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참자기와 친밀감 형성의 관련성 연구 : 참 자기의 발달과정을 중심으로

        윤지애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Basing on Masterson, Winnicott and Mahler's concept of ‘true self’ and ‘self’ development process, this thesis studies how true self and true self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formed in the early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ve the correlation and th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intimacy, which experienced in healthy human relationship. A sense of intimacy is not only the element to provide the happiness of life but also the means to overcome existential loneliness of human who build various interpersonal relations for the entire life and can not live alone. Especially, in a modern society which changes dramatically and emphasizes individual values, 'a sense of intimacy', for which every people need and crave, is an important matter beyond a specific step of development or a specific objective. 'A sense of intimacy' is formed by unification into one when people express themselves and become closer and connected with others by knowing each other. Therefore,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is required to obtain a sense of intimacy. The ability is found in the ability of true self, which contend and activate oneself. Moreover, although people might be rejected or abandoned by others when they express themselves, they can express themselves due to the ability of 'true self' which firmly exist in the center of individual's identity. Another important aspect of formation of 'a sense of intimacy' is that 'a sense of intimacy' can not be defined only by a feeling of closeness and connection. Since the relation can be excessively dependent when the closeness and connection with others are too strong without 'self-existence' Therefore, to keep appropriate distance and clear boundaries with others, another ability of 'true self' are necessary to form 'a sense of intimacy'. Consequently, this thesis studies the concept of 'true self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rue self' and attempts to find the curative method for people who hav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heir failure in forming 'a sense of intimacy'. 'True self' is a potential with which individuals are born and it is developed by a mother's, an initial fosterer's proper and adequate caring. Winnicott remarks suitable mother and mother's care is the promotive environment that enables an infant to grow into independent existence. Masterson and Mahler also emphasize mothers' the way of caring and its existence. Therefore, mothers' understanding and proper care are very important at each steps of development until an individual develops his or her 'true self'. In the period in which 'true self' is developed, if mothers are in absence or fail to respond to an infant's expression of 'true self', an infant forms 'false self' that is dependent to a mother because a mother is an existence on which an infant rely absolutely. As a result, an infant keeps 'false self'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has difficulties in relations with the lack of 'a sense of intimacy'. In the steps of 'self' development, a mother's suitable care enables an infant to have a sense of reliance, perceiving the external world and objectives and searching them with curiosities and interests. It also develops infant's the capability to keep appropriate distance with others without the fear of being rejected and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whole human by considering both good characteristics and bad characteristics, settling the conflict between the desire to be independent and that to be dependent and developing 'true self'.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wounds caused by the absence of mother's proper care for a child influenc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formation of a sense of intimacy through a women called M's case and it also discusses the way to establish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o form a sense of intimacy.

      •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이론에 근거한 유희적 패션 백 디자인

        윤지애 창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하이패션 브랜드의 파격적이며 독창적 디자인이 밀레니얼 세대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패션은 인터넷 미디어에서 이슈가 되었고 특히,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전파되면서 글로벌 패션 트렌드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 하이패션 브랜드가 구축해온 패션의 전통과 관습을 파괴한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은 젊은 소비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충분했다.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재미있는 요소를 지닌 디자인은 색다른 미적 쾌감을 일으키게 되었다. 더 나아가 ‘유희적 놀이’로서의 패션 밈(fashion meme) 현상을 보이며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유희적 현상의 이론적 근거를 현대철학자 미하일 바흐친(Mikhil Bakhtin, 러시아, 1895∼1975)의 저서『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Rabelais and His World』(1968/2001)에 나타난 카니발이론(carnival theory)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유희적 패션 백을 디자인하고 실제 제작 제시함으로써 유희성이 패션디자인 창작과 발상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카니발 축제는 거꾸로 된 논리가 기존의 상식을 제압하고 모든 금기가 제거되는 저항정신을 담고 있다. 따라서 카니발이론은 문학의 범위를 뛰어넘어 현대사회에 나타난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근거로 제시되고 있기에 유희적 패션디자인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컬렉션 사례분석을 통한 작품기획과 제작의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유희성에 대한 미학적 정의를 고찰하고 현대 패션에 나타난 유희성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패션 백 개발의 토대가 되는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이론을 유희적 관점에서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미디어 기사 등을 고찰하였다. 사례분석 연구는 최근 유희적 패션으로 미디어를 통해 주목을 받는 패션 브랜드 구치(Gucci), 톰 브라운(Thom Browne), 베트멍(Vetements)의 컬렉션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넷에서 유희적 놀이로서 전파되는 패션 밈 현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로 카니발 이론을 적용하여 유희성을 표현한 패션 백을 기획하고 개발하였다. 패션에서 백은 다른 패션 아이템보다 독립된 조형성을 가지고 있어 카니발이론의 유희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적합하다고 보아 본연구의 디자인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유희적 패션 백 개발 개발의 전체 콘셉트는 ‘아티스틱 조크(Artistic Joke)’로 카니발적인 농담을 의미한다. 이러한 패션 백을 완성하기 위해 세 가지 테마로 ‘전복된 패션의 아이러니’, ‘숭고한 육체 하부의 향연’, ‘그로테스크한 언어의 쾌감’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른 여섯 종류의 패션 백을 제작하였다. ‘전복된 패션의 아이러니’에서는 루이뷔통 트위스트 백, 구치 트위스트 백, 버버리 트위스트 백을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안을 그린 후 이를 소가죽에 프린트하여 제작하였고 하이브랜드의 로고 패턴과 우리나라 쓰레기 종량제봉투와 결합해 위계에 대한 풍자를 나타내었다. ‘숭고한 육체 하부의 향연’의 위스퍼 백, 플라이 백은 여성 생리대를 모양을 차용하여 사회적 금기를 드러내어 유희적 향연을 표현했으며, ‘그로테스크한 언어의 쾌감’에서 츄 백은 인간의 치아를 확대한 형태로 언어에 의한 유희성의 그로테스크한 상징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흐친이 제시한 카니발 이론은 유쾌한 가상 세계에서 민중들은 억압으로부터 해방과 변화에 대한 열망을 갖게 됨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유희적 새로움은 과거의 부정이며 현실의 저항으로 대중들이 미적 주체성을 찾는 새로운 장치로 활용되었다. 둘째 현대 유희성의 개념은 개인의식과 매체의 발전으로 위계가 사라지고 소셜 미디어에서 이미지 파워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하이엔드 브랜드 패션에 나타난 유희는 인터넷 매체를 통하여 많은 사람에게 반응을 유도하는 일종의 가볍고 유치함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유희적 패션은 카니발 이론을 통해 당시 민중들의 현실 부정과 해방의 욕구를 읽어내는 것처럼 유희적 패션에서도 대중들의 시대정신을 읽어낼 수 있는 하나의 기호가 되었음을 말한다. 셋째 사람들의 상식을 깨는 반전에서 유치하고 가벼운 유희성은 다양한 콘셉트의 확대, 구조의 반전, 괴기한 감성 등으로 나타내며 웃음을 유발하는 하나의 디자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디자인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희적 요소가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서로를 연결해 주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표현의 한계를 넘어서 대중적 창의적 패션 디자인과 문화를 만들 수 있다는 사례를 제시하여 디자인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 Meal Time Shift Disturbs Circadian Rhythm with Metabolic and Behavioral Alterations in Mice

