in the midst of being rarely shown a sign to be solved, the problem of commanding Royal Guards was raised in the early period of King Sukjong(肅宗), thereby having been developed into a political strife.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restoring Dochechalsabu(the Office of the Supreme Commander, 都體察使府), which had been presented by Yun Hyu(尹휴), was greatly highlighted. The restoration to the general command system was asserted, by granting Dochechalsabu(都體察使府) the commandership over all soldiers outside the capital including Royal Guards and by filling govermnent officials in the department with the officials of civil and military arts. However, King Sukjong and his aides opposed strongly, thereby having failed to be realized. Due to this, Royal Guards came to be seized mostly by persons who were closely connected with a Royal family.

      • KCI등재

        고려 말기 형정의 상황과 개편 방향

        윤훈표 연세사학연구회 2022 學林 Vol.50 No.-

        This paper examines the confusions that occurred in the penal administration operating system in the late Goryeo period in relation to social change. In addition, it consider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form of the penal administration system that was pursued to resolve these confusions. In the first place, chaos was in full swing in the penal administration operating system during the period of The Military Regime, when the top-level device that coordinated and controlled the whole was paralyzed. With repeated abnormal regime changes, principles were shaken, and both fairness and consistency were destroyed. This trend spread further during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After King Gongmin ascended to the throne, he pursued reorganization, but as socio-economic contradictions intensified and internal divisions grew, chaos ensued. As a result, his reform work failed. It encouraged the application of private laws, which only aggravated the harm. King Wu, who ascended abruptly to the throne after King Gongmin, hastily undertook reorganization. However, as the unstable state of affairs intensified in the second half of his reign, his reform efforts failed. After the change of government following the army march back from Wihwa Island(威化島回軍), reorganization work resumed. Under the leadership of radical reformers, a different level of reform was promoted. The goal was to establish a consistent operating system. First, China's latest criminal code, the Great Ming Code( 大明律 ), was adopted as the basic criminal code. Subsequently, repairing work on the equipment was also promoted. This opportunity set the task of reorganizing the role and jurisdiction of the penal administration on the right track. The reorganization work in the late Goryeo period continued to accommodate new elements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previous system. As a result, although there were similarities in appearance, there were in fact different aspects in the nature of the operating system. This was because it was not limited to the reform of the system, but was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particular, the change was remarkable in that it was an evolution in the cognition of the penal administration. I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the penal administration reorganization work following the conversion of the penal administration in the late Goryeo perio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enal administration reorganization work of the next dynasty,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it set the direction for the path that would be followed in the future. 본 논문에서는 고려 말기의 형정 운영 체계에서 발생했던 혼란상을 사회 변동과 연관해서 검토했으며 이를 수습하기 위해 추진했던 개편 작업의 내용과 성격, 형정관의 전환, 역사적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형정 운영 체계의 동요는 무신집권기에 들어와서 전체를 조율하고 통제하는 최상위 장치가 마비되면서 본격화되었다. 비정상적인 정권 교체가 거듭되면서 전임자들이 이뤄냈던 성과들이 부정되고 그 과정에서 원칙이 흔들리며 공정성이 훼손되고 일관성도 무너졌다. 그런 풍조는 원간섭기에 더욱 확산하였다. 마침내 담당 기구나 조직 체계가 변질되고 그에 따른 혼란이 초래되면서 일관된 처결이 곤란해졌다. 법 적용의 사사로움에 따른 불공정성이 증대되고 그로 인한 폐해가 확대되면서 신뢰마저 잃었다. 거기에 원률의 적용 문제까지 겹치면서 상황이 악화하였다. 말기에 이를수록 사정이 더욱 어려워지면서 근본적인 혁신 없이는 사회의 안정과 통치체제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기 힘들게 되었다. 공민왕 즉위 이후 반원 정치와 함께 개편 작업을 추진했으나 사회 경제의 모순이 격화되고 내부 분열이 심해지면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형벌의 명확한 조례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으나 도리어 사사로운 법 적용만 부추기면서 폐해만 가중시켰다. 이로 말미암아 형정 운영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체제 개혁을 이루기 어려운 상황에 부닥쳤다. 갑자기 실행된 우왕의 즉위 직후부터 개편 작업에 착수하였다. 사전 준비가 철저하지 않았지만 급하게 정국을 안정시키려는 조치로써 단행되었다. 하지만 후반기 국정의 난맥상이 심화되면서 실패했다. 재개된 것은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이 교체된 뒤였다. 급진 개혁파가 주도하면서 전과 다른 차원의 작업이 추진되었다. 먼저 토대 분야에 대한 선제 조치가 시도되었다. 그 바탕에서 주무 부서인 전법사를 축으로 하는 일관성을 갖춘 운영 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기준 형서로 대명률을 채택하였다. 또 다른 중요 법사였던 사헌부의 경우, 당시 제정된 개혁 신법을 법전 형태로 만들어서 간행하고 그것을 위반하는 자 등을 다스리는 역할을 부여했다. 말기의 개편 작업은 이전 체제의 변경과 함께 새로운 요소의 수용이라는 측면을 동시에 간직하였다. 그로 인해 외양에서는 유사한 측면이 없지 않으나 운영 체계의 성격에서는 다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제도의 개편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 변동과 연관시키며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형정관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그 결과 조선에 들어와 대명률이 즉각 적용될 수 있었다. 더불어 표면화되지 않았으나 자세히 보면 기미 같은 것이 존재하는데 미리 제거하지 않으면 장차 손대기 어려운 악의 근원이 될 수도 있다. 즉 미발의 상태이지만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크게 발할 소지가 다분하므로 형을 써서 미리 방지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논리가 일부에서 제기되었다. 형이 정치를 보좌하는 법의 범위를 넘어서서 기능하는 면모를 취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부분은 조선에 들어와서 내부 분열과 갈등이 격화되면서 종종 재현되기도 한다. 따라서 말기 형정관의 전환에 따른 형정 개편 작업의 방향은 조선에서의 모색에 직접적인 원형을 제시하는 것이었고 나아가 장차 전개되는 길을 암시하는 척도이기도 했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후기 사면(赦免)의 추이와 각 시기별 특징의 분석

