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현병 환자와 양극성장애 환자 및 발병하지 않은 두 환자군의 일차친족에서 인지조절결함의 비교

        윤혜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Cognitive control is an adaptive action in a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required the ability to maintain intentions and goals over time and to flexibly switch between these goals in response to significant chang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the profiles of cognitive control deficits and possible candidates as endophenotypes of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Methods : Five group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mitt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n=42), patients in euthymic states of bipolar I disorder(n=37), unaffected first-degree relatives of proband with schizophrenia(n=35), those with bipolar I disorder(n=29), and healthy controls(n=38) who were matched on age, sex, years of education. A version of the AX-CPT paradigm was used to examine cognitive control. Psychopathology, intelligence, and psychomotor speed were also assessed. Results : Both patient groups performed worse in BX trial than the other group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lso showed higher mean error rates in AX trial and delayed response in all CPT trials than the rest. However, first-degree relatives of both probands did not showed deficits for the accuracy and response time in all trial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 control is impaired in schizophrenia and bipolar I disorder with poorer ability of schizophrenia, and the impairments in cognitive control seems less likely to be a possible endophenotype shared both disorders.

      • 기독교신앙 유무에 따른 부모역할 책임의식 및 만족도 비교 결과의 부모교육적 함의

        윤혜림 고신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a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 roles of parents and their satisfa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hristian faith.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n respect to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 roles of parents, Christians would be higher i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han non-Christians. 2. In respect to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parental roles, Christians would be higher in satisfaction than non-Christians. 3. In respect to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 roles of parent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age, education, job, income), Christians would be higher i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han non-Christians. 4. In respect to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parental roles, according to the par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 job, income), Christians would be higher in satisfaction level than non-Christians. 5. There would be correlations betwee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 parental rol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methodology of research is literature study in order to map out the theoretical researches, and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 parents by utilizing measuring tools o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 parental rol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used as research tools the “Measurement of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 roles of parents” of BANG, Eun Ryung(1986) and “Measuremen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roles of parents” of HYUN On Gang ·JO Bok Hee(1994). Before this research bega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testing tools and the timing of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s, this researcher offered a pre-investigation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10 parents who have infants in their ages between 4, 5 and 6 so that they can answer them in two days from July 30 until July 31, 201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Geum Jeong Gu, Busan, South Korea for the 250 parents who have utilized the Children’s Houses, Kindergartens, and Church Toddlers group.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home by their children in their 4, 5, and 6 years olds. They were given 30 day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o us by their children. The collected response was 220 questionnaires. Among them were 115 Christian families and 105 non-Christian families. But in order to have a fair comparison, we chose systematic random sampling in the number of 100. The total period of collecting data was Aug. 1–Aug. 30, 2012. Although the collecting period varies depending on churches, children’s home and kindergartens, it was overall within 1 week, and those that were collected later than 1 week were not included in the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PC(win 10.0) program. First, in order to measu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produced frequency and percentage. Secondly, we launched factorial analysis toward the target of measuring tools and determined sub factors.