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알츠하이머병에서 내측두엽위축과 백질병변의 영향에 대한 비교분석연구

        윤영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and objectives: With the epidemiologic evidences supporting the vascular disease a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Alzheimer disease (AD), we ai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not only the major 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blood pressure, diabetes mellitus (DM), blood lipids, homocysteine, smoking and heart disease, but relationships among medial temporal atrophy, ischemic white matter changes and cognitive impairment and cognitive impairment in probable AD patients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Of the total 269 visitors at Cognitive and Language Disorder clinic, Ewha Womans University and Yangcheon center for Dementia, 198 patients fulfilling inclusion criteria of probable AD and 38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but not demented was used as controls from 2006 to 2008. We reviewed their medical histories including hypertension, DM, heart disease,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stroke, hyperlipidemia, smoking, and check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s (T1-, T2- weighted, FLAIR) to grade degrees of white matter ischemia, which was divided into lacune,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PVH), deep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DWH). Thereafter, we analyzed the prevalence of vascular risk factors in AD and associations among medial temporal atrophy, ischemic white matter changes and cognitive decline. Results: All vascular risk factors were showed higher prevalences in AD group than in general Korean population. Medial temporal atrophy and all categories in ischemic white matter changes were absolutely predominant in AD group than in control group. But cognitive impairments were correlated only with medial temporal atrophy. Discussion: This study showed vascular risk factors, degree of medial temporal atrophy and ischemic white matter changes are higher in AD group than in normal control group. 혈관 성 위험인자들이 알츠하이머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역학적 증거에 따라, 저자들은 알츠하이머병에서의 혈압, 당뇨, 혈중 지질, 흡연과 같은 혈관 성 위험인자들의 유병률과 내 측 두 엽 위축(medial temporal atrophy, 이후 MTA)와 뇌 백질 병 변 과 인지 기능의 저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억력 장애로 이 대 목동병원 인지검사실과 양천구 치매지원센터를 방문한 총 269명의 환자 중에 198명이 알츠하이머 환자로 진단되었으며, 38명은 주관적인 인지기능 장애를 호소하였으나, 객관적인 검사에서는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대조 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의 의무 기록과 뇌 자기공명영상을 확인한 후에, 알츠하이머 환자 군에서의 혈관 성 위험인자의 유병률과 MTA, 뇌 백질 병 변과 인지기능의 장애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모든 혈관 성 위험인자들은 일반적인 한국인구에서보다 높았으며, MTA와 허 혈성 백질 병 변도 대조 군보다 환자 군에서 더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인지기능은 백질 병 변 과는 무관하게 MTA와 연관이 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임상적으로는 알츠하이머 유형의 치매를 나타내지만 신경병리학적으로는 알츠하이머 병리와 뇌혈관 병리를 함께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또한 혈관 성 위험인자들이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가속화시킨다는 보고들이 있어, 혈관 성 위험인자들을 치료하는 것이 알츠하이머병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특성에 대한 일반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연구

        윤영신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Although early discovery and intervention of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danger of further disability,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ho are the subjects of early discovery is currently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general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garding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that can establish a system of early assessment and diagnosis for early intervention of children at-ris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8 general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15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throughou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urveys were u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risk in six domains of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results were report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perceptions of the verb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mostly included behaviors such as showing difficulty in information comprehension, memory and execution, not performing teachers’directions, demanding repetition of the message of the direction, and imitating peers to follow the direction. Also, they were reported to use simple and limited range of vocabulary and unclear pronunciation. Seco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were perceived by the teachers as not completing their tasks in time, feeling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right from left, quickly forgetting recently acquired knowledge, not retaining past learning points, and not being able to describe an event in a chronological order. Thirdly, as for the perceptions of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a high percentage of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thought children have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when they did not pay attention when others spoke or when they spoiled class