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공 윤주일의 <제주선경가(濟州仙景歌)> 교정 연구

        윤용택(Yoon Yong-taek) 제주학회 2016 濟州島硏究 Vol.46 No.-

        현공 윤주일(1895-1969)은 한국전쟁 중에 제주도에 머무는 동안 <제주선경가>를 지었다. 현공은 <제주선경가>에서 그동안 유학지들이 도가적 이상향으로 구성한 영주섭경과 제주의 자연, 역사 지명 둥을 불교적 관점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서 제주섬이 불국정토임을 천명하고 있다. 제주선경가>는 한국전쟁 직후인 1953년 10월 광주에서 출간된 『불교강연집』에 실려 있지만 제주사람들에게 알려진 것은 그로부터 29년이 지난 1982년 7월 「제주신문」을 통해서이다. 「제주신문」에 보도된 <제주선경가>는 여러 가지 오류들이 많고, 잘못된 내용들이 진실인 것처럼 이미 널리 유포되어 있어서 그에 대한 교정이 필요하다. 현공의 <제주선경가>는 적어도 세 차례 이상 수정되었다. 재판 『불교강연집』에 실린 <제주선경가>는 현공의 생전에 교정된 것이고, 현공 사후에 제자들이 발간한 『현공윤주일대법사설법집』과 『불교강설』에 실린 <제주선경가>는 제주지역 포교를 위해 현지인들이 사용하는 제주어를 일부 수용하여 대중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현공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이쉬움이 있다. 이 글에서는 현공의 <제주선경가>들과 「제주신문」에 보도된 <제주선경가>를 검토하여 시비를 논해보고자 한다. Hyunkong Yun Jooil(1895~1969) wrote <Jejuseonkyeong-ga> in Jeju during the Korean War. In <Jejuseongyeong-ga> Hyunkong reinterpreted Yeongjusipkyeong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gave the Buddhist meaning to nature, history and place names of Jeju island. It was first published in Gwangju in 1953, but was reported very differently in Jeju on the newspaper in 1982. Still false information about it has been prevailing in Jeju. <Jejuseonkyeong-ga> was revised at least three times. The second edition of <Jejuseongyeong-ga> was modified by Hyunkong. Therefore, it can be called authentic, but this also needs to be re-corrected to match the spelling. In writing <Jejuseonkyeong-ga>, Hyunkong tried to use Jeju language familiar to the public. However his disciples did not understand his intentions. So they changed Jeju language into the standard Korean in revised <Jejuseonkyeong-ga>s. Therefore, I propose newly modified <Jejuseongyeong-ga> considering Hyunkong s intentions.

      • KCI등재

        제주도 강정마을의 물 문화에 대한 고찰

        윤용택(Yong-Taek Yoon)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8 No.-

        과거 제주섬 대부분 지역에서는 물이 부족하여 논농사를 짓기가 어려웠다. 그러나서귀포시 강정마을은 사시사철 흐르는 ‘큰내(강정천)’와 ‘아끈내(악근천)’가 있고, 크고작은 용천수가 솟아나서 논농사를 짓기에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래서 강정마을은 ‘일강정’ 또는 ‘제일강정’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강정에는 제주섬의 다른지역에서 찾기 힘든 물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많다. 특히 강정(강정쌀)과 강정은어는강정마을 출신이면 누구나 자랑스러워하는 것들이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강정마을은 점점 쇠락하기 시작한다. 강정 취수장이 건설되고 지하수가 개발되면서 지하수를 너무 많이 뽑아 올리는 바람에 용천수의 용출량이 급격하게 줄고 쌀값이 폭락하면서 논농사가 경쟁력을 잃게 되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강정을 대표하던 강정과 강정은어도 이야기로만 남게 되었고, 논농사를 지으며 부르던 일노래도 한낱 가사로만 남아있다. 강정마을의 물 이야기들은 물이 부족하던 제주섬의 주요한 생태문화자산이면서 제주섬의 물 문화의 지평을 넓히는 데 한몫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더 늦기 전에일강정의 옛 모습을 복원하여 생태박물관(Eco Museum)으로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물을 주제로 한 생태박물관은 일강정의 물 문화유산을 보존 전승하기 위한 기틀이되고, 지역 생산물을 이용하여 지역주민의 소득을 높이면서, 그동안 분열되었던 마을공동체를 복원해나가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to lack of water. However, Gangjeong Village in Seogwipo-si has ‘Keunnae(Gangjeong River)’ and ‘Akeunnae(Akgeun River)’ that flow all year round, and large and small springs spring up, so it is blessed with natural conditions for rice farming. Therefore, Gangjeong Village was nicknamed ‘Ilgangjeong(Best Gangjeong)’. In Gangjeong,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water that are hard to find in other areas of Jeju Island. In particular, Gangjeong-Rice and Gangjeong-Sweetfish are things that anyone from that village can be proud of. However, from the late 1980s, Gangjeong Village began to decline. With the construction of a water intake plant in Gangjeong and the development of groundwater, too much groundwater is being drawn up. As a result, the output of spring water sharply decreased and the price of rice plummeted, making rice farming less competitive. Now, Gangjeong-Rice and Gangjeong-Sweetfish, which were representative of Gangjeong, are left only as stories, and the work songs that were sung while farming rice remain only as lyrics. The stories about water in Gangjeong Village are the main ecolog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Jeju Island, where water was scarce. Before it is too late,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old appearance of Gangjeong and make it an Eco Museum. The water-themed ecological museum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he water cultural heritage of Ilgangjeong, raising the income of local residents by using local products, and will greatly contribute to restoring the divided villag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곶, 자왈, 곶자왈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윤용택(Yong Taek Yoon) 제주학회 2014 濟州島硏究 Vol.41 No.-

