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대상피질의 손상은 조건공포의 소거를 촉진시킨다

        윤영화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11 No.1

        전대상피질이 공포조건화에서 하는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대상피질을 전해질손상하여 조건공포의 습득과 소거에 미치는 영향을 동결반응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동결반응을 습득기간과 소거기간동안 측정하였으며 조건자극(CS)이 제시되기 전 20초 동안과 CS가 제시되는 20초 동안 측정하여 훈련상자인 맥락자극에 대한 조건공포반응과 CS에 대한 조건공포반응을 따로 조사하였다. 전대상피질 손상집단의 경우, 3, 4 훈련회기에 맥락자극에 대한 조건공포반응이 통제시술집단의 반응보다 유의미하게 적게 나타났다. CS에 대해서는 2, 3 훈련회기에서는 전대상피질 손상집단의 조건공포수준이 통제시술집단의 반응과 차이가 없었으나 4 훈련회기때 조건공포반응은 통제시술집단의 반응보다 유의미하게 적었다. 2, 3, 4 훈련회기 동안 맥락자극이 제시되는 기간과 CS가 제시되는 기간의 각 20초 검사기간 중 18~20초 동안 동결반응을 보인 회수를 합한 값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전대상피질 손상집단의 최대동결반응 회수가 통제시술집단의 회수보다 유의미하게 적었다. 전대상피질 손상집단은 CS와 맥락에 대한 소거가 통제시술집단보다 빨랐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자의 이전 연구에서(윤영화 등, 1998) 내측 전전두피질의 변연하영역의 손상이 CS에 대한 조건공포의 습득을 촉진시키고 CS에 대한 소거를 지체시켰으며 변연전영역의 손상은 맥락자극이나 CS에 대한 조건공포의 습득을 촉진시키고 소거를 지체시킨 결과와 대조가 된다. 본 연구에서 전대상피질 손상은 맥락에 대해서 조건공포반응을 감소시켰다. 또한 맥락자극이나 CS에 대한 소거를 촉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전대상피질이 맥락에 대한 조건공포의 습득에 중요하며, 맥락이나 CS에 대한 조건공포의 소거를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anterior cingulate cortex (Acc: Brodman area 24) in the fear conditioning in rats using Pavlovian conditioning paradigm. Conditioned fear (freezing responses) was measured during both the acquisition and the extinction phases of the task. Conditioned fear was measured both at the conditioned stimulus (CS) and at contextual stimuli during both phases. Acc lesions attenuated conditioned fear to contextual stimuli but not to CS during acquisition. Acc lesions prompted extinction to both contextual stimuli and CS. These results show that Acc lesions facilitate extinction of conditioned fear to context and CS and decrease conditioned fear of context and suggest that Acc may be involved in the acquisition of conditioned fear to contextual stimuli, and in the inhibition of extinction of conditioned fear both to contextual stimuli and to CS.

