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교육에서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과 넛지(Nudge)의 적용

        윤아영(Yoon Ahyoung),박영주(Park You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과 넛지(Nudge)효과의 개념이 교육분야에 도입된 과정을 소개하고, 음악교육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들을 찾아 적용실태와 향후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2017년 유럽연합위원회에 제출된 교육 사업분야 보고서(Damgaard & Nielsen, 2017)에 제시된 9가지 넛지와 그에 따른 사례들을 살펴보고, 게이미피케이션과 연관하여 음악교육현장의 교수법으로서 그 효용성을 가늠해 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음악교육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게이미피케이션이 적용된 창작활동을 고안하여, 음악교육적 넛지효과를 가시화하였다. 본 연구는 넛지효과를 일으키는 게이미피케이션이 실제로 음악교육현장에서 이미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잠재적인 형태로 존재하던 것을 명확하게 기술하였으며, 이를 통해 음악교육분야에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introduces gamification and nudges into music education, including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both processes as presented in the 2017 European Expert Network on Economics of Education Analytic Report (Damgaard & Nielsen, 2017). Gamification shines a new light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while Damgard and Nielsen identified nine uses of nudges in education to encourage positive behaviors through commitment devices to meet deadlines, social nudges, prim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reminders, easy access to information, framing for information, boost policies, assistance in the form of coaching and mentoring, and extrinsic motivation. This study introduced teaching methods in the music education field based on these nine forms of nudges, which were then evaluated for effectiveness as gamification tools. In addition, we developed creative activities for the music education classroom using real-world-applicable gaming. This study described the existence of potential forms of gamification that can actually be incorporated into music edu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different learning approaches in music education, extending the literature on how nudges can effectively be combined with gamification to improve educational outcomes.

      • KCI등재

        방탄소년단(BTS) ‘아이돌(Idol)’에 융합된 한국 음악 요소 연구 및 수업적용

        윤아영(Ahyoung Yoon),박영주(Young Joo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는 BTS의 ‘아이돌’ 음악에 삽입된 한국음악의 요소를 찾아 서양 음악의 리듬 체계와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첫째, BTS의 ‘아이돌’ 곡 안에 2마디의 굿거리장단의 반절에 해당하는 리듬꼴의 구음이 삽입되어 있었다. 둘째, ‘아이돌’에 삽입된 굿거리장단은 2소박의 음악 안에 삽입된 한국의 3소박의 리듬으로 이는 고든이 언급한 멀티미터(multimeter)에 해당하였으며, 한국의 풍물놀이ㆍ산조에서 사용되는 ‘내드름’과 같이, 곡의 ‘주의’ 혹은 ‘환기’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아이돌’ 음악을 활용하여 한국 음악의 소박, 박, 대박과 서양 음악의 마이크로비트, 매크로비트, 미터의 개념을 지도할 수 있으며, 정간보를 이용하여 구음 창작 활동을 제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이돌’은 한국 음악에 다수 존재하는 3소박 리듬꼴을 서양 음악의 2분박에 삽입함으로써 한국 음악의 고유성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다차원적 융합을 시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적 활용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전 세계 사람들에게 한국 음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 및 한국 음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inserted into Bangtanboys’(BTS) “Idol,” which is receiving worldwide attention, to analyze and compare it with Western music, and to apply it to music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BTS s “Idol” song used a rhythmic syllabus of the half of Gutgeori-jangdan phrase. Second, the Gutgeorijangdan inserted into “Idol” was a Korean three-sobak rhythm inserted into the two-sobak of music, which was equivalent to the multimeter Gordon mentioned, and was a play on the role as a “caution” or “ventilation” of the song, such as Naedreum, used in Pungmulnori and Sanjo,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applying this to “Idol” music, the concepts of Bak, Sobak, and Daebak of Korean music and microbeat, macrobeat, and meter of Western music can be explained, and the use of Jeongganbo presented creative activities for the rhythmic syllabus of various Korean Jangdan. Finally, “Idol”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uniqueness of Korean music by inserting the three-sobak rhythms that exist in various Korean Jangdan into the two beats of Western music, and the researcher evaluated that it attempted a multi-dimensional fusion.