        ‘곶자왈’ 은 ‘꽂’과 ‘자왈’의 합성어로 제주도의 용암지대에 형성된 숲을 말한다. 곶자왈은 지하수 함양지대이면서 생태계의 보고가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주사람들은 곶자왈에서 나무를 하고 숯을 굽고 약용식물을 캐고 꿀벌을 치며 살아왔고, 위난의 시기에는 피신처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역사 문화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하지만 아직도 곶자왈에 대한 정의(定義)와 범위가 학자들 사이에 합의 되지 않고 있다. 여기서는 인문학적 측면에서 ‘곶자활’의 정의와 범위 설정에 따르는 문제점과 그 대안을 제시해보고, 곶에서 행해졌던 제주민의 삶을 되돌아보고, 오늘날 제주인에게 곶자왈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 논해보겠다. 곶자왈은 농사를 지을 수 없는 까닭에 제주인에게는 불모의 땅으로 인식 되어 왔다. 그러나 원시림의 신비를 간직한 곶은 일찍부터 지역주민들의 삶의 터전이었고, 아낌없이 주는 어머니 대지였고, 제주민 모두의 창고였다. 곶은 궤와 동굴 등이 있는데다 밀림이 우거져 위험에 처한 생명들의 생존을 위해 찾아가는 피난처이다. 위기에 처한 생명들의 피신처인 곶은 모든 생명의 안식처로서 보전되어야 한다. 아직도 개발되지 않고 남아 있는 곶자왈은 개발 예정지가 아니라 잘 보 전하면서 남겨둘 때 더 큰 가치를 발휘할 것이다. 곶자왈은 신이 우리 제주도민에게 준 보물이다. 보물은 거기에 흠집을 내면 낼수록 그 가치가 손상된다. Cotjawal is defined as a forest being formed on the rocky ground with Got meaning a forest and Jawal rock or rubbles. Gotjawal forest is found on the volcanic terrain formed by lava flow. Gotjawal forest plays a role as a natural waterway needed to create underground water. And Gotjawal is composed of warm-temperate forest and temperate forest with high diversity of plant and vegetation. Jeju local residents have cut down trees, burnt charcoal kept bees, picked medicinal herbs, and hidden themselves encountering a danger in Gotjawal forest But the definition and area of Gotjawal has not agreed with yet. This paper is aimed to analyze problems with defining and fixing the boundary of Gotjawal, to suggest alternative ideas of them, and to explain why it is important to Jeju local residents from the viewpoint of humanities. Jeju local residents regard Gotjawal as a wasteland because they didn t engage in farming on it But Gotjawal is the original state of nature, form the basis of livelihood and storehouse of Jeju local residents. Gotjawal is rot preset area to develop, but to be preserved as a resting place for human being and many living things.