      • 번연전영역이나 전대상피질 손상이 모리스 수중미로에서 시각식별과제에서 공간위치과제로 전환되었을 때 나타내는 효과

        윤영화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12 No.1

        윤영화ㆍ민선식(2000)에서 내측 전전두피질의 변연전영역이나 전대상피질의 기능을 밝히기 위하여 피험동물에게 공간위치 과제를 훈련시킨 후 시각식별 과제를 훈련시켰다. 그런데 훈련절차상 과제의 변경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내측 전전두피질의 변연전영역이나 전대상피질이 주의통제나 전략변경 또는 공간위치 학습에서 중요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험동물을 모리스 수중미로에서 시각단서 과제를 훈련시킨 후 공간위치 과제를 훈련시켰다. 첫 번째 과제로 피험동물에게 보이는 도피대를 찾는 시각단서 과제를 훈련시킨 후 그 후 물 밑에 있어 보이지 않는 도피대를 찾는 공간 참조기억 과제와 공간 작업기억 과제를 훈련시켰다. 변연전영역 손상동물은 시각단서 과제에서 결함을 나타내었으나 그 후 훈련받은 공간 참조기억 과제나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결함을 나타내지 않았다. 전대상피질 손상동물에게서는 시각단서 과제에서, 또 공간 참조기억 과제에서 결함이 야기되었으나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결함이 야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변연전영역이 주의통제에, 전대상피질이 새로운 상황이나 도전적인 상황에서 규칙을 학습하여 반응을 재조직화하는데 중요함을 나타낸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 prelimbic area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of the rat is important subtrates in the attentional control or strategy shift and in the spatial localization learning with Morris water maze. In the 1st task, rats with either prelimbic area or anterior cingulate cortex lesions were subjected to the visually-cued task with the visible platform. And then they were subjected to spatial reference memory task, transfer test and then spatial working task. In the visually-cued task, animals with prelimbic lesions showed a transient impairment and animals with anterior cingulate cortex lesions showed impairment that lasted than the prelimbic lesion animals'. In the spatial localization task with the invisible platform, animals with prelimbic area lesions learned and remembered the platform equally well as their controls. However animals with anterior cingulater cortex showed impairment in the spatial reference task but no impairment in the spatial working task.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hat prelimbic area may be involved in the attentional control and anterior cingulater cortex in the learning of rules and response reorganization in a new and challenging situation.

      • 변연전영역 손상이나 전대상피질 손상이 주의통제나 전략변경이 필요한 방사형미로 과제에 미치는 영향

        윤영화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12 No.1

        윤영화와 김현택(1999)에서 쥐의 변연전영역과 전대상피질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방사형미로를 사용하여 피험동물에게 공간기억 전략을 사용해야 하는 세 가지 과제를 차례로 훈련시켰다. 첫 번째 과제와 두 번째 과제는 두 단계로 된 지연이 있는 spatial win-shift과제였으며 세 번째 과제는 한 단계로 된 물찾기 과제였다. 변연전영역이 손상된 동물은 세 가지 과제 어디에서도 결함을 나타내지 않았다. 전대상피질 손상동물은 첫 번째 과제에서만 결함을 나타내어 이미 물을 마셨던 미로가지를 재방문하는 실수를 많이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과제와 두 번째 과제로 이전 연구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두 단계로 된 지연이 있는 spatial win-shift과제를 사용하여 피험동물을 과잉훈련시켰다. 그 후 세 번째 과제로, 새로운 과제인 시각 단서과제를 8회기동안 훈련시켰다. 실험결과, 세 번째 과제에서 변연전영역 손상동물은 훈련초기인 3회기때 일시적인 결함을 나타냈다. 전대상피질 손상동물은 3, 4, 5, 6회기동안 결함을 나타냈으며 준거에 도달하는 데에도 더 많은 회기가 필요했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자는 변연전영역은 주의통제나 전략변경에, 전대상피질은 새로운 도전적인 상황에서 행동을 재조직화하는데 관련될 것으로 제안하였다. Yun et al.(1999) investigated the role of prelimbic area(P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ACC) of medial prefrontal cortex using two delayed spatial win-shift(SWS) tasks and a single phase random foraging task on an 8-arm radial maze. Delayed SWS task consisted of a training and a testing phase separated by a delay period(5 min. in the 1st task, and 30min. in the 2nd task). PL-lesioned animals learned all the 3 tasks as well as the control animals. However ACC-lesioned animals revisited previously baited arms in the training and test phase. In this study subjects were also overtrained by using the same delayed SWS tasks and then they were trained in a new visual cueing task for 8 sessions. In the new task, PL-lesioned animals showed impairment in the 3rd session but it lasted transiently. ACC-lesioned animals showed impairment at the 3th, 4th, 5th, 6th session.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that PL is involved in attention control or strategy shift, and ACC involved in the reorganization of information in a new and challenging situation.

