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의 수면내시경을 위한 Propofol의 안전성과 유용성

        윤효중 ( Hyo Joong Yoon ),김상균 ( Sang Gyune Kim ),나현식 ( Hyun Sik Na ),맹주희 ( Ju Hee Maeng ),한상훈 ( Sang Hoon Han ),장재영 ( Jae Young Jang ),고봉민 ( Bong Min Ko ),홍수진 ( Su Jin Hong ),유창범 ( Chang Beom Ryu ),김영석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5

        목적: Propofol은 수면내시경검사를 위한 전처지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간성뇌증, 저혈압, 호흡부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한다. 저자들은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상부위 장관 수면내시경검사에 사용된 propofol의 안전성과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는 간경변증 환자 39예(Child Pugh 등급 A: 19예 B: 20예)와 대조군 5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의 깊이는 미국마취과학회(Th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y) 지침의 중등도 진정(의식하 진정)을 목표로 하였다. 내시경 전 수면 유발을 위해 propofol 40 mg으로 시작하여 중등도 진정이 될 때까지 propofol을 20 mg씩 증량하였다. 시술 전후로 퍼덕이기 진전검사(flapping tremor test), 숫자연결검사(number connection test), 혈압, 심박동수, 혈중산소포화도, 간기능검사, 프로트롬빈 시간을 검사하였다. 환자의 수면내시경검사 만족도는 수면에서 회복된 후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로 판단하였다. 결과: Propofol의 평균용량은 간경변증군에서 49.7±15.8 mg이었고, 대조군에서 65±17.9 mg으로 간경변증군에서 중증도 진정을 위해 필요한 propofol 용량이 의미있게 적었다(p<0.001). 시술 전후의 퍼덕이기 진전검사, 숫자연결검사, 혈압, 심박동수, 혈중산소포화도, 간기능검사, 프로트롬빈 시간은 양 군에서 모두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평균 회복시간은 간경변증군이 16.4분, 대조군이 14.2분이었다(p=0.186). 시각적 상사척도(범위: 0-100)는 간경변증군이 72±27, 대조군이 62±27이었다(p=0.196). 결론: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중증도 진정에 필요한 propofol 용량으로 수면내시경검사를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Propofol is widely used for sedation during endoscopy. Because propofol may cause hepatic encephalopathy, hemodynamic compromise, and respiratory depression, cautious use is required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propofol in compensated cirrhosis during endoscopic examination. Methods: Thirty-nine cirrhotic patients (19 and 20 cases of Child Pugh classes A and B, respectively) and 56 control subjects were included. The initial dose of propofol (40 mg) was increased by 20-mg increments until moderate sedation was achieved. The number connection test, flapping tremor test, blood pressur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liver enzymes, and prothrombin tim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endoscopy. Results: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any parameter compared to baseline in either group. The mean dose of propof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cirrhotic versus control subjects (49.7±15.8 versus 65.0±17.9 mg, respectively; p<0.001). Scores based on a visual analog scale evaluating patient satisfaction did not differ between groups (72±27 versus 64±26, respectively; p=0.196), nor did mean recovery time (16.4±9.8 versus 14.2±6.7 min, respectively; p=0.186). Conclusion: Propofol is safe and effective for moderate sedation in compensated liver cirrhosis. (Korean J Med 75:546-552, 2008)

      • SCOPUS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일차 및 이차 치료의 제균율 변화와 재감염률

        나현식 ( Hyun Sik Na ),홍수진 ( Su Jin Hong ),윤효중 ( Hyo Joong Yoon ),맹주희 ( Joo Hee Maeng ),고봉민 ( Bong Min Ko ),정인섭 ( In Sup Jung ),유창범 ( Chang Beom Ryu ),김진오 ( Jin Oh Kim ),조주영 ( Joo Young Cho ),이준성 ( Joon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3

