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용서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진행성 여성암 환자의 용서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윤수정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47

        진행성 여성암 환자들은 다른 암환자에 비해 대인관계 상처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이들 여성암 환자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부정적인 정서인 우울, 분노는 줄여주고 긍정적인 정서인 희망, 자존감은 높여주는 정신건강 증진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행성 여성암 환자를 대상으로 용서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용서와 정신건강(우울, 분노, 희망,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는데 있다. 연구설계는 용서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실험설계이다. 연구대상은 B시 소재 1개 대학병원에서 진행성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으로 진단 받은 입원 중인 여성 환자로서 용서간호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15명과 일반적인 상례간호를 제공받은 대조군 15명, 총 30명이었다. 연구도구로서 용서는 Enright의 용서척도(Enright Forgiveness Index)를 김광수(1999)가 번역한 도구를, 우울은 Spielberger(1995)의 우울 도구를 전겸구(1999)가 번역한 도구를, 분노는 Spielberger(1988)의 분노 도구를 전겸구(1997)가 번역한 도구를, 희망은 Herth(1991)의 희망 도구를 윤수정(2004)이 번역한 도구를, 자존감은 Rosenberg(1965)의 자존감 도구를 전병재(1974)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4년 6월 10일부터 동년 9월 10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대상자가 입원한 병실에서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질문지와 질적 자료 수집 방법을 이용하였다. 실험도구은 Enright(1991)가 개발한 것을 연구자가 예비조사를 통해서 진행성 여성암 환자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사용한 용서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이는 개방, 결심, 활동, 심화의 4단계로 주 1회 60분씩 총 4회를 연구자가 입원중인 대상자의 병원의 병실에서 교육과 상담, 신체적 접촉 및 영적지지를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말한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test와 t-test, Fisher's exact test, ANC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가설 1) 제1 주가설 : '용서간호중재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하 실험군)은 일반적 상례간호를 받은 군(이하 대조군) 보다 용서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5.065, p= .032). 2) 제2 주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정신건강 정도가 증진 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1) 제1 가설 :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우울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12.542, p= .000). (2) 제2 가설 :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분노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8.547, p= .001). (3) 제3 가설 :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희망 정도가 높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16.967, p= .000). (4) 제4 가설 :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존감 정도가 높아질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F=66.870, p= .000). 2. 부가설 1) 제1 부가설 : '대상자의 용서 정도와 우울 정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r=- .459, p= .011)는 지지되었다 2) 제2 부가설 : '대상자의 용서 정도와 분노 정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r= .067, p= .726)로 기각되었다. 3) 제3 부가설 : '대상자의 용서 정도와 희망 정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r=- .004, p= .983)는 기각되었다. 4) 제4 부가설 : '대상자의 용서 정도와 자존감 정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r= .400, p= .029)는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용서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진행성 여성암 환자의 정신건강을 증진시켜 임상 실무에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동시에 여성암 환자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상처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다양한 환자들에게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atients with advanced women cancer have suffered from considerable stresses by human relationship than other cancer pati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d anger, and to improve positive emotions, hope and self-este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forgiveness & mental health(depression, anger, hope and self-esteem)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test and post-test. 30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dmitted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in one of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South Korea. 15 experimental group were experienced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nd 15 control group were experienced common nursing intervention. The instruments were used for research included forgiveness scale developed by Enright and amended by Kim(1999),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Spielberger(1995) and amended by Jun(1999), anger scale deveoped by Spieberger(1988) and amended by Jun (1997), hope scale developed by Herth(1991) and amended by Youn(2004),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amended by Jun(1974).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June 10th to September 10th, 2004.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developed by Enright(1991). That was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researcher.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4-stage in uncovering, decision, work, deepening stage and personal counseling, physical contract, spiritual suppor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D,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in hypothesis 1) The first main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degree of forgiveness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F=5.065, p= .032). 2) The second main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health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1)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lower degree of depression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2.542, p= .000). (2)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lower degree of anger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F=8.547, p= .001). (3)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degree of hope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6.967, p= .000). (4) The for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degree of self-esteem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F=66.870, p= .000). 2. subhypothesis 1) The first subhyphthesis, "The degree of forgiveness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as supported(r=- .459, p= .011). 2) The second subhyphthesis, "The degree of forgiveness and anger were negatively correlated" was rejected(r= .067, p= .726) 3) The third subhyphthesis, "The degree of forgiveness and hop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as rejected(r=- .004, p= .983). 4) The forth subhyphthesis, "The degree of forgiveness and self-estee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as supported(r= .400, p= .029).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s highly effective at mental health and can be used for nursing practice and various cancer patients who suffer from emotional hurt.

