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쿠빌라이와 고려

        윤은숙(Yoon Eun Sook) 역사비평사 2010 역사비평 Vol.- No.90

        Qubilai was not lead a comfortable life as an emperor of China even though he attempted to transfigured the Mongol Empire from the nomadic empire to multiracial nation in the East Asia and not only trying it to become an emperor of China. His goal of country's conception having centered commercial paradigm by combining their great military power country based on the Mongolian traditional military force and Chinese economy. Also, this conception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Mongolian Emperors, before him. It solved the bad relation with Kory? and became the base of the new change in relationship with Kory?. It was an epoch-making event between Mongol and Koryo what Qubilai and King of Chungryol made a royal son in-law relation. Marriage between Mongol and Kory? ensured the peaceful relationship of Mongol and Kory? so it made significant opportunity to go toward mutual understanding and trust. It also means that the Kory?'s King was one of the members of the Mongol Empire in Altan Urug. Of course, we cannot ignore the marriage was Mongolian empire's political concern, but Kory? was able to achieve the safe governing by getting Qubilai as supporter, and make firm political partnership. Also, this blood relation band has been improved. Because King of Chungryal became a royal son in law of Qubilai, the government of Kory6 became mongolized. Also Mongolian Government has been Kory?lized because of Kory? women. The famous example for that is Togon Temur Qa,an's wife Oljei Qutu, Gi Katun. It's not easy to evaluate the historical event which Koryo Woman become the Mongolian Katun. Also her son Ausiridara became the Qa,an of Northern Mongol and fought against Ming dynasty. It was not the only incident happened but there was another appearance of the two countries' relationship continued from the Qubilai Qa,an.

      • KCI등재

        北元과 明의 대립

        尹銀淑(Yoon Eun Sook) 동양사학회 2008 東洋史學硏究 Vol.105 No.-

        This study investigated North Yuan's activities through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North Yuan and Ming in the era of great reformation in East Asia at the end of the 14th century, and it examined effects of the fall of North Yuan upon political situation changes in Liaodong. North Yuan that moved northward from Daidu could still keep gigantic force and confronted with Ming almost twenty years. In particular, Ayu?iridara Khan who returned to Kara Khorom allowed Koke Temur to control politics as well as military force comprehensively and to reduce disharmony, so that he could keep system in order promptly a little more than one year to recover military force. In 1372, North Yuan greatly defeated as many as 150,000 Ming's soldiers at Qara qorom combat to prepare for base for the restoration and to attack M ing's borders. On the other hand, Ming that experienced North Yuan's strong military force suspended direct attack against North Yuan to suggest negotiations for peace that could keep existing system by converting into defensive attitudes. Zhu Yuan-Zhang who failed in attack against Mongolia suspended direct attack against Mongolia to turn to Liaodong and to start regular attack against Nagachu. At last Nagachu who failed in combined operations with Koryo not to endure Ming's pressure surrendered to Ming, so that Ming suppressed North Yuan power in Liaodong that was still powerful even after the fall of Yuan in 1368 and it could occupy Liaodong region completely. As a result, Ming destroyed connections among Koryo, Nagachu and North Yuan to get rid of North Yuan. Togus Temur regime that failed in control of nomadic power in Mongolia made efforts to overcome crisis by entering into Liaodong, and it was destroyed all of sudden in 1388 at Nagachu's surrender to Ming. When A?asri of Otchigin Family that was last Mongolian power in Liaodong after the fall of North Yuan surrendered to Ming, Mongolian power in Liaodong was actually destroyed. The East Asian world that kept tight relations of triangle balance among Koryo, North Yuan and Ming made change rapidly to become Ming's system at the fall of North Yuan. However, Ming that was new power could not control Mongolian power gradually that reinforced military force in Mongolia to attack Ming. Under such a political change in East Asia. Uryangqai 3wei reorganized power system in East Asia by taking advantages of Ming's political chaos as well as vigor of East Mongolia and West Mongolia.