      • 쥐의 도구적 욕구조건화에서 소뇌의 기능

        윤영화,김기석 한국심리학회 1990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2 No.1

        본연구에서는 순막조건화와 같은 고전적 혐오조건화에 필수적인 신경구조물로 밝혀지고 있는 소뇌가 도구적 욕구조건화를 습득하거나 파지하는데에도 결정적으로 중요한 신경실체인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물박탈된 쥐에게 강화자인 물을 얻기 위해 지렛대를 누르도록 조건화시킨 후 치상핵과 중간핵을 양측으로 손상시켜 파지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2에서는 소뇌손상후 지렛대누르기를 훈련시켜 조건화 유무를 알아보았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소뇌 치상핵과 중간핵의 양측 손상이 도구적 욕구조건화의 습득과 파지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같은 결과로 볼 때 소뇌는 도구적 욕구조건화의 결정적 신경실체로 보이지 않는다. Cerebellum has been shown to be critically involved in the aversive classical condtioning.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the cerebellum is essential to learn lever pressing conditioning of the rat using trained to press a lever in the Skinner box to get a drop of water. After interpositus and dentate nuclei. Six animals that were lesioned bilaterally at the interpositus and dentate nuclei and eight ones lesiond at the surrounding areas showed good retention as well as six control animals that were sham-operarted. In experiment 2, twelve animals were lesioned at the cerebellar interpositus and dentate nuclei and seven ones were sham-operated and then all lesioned at the interpositus and dentate nuclei and three ones lesioned at the surrounding areas displayed no difference from seven control ones in the acquis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erebellum is not critically involved in the appetitive instrumental conditioning of the rat.

      • 내측 전전두피질의 변연전영역과 전대상피질이 방사형미로를 사용한 공간지연과제에서 하는 역할 : anterior cingulate cortex is involved in memory demanding tasks

        윤영화,김현택 한국심리학회 1999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11 No.1

        쥐 내측 전전두피질의 두 하위영역인 변연전영역과 전대상피질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해질손상하였다. 그 후 피험동물에게 미로가지가 8개인 방사형미로를 사용하여 세 가지 과제를 차례로 훈련시키면서 손상이 물찾기 과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과제와 두 번째 과제는 훈련단계와 검사단계인 두 단계로 되어 있었다. 두 단계 사이에는 지연이 있었으며 그 지연이 첫 번째 과제에서는 5분, 두 번째 과제에서는 30분이었다. 두 과제 모두 지연이 있는 spatial win-shift과제였다. 세 번째 과제는 한 단계로 된 물찾기 과제였다. 변연전영역이 손상된 동물은 이 세 가지 과제 어디에서도 결함을 나타내지 않았다. 전대상피질 손상동물은 첫 번째 과제에서 결함을 나타내어 훈련단계동안이나 검사단계동안 이미 물을 마셨던 미로가지를 재방문하는 실수를 많이 나타내었다. 그러나 준거에 도달하였다. 뒤이어 훈련받은 두 번째 과제와 세 번째 과제에서는 결함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로써 본 연구자들은 변연전영역은 작업기억이나 공간학습에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전대상피질은 기억부담이 많은 상황에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중요한 뇌구조물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전대상피질은 그러한 과제에서도 훈련의 초기에 관련되며 훈련이 진행되면서는 덜 관련되는 것으로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prelimbic area (P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CC) of medial prefrontal cortex using two delayed spatial win-shift (SWS) tasks and a single-phase random foraging task on an 8-arm radial maze. Delayed SWS task consisted of a training and a test phase separated by a delay period (5 min. in the 1st task and 30 min. in the 2nd task). PL-lesioned animals learned all the 3 tasks as well as the control animals. However ACC-lesioned animals revisited previously baited arms in the training and the test phase but they achieved performance criterion in the 1st task. ACC-lesioned animals showed no impairment in the 2nd or the 3rd task. These data suggest that PL is involved neither in working memory nor spatial learning and that ACC is important in memory demanding tasks. The effects of lesions of the ACC diminished as the training progressed. ACC appears to be of particular importance for a difficult task in a new and challenging situation.

