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30대에서 발생한 대퇴 경부 골절에 대한 내고정술 후 결과

        윤의성 ( Ui Seoung Yoon ),김진수 ( Jin Soo Kim ),민학진 ( Hak Jin Min ),서재성 ( Jae Seong Seo ),종필 ( Jong Pil Yoon ),정주영 ( Joo Young Chung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20∼30대에서 발생한 대퇴 경부 골절의 내고정술 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5년까지 대퇴 경부 골절로 내고정술을 시행한 20∼30대 환자 중 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2.2세(범위; 21∼39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26.3개월(범위; 24∼45개월)이었다. 골절의 양상은 술 전 시행한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Garden 분류 I형 6예, II형 10예, III형 4예였다.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분류는 골두하 골절 7예, 중간 경부 골절 9예, 하경부 골절 4예였다. 전례에서 수상 후 12시간 이내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수술적 치료는 해부학적 정복을 얻은 후 유관나사를 이용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수술적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수술 직후 시행한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Garden 정렬 지수에 만족하는 해부학적 정복을 얻었다. 술 후 4.5개월(범위; 3∼6개월)에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다. 합병증으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가 전체 환자 중 7예(35.0%)에서 발생하였다. 무혈성 괴사의 발생 시기는 술 후 평균 10.7(9∼15)개월이었다. 비전위성 골절(Garden I, II)에서 5예(31.3%), 전위성 골절(Garden III)에서 2예(50.0%)가 발생하였고,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골두하 골절 4예, 중간 경부 골절 3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20∼30대에서 발생한 전위성과 비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두 군 간의 합병증으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의 발생률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analysis of results of operatively treatment for femoral neck fracture occurred in twenties to thirties. Materials and Methods: 20 patients were selected whom we were able to follow up at least 2 years after internal fixation for femoral neck fracture in twenties to thirties from 1998 to 2005. Mean age was 32.2 (21∼39) and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26.3 (24∼45) months. According to preoperative X-ray, there were 6 cases for Garden classification stage I, 10 for stage II and 4 for stage III, and 7 cases for subcapital fracture, 9 for transcervical fracture, 4 for basicervical fracture. In all cases, operations were performed within 12 hours after the injury. The operations were done after satisfying reduction with the Garden alignment index, with three cannulated screws for internal fixation. Postoperative results were analyzed by clinical symptom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during follow up periods. Results: In immediately postoperative radiological examination, satisfying anatomical reduction with Garden alignment index was obtained in all cases, and unions were obtained within 4.5 months after the operation (3∼6 month).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occurred in 7 cases of all patients (35.0%). The average time of occurrence of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after operation was 10.7 months (9∼15 months). Avascular necrosis was occutted 5 (31.3%) in fracture without displacement (Garden stage I, II), 2 (50.0%) in fracture with displacement (Garden stage III) and 4 in subcapital fracture, 3 in transcervical fracture.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after the operation for displaced and non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 between twenties and forty year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압박 고 나사 고정 실패의 원인 분석과 고관절 재건술