      • KCI등재

        元 멸망 전후의 元ㆍ高麗ㆍ明 관계

        윤은숙(Yoon, Eun-s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1 No.-

        원의 북상 이후 요동을 두고 대립했던 원과 명은 상호 견제와 균형을 위해 고려의 협력을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고려가 명과 국교를 개시하자, 원은 톡토부카를 고려왕에 옹립함으로서 고려를 압박해 정요위 공격에 동참시키려 했다. 결국 우왕 책봉을 통해 고려와의 구질서를 회복시키고 원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성립시켰으나, 고려는 정요위 공격에 동참하라는 원의 요구를 수용하지는 않은 채 명과도 일정한 관계를 유지했다. 따라서 고려는 원과 명 모두에 사신을 파견하는 양면외교를 지속함으로서 동아시아에서는 고려ㆍ원ㆍ명이 일정정도 삼각균형이 유지할 수 있었다. 이렇듯 고려와 원의 잦은 왕래는 명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특히 여ㆍ원 연합군이 요동을 공격할 것이라는 첩보를 입수한 명은 서둘러 丁彦 등의 고려인 358명을 고려로 귀환시키면서 고려를 회유하기 시작했다. 고려도 아유시라다라 카안 사망으로 급격히 원이 쇠퇴하고, 원, 나가추와 고려를 각각 고립시키려는 명의 정책이 큰 성과를 거두자 貢馬 5,000마리를 명에 보내 적극적인 관계 개선을 시도하는 등의 유연한 대외정책을 실행했다. 그러나 1387년 5월에 나가추의 투항과 다음해 4월에 원의 소멸로 14세기말 동아시아의 국제관계가 다원적 관계에서 일원적 관계로 변모함에 따라 초강대국이 된 명은 고려에 대한 유화책을 철회하고 강경책으로 돌변했다. 명은 원 소멸 전에는 강경책과 회유책을 반복했지만 원이 실재하는 상황에서 주로 對고려정책은 회유책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나가추의 투항과 원의 멸망은 명의 對고려정책를 강경책으로 급속히 변모시켰고, 이것은 고려 멸망까지 지속되었다. 명은 고려에서 파견된 사신들을 구금하거나 입경을 거부했으며, 나아가 고려에 철령위 설치를 통보하는 등의 강도 높은 강경책을 실시했다. 이러한 명의 강경책은 최영의 요동정벌을 야기해 결과적으로 고려가 멸망하는 도화선이 되었다. The study investigated reopening of diplomatic relations by examining not only Töqtö Büqa's enthronement of king of Koryo Kingdom before fall of Yuan Empire but also Ming's policy toward Koryo Kingdom after fall of Yuan to find out dynamic relations of East Asia that made change from pluralistic order to unitary order. Yuan Dynasty appointed ToqtoBuqa to be king of Koryo Kingdom to recover previous order between Koryo and Ming and to let Koryo join attack against Jeongyowi(定遼衛). On the other hand, Koryo Kingdom that resumed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dispatched envoy to Ming to keep a certain relations and to keep triangular balance in East Asia. Allied forces of both Koryo and Yuan was likely to attack Ming's military base in Liaodung so that Ming gave up previous hard-line policy and started to follow appeasement policy toward Koryo. Koryo Kingdom that resumed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was suspicious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when Yuan Empire lost power rapidly because of not only consecutive death of both Koke Temur and Ayuširidara but also Ming's isolation policy blocking connection among Yuan, Nagachü and Koryo. Koryo positively accepted Ming's imposing of tribute in the name of enthronement of King Uwang. In 1384, Koryo sent as many as 5,000 horses to Ming that was much larger than previous number, and recovered relations with Ming disconnected to take active actions against changes of political situation. Before fall of Yuan, Ming repeated both hard-line policy and appeasement policy and actually often followed appeasement policy. Ming's policy toward Koryo made change to be hard-line policy at Nagachü's surrender and Yuan's fall that lasted until fall of Koryo. Ming detained Koryo's envoy or rejected entering into capital city and notified opening of Cheolryeongwi(鐵嶺衛) in Koryo to follow hard-line policy. Ming's hard-line policy triggered Choi Yeong's conquest of Liaodung to let Koryo fall.

