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브라켄, 「서로 이해하는 형태: 주제별 지식과 모더니스트의 유산」

        윤재신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건축역사연구 Vol.32 No.6

        하브라켄(N. John Habraken) 교수는 2023년 10월 21 일에 별세했다. 그는 1928년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태어 난 네덜란드 건축가, 교육자, 이론가이다. 그의 이론적 공헌은 대량 주택에 대한 사용자 참여 및 사용자와 거 주자를 설계 프로세스에 통합한 것이다. 그의 이론이 추 구하는 시각적 결과물은 생동감 넘치는 다양성의 건축 이다. 하브라켄은 그의 ?주거대(Support)?에서, 주거 설 계에서 주거대(住居帶: support = base building)를 ‘내 장품(內裝品: detachable unit = infill)’1)과 분리하여 주 민들이 설계 과정에서 의미 있는 참여 역할을 할 수 있 도록 제안했다. 하브라켄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제국주의 강제 수용소에 3년간 억류된 경험을 했고, 그 후에 네덜란드 의 델프트 공대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그는 1965∼1975 년 SAR(Foundation for Architects Research)의 소장을 역임했으며, 1967년 아인트호벤 공대의 건축학과를 신 설하고, 초대 학과장의 중책을 맡았다. 1975∼1981년 하 브라켄은 MIT 건축대학의 학과장으로 재직했고, 1989 년 퇴임하고 명예교수로 은퇴할 때까지 MIT에서 학생 들을 가르쳤다. 2016년에 나는 그가 설계해 살고 있던 네덜란드 아펠도른(Apeldoorn)의 집을 방문했다. 당시 그는 노쇠했으나, 정신은 매우 명료했다. 이후 다시 가 보려고 했는데, 이젠 지난 소망이 되었다. ―하브라켄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하브라켄의 서거를 접하고, 내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하 브라켄의 논문 한 편을 번역해 공개한다. 그는 MIT에 서 나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지도 교수였으며, 여기 번역한 글은 박사과정 중에 출간되었다. 1991년에 나는 써머슨(J. Summerson)의 논문 ?The case for a theory of modern architecture?를 그에게 소개했고, 우리는 그 내용에 대해 토의했다. 하브라켄은 4쪽, 각주 3에 써머 슨의 논문을 인용했다는 노트를 적은, 내가 번역한 영문 논문을 내게 주면서, “네가 즐겁게 읽어주었으면 좋겠 다”는 메모를 남겼다. 벌써 30년이 지났지만, 나는 이 글의 주장이 현재에도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번 역이 하브라켄의 학문 세계를 이해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하브라켄의 글에는 현학적이거나 어려운 단어가 거의 없다. 포괄적 추상 개념을 지시하는 정신(Geist), 공간 (space), 표상(representation), 미학(Aesthetics) 등과 같 은 난해한 어휘도 없다. 그는 평이한 문장으로 자신의 주장과 논리를 전개하는 탁월한 능력을 가진 지적 거인 이다. 그리고 그는 특정 개념에 대해 동일한 명사를 일 관되게 사용한다. 영어 원문에 대한 이해와 참조를 위 해, 내가 일관되게 번역해 사용한 단어와 구는 다음과 같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靈巖寺址 금당의 목조 架構構造 복원에 관한 연구

        윤재신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건축역사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Buddhist temple, Kumdang in Youngamsaji which assumed to be built in the 9th century of Unified Silla Dynasty. The remaining site of Kumdang in Youngamsaji is investigated thoroughly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bay size and column distribution. Th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which were built in the same period also have the same frame type as Youngamsaji Kumdang. Thes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and Kumdang in Youngamsaji are meticulous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bay sizes and measuring modules. The framework schema is devised as a conceptual tool to conjecture wooden frame structures of Buddhist temple. A theoretical differentiation between frame type and frame structure is attempted to formulated a wooden frame structure as a stepping-stone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mainly follows the oldest Korean wooden pavilion, Muryangsujeon in Busuk temple, with a hip and gable roof.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is reconstructed through 3D computer modeling to such an extent that every wooden components of the structure can be 3D printed. The reconstruction also takes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9세기 초에 건립되었다고 추정되는 영암사지(靈巖寺址) 금당(金堂)의 복원 과정에서, 가구유형(架構類型)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도목수 얼개도식(framework schema)과 3D 디지털 모델링을 통해 가구구조(架構構造)를 구체적으로 도출해 봄으로써 실질적으로 건설 가능한 고대 목조불전의 복원을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한국에는 12세기 이전에 건립되어 온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건축 유구가 없다. 그러므로 9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불전을 복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도목수의 ‘얼개 도식(圖式: schema)’이라는 구상(構想) 도구를 설정하고, 이것에 표현되는 바탕 윤곽선을 이용하여 고대불전의 가구구조를 설득력 있게 추정하고자 했다. 도목수 얼개 도식의 개념을 배경으로 목조 전각의 가구유형과 가구구조의 개념 구분을 시도했다. 한국에서는 고대불전의 목조 가구에 대한 일차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현존하는 불전 중에서 팔작지붕으로 가장 오래된 부석사 무량수전의 가구를 기본 모델로 했다. 9세기 영암사지 금당의 복원을 도목수 얼개도식을 바탕으로 먼저 구상하였고, 그 다음 가구구조를 구체적으로 추정했다. 영암사지 발굴조사에서 규명된 초석 배열과 기단의 치수는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구조 복원에 필요한 일차자료로 활용했다. 영암사지 금당이 건립된 것과 비슷한 시기에 건립되었고, 초석들이 동일한 형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가지는 5개의 고대 불전을 조사 및 분석했다. 그것들에 대한 용척(用尺) 길이와 주간 길이에 대한 분석 및 해석 자료는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구조를 추정하는데 활용했다. 또한 영조법식에서 전하는 재분법과 가구형식들도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구조를 복원하는데 중요한 참조 자료로 활용했다.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구조 복원을 3D 디지털 모델링을 통해 구체적으로 수행하면서 목조 부품들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의장 기법에 관해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와 동시에 목조 가구에 대한 전문가의 구조해석 자문을 이용했다.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3D 디지털 모델은 스케치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며, 이를 이용하여 RP 모델을 제작했다. 고대 목조 전각이 하나도 온전하게 남아있지 않은 한국의 현재 상황에서, 고대 불전의 복원을 연구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에 대한 실재적인 역사 규명이라는 고증적 차원에서는 근본적 한계를 갖고 있다.