        윤의성 ( Ui Seoung Yoon ),김진수 ( Jin Soo Kim ),서재성 ( Jae Sung Seo ),종필 ( Jong Pil Yoon ),백승엽 ( Seung Yub Baek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3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압박 고 나사 고정술 시행 후 발생한 고정 실패의 원인 및 이후 고관절 재건을 위해 시행한 인공 관절치환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본원에서 압박 고 나사 고정술을 시행한 108예 중 고정 실패로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 받은 28예 (I군)와 고정 실패가 발생하지 않은 80예 (II군)를 비교 분석하였다. 압박 고 나사 고정술의 고정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이후 시행한 인공 관절 치환술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절의 형태는 I군은 안정성 골절 7예, 불안정성 골절 21예였고, II군은 안정성 골절 66예, 불안정성 골절 14예였다. Tip-apex간 거리는 I군 26.5 (18∼35) mm, II군 18.6 (8∼22) mm였다. 대전자부 외벽 골절은 I군에 24예, II군에 9예 있었다. I군에서 인공 관절치환술 후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33.5 (22∼43)점에서 최종 추시 시 84.2 (75∼93)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압박 고 나사 고정술의 고정 실패의 위험인자로 불안정성 골절, Tip-apex간 거리 증가, 대전자부 외벽의 골절 등이 고려되었다. 고관절 재건을 위해 시행한 인공 관절 치환술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To analyze the causes of fixation failure of compression hip screw and evaluate outcomes of hip arthroplasty for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108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hat underwent compression hip screw between January 1997 and December 2007. Failure group (group I) contained 28 cases who had hip arthroplasty for failed compression hip screw and the control group (group II) contained 80 cases who had successive compression hip screw. We analyzed the causes of failure of compression hip screw and evaluated the results of hip arthroplasty for reconstruction. Results: In group I, 21 cases (75%) were unstable fractures. Group II, 14 cases (17%) were unstable fractures. Tip-apex distance was 26.5 (18∼35) mm in group I and 18.6 (8∼22) mm in group II. Lateral wall fracture of greater trochanteric area was combined in 24 cases (85.7%) in group I and 9 cases (11.3%) in group II.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33.5 (22∼43) points to 84.2 (75∼93) points after salvage hip arthroplasty. Conclusion: We considered the causes of failed compression hip screw to be fracture instability, increased tip-apex distance and presence of lateral wall fracture of greater trochanter. Hip arthroplasty was found to be a useful method for failed compression hip screw.

      • KCI등재
      • KCI등재

        고관절의 비구와에 발생한 결절종 -증례 보고-

        윤의성 ( Ui Seoung Yoon ),민학진 ( Hak Jin Min ),김진수 ( Jin Soo Kim ),오현석 ( Hyun Seok Oh ),정인화 ( In Hwa Chung ),박기홍 ( Ki Hong Park ),서재성 ( Jae Sung Seo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3

        결절종은 수근관절과 수부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슬관절, 족근관절 및 족부에도 발생한다. 간혹 고관절에서의 발생을 보고한 예는 있으나 비구와에서 발생된 결절종은 보고된 증례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고관절의 비구와에 발생한 결절종을 1예 경험하였기에 치료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anglions commonly occur on the hand, wrist, knee, ankle and foot, with occasional development around the hip joint. Ganglion in the acetabular fossa is rare. We present a case of a ganglion in the acetabular fossa of the hip with treat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치매환자에서의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외반 보조기의 효용성

        윤의성 ( Ui Seoung Yoon ),민학진 ( Hak Jin Min ),서재성 ( Jae Sung Seo ),김윤종 ( Yoon Jong Kim ),원종화 ( Jong Hwa Won ),선승민 ( Seung Min Sun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4

        목적: 치매환자의 대퇴골 경부 골절로 시행한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탈구방지를 위한 예방적 보조기의 착용과 이의 효용성에 대하여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전 치매를 동반하고 있는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시 환자의 나이는 평균 80.4세(68~92)였고, 여자가 20예, 남자가 10예였다. 술 전 치매 환자의 MMSE-K는 평균 14.2(8~20)였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시의 원인 질환은 전 예에서 대퇴 경부 골절이 었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보조기를 착용한 환자에서 술 후 합병증인 탈구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경과 관찰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2개월이었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보조기를 착용한 전례에서 술 후 고관절 탈구가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30예의 치매환자에서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보조기를 착용한 경우 술 후 탈구는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술 후 재활훈련의 습득이 어려운 치매환자에서 예방적 보조기의 착용이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발생하는 탈구의 발생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eventive abduction brace in dementia patients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of the hip. Materials and Method: A review of 30 patients who had dementia prior to bipolar hemiarthroplasty of the hip. 20 females and 10 males were evaluated and their mean age was 80.4 years old (range, 68 to -92 years old). The average MMSE-K in dementia patients was 14.2 (range, 8 to 20). The reasons for the bipolar hemiarthroplasties were femoral neck fractures in all the cases. We analyzed the dislocation rates of those who had preventive abduction braces applied prospectively.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after hemiarthroplasty was 2.2 years. All 30 patients had preventive abduction braces and no dislocations occurred after the bipolar hemiarthroplasties. Conclusion: Hip dislocations were not detected in those patients who preventive abduction braces applied.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having a preventive abduction brace will definitely reduce the dislocation rate in dementia pati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rehabilitation after their operations.