      • KCI등재

        원말(元末) 토곤 테무르 카안의 탐라궁전(耽羅宮殿)

        윤은숙 ( Yoon Eun Sook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3

        惠宗토곤 테무르 카안이 탐라에 조성한 궁전을 紅巾賊이나 농민반란세력의 위협으로부터 도피를 목적으로 한 ‘피난궁전’으로 규정하는 학계의 주장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우선 홍건적은 토곤 테무르가 궁전 조성을 계획했던 1367년 2월 이전에 이미 元軍에 의해 와해되어 도둑의 무리로 전락했으므로 위협적인 세력이라 할 수 없다. 또한 이 시기는 강남의 대표적인 反元세력인 주원장과 장사성이 대립하며 전쟁을 벌이는 때였으므로, 토곤 테무르가 이들을 위협적이라고 인지하고 있지 않았다. 당시 토곤 테무르에게 발생한 가장 큰 사건은 奇皇后로 대표되는 황태자 권력의 2차례에 걸친 內禪시도와 軍閥간의 대립으로 그가 실권을 상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권을 상실하고 허수아비 황제로 전락하게 되자 권력에 염증을 느끼게 되었다. 여기에 大都에서 잇달아 전염병이 발병하자, 황태자 아유시라다라에게 권력을 이양하고 자신은 탐라에 궁전을 조성하고 옮겨 살기를 희망했다고 볼 수 있다. 14세기에 이르면 탐라는 대도의 물질문명과 몽골의 목축기술 전파로 이미 몽골化한 국제도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몽골인들은 이질적인 풍광을 지닌 탐라를 ‘樂土’로 인식하게 되었고, 이러한 인식의 바탕 위에 토곤 테무르가 탐라에 궁전을 조성하고 이주할 계획을 세웠다고 볼 수 있다.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definition of the palace set up in Tamla by Togon Temur of Yuan empire as an ‘evacuation palace” aiming to escape from the threat of Red Turban or the peasant revolt forces. Since Red Turban had already fallen into a band of thieves, broken up by the troops of Yuan dynasty before February 1367 when he planned to set up a palace, first, it cannot be deemed as threatening forces. In addition, since Zhu Yuanzhang and Zhang Shicheng, who were the representative anti-Yuan powers in Jiangnan, were in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waging wars, Togon Temur did not consider them threatening. At the time, the event that cornered Togon Temur the most was the loss of his reign of power due to two attempts of abdication of the crown prince power represented by Qi Empress and the conflict between warlords. Falling into a scarecrow emperor, he felt disgusted with power, and as infectious disease occurred in Tamla successively, crown prince, he handed over his power to Ayusiridara and wished to set up a palace in Tamla and to move and live there. In the 14th century, Tamla had a nature of a Mongolized international city with the spread of Daidu`s material civilization and Mongolia`s farming techniques. Therefore, Mongolians regarded Tamla with heterogeneous landscape as ‘paradise,’ and in addition to this perception, Togon Temur, disgusted with power established a plan to set up a place in Tamla and move there.