      • KCI등재
      • KCI등재

        이날치 밴드 ‘범 내려온다’를 활용한 음악융합수업 설계와 적용

        윤아영(Yoon, Ah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한국관광공사가 제작한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Feel the rhythm of Korea)’의 영상은 한국적인 고유한 리듬을 느낄 수 있는 좋은 사례로 해당영상은 유튜브를 통해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이 중 서울편의 ‘범 내려온다’의경우 판소리가 박자의 소프트 EDM과 결합된 독특한 음악인데, 이것은 한국의 고유한 혼소박 4박자의 엇모리장단으로 된 전통 판소리를 편곡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혼소박장단의 음악이 균등박음악으로 편곡된 사례는 글로벌 차원에서 한국음악을 교육 시 리듬의 특수성을 비교해 보기 좋은 교육용 콘텐츠로 활용 될 수 있다. 따라서본 연구는 한국의 혼소박 음악의 고유성 및 두곡의 리듬층위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융합수업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였다. 전통판소리 ‘범 내려온다’ 엇모리장단의 연원은 높게는 신라시대 830년경 범패로까지 그 연원이 올라갈 만큼 오래된 우리나라 고유한 전통음악요소이다. 엇모리장단은 서양악보로 표기한다면 박자가 아닌 <3/2혼소박 4박자>(소박단위에서 불균등하고 보통박 단위에서 균등한)로 표기 되어야 할 것이다. 고든에 의해 정리된 서양음악의박자체계를 활용해 설명하면 2,3마이크로비트 4매크로비트 미터에 해당하는 것이다. ‘범 내려온다’를 수업에 활용할 때에는 엇모리장단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리듬학습위계를 정하고 먼저 2박자계와 3박자계의 장단을 각각 학습한 후에 혼소박장단인 엇모리장단 교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고, ‘월드컵 응원 박수’ 등을 선수학습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다음 단계로는 신체활동으로 어깨춤과 같은간단한 동작을 통해 리듬 구조를 느끼고, 배운 노래를 부르며 가사를 정간보에 역보하며 학습을 심화하고, 정간보에 개사하는 창작 활동을 통해 학습을 명료화 하는 단계로 학습할 것을 제안한다. ‘범 내려온다’ 학습의 마지막단계로 혼소박장단인 엇모리장단의 불균등박자에 내재된 이면성은 영화 <미션 임파서블>의 박자 주제가와 함께비교하면 더욱 명확하게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와 일련의 제안들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한국음악의 혼소박장단이 가진 오랜 전통과 고유성을 확인하게해주며, 종종 박자로 오인되고 있는 불균등박자인 혼소박 4박 장단의 음악적 차이를 구분할 수 있게 해주어 결과적으로는 각 개인의 음악적 역량을 높여주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video of “Feel the rhythm of Korea”, produced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is a good example of Korean unique rhythm, and the video received global attention through YouTube. Among them, the Seoul version of “Beom comes down” combines soft EDM with four-four beats, forming a unique rhythm structure because it is an arrangement of traditional pansori with enmori jangdan, which is unique to traditional Korean music. The case in which the music of the honsobak is arranged into even music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content that is good to compare the specificity of rhythm in education at the global level.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uniqueness of Korean honsobak music and the rhythm hierarchy of two song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nvergence classes and proposed a teaching method based on this. The origin of the traditional pansori “Beom comes down” enmori jangdan is proven to be unique enough to go up to Beompae around 830 during the Silla Period. If the rhythm is written in Western music, it should be written in <3/2 mixed beats> (uneven in small beats and even in regular beats) rather than beats. Using the beat system of Western music organized by Gordon, it is equivalent to two or three microbeats and four macrobeats. When using “Beom comes Down” in class, it would be a good example to set the rhythm learning hierarchy, learn the rhythm of the two and three beats first respectively, and then use the mixed rhythm of “World Cup Applause” as a player learning. The next step is to feel the rhythmic structure through simple movements such as shoulder dance with physical activity, to sing learned songs and reverse the lyrics to jeongganbo, to deepen learning, and to clarify learning through creative activities that are adapted to jeongganbo. As the last step in learning “Beom comes down” the structural musical feelings to the unequal beat of the enmori jangdan, can be experienced more clearly by utilizing the theme song of the movie “Mission Impossible.” This study and a series of suggestions will help learners identify the long tradition and uniqueness of Korean music, often mistaken for beats, and thus enhance each person’s musical skill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버스커 버스커 음악을 활용한 단소 연주곡 개발과 활용

