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불모산 범패의 선율유형 연구-우담 문중 은파스님을 통하여-

        윤소희 ( So Hee Yo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본고는 영남범패 중 마산·창원의 성주사·장유암·불곡사를 중심으 로 전승되고 있는 불모산소리의 전승자 은파스님의 증언으로 ‘거불성’ 과 ‘옹호게’, ‘진묵게’과 ‘할향게’, ‘복청게’와 ‘무량위덕’을 같은 유형 다른 악곡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였다. 올해 80의 연세로 접어드는 은파스 님은 해방되던 해에 우담스님이 주석하던 장유암으로 출가하여 우담 → 금해 → 은파로 이어지는 불모산소리 문중의 맏이로서 외부 활동을 그 다지 하지 않았으므로 불모산소리의 순수한 소리 맥을 간직하고 있다. 영남범패의 가장 기초소리인 ‘거불성’으로써 불모산소리와 통범소리 를 비교하여 불모산범패의 소리 유형을 영남범패의 보편적 유형의 준거 틀로 활용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지역의 소 리에 잔가락의 미세한 차이는 있어도 선율의 골격과 방향이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불모산범패를 통해 분류된 소리유형을 영남범패 의 소리 분류에도 적용할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확인된 세 가지 유형의 여섯 곡을 살펴보면, ‘거불성’과 ‘옹호게’는 같은 유형의 악곡으로, 시작구는 완전히 다르다. 중간 부분은 거불성보다 긴 악곡인 ‘옹호게’에 ‘거불성’에 없는 새로운 부분이 한 부분 정도 첨가 된 것 외에는 대부분 같은 선율이고, 종지구는 장식적인 끝음의 첨가 외 에 거의 같다. 반면 ‘진묵게’와 ‘할향게’는 시작과 종지부분이 거의 같고, 중간 부분은 ‘할향게’에 새로운 요소가 한 부분 있기는 하나 그다지 색 다른 변화는 아니어서 전반적으로 비슷한 악곡이었다. ‘복청게’와 ‘무량 위덕’은 다 같이 범어(梵語)가사인 다라니와 진언을 이어서 하는 악곡으 로 곡의 윤곽이 앞의 네 곡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러한 악곡을 본고에서 는 ‘복청게 계열’ 악곡으로 분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불모산범패의 분류를 ‘거불성 계열’ ‘진묵게 계열’ ‘복청게 계열’로 유형별 명칭을 부여하였는데, 앞으로 남은 곡들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선율유형 분류를 계속하고자 한다. 아울러 영남범패가 서로 대동소이하므로 불모산범패의 선율 유형은 통범소리와 영남범패 전반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는 무박절 로 거의 비슷하게 들리는 범패이지만 분명하게 구분되는 선율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불교음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하고 대중화 하는 기 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on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Bulmosan Mountain Beompae music by testimony of monk ‘Eunpa’. To narrow and further the study, I have choose ‘Geobul-seong’, ‘Ongho-gye’, ‘Jinmook-gye’, ‘Halhyang-gye’, ‘Bokcheong-gye’ and ‘Muryangwideok’ Beompae songs and compare these songs with other songs. Monk ‘Eunpa’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at the Jangyoo-am hermitage in 1945. Monk ‘Woodam’ was the chief priest at that time, so the genealogy of Bulmosan mountain Beompae family trasnmitted in the order ‘Woodam’-‘Guemhae’-‘Eunpa’. Because monk ‘Eunpa’ did not widen the area and stayed mainly within the ‘Masan’ and ‘Changwon’ regions, his Beompae shows the most distintive characters of Beompae music of Bulmosan Mountain Beompae of Woodam family. Through the detailed comparisions in the musical structures of previously mentioned Beompae songs, I was able to grouping them into three bigger category which are ‘Geobul-seong group’, ‘Jinmook-gye group’, and ‘Bokcheong-gye group’ by their similarity on the melodies. After these three groups have identified, I have compare them with the ‘Tongbeom-sori’ style Beompae music in order to see if the way of grouping these Beompae songs can be used as the universal reference frame. Comparisons between the ‘Geobul-seong’ song sung in both ‘Tonebeom-sori’ and other various styles existed in the ‘Youngnam-regional Beompae-sori’ shows that despite the minor differences such as ornaments, the basic melodic structure is built in almost similar style. As a result, it is clear that within the various Beompae songs, grouping them into similar melodies can also be adapted to that of Youngnam regional Beompae music when studying the structures and melodies of these music particularly. Moreover, we can see the bigger and clearer frame of basic structure of Beompae music as well as its pattern by doing so. Furthermore, I think this type of analyzation method can also be adapted to many other Beompae music practiced in various styles throuout the Korean penninsula, since they all handed down by monk ‘Jingam’ of Shilla Dynasty.