      • 논문(論文) : 여(麗),몽(蒙) 전쟁의 성격과 몽골의 태도 변화

        윤은숙 ( Eun Sook Yoon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麗·蒙 관계는 1219년 형제맹약으로 출발했지만 저고여 살해 사건을 계기로 30년의 장기전을 치러야 했다. 결국 양국은 혼인동맹을 맺음으로써 안정적인 평화 관계를 수립할 수 있었다. 양국 관계의 시작을 보여주는 1219년 몽골의 주도로 이루어진 형제맹약은 몽골제국의 과다한 공물 요구의 결과파탄에 이르게 되었다. 옷치긴이 감국하게 된 몽골 국내 사정의 변화와 대외 전쟁에 필요한 막대한 전쟁자금은 고려에 대한 몽골의 공물 요구를 한층 강화시켜 고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했다. 고려는 몽골의 과다한 공물 요구에 강한 불만을 표시했고 주변국의 동조 등의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저고여 살해사건으로 이어지면서 결국 양국의 형제 맹약은 파탄되었다. 아울러 여몽 양국의 30여년 전쟁을 통해 최씨 무신정권은 고려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장기 집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몽골의 계속되는 국왕의 출륙친조 요구를 무신정권이 수용할 수 없었던 것은 고려 국왕이 대몽 대화 창구가 되기를 희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최씨 무신 권력의 누수현상을 초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최선의 선택은 和戰兩面策을 통해 전쟁의 장기화를 유도하는 것이었다. 결국 고려의 끈질긴 저항이 몽골의 내부 사정과 맞물려 장기전쟁 양상으로 이어졌고, 지연정책을 구사하던 고려가 일정 부분성공을 거둔 형태였다고 평가해 볼 수 있다. 한편, 고려와 몽골의 30여년 장기전쟁은 몽골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기에 충분했다. 몽골제국 사상 초유의 사태였던 30여년의 장기전쟁은 고려뿐만아니라 몽골에게도 곤욕스러운 일이었다. 결국 몽골은 고려국왕의 출륙친조를 포기하고 국왕의 출륙과 태자의 친조로 양보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를 통해 몽골은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서 쉽게 굴복시킬 수 없다는 것을 각인하게 되었다. 이것은 후일 고려가 대몽 강화 정책을 추진하는데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도 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 of Koryo-Mongolia war and changes of the attitudes of Mongolia.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ly, brothership alliance between Koryo Kingdom and Mongolia that was made under the leadership of Mongolia in 1219 came to a rupture because of Mongol Empire``s excessive request of tribute. Since 1221, Mongol Empire``s request of the tribute was more strengthened to have considerable burden on Koryo. Koryo strongly complained against Mongol Empire``s excessive request of tribute to produce neighboring countries`` synergy effects of sympathy and to kill Jeogoyeo(著古與) and to break off the alliance between both countries at last. Secondly, Koryo``s resistance against Mongolia was used to let Choi regime keep power. Choi regime could not accept Mongol Empire``s continuous demand on Koryo Kingdom king``s Chulyukchinjo(出陸親朝) because the regime did not want that the king would be a window of communication between both countries. Choi regime could lose power because of the king``s Chulyukchinjo so that the best option was to produce long-term war through both policies of war and peace. Long-term war continued because of Koryo``s consistent resistance and Mongol``s internal situation, and Koryo that adopted delay policy was thought to be partially successful. Thirdly, more than 30-years war between both countries was enough to make Mongolia make change of its attitudes. The long-term war that was an unprecedented event at Mongol Empire made not only Koryo but also Mongol Empire suffer from great difficulties. At last, Mongol Empire gave up Koryo king``s Chulyukchinjo, and made concession that the king left island to leave for main land and the prince would visit the empire``s palace. And, the Mongol Empire found that Koryo that inherited Koguryo was difficult to surrender by the empire. Such an event gave base that Koryo could take an advantage to promote Koryo``s policy struggling against Mongol Empire in the future.

      • KCI등재

        13세기 高麗 지식인의 몽골 인식 비교 : 李奎報·金坵와 李承休를 중심으로

        윤은숙(Yoon Eun-S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역사문화연구 Vol.79 No.-