        윤지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odern society, growing numbers of people are engaged in various forms of shift works or trans-meridian travels. Such circadian misalignment is known to disturb endogenous diurnal rhythms, which may lead to harmful physiological consequences including metabolic syndrome, obesity, cancer, cardiovascular disorders, and gastric disorders as well as other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changes are yet unclear. The present work, therefore examined the effects of 6 h advance or delay of usual meal time on diurnal rhythmicities in home cage activity (HCA), body temperature (BT), blood metabolic markers, glucose homeostasis, and expression of genes that are involved in cholesterol homeostasis by feeding young adult male mice in a time-restrictive manner. Delay of meal time caused locomotive hyperactivity in a significant portion (42%) of subjects, while 6 h advance caused a torpor-like symptom during the late scotophase. Accordingly, daily rhythms of blood glucose and triglyceride were differentially affected by time-restrictive feeding regimen with concurrent metabolic alterations. Along with these physiological changes, time-restrictive feeding also influenced the circadian expression patterns of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LDLR) as well as most LDLR regulatory factors. Strikingly, chronic advance of meal time induced insulin resistance, while chronic delay significantly elevated blood glucose level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indicate that persistent shifts in usual meal time impact the diurnal rhythms of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s in addition to HCA and BT, thereby posing critical implications for the health and diseases of shift workers.

      • 어머니의 긍정심리자본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윤지애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기 자녀를 양육 중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긍정심리자본과 양육스트레스,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어머니의 긍정심리자본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긍정심리자본척도, 양육스트레스척도, 유아용 문제행동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여, 만 1.5세부터 만 6세 사이에 해당하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 중인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전국단위의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397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별 차이검증,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긍정심리자본은 어머니의 연령, 최종학력, 취업여부, 가구소득, 자녀의 수, 출생순위, 양육에 도움을 주는 대상 유무, 상담기관 이용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수, 출생순위, 상담기관 이용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자녀의 문제행동은 가구소득, 자녀의 연령, 성별, 수, 출생순위, 상담기관 이용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긍정심리자본은 양육스트레스, 자녀의 문제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문제행동은 정적(+)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긍정심리자본과 자녀의 문제행동 사이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arenting stress, and factors that affect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thers who raise pre-school children, as well as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impact of mothers’ psychological capital on their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For thi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parenting stress scale, and infant problem behavior scale we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questionnaire to conduct a nationwide investigation with 400 mothers raising infant child/children between 1.5 and 6 years of age; the final 397 copies were sele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the collected data,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in variables, and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mediator effec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summary of the main conclusion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mother’s age, final education, employment status, household income, number of children, birth order, the existence of a person to assist in nurturing, and counseling experience.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mother’s household income, age, gender, number, birth order, and counseling experience. Second, mot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with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verified to play a fully mediating role between 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소아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이용한 환자 분류 시 간호사의 인식 분석 : 현상기술학적 접근

