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三國遺書》의 체재와 주제 : centering around the structural principle of Gamtong (感通) Chapter <感通> 편의 체재 구성원리를 중심으로

        尹柱弼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9 韓國學論集 Vol.15 No.-

        The 6 ones out of the 10 stories in the Gamtong Chapter all show consitency in their structure in that they are all comprised of the following sub-sections (the 4 ones are considered to have a abbriveated form of some parts.): 1) Title, 2) Main Story, 3) Variations of the main story, 4) Com- parison of the main story and the variations, 5) Buddhist Poem, Each sub- section has its own role in bringing out the theme of Gamtong (A spiritual communiction with Buddha or gods). The Main story and the Variations are made up of three basic elements (the characters, the plot, the ending) which can differ in each. As a result, any main story can have many different interpre- tations. The Comparison highlight the different viewpoints and presents the editor's reasoning behind his interpretation of the main story and his arguments against other interpretations. The Buddhist Poem synthesizes the themes presented so far by describing a revealing scene and draws religious meaning from it. The experience of Gamtong is repeatedly presented from different angles in the 10 stories of the Chapter showing: that Gamtong was experienced by those practising the indigenous religions of Korea and many elements of these religions have been carried over to Buddhism, that Gamtong was experienced by the humble and lower class, that nobility and formality were obstacles to Gamtong, that Gamtong was read into the traditional poem, Hyangga, and that Gamtong was experienced by ordinary monks in the course of teaching commoners. What the 10 stories in the Gamtong Chapter emphasize is that the genuine experience of Gamtong is possible only in the lower class's Buddhism to the exclusion of that of the nobility. The analytical methods usrd in this Chapter are also applicable to the remaining chapters of Samguk Yusa. In comparison with Gamtong Chapter, the structure of the other chapter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1) identical structure 2) repetitive structure 3) different structure. This systematic strcture is rarely seen in other folktale collections. It is arranged so that the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story can be presented and integrated into one theme, allowing some flexibility.