      • 막 결합 단백질인 시토크롬 P450 2E1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한 인산지방질의 영향

        윤수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Cytochrome P450 2E1 (CYP2E1) 은 membrane에 anchor되어 있는 단백질로 간에서 주로 존재하는 CYP 효소로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enzyme은 주로 여러 종류의 drug과 procarcinogen을 대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CYP2E1이 촉매활성을 나타내는데 있어서의 membrane의 특성과 phosphlipid의 역할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membrane의 구조적 차이에 따른 CYP2E1의 촉매활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CYP2E1이 membrane에 결합하고, 기질에 대한 촉매반응을 나타내는데 있어서의 여러 종류의 anionic phosphlipis의 조성에 따른 촉매활성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anionic phospholipids에 의한 membrane의 물리적, 화학적 영향이 CYP2E1 단백질과 막의 결합과, 촉매활성에 끼치는 영향을 chlorzoxazone 6β-hydroxylation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anionic한 phospholipids 조성에 따른 촉매활성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P450반응에 있어서 ferrous b5 로부터 ferrous P450-O2- -substrate complex로 전자의 전달을 통해 촉매활성을 증가시켜준다고 알려진 cytochrome b5 가 CYP2E1의 촉매활성에 있어서의 작용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heme이 제거된, apo cytochrome b5 를 첨가하여 반응시켜본 결과, 2E1에 의한 chlorzoxazone 6β-hydroxylation 반응을 촉진 시켜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NADPH-P450 reductase (NPR) 로부터 CYP2E1 으로의 전자 전달반응 속도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는데, b5 나 apob5 가 첨가되지 않았을 때는 (0.2 min-1) b5 (2 min-1) 또는 apob5 (0.5 min-1) 를 첨가하였을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b5 의 영향이 전자전달을 촉진시켜주기도 하지만, b5 가 CYP2E1의 구조변화를 유도하여, 전자의 reduction을 증가시켜준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실제로 CYP2E1의 전자 reduction 정도를 NADPH를 통해, b5 가 첨가된 조건과 첨가되지 않은 조건에서 비교해 보았다. 두 가지 조건에서의 CYP2E1의 reduction을 CO-Spectrum을 통해 확인한 결과 b5 를 첨가한 경우에 더 높게 reduction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b5 가 P450의 촉매활성을 증가시켜주는 본질적인 원인이 positive allosteric effect에 의해서 라기 보다는 electron transfer로써 CYP2E1의 촉매활성 작용을 증가시켜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연구 : 기악활동 중심으로

        윤수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에서 제시된 가락악기와 리듬악기들의 특성에 맞는 학습 내용과 제재곡을 분석하여 중학교 음악 교육 과정에서 기악 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악 활동 부분을 중심으로 악기의 종류, 악기 연주 형태, 학습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14종 교과서의 기악 활동 부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4종 교과서에 수록된 기악 활동을 위한 악기의 종류는 가락악기와 리듬악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으며, 가락악기로는 리코더, 오카리나, 단소, 소금 등이 가장 많이 제시되고, 리듬악기로는 드럼, 젬베, 장구, 사물놀이 등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주형태의 분석 결과, 독주형태는 악기 종류에 따른 한정된 장르의 곡과 특정 제재곡 만을 제시하고 있다. 중주 형태는 고루 제시되어 있었고, 합주 형태의 제재곡은 한국 악기 합주곡 보다 서양악기 합주곡에 좀 더 편중된 현상을 띄고 있었다. 그리고 간혹 교과서 별로 독주를 제외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셋째, 이러한 악기 종류, 연주형태와 더불어 학습 내용에서는 14종 교과서 중 가장 상세히 제시되어 있는 교과서는 미래엔으로 볼 수 있는데, 미래엔은 상세하게 학습내용이 나타나있음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연주를 할 수 있는 제재곡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에 반해 다락원은 제시되어 있는 악기의 종류와 제재곡 수도 적을 뿐만 아니라 총 4개의 악기가 제시되어 있는데 기악 활동 내용에서 제재곡을 가지고 연주할 수 있는 악기는 리코더, 단소만 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본 결과 음악 교과서에서 기악 활동을 위한 학습 내용을 전달할 때 학생의 수준을 고려해서 구체적이고 쉽게 전달되어야 하며, 앞으로 보다 나은 기악 활동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 초등 국어과 담화전략 교육 내용 연구 : 경험 말하기 담화를 중심으로

        윤수정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담화전략과 경험 말하기 담화 능력은 가르치지 않아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저절로 습득되는 능력으로 여겨져 구체적인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 상황에서 담화전략이 초등 국어 교육에서 지니는 가치를 규명하여 담화전략 교육 내용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담화전략 교육을 위한 담화전략의 유형을 경험 말하기 담화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담화전략 교육 내용을 제안하기 위하여 교과서 및 교육과정, 경험 말하기의 실제 의사소통 자료를 분석하여 지도의 원리를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국어과 경험 말하기 담화전략 지도의 내용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이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화전략의 정의와 초등 국어 교육에서 담화전략이 지니는 가치를 규명하였다. 의사소통 전략의 개념을 바탕으로 담화전략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초등 국어 교육에서의 담화전략 지도가 사회적 말하기의 출발선에 있는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담화 상황에 따라 알맞은 전략의 사용이 필요함을 일깨워주고 기본적인 담화전략의 유형을 익히게 하는 데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 경험 말하기의 정의 및 성격을 규명하였다. 경험 말하기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용어를 사용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경험 말하기’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경험 말하기는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로 구조화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담화 양식을 통해 표출된다고 보고 경험 말하기를 이야기 말하기의 상황과 의사소통을 위한 상황으로 나누어 성격을 규명하였다. 위에서 논의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경험 말하기 담화전략 유형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담화전략 유형의 재구성을 위해 교과서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경험 말하기 담화 능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경험 말하기 담화 교육의 실태를 알 수 있었다. 