      • KCI등재후보

        석주명이 본 제주문화 속의 몽골적 요소에 대한 재검토

        윤용택(Yoon Yong-taek)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3 No.-

        제주도는 13~14세기에 대몽골(원)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어서 언어와 풍습 등 일부 제주문화 속에 몽골적 요소들이 남아있다. 하지만 15세기부터 600여 년 동안 제주도와 몽골은 완전히 교류가 단절되었고, 그 사이에 두 지역에서는 정치적 변화에 따른 문화변동도 있었다. 1990년 한·몽수교가 이뤄지면서 한국과 몽골 사이에 교류가 재개되었고, 그 이후 제주문화에 몽골이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다. 나비박사로 유명한 석주명(1908~1950)은 1940년대 초에 내몽골 동부지역을 여행하고 제주도에 2년 동안 거주하면서 두 지역의 언어와 풍습을 비교 연구한 바 있다. 그는 제주도의 전통문화에 몽골적 요소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근대 이후 첫 한국인이다. 하지만 그는 전문 인문사회학자나 인류학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제주도와 몽골에 관련된 진술들 가운데는 오류들도 더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남긴 자료들은 제주도와 몽골의 언어와 풍습을 비교 연구하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제주도의 전통문화 속에 몽골적 요소들이 남아 있다면, 그것은 13~14세기 몽골문화의 흔적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제주인에게는 제주문화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는 중요 자료가 되고, 몽골인에게는 잃어버리고 잊힌 몽골의 전통문화와 정체성을 복원하는 데 기여할 자료가 될 것이다. Jeju Island was dominated by the Mongolian Empire in the 13th~14th centuries. Therefore, Mongolian elements remain in the language and customs of Jeju Island. However, for 600 years from the 15th century, Jeju and Mongolia were completely disconnected. In the meantime, there were cultural changes in both regions due to political changes. In 1990,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began again as diplomatic relations normalized between Korea and Mongolia. Since then,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ing on the influence of Mongolia on Jeju culture. Seok Joo-Myung (1908-1950), famous for butterfly expert, traveled to eastern Inner Mongolia in the early 1940s, and lived and studied in Jeju Island for two years. He has studied and compared the languages and customs of the two regions. He is the first Korean since modern times to study and focus on Mongolian elements in Jeju s traditional culture. However, because he was not a professional human sociologist or anthropologist, there are some errors in the statements concerning Jeju and Mongolia. Nevertheless, the data left by Seok Joo-Myung are basic data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pare and study the language and customs of Jeju Island and Mongolia. If Mongolian elements remain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Jeju Island, it will be trace of Mongolian culture in the 13th~14th centuries. And if we can confirm it, it will be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Jeju culture for Jeju people, and it will be a material to contribute to restoring the forgotten traditional culture and identity of Mongolia for Mongolians.

      • KCI등재후보

        제주의 근대 인물유산으로서 석주명

        윤용택(Yoon, Yong-Taek)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오늘날 각 지역과 국가뿐만 아니라 유네스코에서는 가치 있는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을 보전하고 전승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들을 두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유산 유형분류방식에 따르면, 한 시대나 사회의 귀감이 되는 인물 자체는 유산으로 지정할 수 없다. 학문, 교육, 문화, 예술 등에서 제주문화 창달에 기여한 이들은 제주지역의 큰 자산이다. 나비박사로 알려진 석주명(1908~1950)은 근대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 중의 한 사람으로 ‘세계적 나비학자’, ‘융복합학자’, ‘세방주의자’, ‘한국의 르네상스인’, ‘제주학의 선구자’ 등으로 불리고 있다. 그는 지역주의, 민족주의, 세계주의 어느 한 쪽에 매몰되거나 배척하지 않고 모두를 잘 받아들여 조화를 이뤘고, 다양한 분야에 두루 능통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이념이나 관점을 녹여내어 화합하려고 했다. 그런 점에서 그는 근대인물이지만, 현대에 더 어울리는 시대를 앞서간 인물이라 평가할 수 있다. 2020년 6월 그가 근무했던 구(舊)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 제주시험장이 국가등록문화재 제785호로 공식 지정되었다. 그리고 제주특별자치도는 2020년 7월 제주지역의 발전과 도민 복리에 기여한 분의 숭고한 뜻을 연구하고 계승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역발전 공헌자에 대한 기념사업 지원 조례’를 제정하였다. 이를 계기로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주문화 창달에 기여한 석주명을 제주의 근대인물유산으로 지정하고, 그의 뜻과 정신을 널리 알리고, 교육하고, 선양하는 다양한 사업들을 펼쳐나갈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to each region and country, UNESCO has various systems and institutions to preserve and transmit valuable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s. However, according to such a type of heritage classification method, a person who serves as a model for an era or society cannot be designated as a heritage. Those who have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Jeju culture in academics, education, culture, and art are great assets of the Jeju region. Seok Du-Myeong(1908-1950), known as Dr. Butterfly, is one of the leading scientists in modern Korea. He is called a Global butterfly scholar , Convergence scholar , Glocalist , Korean Renaissance man , and Pioneer of Jeju studies . He did not get immersed in or rejected either regionalism, nationalism, or globalism, but accepted and harmonized them all. Not only is he an expert in various fields, but he tried to harmonize by melting different ideologies and viewpoints. In that respect, he can be evaluated as a person who has preceded the times that are more suitable for nowadays. In June 2020, the Jeju Experiment Station of the Herbal Medicine Research Institute of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where he served as the director, was officially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No.785. In addition, in July 2020,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nacted the Ordinance for Commemoration Project Support for Contributors to Regional Development in order to study and inherit the noble will of those who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Jeju region. Taking this opportunity,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Seok Du-Myeong as a modern person heritage, and to carry out various projects to educate and promote his will and spirit.