atmosphere. Children at-risk were also reported to show difficulty in co-operational play with peers in kindergartens, and in understanding the social rules in a group or a family activity. Fourth, the characteristic of kinesthetic co-ordinations of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perceived by the teachers was the impeded development of the small muscles. Children at-risk were reported to be unable to adjust their muscle energy in using pencil or scissors and thus, have difficulty in cutting papers. Fifth,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sense of children at-risk in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a high percentage of teachers perceived children at-risk as those who were more easily distracted by small noise than mainstream children, who responded slowly or did not perform at all when called by their names or given a direction, and who show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what they had heard. Sixth,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e of seeing of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the children at-risk were reported to have difficulty in attaining a meaningful understanding of what they saw, drop characters, syllables or words, or read in opposite direction while reading texts, and cannot find the same character as the one given by the teacher. Seventh, regard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six domains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all domains above of verbal, cognitive, social, kinesthetic coordination, sense of hearing and sense of seeing showed a high level of correl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general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diverse and sustained opportunities to be educated about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and about its early diagnostic methods and early intervention. Second, current assessment tools and procedures for learning disabilities are mostly aimed for children in schools, an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election tools for children at-risk before school age should be studied in future research. Third, for an effective early intervention of children at-risk for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selection,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promote improvement in various developmental domains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s since the participants are limited to Seoul and Gyeonggi area, and only general teachers were examined using only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s, and thus, calls for a careful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를 조기 발견하여 중재하는 경우 추후 장애로 인한 위험성을 줄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조기 발견을 위한 대상 유아의 특성에 관한 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특성에 대한 일반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대상 유아의 조기 중재를 위한 조기진단·판별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 사립유치원 15개의 일반 교사 148명을 대상으로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여섯 가지 영역에 관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보고되었다. 첫째,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인식으로 대상 유아들은 정보의 이해 및 기억, 실행의 어려움을 보이며, 교사가 지시한 내용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지시 내용의 반복을 요구하며, 지시 내용을 실시하기 위해 옆 친구의 행동을 모방하는 경우가 주요하게 나타났다. 또한, 미성숙하고 제한된 어휘를 사용하며, 발음이 부정확한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둘째,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해 교사들은 대 상 유아들이 시간 내에 주어진 과제를 완성하지 못하고, 왼쪽과 오른쪽을 구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으며, 습득한 지식을 금방 잊거나, 기존의 학습내용을 기억하지 못하고, 일어난 사건을 순서대로 말하지 못하는 특성을 언급하였다. 셋째,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사회적 특성의 인식에서 교사들은 대상 유아가 다른 사람이 말할 때 주의 깊게 듣지 않거나, 학급분위기를 흩트리는 행위를 보일 때 발달적 학습장애 위험 유아라고 생각하는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은 유치원에서 친구들과의 협동놀이를 어려워하며, 단체나 가족 활동에서 관계상 지켜야하는 규칙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넷째, 교사가 인식하는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운동협응 특성은 소근육 발달의 지체가 주요한 문제로 나타났다. 대상 유아들은 연필, 가위 등의 사용에서 힘을 조절하지 못하여 모양자르기를 어려워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다섯째,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청지각 특성에서 교사들은 대상유아들이 작은 소음에도 일반 유아들보다 쉽게 산만해지고 활동에 집중하지 못하며, 이름을 부르거나 지시를 내렸을 때 반응이 느리거나 수행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들은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유아라고 생각하는 것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시지각 특성으로 대상유아는 본 것을 의미 있게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글을 읽을 때 글자, 음절, 단어를 빠뜨리거나 반대로 읽고, 교사가 제시한 글자와 같은 글자를 찾아내지 못하는 특성을 보인다고 언급하였다. 일곱째,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가 보이는 여섯 가지 영역의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언어, 인지, 사회, 운동협응, 청지각, 시지각 모든 영역간의 매우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교사와 연구자를 위한 제언은 첫째, 유아교육 현장의 일반 유아 교사들에게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에 대한 지식과 조기 판별 방법 및 조기 중재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하고 지속적인 연수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현재 대부분의 학습장애아동에 관한 판별도구 및 절차가 학령기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학령 전 위험유아의 선별도구 개발이 후속 연구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선별을 통한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효과적인 조기 중재를 위해 다양한 발달 영역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종합적인 중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대상이 서울과 경기도의 지역 내에 한정되어 있는 점과 일반 교사만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의 설문지만을 사용하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결과 해석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 관련변인 연구