      • KCI등재

        베트남의 <鼠精傳>과 한국의 <壅固執傳>의 비교-眞假爭主 설화의 수용미학적 관점-

        윤주필 한국고소설학회 2006 古小說 硏究 Vol.21 No.-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Vietnamese <Mouse-Spirit Chen> and Korean <Ong-Stubborn Chen> -by the viewpoint on the variations of a folktale's type <Struggle about Husband-ship of the True and the False's>- Yoon, Ju-pil The family and the society are community of life, in which the individuals pursue their outward success and inner relationship, also they dream to be satisfied with i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two orientaions of whic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confrontation and reconciliation simultenously should be woked, easily lack harmony. Behind the bright accomplishment is the shadow inevitablely casted before one knows. In the Medival Times Vietnam and Korea was the members of Eastern-Asia's Civilizations, in which they had tried to adapt the ethics of family far to governing principles of the society and nation with Confucian sense of value. But in the period of Medieval Time's deconstruction or transition to Mordern Times, the two countries have gone through the invasions of foreign powers, the shakes of sovereign powers, the appearance of new class by the economic powers and so, therefore the problems of self-identification's estrangement and social communities' communication are assumed to be raised as a exciting subject in their history of literature. It is Vietnamese old novel <Mouse-Sprit Chen> and Korean old novel <Ong-Stubborn Chen> that took a same narrative type and simular subjects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 So they are understood to be very good objects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y are the variations of a folktale's type <Struggle about Husband-ship of the True and the False'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novel. <진가쟁주 眞假爭主>는 이물이 가족의 일원으로 둔갑하여 원래 주인과 진가를 다투는 이야기 유형이다. 동아시아 여러 민족문학에 다양한 서사양식으로 변용되어 널리 퍼져 있어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전승이 되어 왔다. 본고는 그 중에서 베트남의 <서정전>과 한국의 <옹고집전>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그를 위해 우선 한국의 구비전승을 통해 서사 단락을 추출한 결과 이물이 출현하게 되는 원인 내지 배경으로서 몇 가지 계열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가족의 일원은 가장, 아들, 부잣집 주인 등으로 나타난다. 이물 출현의 배경으로는 가장의 출타, 아들의 과거 공부 내지 손발톱 금기, 주부의 숫밥, 장자의 인색함 등이지만, 이들은 집안 어른으로서의 권위, 젊은이의 사회적 성취 동기, 가족내에서의 애정, 향촌공동체의 어른 노릇 등에 있어 결정적 헛점이 있다는 서사적 발단으로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서사 단락에서는 가족의 허술하기 짝이 없는 유대감도 여지없이 폭로된다. 포괄적으로 말하자면 이 전승은 개인의 욕망과 공동체적 결속 사이에 끼어들 수 있는 갈등을 상징하며 그 치유 과정은 삶의 지혜를 모색하는 의미를 보여주게 된다. <서정전>은 신혼 아들의 과거공부를 틈타 괴서가 그 아내에게 신랑으로 나타나 물의를 빚고 진가를 가리지 못해 결국 임금의 재판정에까지 올라가서 우여곡절 끝에 이물을 퇴치한다는 내용의 베트남 한문소설이다. 진가 다툼을 판결하는 주체가 점점 확대되어 최고통치자까지 끌어들이고 급기야는 지상의 통치자가 천상의 초월자에게 힘을 빌어 사건을 해결한다는 구성은 중국의 백가공안의 내용을 수용한 흔적이 있지만, 지상과 천상의 존재를 베트남의 역사 혹은 신화적 존재로 대체했다는 점에서 독자적 우의를 읽을 수 있다. 베트남 중세왕조 여조(黎朝)의 절정기를 이룩해냈던 성종(聖宗)과, 고대 중국의 은(殷)나라 침략을 물리쳤다는 아기장수 유형의 부동천왕(扶董天王)이 바로 그 주인공들이다. 결국 이 작품은 가문의 성취보다 정상적인 부부 관계를 더 중요한 것으로 다루면서 가족 내의 갈등을 향촌사회와 국가의 문제로 확대시키고 정통을 바로 세워야한다는 통치적 질서를 우의하고자 했다.<옹고집전>은 인색한 장자의 ‘장자답지 못함’을 문제삼음으로써 <서정전>에 비해 당대 현실을 풍자할 수 있는 폭이 그만큼 넓어졌다. 그러나 ‘괴서’의 출현 대신에 초월적 존재에 의해서기는 하지만 다분히 인위적 조작에 의해 ‘초인’이 주인으로 둔갑하고 장자의 개과천선으로 인해 일개 ‘초인’으로 되돌아간다는 설정은 오히려 우의성을 근간으로 삼고 있다. 또한 장자가 장자답지 못함으로 인해 가족, 향촌, 통치질서로부터 소외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것 이상으로 중요한 것은 그것을 극복하고 삶의 공동체로 회귀하는 과정이다. 고집으로 상징되는 욕망의 가치관을 깨부수는 서사적 계기를 초인 둔갑의 진가쟁주로 그려내고, 회귀의 조건으로서 진정한 ‘장자다움’이 무엇인지 묻는 작품으로 <옹고집전>을 읽을 때 우의적 주제가 잘 드러난다. 또한 이러한 독법을 통해서 여러 이본들의 주제적 차별성과 변이 과정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전통연희의 도상성과 미학 - 경복궁 중건 시역 때의 대공연을 중심으로 -

        윤주필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8 No.-

        1865년 경복궁 중건 시역 때 놀아졌던 대공연은 한국 전통연희의 도상성과 미학적 질서를 전해준다. 그것 은 인공 무대를 활용한 산희(山戱) 방식의 길놀이와 마당을 이용한 야희(野戱) 방식의 판놀이로 대별된다 . 전자에서는 <금강산>, <연화대>, <서유기>가 유명했다. 이들은 기존의 고사나 선행 연희에 가탁하는 연출 원리를 구사하면서, 상하 질서를 옹호하고 숭고한 미의식을 나타내며 경복궁 중건에 대한 송축의 도 상성을 띠었다. 후자에서는 <탈춤놀이>가 눈에 띄고, <범탈놀이>를 계승한 <호렵도>가 유명했다. 이들 은 그 자체의 사건을 전개시키면서, 부역터의 사방 질서를 옹호하고 골계미를 나타내며 투쟁과 노동의 도 상성을 띠었다. 그러나 산희와 야희, 길놀이와 판놀이는 대립적이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신명풀이 미학을 구현했다. 이를 산대놀이의 파계승 과장으로 추정되는 <탈춤놀이>, 대공연의 마지막을 장식한 <백자도놀이>를 통해 분 석할 수 있었다. 그러한 미학은 싸움의 승패를 난장춤과 타령소리를 통해 화합으로 바꾸거나, 어린애들의 산만한 행위와 송축 행위를 통합하면서 수직적 질서의 유연함을 확장하는 연출 방식에서 나타났다. 산희 와 야희는 독자적 연출 원리를 지니고 있지만, 신명풀이의 미학에 의해 상하․사방의 질서를 통합한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공연문화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grand festivities, which performed at starting work of Choson royal palace Keong-Bok-Gung's rebuilding 1865, lets us know the iconicities and aesthetic orders of Korean traditional play. Its divide broadly into 2 groups, processing play of mountain stage style and ground play of field stage style. The former were <Mt. Geumgang>, <Stage of Lotus> and <The Monkey Goes to West> famous. These had the pretending dramatugies on old stories or preceding rites, supported vertical order, and were in iconicity of blessing on Keong-Bok Palace's rebuilding. The latter were <Play of Korean Mask> outstanding, <Painting of Tiger Shoot> which suceeded the legacy of <Play of Tiger Mask> famous. These performed the dramatugies of events themselves, supported horizontal order of the work place, and were in iconicity of struggle and labor. However, although processing play and ground play, or mountain stage style and field stage style were oppositive, they generally realized aestheics of Shinmeong-Puri. I analyzed it through the act of apostate monk in <Play of Korean Mask>, <Play of 100 Children Screen-Painting> which performed lastly. The aestheics came out from the dramtugies that the former changed victory and defeat of the struggle into harmony by the orgy dance and the song of Ta-Reong, or the latter enlarged flexibility of the vertical order by the combination between loose acts of the children and ritual ceremony of blessing.