        윤아영(Yoon, Ahyo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22 국악교육 Vol.51 No.51

        본 연구는 버스커 버스커의 여러 히트곡 중 처음 4마디에서 5음음계의 선율이 나타나는 ‘여수 밤바다’, ‘첫사랑’, ‘정말로 사랑한다면’의 세 곡을 대상으로 단소용 연주곡으로의 적합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세 곡은 5음음계를 중심으로 확장된 구성이며, ‘정말로 사랑한다면’의 일부분을 제외하면 모두 단소 연주곡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악곡의 일부를 취사 선택 후 ‘여수 밤바다’는 중등교육과정에서, 나머지 두 곡인 ‘첫사랑’과 ‘정말로 사랑한다면’은 고등교육과정 이상에서 수용될 것을 제안하였다. 세 곡은 5음계를 주로 사용하는 점에서는 전통음악과 유사하지만, 같은 분박의 장단으로 구성된 전통음악 비교하면 차이점이 나타났다. 제시한 5음계의 대중음악과 전통음악은 리듬형과 강세가 달랐는 데, 이와 같은 차이점이 장르를 구분짓는 핵심 변별요소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전통음악의 고유성도 학습할 수 있는 부수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최근 음악교과에 다양한 대중음악이 편입되고 있는 추세에서, 단소 교육도 학생들이 선호할 수 있는 음악들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더욱 동기부여가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arried out the basic work to select three songs from Busker Busker and develop them into Danso music so that learners can increase their preference for Danso and motivate them. Among Busker Busker’s several hit songs, I analyzed the suitability of the song for the Danso by selecting three songs, “Yeosu Night Sea”, “First Love” and “If You Really Love”, in which five-pitch melodies appear in the first four bars. As a result, the three songs were mainly composed of five-syllable melodies, and all of them were suitable for playing Danso except for one part of “If You Really Love.” Accordingly, after selecting some of the pieces of music, “Yeosu Night Sea” was proposed to be accepted into the middle school course and the other two songs, “First Love” and “If You Really Love” were accepted in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three songs are similar to traditional music in that they mainly use the five-note scale, but compared to traditional music that has the same beat, they give a different feeling than traditional music. This difference stems from the difference in rhythm and intensity, not from the scale. Through the music of the three songs, the contents that can distinguish the genre of music will also be taught, and the cor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will be clarified in the process. With the recent trend of incorporating a variety of popular music into music subjects, Danso education could also be further motivated b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sic that students can prefer.