        윤영신 淑明女子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을 의지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의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청소년기에는 자기조절과정에서 주체적인 역할을 하는 자기(self)의 정체감확립이 발달과제인 시기이다. 따라서 청소년기 자기조절능력 발달의 중요성과 개인의 중요 적응능력의 하나로서 관련변인들을 탐색하여 양육, 교육, 훈련 및 개입의 필요성과 적용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의 성과 연령에 따른 차이와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내적 성격특성 및 부모양육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조절능력이 청소년기 적응의 지표라 할 수 있는 행동문제와 일상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 1,2학년, 일반계 및 공업계 고등학교 1, 2학년 731명이었다.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의 측정도구는 Kuhl의 의지구성목록(VCI-S)을 본 연구자가 번안하고 예비조사 후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관련변인 측정도구로 성격특성은 Kuhl의 행위통제성향척도와 일상 스트레스척도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부모양육행동 척도는 허묘연(2000)이 개발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척도를, 행동문제척도는 오경자 등(1990)이 번안하여 표준화한 청소년자기행동평가척도(K-YSR)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기술통계,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ANOVA, 단계적 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은 연령별로만 차이를 보이며, 자기조절양식은 연령이 어릴수록, 의지적 억제양식은 연령이 높을수록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에 성격특성인 행위통제성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양식에 행위통제성향의 착수성향이 정적 영향을, 의지적 억제양식에는 행위통제성향의 이탈, 착수성향이 모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에 부모의 양육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합리적 설명, 어머니의 합리적 설명, 애정의 양육행동변인이 자기조절양식에, 부모의 방치, 과잉간섭, 과잉기대 양육행동이 의지적 억제양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조절능력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자기조절양식에는 행위통제성향의 착수성향과 아버지의 합리적 설명 양육행동이, 의지적 억제양식에는 이탈성향과 착수성향이 부적영향을, 부의 방치와 과잉간섭, 모의 과잉기대가 상대적 설명력이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이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주었다. 자기조절양식은 청소년의 내재화문제에 부적 영향을, 의지적 억제양식은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문제 모두에 정적인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은 청소년의 일상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다. 일상 스트레스에 대해 자기조절양식은 부적영향을, 의지적 억제양식은 정적 영향이 주었다.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성격특성인 행위지향성이 자기조절능력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보여주었고, 행동문제와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자기조절능력변인의 높은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다 건강하고 적응적인 청소년 발달을 위한 개입에 자기조절능력이 중요구성요소로 포함될 필요가 있으며, 자기조절능력 조성하는 방법에 개인의 성격적, 정서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an adolescent in the volitional perspective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such as personality,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731 adolescents in seoul who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elf-Regulatory Ability Scale developed by Kuhl(1998) were used, in which VCI-S (volitional components inventory-short version) and ACS-90(action control scale-90) measurements were translated and then modified after implementing the validity test. Other measure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arenting behavior scale of Hue(2000), and K-YSR(Korean-Youth Self Report).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OVA, stepwise regression,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Self-regulatory ability was different by age. The younger used more self-regulatory mode, the older used more volitional inhibitory mode. 2) Action control disposition impacted self-regulatory ability. Initiative disposi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regulatory mode and both disengagement and initiative disposition were negatively related to volitional inhibitory mode. 3) Parenting behavior impacted self-regulatory ability. Rational explanation and affective behavior were positively related to self-regulatory mode. However, neglect, over-intervention, over-expect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volitional inhibitory mode. 4) Personality disposition had more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ability than parenting had an effect. 5) Self-regulatory ability influenced the behavior problems. Self-regulatory mode wa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alizing problems of adolescents, and volitional inhibitory mode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6) Self-regulatory ability influenced the life stress. Self-regulatory mode was negatively related to life stress, and volitional inhibitory mode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tres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ory ability was influenced by personality disposition and parenting behavior, and had an effect on behavior problems and life stress. Therefore, it needs to consider the self-regulatory ability to be important in the intervention design for the healthy or adaptive development of an adolescent. Individual personality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re also considered to be critical for developing the self-regulatory ability.

