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느타리버섯 재배시 완효성 비료원 첨가효과

        윤재탁,조우식,류영현,김찬용 한국균학회 2000 韓國菌學會誌 Vol.28 No.3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organic nutrient supplement i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we have conducted some study on cultur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fruitbody form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media and fruitbody. When supplemented with slow releasing fertilizer, contamination rate was not different from non-supplemented medium, days for incubation time and first pinhead were faster than non-supplemented medium. And fruitbody yield and biological efficiency were increased 10∼28%, 7∼20% respectively, but biological efficiency was decreased when increased supplement ratio. The chemical compositions (total carbon, total nitrogen, ammonia nitrogen, nitrate nitrogen, potassium and phosphate) of slow releasing fertilizer supplemented medium and fruitbody were compared with non-supplemented.

      • SCIEKCI등재
      • SCIEKCI등재
      • KCI등재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부위 및 생육시기별 지방산 조성의 변화

        윤재탁,이숙희,조우식,류영현 한국균학회 2000 韓國菌學會誌 Vol.28 No.3

        Composition of fatty acids (FAs) in Pleurotus ostreatu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compositional changes according to cultivar, fruitbody section and developmental stage (days after primordia formation) were investigated. Major FAs in oyster mushroom were linoleic acid, oleic acid and palmitic acid. Unsaturated FAs were higher in pileus portion than upper- or lower-stipe portion. Ole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with developmental days but linoleic acid content was highest at 3∼4 days after primordia formation and then decreased after that. And ratio of unsaturated FAs/saturated FAs was decreased with basidiocarp maturation.

      • KCI등재

        Ca物質이 사과나무 斑點落葉病 發生 및 病原菌의 菌糸生育에 미치는 影響

        尹在卓,李準琸 한국응용곤충학회 198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6 No.4

        사과 잎속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에 대(對)한 Ca 화합물(化合物)의 균사생육억제(菌絲生育抑制) 효과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품종별(品種別) 피해엽율(被害葉率)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이 84.8%, 중도저항성품종(中度抵抗性品種)이 8.1%,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0.5%이었고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품종별(品種別) 발병율(發病率)과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 관계(關係)에서 CaO 함량(含量)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보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에서 많았으며 7, 8월(月)의 발병율(發病率) 및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와 상관계수(相關係數)(r)가 각각(各各) -0.551, -0.585, -0.485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어 Ca가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저항성(抵抗性)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으나 T-N, 는 품종간(品種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은 배지(培地)의 pH가 정도(程度)에서도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으며 CaO는 균사생육(菌絲生育) 저지(沮止)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ies was carried out to find the effect of inorganic matters of Apple Leaves on the occurrence of Alternaria leaf spot and calicium compounds on mycelial growth of Alternaria mali. Diseased leaf rate of Alternaria leaf spot of susceptible apple varieties was 84.8%, moderate resistant 8.1% and resistant 0.3% respectively and in No. of lesion per leaf, the tendency was same. CaO contents of apple leaves was contained much in the resistant varieties than susceptible one. It was estimated that calcium is one of factors on resistance to apple leaf spot by the results of relations among CaO contents and diseased leaf rate from July to August and No. of lesion per leaf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as r=-0.551, r=-0.585, -0.485 but in T-N, ,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varieties. Then, growth of Alternaria mali was possible in the media of which pH ranged up to , and calcium has effect of inhibition on growth of Alternaria mali.

      • Ca물질(物質)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 발생(發生) 및 병원균(病原菌)의 균사생육(菌絲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윤재탁,이준탁,Yoon, J.T.,Lee, J.T. 한국응용곤충학회 1987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26 No.4