        목적: H. pylori 제균율과 재감염률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 되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 5년 동안 경기도 부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일차 및 이차 제균치료의 연도별 제균율 변화와 재감염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외래에 내원하여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 궤양을 진단받고 H. pylori 감염을 확인하여 일차 제균치료를 시행한 3,267명의 환자와 일차 제균치료에 실패하여 이차 제균치료를 시행한 3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제균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성공적으로 제균 치료가 된 환자 중에서 3년 이상 추적 관찰한 167명을 대상으로 재감염률 및 소화성 궤양의 재발률을 조사하였다. H. pylori 감염은 내시경 검사를 통한 조직 검사와 신속요소 분해효소 검사로 판단하였고 일차 제균치료는 삼제요법, 이차 제균치료는 사제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제균 판정은 제균요법을 시행하고 4-6주가 지난 후 신속요소분해효소 검사와 조직검사, 13C-요소호기검사를 통해 판정하였으며 이 후 추적 관찰 역시 내시경 검사와 함께 신속요소분해효소 검사나 13C-요소호기검사를 통해 판정하였다. 결과: 일차 치료 제균율은 PP 분석에서 2001년은 83.7%, 2002년은 83.4%, 2003년은 83.9%, 2004년은 85.9%, 2005년은 87.2%, 2006년은 81.8%로 나타났으며 각 연도별 제균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차 치료 제균율은 PP 분석에서 2002년은 80.0%, 2003년은 86.8%, 2004년은 89.7%, 2005년은 98.0%, 2006년은 78.8%로 나타났으며 각 연도별 제균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감염률은 3년 동안 추적 관찰한 167명 중 총 10명에서 재감염이 발견되어 총 누적 재감염률은 6.0%였고, 연간 재감염률은 2.0%로 나타났다. 궤양 재발은 재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에서는 17.2%, 재감염 환자군에서는 50%로 나타났으며 이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경기도 부천지역에서 일차 제균치료로서 PPI를 기본으로 하는 삼제 병합요법과 이차 제균치료로서 사제 병합요법은 최근 5년 동안 제균율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아 아직까지 유용한 치료법으로 생각한다. H. pylori의 연간 재감염률은 2.0%였으며 재감염이 있는 환자군에서 궤양 재발이 유의하게 높아 성공적인 제균치료가 궤양의 재발 억제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The increasing trend of antibiotic resistance emphasizes the need for the assessment of eradication rate of first and second-line therapy for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The reinfection rate depends on the geographical, national, o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cent 5-year changes of eradication rates and the reinfection rates after the successful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for 3-years follow-up in Bucheon, Korea. Methods: From February 2001 to August 2006, 3,267 patients with H. pylori-positive peptic ulcer disease received the first-line therapy for 7 days. The 317 patients who failed to the first-line therapy received the second-line therapy for 7 days. The 167 patients with 3-years follow-up after the successful eradication were included. 13C-urea breath tests or rapid urease tests and histologie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H. pylori status after the eradication. Results: The eradication rate of first-line therapy was 83.7% in 2001, 83.4% in 2002, 83.7% in 2003, 85.9% in 2004, 87.2% in 2005, and 81.8% in 2006 by per protocol analysis (PP), respectively. The eradication rate of second-line therapy was 80.0% in 2002, 86.8% in 2003, 89.7% in 2004, 98.0% in 2005, and 78.8% in 2006 by PP. The cumulative reinfection rate was 6.0%. The annual reinfection rate was 2.0%. The recurrence rate of peptic ulcer was 17.2% in the patients without reinfection and 50% with reinfection. Conclusions: The eradication rate for H. pylori have not changed in the recent 5-years. The annual reinfection rate was low. The successful eradication of H. pylori was effective for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peptic ulcers.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170-175)

      • KCI등재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통한 대장 전처치의 효과와 순응도에 대한 연구

        맹주희 ( Ju Hee Maeng ),고봉민 ( Bong Min Ko ),이문성 ( Moon Sung Lee ),나현식 ( Hyun Sik Na ),윤효중 ( Hyo Joong Yoon ),한상훈 ( Sang Hun Han ),김상균 ( Sang Gyune Kim ),홍수진 ( Su Jin Hong ),유창범 ( Chang Beom Ryu ),김영석 ( Y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2