      • KCI등재
      • 도구적 조건화에서의 소뇌의 기능 : 쥐의 혐오 조건화를 중심으로

        윤영화,김기석,이만영 한국심리학회 1990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2 No.1

        순막조건화와 같은 고전적 혐오조건화에 필수적인 신경구조물로 밝혀지고 있는 소뇌가 도구적 혐오조건화를 습득하거나 파지하는데에도 결정적으로 중요한 신경신체인가 밝히고자 두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쥐가 소리경고신호에 대해 지렛대를 누르거나 소리에 뒤따라 제시되는 전기쇼크를 받고 지렛대를 누르면 경고신호와 쇼크가 중단된다. 조건화가 형성된 후 실험동물의 소뇌 치상핵과 중간핵을 손상시킨후 회복시켜 파지검사와 재훈련을 실시했다. 실험 2에서는 소뇌를 미리 손상시킨 후 훈련을 실시하여 조건화 유무를 알아보았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 중간핵과 치상핵이 손상된 피험동물들은 도구적 혐오조건화의 습득 및 파지에서 결함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로 도구적 혐오조건화의 신경실체는 고전적 혐오조건화의 신경실체와 다르며 도구적 조건화동안 그 기억흔적이 소뇌에 저장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Classical conditioning of the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of rabbits has been shown to be critically upon the cerebllum.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erebellum is also critically involved in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aversive instrumental conditioning of the rat. In experiment 1, all animals were trained to press a lever in order to avoid or escape electric shock. When animals press the lever during the tone signal or during the shock following the tone, the tone and shock is discontinued. After training,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lesioned bilaterally at the cerebellar interpositus and dentate nuclei. Six animals that were lesioned bilaterally at the interpositus and dentate nuclei and six animals lesioned at the surrounding areas displayed good retention as well as seven control animals that were sham-operated. In experiment 2, forteen animals of experimental group were lesioned bilaterally at the interpositus and dentate nuclei bilaterally and seven control ones in the acqusition of the task.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erebellum is not a critical neural substrate in the aversive instrumental conditioning of the rat.

      • 변연전영역이나 전대상피질 손상이 모리스 수중미로에서, 공간 참조기억과제, 공간 작업기억과제, 그후 시각 단서과제로 전환되었을 때 나타내는 효과

        윤영화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13 No.1

        모리스 수중미로를 사용하여 내측 전전두피질의 변연전영역이나 전대상피질이 주의통제나 전략변경에 관련되는가 알아보기 위하여 모든 피험동물에게 공간 참조기억 과제, 공간 작업기억 과제, 시각 단서과제 모두를 차례대로 수행시켰다. 변연전영역이나 전대상피질을 전해질손상하여 통제동물과 학습과정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과제와 두 번째 과제는 물 밑에 있어 보이지 않는 도피대를 미로 밖에 있는 공간단서를 사용하여 찾아야 하는 공간위치 과제로, 첫 번째 공간 참조기억 과제에서는 도피대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피험동물의 출발위치가 변한다. 두 번째 과제인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각 회기마다 도피대의 위치가 변한다. 세 번째 과제인 시각단서 과제에서는 수면 위에 나와 있는 도피대를 보고 찾아가는 과제이다. 변연전영역의 손상은 공간 참조기억 과제나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 아무런 결함을 야기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시각단서 과제에는 일시적인 결함을 야기시켰다. 전대상피질 손상동물은 공간 참조기억 과제의 8회기 훈련회기중 7회기 첫 시행과 8회기 첫 시행에서 결함을 나타내었다. 전대상피질 손상동물은 그 후 훈련받은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도 첫 회기 2시행과 2회기 첫 시행에서 결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각단서 과제에서는 결함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변연전영역은 효율적인 주의통제에 중요하고 전대상피질은 도전적인 상황에서 전략적인 감독과정이 중요할 때 관련되는 것으로 제안한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 prelimbic area and anterior cingulater cortes of the rat is important subtrates in the spatial localization task and visually-cued task with Morris water maze. In the spatial localization tasks, with the invisible platform, rats with either prelimbic area or anterior cingulate cortex lesions were subjected to spatial reference memory task, tranfer test and then spatial working memory task. Animals with prelimbic area lesion learned and remembered the spatial task equally as well as their controls. However Animals with anterior cingulater cortex lesion were initially slower in localizing the invisible platform than controls in the spatial reference and the spatial working memory tasks but the impairments were transient. In the visually-cued task with visible platform, animals with prelimbic area lesion showed a transient impairment but animals with cingulate cortex lesion no impairment. Their results wer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prelimbic area may be involved in the attentional contro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in the learning of rules and response reorganization in a new and challenging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