      • KCI등재

        통합교육을 위한 장단학습위계의 분석적 연구 및 수업적용:2015 개정교육과정 중등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윤아영(Yoon, A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장단학습의 현황을 분석한 후 장단학습 위계 기준을 제시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장단을 활용해 음악융합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자기주도형 학습 계획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현행 중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장단학습의 위계구조 기준 유무와 방법을 전수 조사하였다. 둘째, 전수조사한 장단학습방법을 분석하여 위계에 따라 장단학습방법을 구조화하였다. 셋째, 한국의 장단을 세계 여러나라 리듬과 융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세계 통용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장단의 박자를 계열화하였다. 넷째, 학습자로 하여금 간단한 장단을 활용한 가락짓기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장단의 박자와 구조를 주도적으로 습득하게 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현재 교과서의 장단학습위계 기준이 부재하거나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장단의 층위를 박자의 층위 개념과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단을 활용해 짧은 곡을 만들어 보는 프로젝트학습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본장단과 변형장단 및 말붙임새 등의 개념을 학습자 스스로가 탑다운 방식으로 주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음악적 요소는 차용하면서도 창작의 범위는 넓힐 수 있는 역량을 부가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음악교육에서 음악과 이론이 분리되어 교육되는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자들로 하여금 유목적적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도 세계시민의 일부이고, 한국음악도 세계음악에 속해있다는 개념이 확산되고 교육의 중점도 세계화로 옮겨가고 있는 만큼, 상호 이해 가능하고 협업할 수 있는 음악역량을 길러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riteria for the hierarchy of jangdan learning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jangdan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to present a self-directed learning plan so that learners can develop musical convergence skills using jangdan.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existence and method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jangdan learning contained in the current secondary school music textbooks were thoroughly investigated. Second, the jangdan learning method surveyed was analyzed and structured according to the hierarchy. Third, the world common standards were presented so that Korean rhythm could be used in fusion with rhythms from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he beats of the rhythm were sequenced accordingly. Fourth, by having the learner carry out a rhythm building project using a simple rhythm, the beat and structure of jangdan were taken the lea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currently no standard for jangdan learning hierarchy in textbooks or sporadically presented. To solve this problem, first, a standard rule was proposed so that the level of rhythm could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the layer of beat. Based on this,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proposed to make short songs using jangdan as a project learning method. In this process, concepts such as basic jangdan, transformation jangdan, and malbuchimsae were allowed to be acquired by learners themselves in a top-down manner.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add the ability to expand the scope of creation while borrowing Korean musical elements. Conclusions This study will solve the practical problem of separating music and theory in gugak (Korean music) education and motivate learners to enable purposeful self-directed learning. As Koreans are also part of the world s citizens, and the concept that Korean music belongs to world music is spreading and the focus of education is shifting to globalization, it will be able to develop mutually understandable and collaborative music cap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대학의 사회과학과 예술 융합교육의 실태

        서덕희(Seo, DeokHee),윤아영(Yoon, Ahyoung),이희용(Lee, HeeY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4

        이 연구는 현대사회의 복잡한 문제현상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데 분과학문 간의 융합이 필요하며, 특히 사회과학과 예술은 역사적으로 실증주의와 고급문화 관념의 후퇴로 사회과학과 예술이 각각 자신의 정체성을 위해 서로를 요청한다는 판단 하에 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학과 예술의 융합교육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들의 인터네 자료를 포괄적으로 검색하고 융합교육 경험이 많은 대학의 교수들에 대한 면담에 근거하여 설문조사 문항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일종의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별 교양교과목에서부터 연계전공, 융합전공, 학생설계전공, 전공학과와 학부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층위에서 사회과학과 예술의 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특히 문화컨텐츠라는 이름 아래 문화산업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인문학과 공학까지를 포괄하는 상당히 범분과적 융합교육의 형식을 띠는 방향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의 질에 있어서는 학생들의 융합교육 경험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다른 융합교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결론에서는 그러한 부정적 인식이 많을 수밖에 없는 까닭을 아렌트식의 공공영역 확보의 실패로 보고 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Against the backdrop of increasing demand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rom inside and outside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his paper aim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etween Social Science and Arts in the level of undergraduate course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dopts the mixed method of collecting documents from the web sites of all th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conducting survey, whose items have been developed based upon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professors who have experienced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s results, it is revealed that, first,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etween social studies and arts has been implemented in multi- layered ways from individual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to interdepartmental majors, interdisciplinary majors, student-designed majors, and some independent departments, second,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in particular, which covers from the humanities to the engineering, has emerged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finally, the rates of nega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s in regard wit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in this area are higher than any other area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negative responses from students has been interpreted as due to the failure of ensuring Arendt’s way of public sphere, required educational plan for which are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