      • KCI등재

        우언과 성리학

        윤주필 영남퇴계학연구원 2010 퇴계학논집 Vol.7 No.-

        본고는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과 도상을 살피면서 우언과 성리학의 관련성을 점검하였다. 여기서 철학담론이란 어떤 철학적 인식 이 문학적 표현과 역사적 사실 속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지칭한다. 정도전은 <謝&#39761;魅文> <心問天答> <心氣理篇> 등의 해당 작품을 남 겼다. 이것들은 작가의 사상적 결단, 사회적 불평등에 대처하는 인간의 주체성과 책무, 불교의 심과 도교의 기에 대한 리의 포괄성과 근원성을 환유하였다. 권근은 조선 신유학의 방향을 사회적 제도적 관심보다는 성 리학적 수양론에 두고 &#61440;입학도설&#61440; 등을 통해 교학적 논설을 폈다. 특히 <天人心性合一之圖>는 사람의 형상 속에 천명과 인심을 함께 배치하고 마음의 여러 요소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도상성이 돋보인다. 조식은 <杏壇記> <陋巷記> <神明舍圖銘> 등에서 철학담론의 우언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앞의 두 작품은 작가가 젊은 날 깨우쳤다는 이윤의 뜻과 안 연의 배움을 환유한 것이다. 맨뒤의 것은 도상(圖像)과 명문(銘文)을 통 해 마음을 ‘신명의 집’으로 환유하고, 깨어 있는 밝은 정신이 사람 몸의 안팎에서 어떻게 유지되고 작용하는지를 우의적으로 표현했다. 이황은 <천명도설>의 수정 작업을 통해 ‘공경함’이란 ‘성(性)’을 찾는 작업이며 ‘정(情)’을 ‘성’에 의거해 견제하는 일로 나타내었다. 또한 학문적 논쟁을 농부와 목수의 일에 비유하면서 자신의 학문 태도를 옹호하였다. 김우옹 은 도상우언 <신명사도명>을 근거로 천군이 신명전에 즉위하여 나라를 다스린다는 서사우언 <天君傳>을 지었다. 전체적으로는 경(敬)-성(誠)- 의(義)의 수양론적 과정을 계기적 사건으로 묘사하였지만, ‘게으름’과 ‘오 만함’을 반란의 괴수로 의인화하고 ‘양심’과 ‘뜻’을 외로운 충신과 용맹스 러운 장수의 보조인물로 추가하였다. 임제는 <愁城誌>를 통해 <천군 전>을 계승하면서도 단순한 수양론의 수준을 넘어서 모순된 역사와 강 개한 정서를 환유함으로써 심각한 문제의식을 제기하였다. 사람의 감정 이 나름대로 정당함을 인정하면서도 ‘삶의 의지’[生意]라는 주체적 역사 관을 도출하면서 우언 소설의 새 영역을 개척했다. 조선전기에서 우언의 철학담론은 두 부류의 전통을 지니고 전개되었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호랑이[虎] 소재 우언의 비교 연구 -베트남 작품을 중심으로-