첫째, 경험 말하기 활동과 관련된 활동이 독립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단원이나 차시의 도입 활동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경험을 소재로 하는 활동은 말하기보다 읽기 및 쓰기와 관련된 내용이 많았다. 셋째, 대화 예절과 같이 담화전략이 필요한 상황이 나타나 있었으나 담화전략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았다. 넷째, 담화전략과 연계 지도가 가능한 단원 내 차시가 있었다. 다섯째, 담화전략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 않았지만 담화전략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단원 내 차시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제적인 말하기 담화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사회적 말하기의 기본이 되는 경험 말하기에서조차 학습자들의 담화전략 사용 비율이 낮았다. 말하기의 성격인 구두언어성, 상호교섭성, 관계성과 연관 지어 경험 말하기 담화전략 지도의 원리를 구체화의 원리, 구조화의 원리, 상호성의 원리로 설정한 후 경험 말하기의 실제 의사소통 자료 분석을 위해 TV 토크쇼 자료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앞서 제시한 경험 말하기 담화전략 유형을 초등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재분석하고 실제 의사소통 자료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내용 구조적 측면의 담화전략과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측면의 담화전략으로 나누어 초등 국어과 경험 말하기 담화전략 지도의 내용 모형을 확정하여 제시하였다.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담화전략의 지도 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각 유형별 담화전략을 경험 말하기 측면에서 지도할 수 있는 교과서 차시를 선정하였고 차시 활동을 구성 또는 재구성하여 실제 수업 상황에서 담화전략 유형을 활용하여 지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실제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기능을 지닌 담화전략과 전략 형태를 제시하고 있어 교과서 단원을 구성하거나 차시 학습을 구성할 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지도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욱 효과적인 담화전략의 지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research that teaching contents of discourse strategy. It based on the lack of concrete instruction and general recognition that discourse strategy and experience speech is learned by itself as time goes by. To suggest a systematic and effective teaching contents of discourse strategy focused on presenting the type of discourse strategy, constructed the contents model for teaching discourse strategy based on analysis the textbook, curriculum, and practical communication data of experience speech.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fine the discourse strategy and find out the value of teaching it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trategy, define the discourse strategy operationally And teaching of discourse strategy in elementary school is meaningful to convince learners of the need to use appropriate strategies in different contexts an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types of basic discourse strategies. Second, we identified the definition and property of the experience speech. Through the researches using word similar to experience speech, define the 'Experience Speech' operationally and organize it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situa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ed above, we presented the l type of discourse strategies for experience speech.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type of discourse strategy, we analyze textbook and curriculum and discourse ability of the learner's experience speech, find out the situation of teaching experience speech. First, activities related to experience speech were not presented independently, and were presented as an introduction to chapter activities. Second, there were many members involved in reading and writing rather than writing experiences. Third, there was situation that needed discourse strategy, such as dialogue etiquette, but was not directly addressing the discourse strategy. Fourth, there was some sections can be taught by association with discourse strategy. Fifth, there was a section in the chapter where the discourse strategy was not used as a term, but the discourse strategy was specifically presented. Lastly, there was no practical discourse teaching, and the use of the discourse strategy spoken of by the learners was few.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speaking speech, set the principles of Materialization, structuralization, reciprocity and decal a television talk show for analysis actual experience speech dat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and the result of analysis actual communication data, we suggest the teaching contents of discourse strategy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by dividing aspect of contents structure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order to present the arganized and effective teaching contents of discourse strategy, selected the textbook chapters and sections for each type of discourse strategy can be taught. For organized and recons tructed activities, which can be used in actual classroom situ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discourse strategy, which is often used in everyday life, has realistic and effective function so it can be used to construct a textbook chapter or section. If follow-up studies continue, it is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teaching of discourse strategies is possible.