      • 사상적 배경에 의해 형성된 한국 전통화예 화형의 형태에 관한 분석

        윤영신 대구가톨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Man is a being of history. Therefore, while living in the present, man plans for the future by learning from the past. The substance of the past is called tradition, which means "to convey" and "to connect." Tradition needs "reality" as well as "continuity," in which the meaning of "living through time" dwells. Thus, tradition cannot simply convey an idea, but must "continue" its existence into the here and now. It must be able to deal with the changing times, along with race ㆍ region ㆍ religion ㆍclimate, while constantly changing as a result of the creation ㆍ disappearance of various cultures. Specifically, the reality of traditional floral art in the present, having endured from ancient times, should not be lost. With the framework in the extensive history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observes the outlook of the universe that encompasses floral art styles.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natural growth and true character of Korean traditional floral art, which has origins in ideologies, as well as in finding the Korean view of beauty. The main subject of this dissertation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ideologies that have influenced floral styles, while in the third chapter, floral styles form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se ideologies are studied. The fourth chapter analyzes different floral art styles, and the fifth chapter takes these abstract styles to discuss actual examples of contemporary traditional floral artwork. Floral art styles, from its foundation in Korean ideology and philosophy, imbue artistic forms with a sense of structure and perception. Floral styles also cultivate the internal · spiritual elements of emotion, character, and grace. In this way, they are reflected in each era's ideologies. Religious ideologiesnaturism, ideology of the three disasters, yin yang and the five elements, water worship, the Great Absolute (Taegeuk), shamanismㆍConfucianismㆍBuddhismㆍTaoismhave direc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floral art culture. Considering that Korean traditional floral art originated as religious objects of worship, it can be assumed that the aforementioned ideologies became the background for floral style theory, which expresses original elements of composition, namely line and blank space among other various phenomena. Furthermore, these ideologie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n aesthetic sense peculiar to the Korean people, represented by the exceptional beauty of their traditional floral art. Elements within ideologies have also influenced floral art styles. Applying the fundamental compositions of ○ㆍ□ㆍ△, in addition to the theory of heavenㆍearthㆍman ㆍall as one, floral styles can change with various expressions. In turn, they form a unique beauty with their asymmetrical expressions, symbolism, and random ideological expressions such as thecompositional elements of line and blank space. As discussed above, spiritual image, that is to say ideology, is the essence of Korean traditional floral art styles. However, floral styles appear as real phenomena; in effect, ideology is perceived to occupy physical space. The last main point of this paper discusses floral style as a physical form that accomplishes balance and harmony, referring to the theory of universal order. Time and space constitute the Great Absolute (Taegeuk), or the great universe. In the space-time of the great universe, there are an infinite number of smaller universes, one of which comprises works of floral art. These artworks exist in fourth dimensional space-time, needing a temporal element to three spatial coordinates in order to be located. Floral artworks naturally adapt themselves to the cycles of yin yang, forming a taegeuk peculiar to this type of art; this world of taegeuk is the world of elegance (mut). As floral artworks exist as one type of taegeuk, there must be in this small universe an objective and practical standard of judging inner and outer beauty of floral artworks. So, this dissertation includes such profound ideologies of ancient peoplethe truth of the universe,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the structures of living things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into Korean traditional floral art styles. Therefore, a nation's concept of art or beauty is created by either one or a group of artists who have been influenced by that nation's ideologies, values, and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Formation and appreciation of culture and art also have close ties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era. In Korean traditional floral art, beauty peculiar to the Korean people is based on beauty that is soft, peaceful, and natural. Rather than showing accurate geometric shape and cold impassive feeling, Korean floral art portrays the simplicity and the warmth that resembles nature itself. This inclination to follow nature is expressed by the beauty of blank space and soft lines, along with bold omission and noble form, using natural skill that is implicit, tasteful, and pure. Through this unique spiritual ideology, which is connected not to our outer hardware but to our inner software, Korean traditionalfloral art offers an infinite number of subject matter for creativity. In this manner, Korean traditional floral art was developed with wonderful inner imagery and external shape. Correspondingly, instead of being past-oriented by repeatedly recollecting the visual elements of past styles, it must deregulate, reconform, and recreate the practice of passing down ideas in order to revive the true character of our culture and its compatibility with the present. This natural growth and true character of Korean traditional floral art will be revealed as the argument of this dissertation.