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was provided to suggest the measure of agreement by calculating Cronbach’s α coefficient. This researcher compare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f the first adapter, BANG Eun Ryung(1986)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by HYUN On Gang·JO Bok Hee(1994). Thirdly, in order to find out the gap between the level of Christian family parents and non-Christian family parents with regard to the collected data on the sense of parental responsibility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in order to do a t-testing by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total sampling, we produced 13 sub factors of the sense of parental responsibility and 5 levels of satisfaction and compared them. Furthermore, in order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the sense of parental responsibility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e calculate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toward the entire object(N=200) of Christian parents and non-Christian parents. The level of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group differences was by the 5%, 1%, and 0.1% standard. We suggest as data t points according to groups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probability P. The result we collected through the above mentioned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sense of parental responsibility between the Christians and the non-Christians. In regard to the sense of parental responsibility, overall Christians have higher sense of responsibility than the non-Christians. In regard to the sense of responsibility between sexes, Christian fathers were higher than non-Christians i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but the Christians mothers show no difference in comparison to the non-Christians mothers in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Secondly, there was a gap in the level of parental roles between Christian parents and non-Christian parents. In the level of parental roles, Christian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non-Christians. In regar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sexes, men’s level was higher than women’s. Among men, Christians men’s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Thirdly, in regard to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f parental role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ristian parents and non-Christian parents according to the parent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is, age, education, jobs, and income. Fourthly, with regar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arental roles, there was meaningful gap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ccording to the parent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is, age, education, jobs, and income. Fifthly,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there is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f parental rol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current implications that have been demonstrated out of t

      • 스마트 웨어 개발에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연구 : 라이프 스타일 스마트 의류 사례를 중심으로

        윤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21th century world is experiencing global warming and frequent abnormal climate phenomena due to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hese climate issues influenced the fashion industry as well. Up to date functional and convenient smart wears are receiving the spotlight as more people get to enjoy leisure with improved quality of life. The mainstream of future fashion industry is expected to be related with smart wear. This research approaches the smart wear as casual brands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design strategies through analysis of function and tendency of smart wear and studies of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body condition, external environment, and convenience. Overall smart wear cases are classified by types and tendencies with categories such as ‘measurement and regulation of body and health information’, ‘perception and no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regula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ment of biometrics’, ‘environmental control and block’, ‘providing location’,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hile classification by use contains categories including daily life, entertainment, network, health management support, and special environment.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resent trends of smart wear and analyzes the esthetic level of the smart wear by classifying into three tool cases; fiber, fiber+device, and device. The research have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means of the smart wear. The result showed that smart wear started from a functional fiber but smart wears was grafted with devices, eventually increasing the dependence on the IT which leads to increased dependence on devices. The development of smart wear for daily lives did not stand out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smart wear for entertainment, network, and medical smart wear development; This point was grafted to the casual smart wear to suggest overall design strategy for each category. The elements of smart wear is applied to functional clothes of Giordano, the casual brand representing middle and low priced clothes in Korea, to suggest a group of smart wear which was not attempted in the middle and low priced market in Korea. Smart wear elements are added to the existing functional clothes such as Wrinkle-free or Easy-care to suggest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followed by communication pla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where the market is being saturated, developing new product is important but newly combining existing ideas to let customers feel fresh and new is also important.