      • 미국·일본 노인복지제도 경향을 통해 본 노인복지시설의 환경적 특성과 한국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제언

        윤소희(Yoon, So-Hee),김석태(Kim, Suk-Ta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This aims to propos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ong-term elderly care insurance of long-term elderly care insurance and elderly facilities in Korea, by comparing elderly system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ajor countries that experienced aging socie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and ripple effect of elderly welfare system.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steps, to compare elderly welfare system and facilities in major countries, regarding change of special structure of elderly care facilities following introduction of long-term elderly care insurance. First, for privacy and independence of elderlies, facilities will need to be built in a small unit and care rooms reduced to suit one or two users. This can lead to increase of the number of rooms as well as area of individual bedrooms. Also, introducing a group home system that combines unit spaces wil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elderly care. Second, local governments must make effort to support renovating and maintaining houses of elderlies and, when renovating elderly care facilities, make a long-term plan for systematic management. Third, integration of various facilities can be expected. As functions of care facilities develop, facilities can be combined or linked with other various facilities, which should take into account integr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as well. Furthermore, hospice facilities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such integration for patients who end their lives in the care facilities. Consequently specific standards and measures must be prepar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lderlies at facility, and, following revision of the long-term elderly care insurance law, many existing buildings are expanded, extended, repaired or renovated. Therefore, specific alternatives for standards need to be prepared regarding expansion, extension, repairing, and renovating of care facilities.

      • 범패의 연행 형식과 의례 행위

        윤소희(Yoon So-hee) 한국음악문화학회 2013 한국음악문화연구 Vol.4 No.-

        ≪영남범패≫는 1969년 8월에 녹음하여 2007년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희귀음반 시리즈로 발간한 음반이다. 이 음반에는 45곡의 영남범패가 수록되어 있는데, 본 연구자는 이들 중 동일곡을 다른 연주 형태로 노래하고 있는 ‘³지심신례’³와 ‘³삼귀의’두 곡을 찾았다. 지심신례는 독창과 합창, 삼귀의는 독창과 교창으로 노래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들을 비교하므로써 연주 형태에 따라 악곡의 변화가 어느 정도 일어나고 있는지, 이러한 변화는 재의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소리에 비해서 ‘³지심신례’³와 ‘³삼귀의’두 곡 모두 합창이나 교창으로 노래할 때는 단3도 정도 높은 키로 노래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혼자 노래 할 때 보다 대중이 다 함께 노래할 때 좀 더 상기된 분위기가 조성된 결과로 보인다. 그런가하면 독소리와 합창, 독소리와 교창의 관계를 비교해 보았을 때 대중이 함께 노래 할 때 보다 혼자 노래 할 때 장식음이나 시김새가 좀 더 섬세하고 다양하게 구사되고 있었다. 이는 다 함께 노래하는 경우 시김새를 자유로이 구사할 수 없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독소리(solo)에서 합창으로, 독소리에서 교창으로 불렀을 때 처음부터 끝까지 대중 합창으로 부른 곡은 독소리와 그다지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대중이 주고받는 교창에서는 가사의 내용이 배로 늘어났고, 선율에 있어서는 범패조와 완전히 다른 민요조의 선율까지 부가되는가 하면 복수의 사물 타주와 북가락까지 가세하여 변화의 폭이 매우 컸다. 이러한 변화는 사물 타주에도 영향을 미쳤고, 재장의 분위기에도 커다란 변화를 주는가 하면 민요조의 선율은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 내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The sound source of ≪Yeongnam Beompae≫ was recored in Aug 1969. They are 5CD set series of rare recordings pu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2007. Among the 45 Buddhist ritual Beompae songs published, I found four versions of the same song recorded in different styles: Solo, Chorus, Solo, and Antiphonary. The solo singer and the leader singer of the chorus versions was the same person, so I compared with those songs each other and research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lo, chorus, and antiphonary styles, and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t performance forms affect the ritual condition. During my research I discovered that the pitch of the chorus and antiphonary songs was upper 3 minor interval greater than the solo version. I believe the atmosphere was affected by the greater number of people in the ritual place. Another difference was the ornamental grace and vibrato of the solo songs being more delicate than the chorus or antiphonary versions. It was such that the solo singer could sing more freely. Differences between the solo and chorus were smaller then the antiphonary song. The antiphonary song included a greater variety of lyrics, melody, and percussion rhythm, especially a folk song style. The fork song style in the antiphonary version made the ritual more exciting and accessible to the participants.