      • 구성주의 교육을 통한 미술교과 평가방법 제언 연구

        윤영신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육목표와 내용을 선정할 때는 학생의 흥미, 사회의 요구, 전통적 학문이나 교과 등과 관련된 다양하고 구체적인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목표와 내용에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는 평가에 대한 이해가 함께 이루어져야한다. 교육학의 재개념주의자 아이스너는 타일러의 행동적 교육목표를 비판하고 예술적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감정이나 정서를 포함한 교육목표를 완전한 언어나 측정 가능한 행동으로 표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가 대안적으로 내놓은 것은 표현적 결과목표와 문제해결목표이다. 표현적 결과목표란 사전에 정하지는 않았지만 학습의 과정 중에서 바람직하게 변화되어진 학생의 행동양식이나 인지양식의 변화를 일컫는 것이며 문제해결 목표는 학습목표에 따른 문제해결 방법을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결정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이는 현대 객관주의의 대안적 방안으로 등장한 구성주의의 교육이념과 일치한다. 구성주의는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시대변화를 배경으로 절대적 진리에 대한 요구보다 상대적인 진리를 강조하며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구성주의는 교육에까지 확대되어 교사의 설명 및 강의식 수업 대신 수업활동에서 이뤄지는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직접적인 체험활동을 강조하였고, 그 안에서 이뤄지는 모든 활동의 과정들과 학생이 스스로 발견해가는 지식 및 기능들을 학습의 산물로 여기게 되었다. 학교의 교육현장에서는 미술교과 평가 시 전통적인 실기결과물에 대한 평가방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교과의 특수성을 살릴 수는 있으나 미술교과에서 목표로 하는 미적감수성, 비평능력 등의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과 현상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평가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생물심리사회-영성(BPSS)모델이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윤영신 대구한의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tries to analyze how biopsychosocial-spirit influences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based on multi-dimensional BPSS model. To find out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the sample had been taken from males and females of age over sixty. Interview and self-report methodology had been conducted to seniors participating in senior citizens centers, senior universities or community cultural centers at new towns in Seoul capital area and total 372 copies of survey had been chosen as samples. The analysis and research conduct was based on Win 18.0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through proof of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could have led the successful result and they are as follow; First, the BPSS health condition appears to be influential to self-esteem. Physical, psycological, social, spritual health are all meaningful and influential to self-esteem. BPSS is largely dependant and correlative not only to self-esteem but also to cure of disease, and self-integration. Especially, the physical health appears to be the major factor for high self-esteem. Second, BPSS health condition appears to be relevant to the life satisfaction. Except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social, spiritual health are all positive(+) and influential to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reflect that the health condition have effects on psychological, social relations, and even on spiritual health, positively or negatively. Third, self-esteem acts as parameter control and has strong connection to life satisfaction. Its influence appears in ord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leadership and popularity, self-enhancement and this means that the higher one's self-esteem is,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one feels. It shows that the self-esteem is the factor to prospect oneself with desirable value and lead one's life more happily and therefore to elevat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t helps the life of the elder to develop more positive view of life and therefore to lift the quality of life by preventing disease or keeping away from the sense of loneliness and isolation. In conclusion, the integrative perspective of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health based on BPSS model, is identified to improv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variables supported from previous studies between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re largely reconfirmed. Th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are after all made possible when these four biopsychosocial-spirit are healthy. This study will be able to serv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self-integration of the elder, by helping the elder to contend for the stable self-esteem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The efforts of the related bodies such as government, enterprise, community and welfare organization are needed to improv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ith more concrete and realistic plans and devices. 이 연구는 다차원적인 BPSS모델에 근거해 신체심리사회-영성이 노년기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의 목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표본수집 대상을 60세 이상의 남녀노인으로서 한정하였다. 