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caused overflow of smart wear with various devices but most of the development involves sports outdoor brands because of low price competitiveness and aesthetic appreciation. In these environments, the plan for life style smart wears necessary for daily life will produce fresh product family with high growth potential in the casual brands which had no close relation with smart wear. This study aimed to suggest design and communication direction of smart wears to the middle and low priced casual such as Giordano, the study suggested designs with various ideas and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suggested ideas such as reasonable price and setting of specific target age groups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ther than smart wear.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life style smart wears through applying the smart wear into casual markets where smart wears originally focused exclusively on the sport outdoor markets. 21세기는 산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지구 온난화를 겪고 있고 이상 기후 현상 또한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기후 문제는 패션 산업에도 영향을 주었다. 최근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한 여가 활동을 즐기는 사람이 증가함에 따라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기능적, 편의성의 스마트 웨어가 각광받고 있다. 미래의 주류 패션산업은 스마트 웨어의 대중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인체 상태, 외부 환경, 편의성에 초점을 둔 스마트 웨어의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스마트 웨어의 경향과 기능 및 방법 분석을 통해, 향후 스포츠 아웃도어에 국한되어 개발 되었던 스마트 웨어를 캐주얼 브랜드에서의 적용으로 접근해 디자인 전략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전반적인 스마트 웨어 사례는 유형별, 동향별로 ‘인체·건강정보 측정 및 조절’, ‘환경감지·알림’, ‘체온·습도 조절’, ‘생체정보 측정’, ‘환경·위치 감지 및 조절’, ‘생체정보 측정’, ‘환경제어·차단’, ‘위치정보 제공’,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interactive communication)’ 등으로 나뉘고, 용도별 유형으로는 일상생활용, 엔터테인먼트용, 네트워크용, 건강관리지원용, 환경특수용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웨어의 도구로서의 분류로 섬유, 섬유+디바이스, 디바이스 세 가지로 나누어 심미성 정도를 분석하고 현재 스마트 웨어의 개발 동향을 살펴본다. 스마트 웨어의 기능과 방법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1차원적인 기능성 섬유에서 시작해 점차 디바이스가 접목된 스마트 웨어가 개발되고 점차 IT의 의존도가 높아져 섬유 자체의 기능보다는 디바이스의 의존도가 높아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일상생활용의 개발이 엔터테인먼트나 네트워크, 의료용의 스마트 웨어보다 개발이 부각되지 않은 점을 확인하고, 이 점을 캐주얼 스마트 웨어에 접목하여 전반적인 범주별 디자인 전략을 제안한다. 국내의 대표적인 중저가 캐주얼 브랜드인 지오다노의 기능성 의류에 스마트 웨어의 요소를 적용시켜 국내 중저가 캐주얼 시장에서는 잘 시도되지 않았던 스마트 웨어의 그룹을 제안한다다. 사실 이미 지오다노에서 개발되어 있는 링클프리나 이지케어등의 기능성 의류를 기반으로 스마트적 요소를 가미하여 스마트 웨어의 복종별 전개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따른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제안한다.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는 현대 패션산업에서는 새로운 상품을 생산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아이디어를 새롭게 조합 및 접목시켜 고객에게 신선함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디바이스를 접목시킨 스마트 웨어는 실로 넘쳐나지만 가격경쟁력 및 심미성이 떨어지는 요인들 탓에 고가에도 수요가 많은 스포츠, 아웃도어 브랜드에서의 개발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환경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라이프 스타일용 스마트 웨어 제안은 스마트 웨어와는 거리가 있던 캐주얼 영역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선한 제품군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지오다노와 같은 중저가 캐주얼 브랜드의 스마트 웨어 디자인 및 커뮤니케이션 제안에 관한 연구로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목시킨 디자인 및 그에 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시하고, 향후 스마트 웨어의 기획 시, 합리적인 가격 및 타겟 연령층의 구체적인 설정으로 앞서 제시한 스마트 웨어 외에도 더욱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가능함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스포츠 아웃도어가 주요 개발 시장이었던 스마트 웨어가 캐주얼시장에서도 적용되어 라이프 스타일 스마트 웨어 개발의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 중학교 미술과 실기 평가법 연구 : 표현 영역을 중심으로

        윤혜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에서 미적체험, 표현, 감상 영역으로 이루어진 내용 중 실제 수업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표현 영역의 실기 평가법을 본 연구자의 현장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인 평가법을 계획하고 적용하여 문제점을 모색한 후 바람직한 대안책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행 미술교육과정에서의 수행평가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시되고, 새로운 해결 방안이 대두되고 있긴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원활하게 실행시키는 데는 여러 가지 괴리 현상을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의 미술과 수행평가는 활동과정보다는 활동 결과로 만들어진 완성된 결과물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대체적인 현상이다. 이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행 이루어지고 있는 수행평가의 현황을 교사와 학생들에게 직접 설문한 결과 표현 영역의 실기 평가법의 새로운 방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표현 영역의 실기 평가법으로 수행평가 적용 범위와 방법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실기 평가를 위해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기초로 ‘채점기준’의 활용 방법을 마련하였다. 