      • 학습공동체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 사례 연구

        윤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와 실습지도교사가 학습공동체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 활동 과정 속에서 겪는 풍부한 학습경험의 본질을 기술하고 그것이 교사전문성 발달에 기여하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학습공동체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구안은 어떠한지, 학습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예비 초등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의 구조는 어떠하며, 그 경험이 그들의 삶에 부여하는 의미와 전문성 발달에는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탐색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학습공동체 기반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해 A교육대학교 2014학년도 3학년 교육실습생 44명과 실습지도교사 9명을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을 통한 교육실습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지도교사의 직접적인 지도와 충분한 지도시간을 갖기를 희망하였고 실습지도교사 역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체계적으로 지도하고자 하였다. 또한 영어과 교육실습의 개선점과 관련해서는 실습협력학교에서 3~4회 영어 시범수업 참관 및 1~2회 영어 수업시연의 기회를 확대 제공하여 영어 시범수업 참관과 영어 수업시연의 기회를 늘리고 이와 함께 교실상황에서 사용되는 교실영어, 영어 교수·학습방법, 학생 영어수준 이해, 영어 학습모형 및 수업활동 기술에 관한 강의, 자료 제작 및 활용 방법 관련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할 것을 바라고 있었다. 이상의 교육실습 요구조사를 기반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연구자는‘수업계획 영역’,‘수업실천 영역’,‘수업성찰 영역’,‘초등영어교사 가치관 및 업무 영역’과 같이 4개의 대영역, 22개의 중영역, 42개의 세부영역으로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에서 다루어져야 할 지도요소를 요목화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습공동체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게 되었다. 연구문제 2에서는 학습공동체 형성 과정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활동을 살펴보는 것으로 교육실습생과 실습지도교사의 학습공동체는 어떠한 과정으로 형성·발전되어 가는지, 예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연구과 실천 등 주요 활동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고 그 특징들은 어떠한지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학습공동체는 완전한 협력 형태에 해당되는 것으로 지식의 공유 뿐 아니라 완전한 실천을 협력하는 관계라고 설명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의 예비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학습공동체에서 드러나는 협력의 형태는 완전한 협력으로, 이를 크게 자발적 협력, 지속적 협력, 실천적 협력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해 볼 수 있었다. 첫째, 교육실습생과 실습지도교사의 학습공동체는 자발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형태의 협력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교육실습생과 실습지도교사의 학습공동체는 지속적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드러내었다. 셋째, 교육실습생과 실습지도교사의 학습공동체는 지식의 공유로부터 현장의 실천, 그리고 경험적 지식과 수정된 실천을 순환적으로 잇는 실천적 협력을 보여주었다. 연구문제 3에서 학습공동체 기반 교육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인 교육실습생과 실습지도교사의 공동체 내의 활동 참여과정 속에서 겪는 풍부한 학습경험과 전문성 발달의 본질 및 그들의 삶에 부여하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의 분석방법을 채택하여 연구참여자의 개별적 고유 경험과, 개별적 고유 경험을 관통하는 일반적인 경험의 구조와 본질을 도출해 내었다. 아울러 연구참여자의 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상황적 의미 구조 기술과 일반적 의미 구조 기술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총 682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고, 연구자는 자유변경법을 활용하여 참여자들의 일상용어로 기술된 의미단위들을 연구에 적합한 용어로 전환하였다. 전환된 의미단위들을 통합해 구조화하는 단계를 거쳐 8개의 핵심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의 구조로 도출된 핵심 구성 요소는 1)영어과 수업 시연의 경험 부족, 좋은 영어수업, 좋은 영어교사에 대한 안목과 기준의 부족, 영어구사력과 같은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영어과 수업 시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짐 2)영어 수업의 질을 개선하려는 높은 성취 및 성장 욕구를 가지고 진로를 설계하고자 하는 자신의 성장을 위한 돌파구로 학습공동체와의 만남은 터닝 포인트가 됨 3)학습공동체는 고민했던 부분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줄 것 같은 기대감과 함께 실제 자신의 부족한 현재 상태에 대한 반성과 성장에 대한 성찰, 실습지도교사의 예리한 조언을 통해 자각과 성장의 자극제로 기능함 4)혼자 영어 수업을 준비하며 얻지 못했던 정보와 아이디어, 감정을 나누면서 동질감을 통해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갖게 되었고 그 속에서 여러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나를 드러내고 다른 사람과 견주게 되면서 동시에 상대적 위축감도 느낌 5)영어 수업에 대한 가능성의 발견, 다양한 초등 영어과 영역에서의 성장에 대한 열망, 역할 수행을 통해 자신을 실험하고 도전하며 스스로를 북돋움과 같이 자신의 긍정적 자원을 발견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초등 영어과 교육에 대한 학습의지를 불태우는 새로운 지평이 열리는 학습의 장(場)이 됨 6)바쁜 실습 기간 중, 학습공동체 안에서의 책임감, 시간부족, 협업의 어려움으로 인해 학습공동체 활동 참여 여력과 동기가 저하됨 7)마이크로티칭과 수업협의회를 통해 영어교육에 대해 더 알게 되었고 실제 교육실습 중 수업시연에서 지도교사와 동료교생의 인정을 받게 되어 영어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음. 즉, 학습공동체를 예비 초등교사로서의 영어과 수업전문성을 성장시키는 자리매김의 장으로 인식하게 됨 8)학습공동체의 발전과 초등 영어교육에 기여하고자 하는 내적 가치가 생겼고 예비 초등교사의 영어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추후 더 지속적인 학습공동체 활동을 하고자 하는 의욕이 생김, 학습공동체를 교사로서의 삶의 한 부분의 성장을 이끄는 구심점이 되었다고 인식함 이러한 8가지 핵심 구성요소는 [학습공동체 활동 참여 배경 경험: 혼자서 고군분투], [학습공동체 고유한 특성 경험: 든든한 지원군을 얻음], [학습공동체와 나의 삶의 통합 경험: 좋은 초등 영어교사로서의 성장을 향한 동행]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이해하였다. 