        고려 중·후기는 북방민족의 중원 지배로 동아시아의 국제질서가 격변하는 시기이다. 기존의 中原을 차지한 漢族 왕조를 華로 규정하던 전통적 관념은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국제질서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유교를 선진으로 인식하고 至高의 문화로 숭배하던 고려의 儒者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특히 중원뿐만 아니라 유라시아 대륙을 지배한 세계 최강의 제국인 몽골(元)을 상대해야 하는, 고려 지식인들의 고뇌와 성찰은 예전과는 전혀 다른 대외 인식과 역사 인식을 표출시키게 되었다. 몽골에 항전하던 13세기 전반기 대표적인 고려의 지식인 이규보와 김구는 華夷論에 기초해 몽골을 夷로 규정하고, 대몽 항쟁을 결의하였지만, 국제정세나 현실과는 동떨어진 자신들의 입지와 이해에 기반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반면, 이승휴는 원을 중화로 상정하여 한족이든 북방민족이든 중원을 차지한 인물이 중국의 황제라는 지극히 고려 중심의 현실적 대외 인식을 대변하고 있다. 이러한 고려 지식인의 몽골 인식은 이승휴를 기점으로, 李齊賢은 원을 섬기고 나서 中外의 걱정이 없어지고 백성이 날로 풍요로워졌고, 李穡도 원이 천하를 차지하여 사해가 통일되자 중화와 변경의 차이가 없어졌다고 표현할 정도로 변화하였다. 이승휴가 기존 몽골 인식에 대한 답습이 아니라 고려의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실리적인 자구책을 찾고 새로운 대외 인식을 정립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The middle and the latter parts of Goryeo are the period in which the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was rapidly changed by a northern race’s rule over the central districts. The traditional idea that had defined the Han dynasty that occupied the existing central districts as the Flowery Kingdom was replaced by the international order ruled by the power of logic. This change had a big impact on the Confucianists of Goryeo, who recognized Confucianism as an advancement and worshiped it as a supreme culture. Anguish and reflection in Goryeo intellectuals, who had to deal with Mongol (Yuan), the world s most powerful empire at the time, which ruled over the Eurasian Continent as well as the central districts, came to express ideas about the outside world and perceptions of history that were different from before. In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when Goryeo resisted against Mongolia, representative intellectuals of Goryeo, Lee Kyu-bo and Kim Gu resolved the anti-Mongol struggle, defining Mongolians as barbarians based on Hwai-ron (Theory on the Civilized and Barbarians); however, they had a limitation based on their position and understanding, far from international situations or reality. On the other hand, Lee Seung-hyu assumed Yuan Dynasty as the Flowery Kingdom, representing the extremely realistic perception of the outside centered around Goryeo that the person who occupied the central districts, either Han race or a northern race would be the Emperor of China. Starting with Lee Seung-hyu, the perceptions of Mongol in intellectuals of Goryeo were changed to the extent that Lee Jae-hyeon said that concerns were gone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the people became richer day by day after serving Yuan Dynasty and that Lee Saek, too, express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districts and frontiers disappeared since the four seas were united as Yuan Dynasty occupied the whole country. In that Lee Seung-hyu looked for practical self-rescue measures prioritizing Goryeo’s national interests, instead of following the existing perception of Mongol and established new ideas on the external world, the significance should be reevaluated.