경기도 수도권 신도시 지역의 노인정과 노인대학, 시ㆍ구청 내 문화교실에서 활동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접 면접과 자기보고형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372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진행 및 자료 분석은 SPSS의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기본으로 하여 표본자료의 타당성 검증, 탐색요인분석, 확인요인 분석, 회귀분석으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등의 방법으로 성공적인 연구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BPSS 건강상태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건강은 모두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물심리사회-영성이 자존감 충족은 물론 질병의 치료, 자아통합에 의미 있는 긍정적인 상관관계와 영향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적 건강이 자존감충족에 제일 변인으로 결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둘째, BPSS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건강을 제외한 심리적, 사회적, 영적 건강은 모두 삶의 만족도에 정적이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상태가 심리적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영적인 건강까지도 긍정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매개 조절역할을 하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강하게 미쳤다.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고양 순으로 영향을 미치었는데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노인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존중감은 바람직한 가치관을 가지고 보다 행복하게 살아가는 마음으로서 삶의 만족을 높여주는 요소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노년기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어 질병을 예방하거나 고독감 및 소외감을 멀리하며 낙관적인 인생관을 발전시킬 수 있어서 노후 삶의 질을 높여가는 동기가 된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과 자아존중감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경제력(생활수준), 교육수준(학력), 영성(종교성), 배우자 순으로 자존감 충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존감에 이어 얻어지는 삶의 만족감 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4영역의 영향력, 변수들 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BPSS 모델에 근거한 생물, 심리, 사회, 영성의 통합적 관점의 건강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연구에서 논의되고 지지되었던 자아존중감 고양과 삶이 만족도간의 변인들이 대체적으로 유의미하게 재확인 되었다. 노년후기를 살아가는 노인들의 삶은 결국 ‘생물심리사회-영성’이라는 네 부분이 건강해야 자존감은 물론 삶의 질을 고양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이 연구 결과는 노인들로 하여금 자아존중감의 불안정성과 소멸성을 방어하고 개선할 때, 그리고 노년기에 발생하는 신체적 심리적 기능의 저하 방지는 물론 노년후반기의 인생의 만족도와 행복, 그리고 마지막 자아통합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 기업, 지역사회 및 복지단체들은 노인들의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를 높여가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들을 구체화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 유아통합교육 현장에서의 협력교수가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과 협력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윤영신 강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Mathematical competence is a domain essential for developing log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necessary for everyday living. This applies equally to bo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mathematical competence should be taught continuously from early childhood attuned to their developmental stages. Collaborative teaching is a teaching model proposed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clusive teach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which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teach together in order to attain pedagogical effectivene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math activities using collaborative teaching model affect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perceptions of collaborating teachers regarding collaborative teaching. The participants were from an inclusive special education daycare center Six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ee children at age four and three children at age five, and twenty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eleven children at age four and eight children at age five,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for the collaborating teachers, one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vidualized education training was conducted regar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this, collaborative teaching intervention with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was carried out. The content of the lessons was constructed based on Exploratory domain of Noori curriculum, specifically on the area of developing basic math ability, following the model of collaborative teaching. Individualized education training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about the attainment of teaching goals and the techniques of class participation in collaborative teaching, based on current leve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was conducted in the special classes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teaching. The collaborative teaching, which followed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training, was implemented twenty times for each age group. The study lasted for six months, consisting of pre-tests, pre-interviews, intervention accompanied by observation, post-tests, and post-interviews.