즉, 연구참여자들은 교육실습생이 되어 마주했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의 구조적 배경과 각자의 제한된 환경에서 벗어나려는 나름대로의 노력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성장에 대한 각자의 열망으로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타자와 상호작용하며 예비 초등 영어교사로서의 자신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시야를 확장해갔다. 학습공동체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참여적 실천을 통해 자신을 실험하고 도전하며 자신의 긍정적인 자원을 발견하고, 능동적 주체로의 성취를 하였다. 나아가 연구참여자들은 학습공동체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을 토대로 자신의 삶 전반에 걸친 성장과 공동체의 발전을 함께 이뤄 더 나아가 전문성을 지닌 초등교사로 성장하고자 하는 강한 내적의지를 갖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결과적으로 학습공동체 기반 교육실습 활동을 통한 학습경험의 본질은 혼자서 고군분투하는 과정에서 학습공동체를 만나 자각과 자극, 유대감과 소속감, 학습의 장(場) 등 학습공동체가 제공하는 고유한 특성을 경험하고 경험을 통한 학습을 자신의 삶의 방향과 통합해나가면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기성장을 이루어나가는 것이었다. 즉,‘지속적 자기확장(Continous Self-Expansion)’이라는 본질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습 경험이 그들의 삶에 부여하는 의미는 비록 예비 초등교사이지만 교사로서의 가치를 새롭게 창조해 나가는 공동의 목표를 실천하고자, 개인으로 구성된 공동체의 집단적 정체성 형성과정이었다. 또한 학습공동체 기반 교육실습 수행을 위한 개인적 지식 습득, 신념, 과업 등의 학습으로 진화하여 또 다른 맥락의 생활세계로 확장되며 더 나은 나로 성장해가는‘내가 되기 위한(to be me)’학습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들이 예비교사라는 동질적 특성과 경험을 공유하므로 각자의 상황에서 고립되었던 허약한 존재인‘나’에서 벗어나‘우리’라는 힘을 가지게 되면서 예비교사로서의 자신감과 자부심을 가지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공동체에서 맡은 역할을 수행하고 타인과 교류하며 다양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의 자원과 관점이 넓어졌고 자기를 확장하는 경험을 통해 더 나은 존재가 되고자 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학습공동체 기반 교육실습 프로그램에서 실습지도교사의 경험과 전문성 발달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이자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며 실습지도교사로 참여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되돌아보고 점검하는 반성적 사고를 했다. 둘째, 학습공동체를 통해 실습생과 개방적으로 소통하고 공유하면서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했다. 셋째, 실습지도 과정에서 구성원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통한 생산적인 공동체 문화가 조성되었다. 학습공동체 속에서 발전적으로 변해가는 예비교사들을 보면서 지도교사로서 큰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보람과 자부심의 감정들은 교직에 대한 열정을 심어 주었고 궁극적으로 교사효능감을 증진시켜 주는 계기가 되었다. 실습지도교사인 연구자는 실습생과 소통하면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스스로 자신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으며 예비교사들과 개방적인 소통과 공유를 통해 서로간의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여 그 속에서 함께 배우고 성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spective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is to describe the essence of the rich learning experience that is experienced at the Learning community based teaching practice activity process for teaching English at elementary schools and to contemplate the significance as a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teachers' specialty development. As for th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to search for answers; what is the plan for the community based teaching practice program for teaching English at elementary schools like, how is the structure of the experience pertaining to the community activity for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within the community like, and how these experiences affect the meaning that they endow on their life and advancement of the specialty like. To develop the community based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case of the Research Question 1, research to assess demand for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was administered via survey and interview, targeting 44 junior students of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2014 studying at the Teachers' University A and nine cooperating teachers. A a result, prospective teachers wanted direct guidance of the cooperating teachers and to have sufficient guidance time. Cooperating teachers also wanted to have sufficient time to provide structured guidance. As for the improvement areas for the English teaching practice program, the following were desired; opportunity to observe demonstration classes, three to four times at a practice cooperating school,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demonstration classes to 1~2 times per week to practice teaching. Likewise, they desired increased opportunity to observe and to practice teaching. Along with these, they also wanted lectures on the class English used in class setting,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nderstanding students' English level, English learning model and class activity related techniques as well a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related to the data production and utilization method. By utilizing the above mentioned teaching practice program demand study, the researcher summarized the factors for the guidance