        윤지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Triage is critical in an emergency department, where the priority of treatment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severity of illness to provide care for as many patients as possible using limited resources. This require a Triage and Acuity Scale with high reliability, while the competence of triage nurses is a crucial factor. Notably, in the case of pediatric patients,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in each phase of growth, communication ability, and onset of disease differentiate them from adults and pose challenges to primary triage, and for this, the nurses’ way of knowing in determining the triage nurses need to be investiga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rses’ way of knowing in KTAS-based triage of pediatric patients. Metho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Feb 23 to Mar 10, 2021, and the participants were 11 nurses with a KTAS certificate and experience of triage pediatric patients.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with each interview lasting 30– 40 mi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clusive procedures. Finding: The results consisted of two parts; nurses’ ways of knowing in assessment, and nurses’ ways of knowing on strategies regarding assessment based on the pediatric KTAS. Nurses’ ways of knowing on assessment the triage consisted of six categories,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quantified scale of abnormality”, “With a focus on structured criteria”, “Deviation from criteria accountable within the normal range”, “Match between quantified values and observed signs”, “Available resources in listed ERs”, and “Level of possible emergency”. Nurses’ ways of knowing on strategies regarding assessment the triage were shown to consist of five categories, as follows: “Classification based on objective principles”, “Composition of prediction frames”, “Priority of emergency diagram”, “Composition of collaboration networks”, and “Allocation of resources within the ER”.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nducted qualitative analyses based on phenomenography to the nurses’ ways of knowing in assessment, and nurses’ ways of knowing on strategies regarding assessment based on the pediatric KTA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etter KTAS training programs.

      • 초·중등 영어 교과서의 의사소통기능의 연계성 분석

        윤지애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ommunicative functions presented in the sixth grade English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E6) are appropriately reviewed and developed in the first grade English textbooks of middle school (M1) from the point of spiral approach.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are the functions presented in E6 rearranged and reviewed in M1? Second, are the functions appropriately introduced and gradual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spiral approach? Third, do the first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recognize the continuit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room instructions covering fun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42 functions presented in E6, only 2 functions are dropped in M1, and the number of new functions introduced in M1 is about twice. Second, among the 40 functions presented in both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middle school textbooks, only 9 functions are appropriately reviewed, but only 1 function was properly developed in language structure and meaning. Third, more than half of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ind that the functions are connectively present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 but about two thirds of students think that there is a gap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structions due to the different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ntinuity in functional syllabus design between E6 and M1 is weak in meaning and in structure seen from the spiral approach, and the continuity on teaching method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s also weak.

      •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이 건강정보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별 격차 :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윤지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성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에 따른 국내 성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차이를 확인, 국내 성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및 지역수준의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의 향상을 위한 정책 마련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질병관리청에서 실시한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결측을 제외한 213,634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지역사회 건강조사 내 문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항목을 재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 STATA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종 213,634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구두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은 대상자는 164,630명으로 80%, 구두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은 대상자는 49,004명으로 20%로 확인되었다. 서면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은 대상자는 137,679명으로 71.3%, 낮은 대상자는 40,814명으로 16.7%, 글로 된 건강정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서면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할 수 없는 대상자는 35,141명(12.0%)로 나타났다. 2. 구두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혼인상태, 경제활동, 월평균 가구소득, 기초생활 수급 여부, Covid-19 관련 일자리 변화, 교육수준, 자연환경, 안전수준, 의료서비스 여건, 지역사회 신뢰도, 지역사회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지역수준에서 구두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료서비스 여건이다. 서면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혼인상태, 월평균 가구소득, 기초생활 수급 여부, Covid-19와 관련된 일자리 변화, 교육수준, 자연환경, 안전수준,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여건, 지역사회 신뢰로 확인되었다. 지역수준에서 서면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본 연구의 변수 중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건강결정요인들을 확인하였으며, 건강정보이해능력의 향상을 위해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중 지역과 국가 단위의 지원이 필요한 요인들은 관련 정책을 마련하여 중재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윤지애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노인의 성공적인 자원봉사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노인복지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인복지관 이용 자격기준에 근거하여 대전광역시 6개 노인복지관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216부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인 배치적절성, 교육적절성, 자원봉사활동 참여정도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인정·보상체계, 대인관계 만족도,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 자원봉사에 대한 인정·보상체계가 좋을수록, 대인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이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자원봉사횔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인 특성에 맞는 인정·보상체계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대인관계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서적 지지 체계 구축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성취감 및 자아충족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 on the elderly's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volunteer work and to explore ways to implement the elderly welfare system that can promote the el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216 elderly citizens aged 60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were surveyed at six senior welfare centers in Daejeon using questionnaires. Part 216 of the retrieved questionnaire was analyzed through the PASW 1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s verification of factors that affect the elderly's willingness to continue volunteer work, Placement appropriateness, Education appropriateness, degree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i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elderly' willingness to continue volunteer work. The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syst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level and satisfaction level of volunteer work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system for volunteer work for the elderly,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volunteer work, the higher the will of the elderly to continue the volunteer work. In order to promote the continuation of volunteer work for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 emotional support system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implement achievement and self-satisfac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