또한 교육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자가 근무하는 중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1년 6개월간 연구 수업을 하면서 교사나 학부모, 학생들이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는 실기 평가법의 개선에 주력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 3장에서는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학생들이 표현한 작품을 객관적이고 신뢰성있는 실기 평가가 될 수 있도록 실기 평가법을 계획하였다. 또한 실기 평가법 적용을 위해 표현 영역의 학습지도안을 작성하고 실행한 후 계획한 실기 평가법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 동안 미술과의 수행평가에 대한 학부모나 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신뢰성이나 객관성 외의 새로운 문제점이 드러났다. 물론 여러 가지 크고 작은 문제점이 도출되긴 하였지만 대체적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시간의 부족, 둘째, 구체적인 평가 기준 미흡, 셋째, 교사의 평가에 대한 전문성 부족, 넷째, 실기 평가법에 대한 전문적 지식 부족, 다섯째, 평가 결과에 대한 교사의 부담감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은 비단 교사의 문제점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정책적 차원에서 늘 지적되는 미술 평가법에 대한 해결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거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국가 정책적 측면에서 미술 평가법의 문제점이 보완되면 그 후 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면 더욱 효과적인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결과 표현 영역의 실기 평가법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도된 평가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셋째,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넷째, 평가 시간의 확보 및 수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현 시점에서 미술과의 실기 평가법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닌 것도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전문성에 근거한 다양한 실기 평가법 개선을 위한 노력과 연구가 수반된다면, 잘못된 미술 평가로 인한 학생들의 표현 능력이 저하되거나 흥미를 상실하는 현실적인 문제점들이 많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nd apply a practical evaluation method for the expression section of middle school art based this researcher's own experiences in an attempt to seek an ideal alternative to current practical evaluatio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consists of three different sections: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nd the focus of the study was placed on the expression section. There appear various problems with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current art curriculum, and new solutions are presented to remedy the situation. But the solutions aren't practical enough to resolve the problems, and a pervasive trend in performance assessment of art is that just works made by students are assessed instead of the proces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n teachers and students to find out the real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it was possible to create a new practical evaluation method for the expression section. The scope and method of performance assessment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xpression section, and how to utilize scoring criteria was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achievement standard and assessment standard.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scoring criteria, experimental teaching was provided for one year and six months to students at the middle school where this researcher worked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 evaluation methods with which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ought there was something wrong. Chapter 3 mapped out an objective and reliable practical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After a lesson plan was prepared, the students receive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plan, and then they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e practical evaluation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re were more problems with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art other than reliability or objectivity: time constraints, a lack of concrete assessment criteria, poor professionalism of teachers related to evaluation, and a shortage of professional knowledge on practical evaluation. Another problem was that teachers faced pressure in conjunction with the results of performance assessment. It seems that those problems cannot be handled by teachers only. Successful solutions should be provided at a national level to improve art evaluation methods that come into question all the time, and sustained efforts should be made to iron out the problems. The government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making up for the shortcoming of current art evaluation methods, and every school should try to come up with efficient ideas as well. The efforts by the government and each school will make it possible to take the efficiency of art evaluation to another level. In this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the ways to improve practical test methods in the expression section: First, intentional assessment plans should be laid out. Second, objective assessment criteria should be prepared. Third, the reliability of assessment results should be guaranteed. Fourth, sufficient time for assessment should be secured, and teaching environments should be improved.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various problems with the application of practical evaluation in art class, and prolong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improving practical evaluation methods. That will make it possible to correct improper art evaluation that results in deteriorating the expression skills of students or demotivating them.