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 of mathematic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collaborative teaching,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Wilcoxon’s signed Rang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Data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of researcher and collaborating teachers and observation of video-recordings was continuously compared, analyzed, and described in the study.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outcom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on mathematical competence was done through a two-dependent sample t-test of the scores of pre- and post-tests. Also, collaborating teachers’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teaching was analyzed, coded, and categorized through continuous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pre- and post-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egar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s were conducte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teaching interven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improvement in all the areas of mathematical knowledge and mathematical attitude other than that of mathematical process skills. The qualitative evaluation also showed positive changes in mathematical competence in terms of the processes of child developmental domains. Secondly, regardi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alysis of math activities utilizing collaborative teach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improve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all the domains of ‘basic measurement’, mathematical process skills, and mathematical attitude, further confirming the positive effect of collaborative teaching. Thirdly, regarding the collaborating teachers, pre- and post -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ir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teaching. The participating teachers’ perception about collaborative teaching changed, as collaborating teaching different from their prior experience progressed, towards growing acknowledgement of each other’s expertise and mutual recognition. Regarding the lessons, it was reported that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activities were meaningful for all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Lastly, it was mentioned that teachers experienced changes of perspectives, as systematic preparatory process for integration led to qualitative changes in collaborative teaching. This study showed that collaborative teaching of activity-centered mathematics, preceded by individualized education train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alized an improvement of mathematical competence of both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positively changed the perceptions of collaborating teachers through successful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teaching. These findings suggest possibilities of research in collaborative teaching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al compet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und in the findings that elements of collaborative teaching, including the equal opportunity for leading roles of teaching between teachers and the securement of time for regular meetings for co-planning, enables personal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teaching and achieves positive changes in teacher perception. Howeve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ttending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 were a mixed-age group, and therefore this study could not run programs by age, i.e., one for age four and another for age five. Such structural aspect of the program regarding age-specific development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수학적 역량은 일상생활 속에서 요구되는 논리적인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의 증진을 위한 필수적인 영역이다. 이는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에게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고 수학적 역량은 유아기부터 발달수준에 적합한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협력교수는 유아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교수모형으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함께 수업을 운영하면서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교육적 효과 달성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협력교수 모형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과 협력교사의 협력교수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자로는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장애유아 만 4세 3명, 만 5세 3명의 총 6명이 참여하였고 비장애유아로는 만 4세 11명과 만 5세 8명의 총 20명이 참여하였다. 협력교사로는 유아교사 1명, 유아특수교사 2명이 참여하였다. 유아특수교사는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개별화지원교육을 실시한 후 유아교사와 함께 협력교수 중재를 실시하였다. 수업 내용은 누리교육과정 탐구생활영역의 수학적 기초능력 기르기 영역을 기반으로 협력교수 모형에 따라 구성하였다.