        윤훈표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8 No.-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the amnesty that forgives or reduces penalty for prisoners occurred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 issues that arise from the punishment operation system. First the starting point of the end of Goryeo dynasty has been set at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Rule and have considered the amnesty enactment throughout till the annihilation of Goryeo dynasty. Especially, it analyzes the period in detail in terms of the status change of the king’s right that had a decisive role in pardon enactment. The first period was the Military rule period. The reason why there were lots of changes in the amnesty is that the operation changes in the punishment field went through lots of changes. The king’s status of his decisive right on amnesty has gone weak and the military rulers’ legal right has strengthened. The second period is the Period of Yuan Intervention in Goryeo. During this period, the political intervention of Yuan affected the amnesty and the Mongol goverment’s announcement has been applied to the Goryeo dynasty. The official amnesty announcement from Goryeo followed. Therefore, the amnesty was enacted based on a overlapping structure that can’t be seen in other periods. The third period is the last stage period when the anti-Yuan reforms claimed by King Gongmin to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ll kings during thisperiod did not rise to its throne through a normal process. They risen to its throne with a political outburst. Therefore, the amnesty they announced were used as political purposes. Lots of issues arose due to its events. Accordingly, a revolutionary plan has been submitted. 죄수를 용서하거나 형벌을 감해주는 사면이 고려 후기에 들어와서 어떤 양상으로 실시되었는지를 결정권을 지닌 국왕의 위상 변동과 연동시켜 시기를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각 시기마다 실시의 추이를 표로 작성해서 보다 심화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과 더불어 시대별 특성 파악에 초점을 두었다. 후기의 출발점인 무신집권기부터 왕조의 말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명목으로 사면이 단행되었다. 각 시기마다 통치 체제의 운영과 왕권의 행사 방식 등이 바뀌면서 내용이나 형식, 외형 등에도 변화가 일어났으며, 이는 곧 성격의 변모로 연결되었다. 첫 번째 무신집권기인데 위상이 약화된 국왕 대신 무신 집정이 주도하면서 실시의 양상이 달라졌다. 정권의 속성상 형식이나 외형적 틀은 본래의 모습을 유지시켰으나 내용면에서 많이 바뀌었다. 갑작스런 정권 교체에 따른 불만의 해소와 함께 집권 세력의 안정화에 기여토록 운용되었다. 한편 시간이 흐를수록 대외 관계의 영향을 받으면서 다음 시기인 원간섭기의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고려 전기의 사면 실시에서 자주 등장하였던 요소들은 줄어들었다. 그 대신 후반기에 들어와 비로소 출현하였던 것들이 서서히 비치기 시작했다. 즉 전환되어 가는 모습이 보였다. 원간섭기에 이르면 몽골과 고려의 양측에서 선포하는 사면령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 그로 인해 사면 실시에 있어 이 시기만의 독특한 양상이 전개되었다. 이중으로 적용되는 가운데 용어를 비롯한 여러 부문에서의 차등화가 실행되었다. 그것은 특히 원의 형법으로 처벌 받은 자는 고려 자체의 사면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심지어 선포 의식이나 의례 등의 형식, 외형적인 면까지도 바뀌게 만들었다. 그 결과 성격의 변화까지 초래되었다. 공민왕 5년 6월 반원 자주 개혁이 추진되면서 재차 큰 변화가 야기되었다. 정치 상황이 복잡해지면서 통치 체계도 혼란에 처했는데 이런 현상은 왕조의 말기까지 지속되었다. 왕권 행사의 파행성이 커지면서 사면의 실시에도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했다. 남발에 따른 불공정 등의 논란이 일어나면서 오히려 정치적 갈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인심의 무마가 아닌 불만의 대상이 되었다. 마침내 정략 수단의 하나로 전락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결국 개혁의 대상이 되기에 이르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