      • 서울시 개발밀도 영향요소의 변화에 관한 연구

        윤혜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울시의 개발밀도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과 ‘서울시 도시계획조례’에 근거한 ‘용도지역제’에 의해 건폐율과 용적률이 정해지고 있다. 2000년 7월 ‘도시계획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시행이 의무화되면서 일반주거지역은 제1~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세분화 되었고, 세분화된 용도지역에 따라 건폐율과 용적률이 하향 조정되었다. 이 외에 지역특성과 여건에 따라 개발밀도를 세밀하게 조정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등의 예외적 수단도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들이 실제로는 종상향, 규제완화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어 단순히 지가나 용적률을 상승시키고 있다. 즉, 시대적 상황, 제도변화에 따라 개발밀도 관련 제도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서울시의 개발밀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문제들은 지속가능한 도시 관리 측면에서 가용 토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역특성, 여건에 따라 개발밀도를 차별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개발밀도 영향요소 및 시대적 상황 및 제도변화에 따른 개발밀도 영향요소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행정동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2년, 2011년이다. 연구의 방법은 개발밀도 관련제도 및 제도의 변화를 파악하고, 현황용적률, 용도지역의 변화양상을 파악한다. 그 다음으로 개발밀도와 영향관계를 가질 것이라 판단되는 요소를 파악하여 변수를 설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에 활용된 308개 행정동의 현황용적률은 2002년 평균 152.09%에서 2011년 170.48%로 약 18% 증가하였다. 2002년과 비교해 2011년의 전용주거지역, 제1종일반주거지역, 제2종일반주거지역 비율은 감소한 반면, 제3종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일반상업지역, 근린상업지역, 중심상업지역, 유통상업지역 비율은 증가하였다. 한편 주택재개발사업 비율은 약 4.3% 증가하였다. 이는 2002년~2011년 동안 지구단위계획, 정비사업 등으로 인한 종상향이 있었으며, 용도지역 변경이 현황용적률에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낸다. 둘째, 2002년과 2011년에 현황용적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미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2년과 2011년 두 시점 모두에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난 요소는 제1종일반주거지역 비율, 제3종일반주거지역 비율, 일반상업지역 비율, 도로율, 구릉지 비율, 역사특성지역 비율, 수변축 비율, 인구, 공시지가, 유입통행량으로 나타났다. 반면 준주거지역 비율과 사업체수는 2002년에만, 중심상업지역 비율은 2011년에만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시대적 상황 및 제도변화와 관계없이 대부분의 요소들이 도시계획적 규제인 용도지역의 법적상한용적률에 의해 통제되고 있으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용도지역제’는 개발밀도를 결정짓는 절대적 수단임을 다시 한 번 증명해 준다. 또한 시대적 상황 혹은 정책적 목표에 의해 변화되는 용도지역의 지정면적, 건축허가 건수, 사업체의 입지 변화 등도 개발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 연구는 시대적 상황 및 제도변화에 따라 개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변화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상악동과 주위구조의 해부학 및 방사선학적 평가

        윤혜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상악동의 안쪽벽과 볼쪽 이틀뼈에 의해 둘러싸인 아래벽은 치과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상악동의 형태학적 기술과 상악동 아래벽과 상악 치아뿌리와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는 상악동의 질환을 처치하거나 상악 치아의 외과적 처치, 인공치아이식 등의 임상적 시술에 앞서 필요한 중요한 진단 과정이다. 따라서 상악동 아래벽에 상악 치아의 뿌리끝이 얼마나 가까이 위치하는 가와상악동 아래벽의 치밀뼈판 두께를 확인하는 것은 시술에 앞서 필요한 중요한 진단과정이 될 뿐 아니라 치아에서 기원한 질환이 상악동 속으로 쉽게 퍼질수 있는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보이기도 한다. 이에 저자는 1) 상악동 특히, 아래벽의 형태학적, 임상적인 특징을 구명하고, 2) 상악동 아래벽과 상악 치아뿌리와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3) 상악동의 DentaScan 재구성 영상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33쪽 (남자 19, 여자 14)의 한국인 시신의 상악을 대상으로 구내 방사선촬영장치와 CT HiSpeed Advantage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이중 체축면 단면영상은 V- worksTM 3.0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여 상악골과 상악동의 3차원 영상을 만들었다. DentaScan 영상과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상악동의 형태, 경계, 그리고 크기의 형태계측과 상악 치아와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22쪽의 한국인 시신 상악골의 절단표본을 제작하여 영상분석기 (Image - Pro Plus, Ver.4.0, Media Cybernetics, U.S.A) 상에서 상악 치아뿌리끝과 상악동 아래벽 사이의 최단거리, 상악동 아래벽 치밀뼈판의 두께, 볼쪽과 입천장쪽 이틀뼈 치밀뼈판에서 치아뿌리까지의 거리 등 모두 21개 항목을 계측하고, 계측값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실제 절단표본을 구내 방사선사진과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한 DentaScan 재구성영상과 비교하여 각 촬영방법에 따른 방사선사진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확인하 고자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악동을 가쪽에서 관찰한 전체적인 형태와 상악동 아래벽의 모양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한 결과, 상악동의 아래벽이 편평한 유형 (18예, 54.5%)과 아래벽이 둥근 유형 (7예, 21.2%)이 가장 많았다. 