      • KCI등재

        북아시아 유목민의 역사 요람 興安嶺

        윤은숙(Yoon, Eun-s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9 No.-

        흥안령은 만주와 몽골을 가르는 분수령으로써 북아시아 유목민들의 탄생지이자 주요 활동무대였다. 흥안령은 남북으로 러시아와 중국을 아우를 뿐만 아니라, 서쪽으로 드넓은 몽골 스텝과 동쪽으로 비옥한 만주를 가르는 분수령이 되는 거대한 산맥이다. 또한 주변에 에르구네강, 흑룡강, 눈강, 송화강 등과 연결된 3,000여개의 지류들이 흐르고 있기에, 풍부한 수자원을 배경으로 비옥한 초원과 농경지대가 공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흥안령의 울창한 삼림은 야생동물의 寶庫로써 수렵 생활로 출발한 고대 북아시아계 민족들의 주요 활동 무대가 되었다. 흥안령의 북동쪽에 위치한 가샨동은 북위를 건립한 拓拔鮮卑의 발상지로써, 탁발선비의 선조들은 흥안령의 삼림지대에서 수렵 채집생활을 하다가, 1세기 말 에르구네하에서 쿨룬호 사이로 이주했고, 다시 흉노의 본거지인 음산산맥 지역으로 옮겨갔다. 이 과정에서 변화된 자연환경과 흉노의 영향으로 수렵 채집 생활을 버리고 좀 더 안정적인 잉여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초원 유목 경제로 전환했다. 유목경제로 전환한 탁발선비는 역량을 축적해 유목국가를 건설했고 후일 중원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 흥안령은 북아시아계 민족들의 탄생지인 동시에 생활의 터전이었다. 고대 북아시아의 대표적인 유목민인 선비, 동호, 오환, 거란과 몽골 등의 탄생지였을 뿐만 아니라 숙신, 읍루, 말갈, 여진 등의 퉁구스계 수렵민들의 주요 활동 무대였다. 특히 拓拔鮮卑는 흥안령의 嘎仙洞을 모태로 활동하다가 남하해 北魏를 건립했고, 몽골의 선조인 蒙兀室韋는 에르구네강과 흥안령 일대에서 성장 발전하였다. 이들이 9세기 중엽에 몽골리아로 들어가 후일 유라시아 대륙을 아우르는 역사상 초유의 초대형 국가인 몽골제국을 건설했기 때문에 흥안령은 고대 북아시아 몽골계 유목 민족들과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흥안령 지역을 유목지와 농경지로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했던 이들은 몽골이었다. 특히 칭기스칸의 말제 가문인 옷치긴 왕가는 이 지역의 전략적, 경제적 역량을 충분히 활용해 성장ㆍ발전했다. 칭기스칸으로부터 몽골족의 옛 거주지였던 흥안령 일대를 분봉 받은 옷치긴 왕가는 흥안령 일대를 온전히 차지한 첫 번째 정치권력으로써, 스텝과 삼림이 교차하는 풍부한 경제력과 기마사술을 갖춘 무력을 발판삼아 흥안령을 넘어 만주지역으로 진출해 13-14세기 동아시아 변동의 주체로써 활약할 수 있었다. Hingganling, a gigantic mountains, stretches to the north and south in Russia as well as China, and it divides wide and spacious Mongol steppe to the west from fertile land of Manchuria. As many as more than 3,000 branch rivers flow around Hingganling to link them with the Ergune River, Heilongjiang, Neonjiang, and Sunghwajiang so that Hingganling has not only fertile steppe but also farming land with background of rich water resource. And, Hingganling has thick forest that is good for wild animals to habitate and live so that North Asian tribes could live lives by hunting at that place. Hingganling had good environment to let North Asian tribes strengthen power by themselves owing to being surrounded by the forest so that they could attack Mongol steppe, Liaodong and Jungwon to open an ancient country. Therefore, Hingganling region is said to be birthplace of North Asian nomad and to call birthplace of history of the nomad in North Asia. Hingganling was not only birthplace of North Asian tribes but also place where they could live lives. Hingganling was not only birthplace of nomads in ancient North Asia such as Shanbei, Dongho, Ohwan, Kitan and Mongol but also place where Tungus hunting tribes such as Sukshin, Eupru, Mohe and Nuzhen could live lives. In particular, Tabalshanbei could live lives based on Gashandong in Hingganling, and it moved to the south to open North Wei, and Monolsilwei who was ancestor of Mongol grew up around Ergune River and Hingganling.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y entered Mongolia to open the Mongol Empire that was the largest country in the world in history, so that Hingganling had close relations with Mongol nomad tribes in ancient North Asia. The Mongol could develop Hingganling to make use of it as both nomad land and farming land. In particular, Otchigin royal family that was a family of Chinghis Khan could grow up and develop it by making use of strategic and economic advantages of the region. Otchigin royal family who took over Hingganling being Mongol's old residential area was the first political power that could govern Hingganling completely, so that it attacked Manchuria over Hingganling by taking advantage of good economic power as well as military force having cavalrymen to be main power in East Asia in the 13th to 14th century.