      • KCI등재

        직업계 고등학교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육 수요자 인식 조사

        윤소희 ( So Hee Yoon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2

        이 연구는 직업계 고등학교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는 A광역시에 위치한 직업계 고등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생 541명, 학부모 261명, 교원 179명의 총981명의 응답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IBM SPSS 21을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χ<sup>2</sup>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점제에 관한 인식 영역의 모든 응답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교원-학생, 교원-학부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 영역의 조기졸업 필요 여부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학생의 평균이 학부모와 교원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 운영 및 평가 영역 중 교사들의 다양한 교수법 활용도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학부모와 교원의 평균이 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ducation consumers about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the A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981 responses were analyzed: 541 students, 261 parents, and 179 teachers. One-way ANOVA and χ<sup>2</sup> test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2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ll responses of percep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differences between teachers-students, and teachers-parents were found. Seco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need for early graduation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ean of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parents and teachers. Thir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achers’ use of multiple teaching methods under class management and eval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eans of parents and teachers were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 KCI등재

        전통예술의 콘텐츠화와 문화산업화를 위한 사례 분석

        윤소희(Yoon So-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08 문화산업연구 Vol.8 No.2

        Throughout the paper, I have discussed about the co-relation in Buddhist Ritual Dance and Cheoyong-moo dance of Korean with Taiwanese Suryuk-jae ritual and Tibetan Cham-moo dance. As one can find from this article, Buddhist ritual practices among these three countries shares its characteristics, and this can also be found among most Asian countries including India. I think one of the most significant qualities in these ritual practices is that these kind of ritual practices contains not only the ritual repertoire but many other forms of arts including the dance and music that is being used as well as stories, religious objects and other artistic object. Regions such as Busan and Gyeong-nam has such many numbers of historial temples from Shilla Dynasty, and ritual practices from these temples has also been transferred to the monks among them, to name a few Beomosa temple. This is why I believe that this region can act as a platform for promoting the cultural exchanges of the Buddhism and its ritual practices among Asian countries as well as leading the culture to be spread to outside the world. I also believe this can be more efficiently achieved if both industries and cultural divisions of each corresponding country to cooperate and collaborate together. This can be improved also with the help of industrial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its ritual practices. With such effort, it can be settled closely to our lives as living tradition, which will also help to brought up the economic and cultural maturity too such degree. Throughout the paper, I have discussed about the co-relation in Buddhist Ritual Dance and Cheoyong-moo dance of Korean with Taiwanese Suryuk-jae ritual and Tibetan Cham-moo dance. As one can find from this article, Buddhist ritual practices among these three countries shares its characteristics, and this can also be found among most Asian countries including India. I think one of the most significant qualities in these ritual practices is that these kind of ritual practices contains not only the ritual repertoire but many other forms of arts including the dance and music that is being used as well as stories, religious objects and other artistic object. Regions such as Busan and Gyeong-nam has such many numbers of historial temples from Shilla Dynasty, and ritual practices from these temples has also been transferred to the monks among them, to name a few Beomosa temple. This is why I believe that this region can act as a platform for promoting the cultural exchanges of the Buddhism and its ritual practices among Asian countries as well as leading the culture to be spread to outside the world. I also believe this can be more efficiently achieved if both industries and cultural divisions of each corresponding country to cooperate and collaborate together. This can be improved also with the help of industrial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its ritual practices. With such effort, it can be settled closely to our lives as living tradition, which will also help to brought up the economic and cultural maturity too such degree.

      • 수륙 의례 범문(梵文)을 통(通)한 밀의(密儀) 연구 -삼화사를 중심으로 웃녘·아랫녘 통섭 비교-

        윤소희 ( Yoon So-hee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9 密敎學報 Vol.20 No.-