      • KCI등재

        제주도민의 정체성과 생활문화 의식

        윤용택(Yong Taek Yoon) 제주학회 2015 濟州島硏究 Vol.43 No.-

        지난 100년 동안 제주도는 일제강점기, 제주4.3 한국전쟁, 새마을운동, 관광산업화 등을 겪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외지인이 제주도민으로 편입되고, 외지문화가 유입되면서 생활문화가 바뀌고 있고 제주도민의 의식도 많이 변하였다. 특히 최근에 제주가 국제관광지로 되면서 관광객이 밀려들고, 많은 이들이 제주도로 귀농· 귀촌· 이주하면서 제주다움과 정체성도 변하고 있다. 제주도민의 정체성은 자의식, 언어, 의식주, 신앙, 혼례 및 장례 등의 생활문화에서 드러난다. 여기서는 2014년 4월 제주도에 5년 이상 거주하는 성인 300명을 표본추출 하여 제주인의 기준, 언어생활, 의식주생활, 신앙생활, 혼례 및 장례문화 등에 대한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제주도민의 자의식과 생활문화 의식을 살펴보았다. 제주적인 것이 모두 다 좋고 훌륭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제주적인 것들 가운데 보편적 가치를 지닌 것은 지키고, 오늘날 우리의 삶에 족쇄가 되는 것은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겉으로 드러난 문화현상보다는 그 문화가 생겨나게 된 배경과 거기에 함축된 의미를 파악하여 오늘날에도 유효하도록 계승하거나 변용하는 것이다. During the past 100 years Jeju islanders suffered Japanese occupation, Jeju April 3 Incident, Korean War, Saemaul Undong (New Community Movement), tourism industrialization and so on. In the process, many outsiders are incorporatied into the Jeju people, other cultures are introduced, and varied cultural life has changed a lot of Jeju Islanders consciousness. Recently holding Jeju island as an international tourist destination many mainlanders are migrating to Jeju island, Jejuness and Jeju islanders identity are also changing. Jeju Islanders identity is evident in the culture of life, such as self-consciousness, Jeju dialect, food, clothing, shelter, faith, weddings and funerals etc.. Here, in April 2014 sampling the adult 300 people living more than five years in Jeju island, Jeju islanders’ cultural life and consciousness are examined. Jejuness is not all of it good and great. We should keep it with the universal values of Jeju things, and throw away the shackles among Jeju ones in our liv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and the cultural background than a cultural phenomenon, and to inherit or transform to be valid today.

      • KCI등재

        제주도 중산간 벵듸의 가치와 보전방안 연구

        윤용택(Yoon Yong-taek),김동주(Kim Dong-joo),양연수(Yang Yeon-soo),이영웅(Lee Young-ung) 제주학회 2017 濟州島硏究 Vol.47 No.-

        제주도에는 우리나라 전체 초지의 거의 절반에 이르는 풍부한 초지가 있어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마을공동목장이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마을공동목장은 `주변 지역에 비해 넓고 평평한 들판 또는 벌판`을 이르는 중산간지대의 `벵듸`를 중심으로 많이 분포해있다. 중산간 벵듸는 오름, 곶자왈과 함께 제주도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지형으로 제주도의 소중한 자원이다. 해안과 한라산을 잇는 주요한 생태축 역할을 하는 중산간 벵듸는 땅 밑에는 동굴이 있고 땅 위로는 수많은 습지를 품고 있는 제주인의 주요 생활터전이자 제주 목축문화의 거점이다. 하지만 중산간 벵듸는 마을공동목장이 외지자본에 팔려나가 골프장과 레저단지 등으로 개발되면서 위기에 처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벵듸에 대한 학술적 개념을 정립하고, 중산간 벵듸의 다양한 가치를 드러내고, 그 보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Jeju Island has a wide grassland, and the village communal ranches. Jeju people call the wide and flat area `Bengdui1. The village communal ranches are distributed around Jungsanganbengdui (Mid-Mountain Grassland). Jungsanganbengdui is a valuable resource of Jeju Island. It is a major ecological axis connecting the coast and Mt. Halla, with caves beneath the ground and numerous wetlands on the ground. It is also a major habitat for Jeju people and a base for 700 years of herding culture. However, It is in crisis because the village communal ranches are sold to the outside capital and developed as a golf course and a leisure complex. In this study, I establish the academic concept of Bengdui, reveal the various values of Jungsanganbengdui and propose the plan to conserv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