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지원교육은 장애유아의 현행수준을 기반으로 협력교수의 수업목표 성취 및 수업참여기술 지도와 연계된 내용으로 협력교수 실행 전 특수학급에서 실시하였다. 개별화지원교육 후 실행된 협력교수는 유아 연령별 각 20회를 실행하였다. 연구는 6개월에 걸쳐 사전 검사, 사전 면담, 중재 및 관찰, 사후 검사, 사후 면담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협력교수에 따른 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비모스통계 방법인 Wilcoxon’s signed Rang Test를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자와 협력교사의 직접 관찰, 비디오 관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서술하였다.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의 연구결과의 분석은 사전-사후 점수에 대한 두 종속표본 t검정(two-dependent sample)을 실시하였다. 또한 협력교사의 협력교수에 관한 인식은 사전-사후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의 연속적 비교분석을 통해 코딩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정량적ㆍ정성적 평가를 함께 실시한 결과, 정량적 평가의 결과로는 협력교수 중재에 참여한 장애유아의 수학적 과정기술을 제외한 수학적 지식, 수학적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성적 평가결과에서도 유아 개별적으로 영역별 과정에서 수학적 역량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장애유아의 경우 협력교수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수학적 지식 중 다른 영역을 제외한 ‘기초적인 측정하기’ 및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의 모든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협력교수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협력교수 실행의 사전-사후 면담을 통하여 협력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참여교사들은 사전의 협력교수 경험과는 달리 협력교수가 진행되면서 상호영역의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서로를 인정하는 협력교수로 인식이 변화하였다. 수업과 관련하여서는 장애유아 및 비장애유아 모두를 위한 의미 있는 활동 계획과 운영을 통한 모두에게 효과적인 협력교수로 보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과정이 실행되면서 질적 차원의 변화된 협력교수로 인식의 전환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활동중심 수학활동을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지원교육 후 실행하는 협력교수를 통해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 향상을 구체화시키고, 성공적인 협력교수 경험을 통해 협력교사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협력교수를 통해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 향상을 위한 중재 연구 실행에 관한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협력교수 수행요소인 교사 간 주도적 수업의 기회 균등, 정기적인 공동계획 시간의 확보를 통하여 협력교수 경험과 긍정적인 인식 전환의 성과를 이끌어내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 기관에 속한 비장애유아가 혼합연령으로 구성되어있어, 만 4세, 만 5세의 연령별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령의 발달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구성적 측면에서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 Robert Browning의 극적 독백 연구 :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윤영신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Robert Browning's dramatic monologues are recognized as excellent examples of character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the dramatic irony. But the significance of his dramatic monologues can be seen in terms of poet who deals with the pressing problems of his own art and of the contemporary art in general. It was his dramatic monologues which were intended to meet the needs possessed by many Victorians to escape Romantic situation which involves his auditor whom the speaker confronts with. Although the speaker in the dramatic monologue is the only one who speaks while his auditor remains silent, his poem's meaning is diversified by the response of the auditor. This is because the reader can get information about the poetic situation. On this basis this study will present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auditor and the speaker relation. In Dramatic Lyrics (1842), Dramatic Romances and Lyrics (1845) and Men and Women (1855) Browning shows aesthetic insight of human life. Browning usual characters of dramatic monologue are those who are out of the normal boundaries of life. They are often immoral or inferior and sometimes being accused or failures. " Porphyria's Lover" resents an ironic lesson that 'What comes to perfection perishes. In "My Last Duchess" the poet establishes the world of art as a refuge where evil behavior and aestheticism can be harmonized and imperfect love can stay. In "The Bishop Orders His Tomb at Saint Praxed's Church" the poet shows a religious vision, ironically, by pointing out the vanity of the Bishop who pursues perfectionism in the uncertain and incomplete reality. In "Fra Lippo Lippi" Browning not only describes an abortive painter who has meditated on life and death, but also inspires the spirit of art to the readers. And the auditors of dramatic monologue are variously characterized. Their silence does not guarantee their sympathy with the speaker; it is either forced upon them by the speaker's authority (e.g. "My Last Duchess"), or it expresses indifference or antagonism to him(e.g."The Bishop Orders His Tomb at Saint Praxed's Church"). Considering these aspects of dramatic monologue, I contend that it deals with the problem of communications between speaker and auditor in concrete situations. Finally I argue that Browning gropes widely for the possibilities of language and imagination by showing various problems of communication in these dramatic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