of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for teaching elementary English expert via Delphi research; four main domains including‘class planning domain’,‘class execution domain’,‘class self-examination domain’, and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value and work domain’and 22 middle domains and 42 detailed domains. Based on these, community based teaching practice program for teaching English at elementary schools was developed. Research Question 2 entailed examining community formation process and the key activities that take place within. That 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xamined; how was the community of the prospective teachers of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and cooperating teachers formed and being developed, process-wise, what are the key activities such as research and execution that take place in the community to develop the prospective teachers' specialty development, and what are their characteristics. These were examin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mmunity of this study corresponds to that which is a complete cooperation form, and it can be explained as the relationship that cooperates for the complete execution instead of merely sharing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form of cooperation that is manifested in the community of the prospective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mentioned in this study is that of the complete cooperation. This can be discussed largely from three aspects; voluntary cooperation, continual cooperation and execution oriented cooperation. First, this demonstrated that the community of the prospective teachers of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and cooperating teachers is based on the formation of the voluntary and self-initiated cooperation form.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continual cooperation is important for the community of the prospective teachers of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and cooperating teachers. Third, community of the prospective teachers of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and cooperating teachers demonstrated the execution oriented cooperation that connects the knowledge sharing, execution in the field, experience based knowledge and modified execution in a positive manner. In case of the Research Question 3, structure and essence of the general experience that traverses through the experiences that are exclusive to individuals were drawn 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ich learning experience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of the prospective teachers of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and cooperating teachers experience amidst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and to gai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specialty development and the meaning when it comes to their life. Towards this end,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analysis method was adopted to draw out the research participants' own experiences, and the general experiences that traverses individuals' exclusive experiences. Moreover, situational sense of the structure and general meaning structure techniques were presented so that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of community activities can be disclosed clearly. Total of 682 meanings were drawn out with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 utilized free alternation method to convert the participants' words used everyday to the words that are suitable for the research when it comes to the described meanings. Eight core components and 18 sub components were drawn out as follows after going through the stage of structuring by integrating the converted meanings. The core components identified as the structur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are the following; 1) vague fear of English class demonstrations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 in carrying out English class demonstrations, lack of the discerning eyes and standard for discerning out good English classes and good English teachers, and lack of the ability such as English speaking ability, 2) meeting with the Learning community became the turning point as the exit for self-growth as the teachers themselves want to design their career path with high motivation to grow and achieve with the desire to improve quality of English classes, 3) along with the expectation level that the Learning community will present the solution measures that were mulled over together with other members, it also serves as a factor for motivating self-awareness and growth by reflecting on themselves on their current shortcomings and on growth, and through sharp advice of the practical training teachers, 4) teachers