        목적: 대장내시경 전처치제로 쓰이는 인산 나트륨은 불쾌한 맛 때문에 복용 때 환자들에게 복통, 오심, 구토, 수면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상부위장관내시경과 대장내시경을 동시에 실시하는 환자의 경우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 때 전처치제를 투여하여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대장 전처치를 위하여 인산 나트륨을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통하여 투여한 후 대장의 정결도와 환자의 증상, 순응도, 만족도 등에 대해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상부위장관내시경 및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환자로 경구투여군 환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45 mL의 인산 나트륨을 저녁에 복용하고 대장내시경을 시행하는 아침에 45 mL를 복용하였다. 반면에 내시경투여군 환자는 아침에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통하여 인산 나트륨 90 mL를 물 180 mL에 희석하여 십이지장 하행부에 주입하였다. 4시간 후에 내시경 시술자는 장정결의 정도를 평가하였고, 환자들에게 장 정결제 복용 후 나타나는 증상과 순응도, 선호도에 대해 질문하였다. 결과: 내시경투여군에서 오심(p=0.01), 수면장애(p=0.00)가 경구투여군에 비해 적게 일어났다. 환자들의 장 정결에 대한 순응도는 내시경투여군에서 보다 좋았다. 그러나 대장 정결도와 회맹부까지의 삽입 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내시경투여군 환자에서 과거에 기존의 방법으로 인산 나트륨을 복용해 보았던 환자들은 내시경을 통한 대장 정결법을 선호하였다. 결론: 상부위장관내시경과 대장 내시경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통한 장 정결제의 투여는 장 정결제 복용에 따른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충분한 양의 물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은 경우 발한 혹은 심계 항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 정결제 복용이 어려워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 세심한 관찰과 함께 시도해 볼 수 있다. Background/Aims: Bowel preparation for colonoscopy remains an unpleasant experience because oral solutions have unpleasant tastes and may provoke abdominal pain, nausea, vomiting, and sleep disturbance. Duodenoscopic bowel preparation is an alternative method for patients who are unwilling to take oral preparation solution or for those who are supposed to have both gastroscopic and colonoscopic examination on the same day. We assessed the effectiveness and tolerance of duodenoscopic bowel preparation. Methods: Patients in group OA (orally administered) ingested 45 mL of sodium phosphate (NaP) in the evening before the day of procedure and in the morning on the day of colonoscopy, whereas patients in group EA (endoscopically administered) were prepared for the procedure by duodenoscopic infusion of 90 mL of NaP diluted with 180 mL of water into the second portion of the duodenum. After 4 hours, we assessed the overall quality of colonic cleansing, using a range of excellent to inadequate. The pati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ir preparation-associated symptoms, tolerance, and preference. Results: In group EA, sleep disturbance (p<0.05) and nausea (p<0.05) occurred less frequently than in group OA. Overall, the tolerance rating for preparation was higher in group EA. However, the quality of colonic cleansing and cecum intubation time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atients in group EA who had ingested NaP in the past preferred duodenoscopic bowel preparation. Conclusions: Duodenoscopic bowel preparation may play a role in colonic cleansing especially for patients who are scheduled to undergo gastroscopic and colonoscopic examination on the same day and for those who are unwilling to ingest NaP.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78-83)

      • 재발된 아급성 갑상선염 2예

        윤효중,황용하,이기영,김홍규,박혜영,강문호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1

        Subacute thyroiditis is a self-limited inflammatory disease of viral etiology. Patients of subacute thyroiditis usually recover completely with no sequelae and recurrences are infrequent. We report two cases of recurrent subacute thyroiditis. Case 1) A 21-year-old female visited the hospital for evaluation of neck pain. She had a history of anteced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which had been followed for 10 days. She experienced heat intolerance, sweating, palpitation and tremor. On physical examination, her heart rate was 108/min and diffuse, firm and tender goiter was palpated. Thyrotoxicosis and decreased uptake on thyroid scan were found. We diagnosed subacute thyroiditis and she recovered with salicylate and beta blocker treatment. Two years later, she revisited our hospital with the same complaint. Typical findings of subacute thyroiditis were noticed. She recovered once more with the same treatment regimen. Case 2) A 54-year-old female visited the hospital for evaluation of neck pain. She had a history of anteced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which was followed for 14 days. She experienced heat intolerance, sweating, palpitation and weight loss. On physical examination, her heart rate was 112/min and diffuse, firm and tender goiter was palpated. Thyrotoxicosis and decreased uptake on thyroid scan were found. We diagnosed subacute thyroiditis and recovered with prednisolone and beta blocker treatment. About eight months later, she revisited our hospital with the same complaint. Typical findings of subacute thyroiditis were noticed. We report two subjects who experienced recurrent episodes of subacute thyroiditis separated by periods of 24 and 8 months. These cases serve as a reminder that recurrence of subacute thyroiditis can occur

      • 비알콜성 지방간과 대사성 질환들과의 연관성

        김홍규,서찬종,윤효중,황용하,이기영,박혜영,김갑환,강문호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4