        사과 잎속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에 대(對)한 Ca 화합물(化合物)의 균사생육억제(菌絲生育抑制) 효과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품종별(品種別) 피해엽율(被害葉率)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이 84.8%, 중도저항성품종(中度抵抗性品種)이 8.1%,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0.5%이었고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품종별(品種別) 발병율(發病率)과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 관계(關係)에서 CaO 함량(含量)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보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에서 많았으며 7, 8월(月)의 발병율(發病率) 및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와 상관계수(相關係數)(r)가 각각(各各) -0.551, -0.585, -0.485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어 Ca가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저항성(抵抗性)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으나 T-N, $P_2O_5,\;K_2O,\;MgO,\;Na_2O$는 품종간(品種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은 배지(培地)의 pH가 $11{\sim}13$ 정도(程度)에서도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으며 CaO는 균사생육(菌絲生育) 저지(沮止)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ies was carried out to find the effect of inorganic matters of Apple Leaves on the occurrence of Alternaria leaf spot and calicium compounds on mycelial growth of Alternaria mali. Diseased leaf rate of Alternaria leaf spot of susceptible apple varieties was 84.8%, moderate resistant 8.1% and resistant 0.3% respectively and in No. of lesion per leaf, the tendency was same. CaO contents of apple leaves was contained much in the resistant varieties than susceptible one. It was estimated that calcium is one of factors on resistance to apple leaf spot by the results of relations among CaO contents and diseased leaf rate from July to August and No. of lesion per leaf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as r=-0.551, r=-0.585, -0.485 but in T-N, $P_2O_5,\;K_2O,\;MgO,\;Na_2O$,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varieties. Then, growth of Alternaria mali was possible in the media of which pH ranged up to $11{\sim}13$, and calcium has effect of inhibition on growth of Alternaria mali.

      • KCI등재

        毛茸이 사과나무 斑點落葉病 發生과 病原菌의 感染에 미치는 影響

        尹在卓,李準琸 한국응용곤충학회 198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6 No.4

        사과품종별(品種別)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과 잎의 모용(毛茸) 발생정도(發生程度)를 조사(調査)하고 사과나무 잎의 부위별(部位別) A. mali의 침입정도(浸入程度)와 모용(毛茸)이 병원균(病原菌)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mali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사과나무 품종(品種)의 분포(分布)는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1% 이상(以上)되는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을 조사(調査)한 82품종(品種) 중(中) 15개품종(個品種)(18.3%) 이었으며 주요(主要) 품종(品種)은 나리탄, 인도(印度), 왕령(王令), 스라크림숀, 스카이스파, 아오리 3호 등(等)이었고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 이하(以下)되는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51개품종(個品種)(62.2%)이었는데 주요품종(主要品種)은 홍옥(紅玉), 무쓰, 모리쓰, 조나골드, 쓰가루, 가라, 골덴, 후지, 스파어리브레이즈 등(等)이었으며, 주요품종(主要品種)들의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보다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에서 많았다. 이병성품종군중(罹病性品種群中)에서 이병엽율(罹病葉率)이 6월(月)에 20%, 이상(以上)되어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와인삽, 아오리 3호, 스카이스파, 왕령(王令) 등(等)과 6월(月)에는 5% 이상(以上) 되었다가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라리단, 스타크림숀, 인도(印度) 등(等)으로 구분(區分)되었다. 품종별(品種別) 잎에 모용발생정도(毛茸發生程度)는 이병성(罹病性) 품종군(品種群)에서 보다 저항성품종군(抵抗性品種群)에서 대체(大體)로 많았고 동일(同一) 품종(品種)잎에서 모용무제거부위(毛茸無除去部位)보다 모용제거부위(毛茸除去部位)에서 감염율(感染率)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잎의 모용(毛茸)은 품종(品種) 저항성(抵抗性) 요인(要因)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A. mali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은 잎의 표면(表面)보다 이면(裏面)에서 용이(容易)하였다. In the 82 apple varieties tested, the distribution of varieties grouped on the damage degree to Alternaria leaf spot were 15 varieties(l8.3%), which damaged above 50%, and 51 varieties(62.2%) damaged below 5%. Susceptible varieties to Alternaria leaf spot were Raritan, Indo, Winesap and Starkrimson, moderately resistant varieties Sekaiichi and Starking, and resistant Jonathan, Tsugaru, Molliies, Jonagold, Gala etc. The leaf hair density on the backside of leaf were rarer inresistant varieties than susceptible one. In inoculation test, penetration and infection of Alternaria mali were easier on the backside than surface of apple leaf at the same varity, and infection rate with Alternaria mali were higher at removal treatment than non-removal one of leaf hairs, so we can guess that leaf hair are related to resistance of variety to Alternaria ma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