feel sense of belonging in the community thanks to the sense of kinship built while sharing information, idea and emotion with each other, which they could not gain while preparing for the English classes alone. But at the same time, they feel belittled while comparing themselves with other people while disclosing themselves and while interacting with many people at the community, 5) Learning community becomes the forum for learning that opens up the new horizon for inciting the will to study when it comes to the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Department ultimately as the teachers discovered the potential towards English classes, manifested their desire to grow in diverse domains of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Department, and positive resources by testing themselves, undertaking challenges and encouraging themselves on by carrying out their role, 6) question of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decreased motivation due to the lack of responsibility in the Learning community, lack of time and difficulty in cooperation during the busy practical training period, 7) Teachers learned more about English language education via micro teaching and class meeting and their confidence level towards English classes increased since they were recognized by the guidance teacher and fellow trainees during the class demonstrations during the actual practical training sessions. In other words, Learning community is perceived as the forum for consolidating growth of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cialty regarding English classes and, 8) teachers developed the intrinsic value for wanting to contribute toe the Learning community's advancement and to the grow of the English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s. They have the firm conviction that this can be a measure for increasing speciality of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will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ommunity going forth is increasing. Learning community was perceived as having become a pivot for leading growth of their life as teachers. These eight key components were understood by dividing into three domains; 〔experience of the background for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y: fight unsupported〕, 〔experience of Learning community specific characteristics: gaining reliable back-up〕 and 〔integrated experience of my life and the Learning community: companion for growth〕. In other words, research participants made effort on their own to deviate from the structural background of the teaching practice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and from each restricted environment that they faced as the teaching apprentice. During this process, the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y with the desire to grow. While interacting with others via Learning community activity, they expanded their view of the growth and advancement. At the Learning community, research participants tested themselves, undertook challenges and found their positive resources by participating, and achieved as the active main entities. Going steps further, research participants manifested that they have powerful intrinsic will to grow a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pecialty based on the Learning community based teaching practice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by realizing the growth of their overall life and the community’s growth at the same time. In the end, they experienced Learning community specific characteristics such as self-consciousness and stimulation, fellowship and sense of belonging, and forum for studying after they meet the Learning community during the process of fighting for the essence of learning experience via Learning community based teaching practice activity alone.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establish their identity while integrating the study with the direction of their life, and realize self-growth. In other words, it can be expressed as the essence, ‘Continuous Self-Expansion’. Although they ar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this practice experience was the process of forming collective identity comprised of the individuals in order to realize the joint goal of creating the value of teachers anew when it comes to the significance that they endow on their life. Moreover, this was like studying to ‘become me (to me)’ in order to grow into a better me as the studying evolves into the acquisition of the personal knowledge, conviction, and perception for the execu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based teaching practice and to expand into the everyday life of other context.