        연구배경: 비알콜성 지방간은 일반적으로 비만, 제2형 당뇨병 및 고지혈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슐린 저항성과의 독립적인 연관성여부나, 대사 증후군과의 연관성에 관해서는 아직 연구가 많지 않다. 한편, 최근 건강검진센터를 중심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지방간의 진단이 흔하게 되었는데, 이런 대상에서의 지방간의 임상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로 진단된 비알콜성 지방간과 비만, 당대사이상, 이상지질혈증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대사성 증후군과 비알콜성 지방간의 동반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도 4월부터 6월까지 종합건강진단을 위해 가천의대 길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262명 중 음주력과 바이러스성 간염, 심한 간기능 또는 신기능이상 및 현성 갑상선기능이상을 보인 147명을 제외한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간의 진단은 경험 있는 1명의 방사선과의사에 의해 복부 초음파로 진단하였다. 대사성 증후군의 정의는 당대사이상이 있으면서 비만, 이상지질혈증, 그리고 고혈압 중 두 가지 이상의 이상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결과: 대상자 115명중 비알콜성 지방간이 있는 경우는 30명, 대조군은 85명이었다. 1)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공복 혈중 인슐린 및 HOMA 인슐린저항성지표는 비알콜성 지방간군에서 의미 있기 높았다. 2)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허리-둔부 둘레비, 체지방량, 체지방률,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LD-콜레스테롤, 인슐린, HOMA 인슐린 저항성지표, 그리고 고혈압유무를 포함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 및 HOMA 인슐린저항성지표가 비알콜성 지방간과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3) 비알콜성 지방간과 대사성 증후군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는데, 비알콜성 지방간을 가진 사람의 27%에서 대사성 증후군을 동반하였고, 대사성 증후군의 가진 사람의 53%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을 동반하였다. 4) 대조군과 비알콜성 지방간군에서 대사성 증후군의 각 구성 인자인 당대사이상, 비만, 이상지질혈증 및 고혈압 중 2개 이상의 인자를 갖는 경우는 각각 28%와 73%로 비알콜성 지방간군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비알콜성 지방간이 인슐린 저항성과 독립적인 연관성을 가질 가능성을 시사하였고, 비알콜성 지방간이 있는 경우에 당대사이상, 비만, 이상지질혈증 및 고혈압 중 두 가지 이상의 대사성 질환을 가질 확률이 대조군에 비해 약 3배나 높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진단된 환자들에서 이러한 대사성 질환들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이를 호전시키기 위한 노력 및 주의 깊은 경과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Background: Non-alcoholic fatty lever disease (NAFLD) is known to be frequently associated with obesity, type 2 diabetes and dyslipidemia. Recently, the diagnosis of fatty lever disease, based on ultrasonographic findings, has increased. Therefore,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NAFLD and various metabolic disease, such as obesity, glucose intolerance, dyslipidemia, and hypertension or metabolic syndrome, and tried to find out whether NAFLD was independently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Methods: From April to June 2000, 262 subjects, attending for routine physical check-ups, were screened. Of these, 115 one hundred fifteen subjects were studied, with the other 147 excluded due to significant alcohol consumption, evidence of viral or toxic hepatits, significant liver or renal dysfunction, and overt thyroid disease. Fatty lever was diagnosed if the subject had a 'bright' liver on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ll diagnoses were made by a singled experienced radiologist. Results: of the 115 subjects. 30(26%) showed NAFLD. 1.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body weight,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insulin levels, and HOMA IR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index) were higher in the subjects with NAFLD than in the controls. 2.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age, sex, BMI, waist to hip ratio, fasting serum, glucose, lipids and insulin levels, HOMA IR, and hypertension showed that BMI, total cholesterol and HOMA IR were independently related with NAFLD. 3. 27% of the subjects with NAFLD showed metabolic syndrome, and 53% of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had NAFLD. 4.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had more than two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as three times higher in the subjects with NAFLD compared to the contro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FLD may be independently related with insulin resistance. Metabolic diseases, such as glucose intolerance, obesity, dyslipidemia and hypertension, were more prevalent in the subjects with NAFLD than in the controls. Therefore, we should try to assess the status of the metabolic disease, and treat them in patients with NAFLD (J Kor Soc Endocrinol 17:526∼534, 2002).