상악동의 앞경계는 상악 제1소구치 부위에 위치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14예, 58.4%), 다른 경우는 견치 (8예,33.3%)와 제2소구치 (2예, 8.3%) 부위에 위치하였다. 상악동의 뒤경계는 대부분 사랑니 부위와 사랑니 뒤쪽까지 뻗어 있었고 (31예, 93.9%), 제2대구치 부위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었다 (2예, 6.1%). 2. 3차원 재구성 영상에서 상악동의 계측을 시행한 결과, 상악동의 최대앞뒤길이는 39.3mm (남자: 40.7mm, 여자: 37.4mm), 최대높이는 37.1mm (남자: 39.4mm, 여자: 34.0mm) 였고, 상악동의 최대너비는 32.6mm (남자: 35.3mm, 여자 28.9mm )로 모든 계측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큰 경향이었다. 상악동의 부피는 평균 15.1ml로서 남자는 18.0ml, 여자는 11.1ml로 남자가 더 컸다. 3. 상악 제1소구치에서 볼쪽 치아뿌리 및 입천장쪽 치아뿌리끝에서 상악동 아래벽까지 거리의 평균 수치는 각각 5.72mm, 6.27mm이었으며, 상악 제2소구치의경우, 치아뿌리에서 동굴아래벽까지의 거리는 평균 4.82mm였다. 상악 제1대구치에서 안쪽볼쪽 치아뿌리, 가쪽볼쪽 치아뿌리 그리고 입천장쪽 치아뿌리끝에서 상악동 아래벽까지의 평균 거리는 각각 3.01mm, 3.53mm, 3.87 mm였고, 상악 제2대 구치에서 안쪽볼쪽 치아뿌리, 먼쪽볼쪽 치아뿌리 그리고 입천장쪽 치아뿌리끝에서 상악동 아래벽까지의 평균 거리는 각각 2.82mm, 2.74mm, 3.40mm였다. 4. 상악동 아래벽의 치밀뼈판의 두께를 계측한 결과, 볼쪽 및 입천장쪽 치아뿌리 부위에서 상악 제1소구치 부위에서 상악동 아래벽 치밀뼈판의 두께가 가장 얇았고, 제2소구치 치아뿌리 부위에서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경향을 보였으며, 뒤쪽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부위로 갈수록 상악동 아래벽 치밀뼈판의 두께는 다시 얇아지는 양상이었다. 5. 절단표본에서 상악 대구치의 뿌리끝과 상악동 아래벽 사이의 수직적인 위치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악 제1대구치 중 볼쪽과 입천장쪽 치아뿌리끝을 연결한 선보다 상악동 아래벽이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 (Type I )가 12예 (54.5%)로 가장 많았으며, 상악 제2대구치 부위에서도 볼쪽과 입천장쪽 치아뿌리끝을 연결한 선보다 상악동 아래벽이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 (Type I )가 11예 (52.4%)로 가장 많았다. 6. 절단 표본에서 상악 대구치의 뿌리끝과 상악동 아래벽 사이의 수평적인 위치관계는 3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상악 제1대구치 부위에서 상악동의 가장 아래부분이 볼쪽 치아뿌리와 입천장쪽 치아뿌리 각각의 연장선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Type 2)가 8예 (80%) 있었으며, 상악 제2대구치 부위에서도 상악동의 Type 2인 경우가 8예 (80%)로 대부분이었다. 7. 상악 소구치와 대구치 부위의 구내 방사선사진, DentaScan 재구성 영상에서 각각 3가지의 염증성 병변의 상태와 각 치아뿌리끝과 상악동 아래벽과의 수직 거리에 따른 관계를 실제 절단표본과 비교하여 평가,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서 상악의 염증성 병변과 주위구조와의 관계를 잘 나타내는 정확도는 DentaScan 재구성 영상이 구내 방사선사진에 비해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된 한국인의 상악동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큰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상악동 및 주위구조와의 형태계측을 통해 임상에서 유용한 계측치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실제 표본을 구내 방사선사진 및 DentaScan 재구성 영상과 비교한 결과, 모든 치아 및 치아주위 구조들간의 병변과 구조적인 형태를 DentaScan 재구성 영상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어, 다양한 치과임상 분야에 걸친 DentaScan 재구성 영상의 적극적인 활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The anatomical descrip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inferior wall of sinus are critical in diagnoses and surgeries of the sinus pathoses, and in dental implantation. So, identification of the proximity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inferior wall of sinus and the clarification of cortical thickness of inferior wall of sinus are indicated the topography of spreading dental infection into the maxillary sinus. Therefore, anatomical knowledge of the topography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inferior wall maxillary sinus are important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the dental implantation, endodontic procedures, and orthodontic treatmen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larify the morph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xillary sinus, especially the inferior wall of sinus in Korean, 2)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erior wall of maxillary sinus and the roots of maxillary teeth, and 3) to evaluate the degree of accuracy of DentaScan reformatted images of the maxillary sinus. 