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verifi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gained self-confidence and sense of pride as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since they gained the power of ‘us’ deviating from ‘I’ who was alone and weak and who was alienated, since they share the uniform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Moreover, individuals’ resources and perspective winded as they executed their given role in the Learning community, interacted with others, and participated in diverse activities, and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y try to become better beings through the self-expansion experience. Lastly, discourse on the experience of the cooperating teachers and development of specialty in the community based teaching practice program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continued to self-reflect to improve during the process of operating a community while participating as a cooperating teacher who is also the researcher. Second, relationship of trust was formed while communicating and sharing knowledge with the prospective teachers in an open manner via community. Third, productive community culture was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guiding the practice program based on the cooperative network among the members. It was possible to feel immense sense of satisfaction as a cooperating teacher while observing the prospective teachers grow within the community. These sense of satisfaction and pride instilled passion towards teaching, and served as the turning point for increasing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he end. The researcher, who is a cooperating teacher formed empirical knowledge while communicating and exchanging opinion with the prospective teachers. Moreover, new relationship of mutual trust was formed by carrying out open communication and knowledge sharing with the prospective teachers, and the members could learn together and verify their growth via community.

      • 시멘트 공장 주변지역 대기오염물질 관리에 관한 연구

        윤수정 세종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멘트 산업은 60년대 1,2차 경제개발과 함께 성장한 국가 기간산업으로 사회 간접자본 시설 확충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1919년 시멘트 공장이 최초로 설립되어 현재는 시멘트 생산량 기준 세계 11위에 해당하는 등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시멘트 산업은 에너지 다소비 제조업 중 하나로 제조 과정 상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고온 제조되기 때문에 CO2의 배출이 타 산업 대비 높은 편으로 대기환경오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시멘트 산업은 CO2 감량의 방법으로 폐기물 순환자원화를 도입하였으나, 이 또한 시멘트 생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생산되는 비산먼지를 통해 시멘트공장 주변지역에 유해성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시멘트 생산국 및 국내 시멘트 산업 현황을 관찰하고, 시멘트 산업으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의 사회적 인식과 정책적 대응을 살펴봄으로써 환경 측면에서 시멘트 산업의 미래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시멘트 주요생산국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멘트 산업으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를 인지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으며, 우리나라 역시 유해물질 관리 기준 강화 및 비산먼지로 인한 피해구제 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선진외국에 비해 부족한 부분이 많으며, 이것은 향후 시멘트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The cement industry grew as a basic national industry as part of the 1st and 2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60s, and it has an important role for expanding infrastructure. The first cement factory was established in 1919 and advanced into a global industry, which is now ranked number 11 in worldwide cement production. However, because the cement industry involves mass energy consumption, by burning fossil fuels at high temperatures, CO2 emissions levels are higher than other industries. This means that it affects air pollution significantly. Recently the cement industry introduced resource recycling technology for waste, to reduce CO2 emissions. But this process also has the effect of creating unavoidable fugitive dust, which is harmful to the surrounding area. Hence, this study will observe major cement producing countries in the world as well a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domestic cement industry, and analyse social awareness of air pollution from the cement industry and politically. Also it will examine the future of the cement industry from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Presently in most major cement producing countries, people have become aware of air pollution and cement industries are trying to finds ways to improve this. Specifically, Korea strives for the reinforcement of injurant control standards and damage relief from fugitive dust. However, these are still insufficient methods, compared with other developed nations, which need to improve spontaneously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ement industr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