      • 반대측 비기능성 선종을 동반한 기능성 부신 선종에 의한 쿠싱 증후군 1예

        경선영,한혜숙,윤효중,황용하,서찬종,정연실,김홍규,박혜영,김형식,이정남,하승연,강문호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2

        We report the case of a 43-year-old woman with Cushing‘s syndrome showing bilateral adrenococortical adenomas. We performed bilateral selective adrenal vein samplings. Hypersecretion of cortisol on the left sided adrenal tumor was observed, but no evidence of cortisol hypersecretion from the adrenal tumor on the right side was observed. The left adrenal tumor was resected selectively, but the right adrenal gland was reserved. The left adrenal tumor was histologically diagnosed as a adrenal adenoma without any evidence of nodular hyperplasia. Following the resection of the left adrenal gland, no cortisol hypersecretion from the remaining adrenal tumor on the right side was observed until now, suggesting that a selective adrenalectomy of functioning adenoma may be an acceptable treatment modality

      • KCI우수등재

        성인에서 비만에 대한 자가 평가

        황재경,김홍규,공희상,윤효중,황용하,이기영,정연실,이성광,박혜영,김갑환,최원철,강문호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4

        연구배경 : 일반인들의 비만에 대한 자가평가는 객관적인 기준에 의하기보다는 주관적인 것으로, 이는 체중조절에 대한 부적절한 노력을 이끌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항으로 비만에 대한 자가평가와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정의한 객관적인 비만도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고, 비만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사회환경적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가천의대 길병원의 건강증진 센터에 내원하여, 건강검진을 받은 561명 (남 341 : 여 220) 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지수 20미만, 20 ~ 24.9, 25 ~ 29.9, 30이상 (kg/㎡)에 따라 네 군으로 분류하였고, 설문조사 상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인식 (마른 편, 적당, 비만, 매우비만)과의 일치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 대상자의 연령은 37±13세, 남녀 비는 1.5:1, 체질량지수는 22.7±3.2 kg/㎡, 복부-둔부 둘레비는 0.85±0.07이었다. 체질량지수 (20미만, 20 ~ 24.9, 25 ~29.9. 30이상 (kg/㎡))를 기준으로 한 경우와 자가평가 (마른편, 적당, 비만, 매우 비만)에 대한 일치도는 각각 56%, 52%, 49% 그리고 89% (kappa=0.26)이었다. 그리고 , 체질량수 25 kg/㎡ 이상인 비만인 남성의 44%가 자신을 비만하지 않다고 평가하고 있었으며, 체질량지수 25 kg/㎡ 미만인 여성의 43%가 자신을 비만하다고 인식하였다. 비만에 대한 자가 평가가 적절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 사이에 연령, 교육 수준, 거주지역 등에 의미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우리 나라 성인에서 객관적인 비만도와 일반인의 자가 평가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성의 경우에는 자신의 비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고, 여성의 경우에는 비만하지 않은 경우에도 자신을 비만하다고 과평가하는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일반인들을 객관적으로 비만 기준으로 정확히 평가하고, 올바른 신체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Obesity has become a matter of great public concern in Korea with its increasing prevalence in recent years. People should properly recognize themselves whether to be obese or not before seeking medical attention. However self assessment of obesity may be erroneously subjective and misleading.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discrepancy between self-assessment of obesity and obesity defined by BMI in Korean adults. Materials And Methods : Five hundred sixty one adult subjects (341 men and 220 women) who took a routine health examination in Gachon Health Cent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health examination and a questionnaire including self-assessment of obesity categorized as underweight, normal, obese and severely obese. Body mass index (BMI) ≥ 25 kg/㎡ is defined as obese, BMI ≥ 30 kg/㎡ as very obese and BMI <20 kg/㎡ as underweight. Results : The age of the subjects was 37±13 years, male to female ratio 1.5:1, the BMI 22.7±3.2 kg/㎡, and the WHR 0.85±0.07. The concordance rates between self-assessment of obesity and obesity defined by BMI were 56%, 52%, 49% and 89% (kappa=0.26) respectively in underweight, normal, obese and very obese. 44% of men with obesity (BMI ≥25 kg/㎡) assessed themselves to be non-obese, whereas 43% of non-obese women (BMI ≥25 kg/㎡) assessed themselves to be obes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level, and residential area between the groups who correctly assessed their obesity and did not. Conclusions : There were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self-assessment of obesity and obesity defined by BMI in Korean adults. Significant proportion of men with obesity underestimated their obesity, while significant proportion of non-obese women overestimated their fat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ublic education be required to provide the proper definition of obesity and avoid the misleading in its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