33 sides of maxillae of the hemi-sectioned Korean heads were used in this study. Periapical radiographs, computed tomography and DentaScan reformatted cross-sectional images were taken for the radiographic evaluation of the maxillary teeth and inferior wall of maxillary sinus. From the CT images, 3-dimentional reconstructive images of maxillary sinuses were made using the V-works^(TM) 3.0 program. All specimens were decalcificated and then were sectioned coronally. On the sectioned specimen, 21 metric items were measured using the image analyzing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6 categories of maxillary sinus according to their lateral aspects and shapes of the inferior walls, flat (54.5%) and round (21.2%) inferior wall of maxillary sinus were prominent. In 58.4%, the anterior limit of maxillary sinus was located in the 1st premolar area and the posterior limit was in the 3rd molar and maxillary tuberosity area (93.9%). The lowest level of the maxillary sinus was in the 1st molar and 2nd molar area. 2. From the 3-dimensional reconstructive images of maxillary sinus, the maximum A-P length of sinus was 39.3±4.2mm, the maximum height was 37.1 ±5.6mm, and the maximum width was 32.6±6.5mm. And the average volume of sinus was 15.1±6.2ml. All measurement s were larger in male than female. 3. The distance between the each root apex and the inferior wall of maxillary sinus was the shortest in the 2nd molar area and the longest in the 1st premolar area. 4.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plate of the inferior wall of maxillary sinus was thinnest in the 1st premolar area, whereas, the thickest in the 2nd premolar area. 5.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ferior wall and the roots of the maxillary molars was classified into 5 types. T ype I (the inferior wall of sinus was located above the level connecting the buccal and lingual root apices) was predominant (54.5% in the 1st molar area, 52.4% in the 2nd molar area). 6.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ferior wall of sinus and root apex were cla ssified into 3 types. Type 2 (the alveolar recess of the inferior wall of sinus wa s located between the buccal and lingual roots) was predominant (80% in the 1st and 2nd molar area). 7. Compared the degree of accuracy and findings of dental and periapical pathoses on the intraoral radiographs and DentaScan reformatted images with the cross-sectioned specimens, the DentaScan reformatted cross-sectional images were more accurate and more effective than the intraoral radiography with a viewpoint of the detection of dental and periapical pathoses. Summarizing all these result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ll the measurements of maxillary sinus were larger in males than females. Also morphological mea surements of maxillary sinus and surrounding structures have provided the useful measurement data in clinical procedures. Comparing the results of specimens with intraoral radiographies and DentaScan reformatted images, the dental and periodontal pathoses and topographical structures were more clearly observed in the DentaScan reformatted images, providing the possibility of more applications of reformatted images to clinical dentistry.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도에 따른 동적학교생활화(KSD) 반응특성 연구