      • KCI등재

        샌드위치 타입의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일차성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10년 추시 결과)

        윤의성 ( Ui Seoung Yoon ),민학진 ( Hak Jin Min ),서재성 ( Jae Sung Seo ),김진수 ( Jin Soo Kim ),임병호 ( Byung Ho Lim ),김준엽 ( Joon Yub Kim ),오현석 ( Hyun Seok Oh ),석주필 ( Ju Pil Seok ),백승엽 ( Seung Yub Baek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3

        목적: 세라믹 라이너에 폴리에틸렌을 부착한 샌드위치형 라이너를 이용한 일차성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10년 이상 추시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샌드위치형 라이너를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최소 10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34명(40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34개월(120~145개월), 수술 시 평균 연령은 47.1세(24~65세)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Harris hip score, 대퇴부통증 등을 조사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는 골내막 신생골, 방사선 투과성선, 삽입물의 이동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Harris hip score는 최종 추시에서 평균 90.9점으로 향상되었다. 전례에서 골성 고정을 얻었으며 삽입물의 이동이나 해리는 관찰되지 않았다. 합병증으로 수술 시 대퇴골의 비전위 골절이 2예(5%), 후방 탈구가 1예(2.5%), 세라믹 라이너 파손이 1예(2.5%)가 있었다. 결론: 샌드위치형 라이너를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10년 이상 추시 생존율은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세라믹의 골절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점으로 판단되며 비구컵의 정확한 고정과 지속적인 세라믹 부품의 재질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minimum 10-year follow up results of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THA) performed using a sandwich-type (alumina-polyethylene-titanium) ceramic bearing.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four patients (40 hips) who underwent a THA with sandwich typed liners from November 1998 to December 2000 were analyzed. Among the 34 patients, 25 were men and nine were women. Mean follow-up was 134 months (range, 120~145 months) and mean patient age at the time of THA was 47.1 years (range, 24~65 year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and level of thigh pain with a limping gait. The radiographic evaluation was done in terms of the endosteal new bone formation, radiolucent line, subsidence of the stem, migration of the acetabular cup, and proof of loosening.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Harris hip score of 50.2 points (range, 31~87 points) was improved to 90.9 points (range, 75~99 points) at the final follow-up and thigh pain with limping gait in one case. All cases had fixation by bony ingrowth. No radiographically detectable loosening was observed in any hip. Fracture of ceramic liner in one case required change of the polyethylene liner. Conclusion: At the minimum 10-year follow up, survival rate as the end-point was favorable. However, fracture of the ceramic is still a major problem. Satisfactory results can be obtained by more precise surgical technique for acerabular inclincation and anteversion, an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eramic.

      • KCI등재후보
      • 종골에 발생한 내연골종: 증례 보고

        민학진,윤의성,서재성,김진수,백승엽,Min, Hak-Jin,Yoon, Ui-Seoung,Seo, Jae-Sung,Kim, Jin-Soo,Baek, Seung-Yub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2

        내연골종은 주로 수부에 발생하는 양성 골 종양으로 족부에 발생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족부에서 발생할 경우에도 대개 족지나 원위 중족골이며 종골에서는 발생이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개월간 지속된 좌측 종골 부위 통증으로 내원한 44세 남자 환자에서 시행한 방사선 검사에서 내연골종 의심되어 골 소파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하였고 최종 병리검사에서 확진되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종골의 내연골종을 1예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Enchondroma is a benign tumor mainly developed in the hand and uncommon in the foot. Even if it is in the foot, most are in the phalanges and distal metatarsals of the foot. Enchondroma in the calcaneus is very rare. A 44-year-old male suffered from left heel pain for several months, authors treated it with curettage and bone graft, it was histologically confirmed as an enchondroma in the calcaneus. The authors presented a rare case presentation of an enchondroma in the calcaneus with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