      • KCI등재

        大元 使行을 통해 본 李承休의 현실 인식

        윤은숙(Yoon, Eu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李承休가 활동했던 때는 무신정권이 종말을 고하고 王政이 복고되는 격변의 시기이다. 아울러 동아시아에서는 기존의 다원체제가 종결되고 몽골 중심의 일원적인 지배가 구축되던 때이기도 하다. 林衍으로부터 폐위를 당한 적이 있던 元宗은 복위 후에 왕권을 확고히 하고자, 쿠빌라이 카안에게 통혼을 요청했다. 그러나 폐쇄적인 황금씨족의 혼례 특성상 매우 이례적인 경우였기에 쿠빌라이 카안의 입장에서는 수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결국 쿠빌라이 카안은 혼인을 허락하기는 했지만, 실행에 옮기지 않고 추이를 관망하고 있었다. 반면, 양국통혼을 통해 고려에서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던 원종은 혼인 성사를 위해 계속해서 쿠빌라이 카안을 압박하였고 이승휴 일행의 1273년 大元 使行은 이러한 민감한 정치 변동 속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대원 사행은 표면적으로 황후 차부이와 황태자 진김의 冊寶禮에 참가한다는 명분이지만, 근본적인 목적은 정세를 파악해 가능한 한 빨리 쿠빌라이 카안에게 혼인을 실행에 옮기게 하는 일이었다. 1273년 대원 사행에서 원종은 고심 끝에 이승휴를 書狀官에 임명했다. 이승휴가 서장관에 발탁될 수 있었던 이유는 실익 없는 對蒙항쟁 보다는 대원 중심의 세계 질서를 인정하고 그 속에서 고려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양국 통혼을 통해 왕권 강화를 꾀하고자했던 원종의 정치적 견해와 일치한다. 여기에 원종은 이승휴가 강직하고 올곧은 성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뛰어난 문장력을 소유한 인물임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자신의 목적을 실행 시켜 줄 적합한 인물이라고 믿고 있었다. 이승휴는 대원 사행을 통해 직접 大元의 문물을 접하고 그 실체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대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강화했다. 기존의 고려 지식인들 사이에 회자되던 華夷觀에 입각한 부정적인 몽골 인식은 이승휴의 대원사행을 계기로 화이가 순종하는 정통이라는 인식으로 변모하였다. 이것은 몽골에 항복한 국가의 위기의식이 내재된 것이기는 하지만, 무엇보다 대원 중심의 국제 질서를 인정하고 고려가 혼인 관계를 통해 대원의 상층 질서 안에 편입해야만 고려의 社稷을 보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지극히 현실적 이해관계에 기반하고 있다. 한편, 이승휴가 대원사행을 다녀와서 쓴 賓王錄은 한국사에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使行錄이다. 賓王錄은 이승휴가 직접 경험한 사행 여정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고려 지식인의 시각에서 대원의 정세와 大都의 사정을 살피고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Lee Seung-hyu worked in the end of military regime and recovery of imperial rule. In East Asia, plural systems were terminated to let Mongolia only govern the region. King Wonjong(元宗) who once lost crown by Lim Yeon asked Khubilai Khan to get married in order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However, the marriage was very much exceptional from point of view of Altan urug(黃金氏族) wedding so that Khubilai Khan was difficult to accept the request. At last, Khubilai Khan permitted the marriage and did not put it into practice and watched progress. On the other hand, King Wonjong who attempted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by the marriage between both countries pressed Khubilai Khan continuously to get married, and sent Lee Seung-hyu envoy to Yuan Empire at rapid political change in 1273. King Wonjong sent the envoy to join appointment of empress and prince superficially, and he actually made the envoy inspect political situation to let Khubilai Khan put marriage into practice as soon as possible. In 1273, King Wonjong appointed Seojanggwan(書狀官), Lee Seung-hyu(李承休), upon mature consideration. Lee Seung-hyu was nominated to be Seojanggwan because he gave up useless fighting against Mongolia and instead admitted of Yuan oriented world order to reestablish status of Koryo Kingdom. Lee"s idea coincided with political opinion of King Wonjong who made effort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by marriage between both countries. King Wonjong admitted that Lee Seung-hyu had upright and honest nature as well as excellent writing skill enough to put king"s purpose into practice. Lee Seung-hyu experienced culture of Yuan at marching of the envoy by himself to cognize Yuan in affirmative way. At that time, intellectuals of Koryo Kingdom cognized Mongolia in negative way based on Hwaeegwan(華夷觀) to make change of Hwaee(華夷) by taking opportunity of Lee"s marching of the envoy. The intellectuals cognized consciousness of national crisis that the kingdom surrendered to Yuan Empire: First of all, the intellectuals admitted of international order based on Yuan and thought that Koryo kingdom should be incorporated into Yuan"s order by marriage relation to preserve base of the dynasty that was based on practical interests. And, Lee wrote down "Binwangrok(賓王錄)" after marching of the envoy that was the longest record of marching of the envoy in the Korean history, and that was valuable to have difficulties at marching of the envoy and to investigate situation of capital city of Yuan from point of view of intellectuals of the kingdo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