        윤주필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1 No.-

        I selected two Vietnamese works The Genealogy of Mountain Lord, The Record of eccentric battle between dragon and tiger among the allegorical novel anthologies "Scripts Remained by Thai Tong" and "New Anthology of Mysterious Life Story", and then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allegorical tales with material of tiger. This was better understood when I compared with Korean allegorical works e.g. The Biography of Mountian Lord etc. The Genealogy of Mountain Lord had about 700 letters written by old Chinese. In the first paragrph The Mountain Lord i.e. the tiger was discribed as the shape of ruler and traced his lineage as the good and the bad. In the second paragraph it was said that human kind was afraid of and also loved the tiger owing to it's several advantages, regardless of the good or the bad. In the third paragraph it was said that while the Mountain Lord became vicious and his influence grew weak, brave men appeared who not be afraid of him, The Record of eccentric battle between dragon and tiger had about 2,500 letters written by old Chinese. It was superior to Korean comparative works quantatively, also formally so elabolate as had double frame structure. It was the core that tiger and dragon had a strange quarrel, as it took on a allegorical nature. This part was descrived as the Tiger was a severe ruler and the Dragon was similar to a son of Heaven or Saint. Meanwhile a hermit named as 'Authentic Tuttle' appered from beginning to end of the work, who had observed the quarrel of the two. He was a long lived Taoist and a witness of history, who experienced colonial governing of Ming empire and retire to hermitage in the Province Chí Linh. In the Vietnamese history Mt. Chí Linh was a lecture place of Nguyễn Tri and struggle base to China of the Lê dynasty's founder, Lê Lợi. Ultimately the work was a allegory that Vietnamese must oppose the colonial governing of China similar to the severe Tiger and preserve the national dignaty as descendents of dragon. 본고는 베트남의 우언 소설집 성종유초(聖宗遺草)의 <산군보(山君譜)>와 전기신보(傳奇新譜)의 <용호투기기(龍虎鬥奇記)>를 택하여 호랑이 소재 우언의 특성을 살폈다. 이는 한국의 <산군전(山君傳)> 등의 우언 작품과 대비할 때 그 특징이 더 잘 파악된다. <산군보>는 700여 자 분량의 한문단편 우언이다. 첫 단락에서는 호랑이를 통치자의 형상으로 묘사하면서 선악의 족보를 따졌다. 중국 고전의 역사적 인물을 호랑이 관련 전고로 활용했다. 이는 전기우언(傳記寓言)의 전형적 수법이라는 점에서 한국에서 17세기에 산출된 세 편의 <산군전(山君傳)>과 유사하다. 그러나 <산군보>는 <산군전>에 비해서 전고 활용의 양이 훨씬 적지만 당(唐)과 고구려(高句麗)의 충돌, 명(明)과 청(淸)의 쟁패, 중국의 삼분천하 등에 관련되는 인물을 내세워 차이를 보였다. 둘째 단락에서는 호랑이가 지닌 덕에 대해서 선악과 상관 없이 찬양했다. 사람들은 호랑이를 두려워하면서도 사랑한다고 했다. 셋째 단락에서는 산군이 포악해지면서 세력이 줄어들어 호랑이를 무서워하지 않는 대담한 인물들이 나타났다고 했다. 여기서 인용된 송강적(宋江賊), 적양공(狄梁公), 이응(李膺) 등도 한국의 <산군전>에서는 언급되지 않는 인물들이다. 인간과 호랑이의 공존을 용인하는 주제의식은 인간 문명과 자연세계의 독자성을 표현한 <산군전>과 차이가 난다. <용호투기기>는 2500여 자의 한문 우언소설이다. 분량적으로 한국의 비교 작품들을 훨씬 상회한다. 또 형식에 있어서도 이중 액자구조로 되어 있어 정교하다.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범과 용의 기이한 말싸움 대목이며, 쟁기(爭奇) 우언의 성격을 띤다. 이는 22회의 대결이 반복되어 분량적으로도 전체의 50%가 넘어서 작품 복판에서 액자 안의 그림 내용과 같은 구실을 한다. 내용적으로 범은 가혹한 통치자나 관리에, 용은 천자와 성인에 가깝게 묘사했다. 한편 범과 용의 쟁변을 목격한 ‘원구(元龜)’라는 이름의 은자는 작품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한다. 그는 명(明) 제국의 식민 지배를 겪으며 지령현(至靈縣) 봉황산(鳳凰山)에 은거한 도사이자 역사의 증언자이다. 지령산(至靈山)은 진조(陳朝)의 추반안(朱文安)과 려조(黎朝)의 응위엔짜이(阮廌)의 도학 연마처, 려조 건국자 레러이(黎利)의 투쟁 근거지이다. 그는 몽유록의 관찰자처럼 작가의 분신인 서술자 나[余]에게 목격담을 진술하고 그 의미를 함께 따졌다. 이 작품의 궁극적 우의(寓意)는 범과 같이 가혹한 중국의 제국적 지배를 반대하고 용의 후손인 자국의 민족적 존엄성을 살려 나가는 일에 지식인이 헌신해야 한다는 교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