        윤혜림 서울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도에 따른 동적학교생활화(KSD)의 반응특성을 살펴보고, 아동의 학교적응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써 KSD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D초등학교 6학년 재학생 남녀 183명에게 자아탄력성 척도와 KSD 그림검사를 시행하였고, 각 학급의 담임교사에게 아동의 학교적응도 척도를 측정하게 하였다. 이후,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상·하위 각각 25%에 해당하는 아동 83명을 추출하였고, 교사 평가에 의한 학교적응도 상·하위 각각 25%에 해당하는 아동 86명을 추출하여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 검증(Cronbach's α),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s test 실시한 후, KSD 반응특성과 자아탄력성, 학교적응도 3가지 변인의 상관관계를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의 출생순위, 학급만족도에 따른 KSD의 반응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별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부정적 정서를 그림에 더 많이 투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의 ‘회복능력’, ‘대인관계’, ‘스트레스 대처’, ‘인지능력’과 학교적응도의 ‘학습태도 및 학업능력’, ‘교우관계’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공격·적대적 행동’, ‘불안·우울 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아탄력성 또는 학교적응도가 높은 아동일수록 KSD 그림에서 ‘창조성’, ‘행복감’에 긍정적 정서를 높게 표현한 반면, ‘상처받음’, ‘정서적 거리(나-교사/교우)’, ‘긴장·불안’, ‘역할전환(나-교사/교우)’, ‘이상함’, ‘포괄적 병리’ 등의 부정적 표현은 줄어들었다. 셋째,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회복능력’, ‘대인관계’, ‘스트레스 대처’, ‘인지능력’과 학교적응도의 하위변인인 ‘학습태도 및 학업능력’, ‘교우관계’는 KSD 반응특성 중 긍정적 요소인 ‘창조성’, ‘행복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학교적응도의 하위변인인 ‘공격·적대적 행동’, ‘불안·우울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KSD 투사적 그림 검사가 언어적 보고나 자기보고식 설문 검사에 준하는 수준의 객관적인 검사 도구로써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go-resilience and reaction characteristics of Kinetic School Drawing (KSD) which are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KSD as a measurement of predict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183 boys and girls in 6th grade in D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Subjects performed the ego-resilience scale and KSD test, and the classroom teacher in each class responded to the school adjustment scale for each subject. According to the level of ego-resilience, 83 children of 25% of top and bottom were extracted, and 86 children of 25% of top and bottom of school adjustment level by teacher evaluation were selected. After the reliability test (Cronbach's α) of each scal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three variables of reaction characteristics of KSD,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For th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KSD according to the child's birth order and class satisfaction. However, in gender, boys showed more negative emotions in their drawings than girls. In addition, while 'recovery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coping' and 'cognitive ability' of ego-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bility' and 'friendship' of school adjustment,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on‧hostile behavior’ and ‘anxiety‧depressive behavior’. Second, while children with high ego-resilience or high school adjustment expressed positive emotions of 'creativity' and 'happiness' in the KSD, less expressed 'wounded', 'emotional distance (Me-Teacher/Me-Peers)', ‘tension‧anxiety', ’role-switching (Me-Teacher/Me-Peers), ‘strangeness’, and ‘comprehensive pathology’. Third, the sub factors of ego-resilience, 'recovery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coping', and 'cognitive ability' and the sub factors of school adjustment,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bility' and 'friendshi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reativity' and 'happiness', which are positive factors of KSD,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on‧hostile Behavior' and ‘anxiety‧depressive behavior’ which are sub factors of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verified the usefulness and utility of the KSD test as a projective drawing test tool to predict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