      • KCI우수등재

        차등적 공간 높이를 갖는 단위주거로 구성된 층단형 집합주거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윤재신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5 No.6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living environment has experienced dynamic changes of built form One of the most distinguishable features of this transformation is the ubiquitous multi-story housing development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variety of space height in a dwelling unit of multi-story housing This paper introduces a new housing type, named as 'stepped-level' type The idea of stepped-level type came from the fact that a dwelling urea normally has two bays The multi-story housing of the stepped-level type can have spaces of different heights m a dwelling unit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split floors in the stepped-level type can be chosen by the designers without any design constra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design with the stepped-level type and to give a few exemplary 'support' designs in order to illustrate its capacity as a new architectural type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pped-level type are revealed by comparing the sectional types of multi-story housing The thematic principle of stepped-level type is explained m two separate operations in which a section set of sectional units is devised first and two section sets are loured horizontally to make a dwelling unit The merits and the prospective of stepped-level type are discussed after two stepped-level support designs of Hall-type and Gallery Access type are introduced

      • KCI등재

        아파트 전형적 평면의 실 크기와 치수 특성에 관한 연구 - 21세기 강남권, 강북권,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

        윤재신,전남일,김도연,김민경,김준래,Yoon, Chae-Shin,Jun, Nam-Il,Kim, Do-Yeon,Kim, Min-Kyoung,Kim, Jun-Lae 한국주거학회 200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ly to derive regular sizes of average dwellings in Korea and to examine minimum living standards in light of those regular dwellings in order to meet future housing requirements of low income households. Two plan types of unit floor area 60 $m^2$ and 85 $m^2$ have become prevalent and ubiquitous so as to reflect the basic requirements of ordinary living standards. Thus,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in those two plan types is thoroughly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The background of regular plans and their popularized process is first reviewed and the 120 cases of apartment units which were constructed between 2000 and 2007, are selected from those three regional groups and surveyed in detail. The area, depth, width and proportion of each space of unit plan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various aspects. As a result, proper space sizes and standards for low income households are reviewed and compared. The regional difference of space dimensions is not significant as expected but area and siz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is very much regularized and obvious. And it is argued that thos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should convey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of Korean housing. The average dimensions of each spaces of surveyed apartment unit turns out to be much closer to guidable living standards rather than minimum living standards. Thus, it is very probable that the present guidable living standards could be upgraded to become the future minimum living standards soon.

      • KCI우수등재

        鳳停寺 極樂殿의 構造解釋을 통한 架構分析에 관한 硏究Ⅰ : 縱斷面 構造 解釋 모델의 구축을 기반으로

        윤재신,윤용집,강선혜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ehavior of Gukrak-Pavilion of BongJung-Temple with 2-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specially focusing on two different-inner and outer-cross section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n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technical reports this research IS trying not only to reconstruct a structural model reflecting on real sections, but also to enhance Joint definitions In the structural model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case of Inner cross section having an unsymmetrical form the structural members of the rear-side are suffering from relatively higher stress comparing to the those of the front-side and some Identical members like Sosulhapjang play different roles In each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rear-side Bokhwaban which was broken for real In shown to bear twice as much stress as the front-side one m terms of shear and bending as we expected In contrast, the outer cross section having a symmetrical form shows that bearing stress are evenly distributed

      • KCI등재

        영암사지(靈巖寺址) 금당의 목조 가구구조(架構構造) 복원에 관한 연구

        윤재신,Yoon, Chae-Shin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건축역사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Buddhist temple, Kumdang in Youngamsaji which assumed to be built in the 9th century of Unified Silla Dynasty. The remaining site of Kumdang in Youngamsaji is investigated thoroughly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bay size and column distribution. Th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which were built in the same period also have the same frame type as Youngamsaji Kumdang. Thes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and Kumdang in Youngamsaji are meticulous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bay sizes and measuring modules. The framework schema is devised as a conceptual tool to conjecture wooden frame structures of Buddhist temple. A theoretical differentiation between frame type and frame structure is attempted to formulated a wooden frame structure as a stepping-stone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mainly follows the oldest Korean wooden pavilion, Muryangsujeon in Busuk temple, with a hip and gable roof.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is reconstructed through 3D computer modeling to such an extent that every wooden components of the structure can be 3D printed. The reconstruction also takes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