        본고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삼화사·진관사·백운사 수륙재의 의례 梵文과 설행을 통하여 한국 수륙재의 범문 편재와 신행 양상을 고찰하였다. 백운사의 아랫녘수륙재에서는 보공양·보회향진언을 23회에 걸쳐 설행한데 비해 웃녘에서는 공양 절차에만 편재되어 5회에 그쳤으나 3일간 행해지는 삼화사수륙재에서는 2차례를 추가로 송주하며 재장의 분위기를 돋구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에는 조선건국과 전쟁 후에 수륙재를 설행하여 민심을 달래어 온 한국 수륙재의 역사적 배경이 있었고, 이러한 점이 法會를 표방하는 중국과 달리 공양과 회향에 역점을 두는 한국 수륙재가 달라지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의례문의 전반적인 흐름을 보면 漢語는 詩體와 사설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 중 詩體는 7·5·4언의 찬탄 歌頌으로 바깥채비 승려가 모음을 장인하여 무박절로 길게 늘여 짓는다. 그에 비해서 사설조는 水陸緣起나 由致文과 같이 설명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안채비 승려가 염불조로 촘촘히 짓는다. 이에 비해서 梵語 儀文은 惡業을 정화하고, 紙錢을 金銀錢으로, 도량 結界와 목욕 淨化, 공양의 質的·量的 변화 등 의례의 실질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梵文 신행은 일찍이 인도 불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弘法의 결실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진언의 공덕을 강조하였고, 그것이 확산되는 과정에 독송 목적에 맞는 운율을 만트라 聲明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홍법 교화는 진언을 필사하거나 장엄하는 신행으로 발전하였고, 의례에서는 법구를 타주하며 승려와 대중이 다 함께 신명을 내었던 것이다. 이러한 梵文 설행이 중국과 다른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고, 중국에 비해 밀교적 비중이 큰 한국 수륙재의 특징이 되었다.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mantra chanting and esoterical performing aspects of the Suryuk ceremony text through three temple’s rituals, all of which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Samhwa temple, Jingoan temple and Baekwoon temple. The Bogongyang·Bohoihyang Jineon was chanted, whose mantra is recited 23 times in Araetnyeok, which refers to the southern region of Suryukjae, location of Baekwoon temple. They also recited the same mantras twice more than the ritual text, which is recommended to be chanted five times as the pertinent ritual process. The two temples are Utnyeok, which refers to the northern region where the Samhwa temple i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the Jingoan temple i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Seoul, and all the monks who performed the rituals came from Seoul. Thus, this ritual tradition belongs to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as, situated in the northern part of South Korea. This means that the Korean Suryuk ceremon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ritual text influenced from China, subsequently, further Sanskrit mantras and esoteric Buddhist performances were added in Korea. The Suryuk ceremony proliferated in the early days of the Josun Dynasty, propagated by its founders as consolation for those sacrificed for founding new dynasty Josun. After several centuries, Buddhist temples held the Suryuk ceremony to console and honor the memory of those who were killed in wars, such as the Imjinweran and Byeogja Horan. In particular, Koreans recited the two mantras Bogongyang Jineon making an offer of food, money, flowers etc and Bohoihyang Jineon sharing of the merit with the families of the bereaved. These aspects are close to the method of esoterical Buddhism. If we check the overall contents of ritual literature, there are two kind of literary style. One is poetic, the other is narrational sentences. The former is praise poetry, sung with a melisma melody by professional musician monks; the latter is of explanatory notes recited in a close syllabic pattern by common monks. Those are used to praise Buddha, bodhisattva, the instruction of Buddhism, or to explain the ritual meaning and process. Meanwhile Sanskrit mantras delivered the substantial function of rituals like as removing all evil deeds, translating paper money symbols to gold or silver money for heaven, and transfiguring the offered substance to a sanctified one increased in quantity. The faith behavior of the Mantra originated with early Buddhism in India. It was used for the propagation of Buddhism, emphasizing the benefit and efficacy of the mantra melody. In Korea, It was further developed in transcription and ornamentation of the mantra letters, and recited or sung in ritual with percussion instruments with monks and believers together. Most Korean Buddhists couldn’t understand the ritual’s meaning since they were unable to read Chinese ritual text. But the Sanskrit mantra’s intrinsic purpose being just its sound, Koreans recited those frequently during the Suryuk ceremony. This is an important point distinguishing the Chinese and Korean Suryuk ceremonies.

      • KCI등재

        <특집논문1> 화엄사상과 현대예술의 만남 : 화엄자모와 21세기 불교음악

        윤소희 ( So Hee Yo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하나의 음에 우주 일제의 이치가 담겨있는 화엄자모는 수많은 음들이 하나의 원리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 일즉다즉일 화엄사상을 반영하고 있다. 화엄자모의 연원을 보면, 고대인도의 주술적 만트라가 불교적으로 수용되어 초기 대승불교 시기의 『반야경』과 『화엄경』에서는 수행적 방편과 덕목으로, 대승불교의 중기에 해당하는 4-5세기 무렵에는 성불.보살도와 계율을 중시하는 사상으로, 7세기의 『대일경』에 이르러서는 진언교법으로 활용되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강조하는 의미와 용도가 변화되어 왔다. 대만에서는 수륙법회 중 유가염구에서 화엄자모 범패를 노래하는데, 이는 만트라수행과 결합된 범어범패가 중국 유불도(儒佛道)의례 전통과 융합된 것으로 보인다. 한어(漢語)범패가 찬탄의 뜻을 중시하는 것에 비해 화엄자모와 같이 범어를 가사로 하는 범패는 언어가 지닌 소리 진동과 그로 인한 종교적 신비와 에너지가 중시된다. 그러므로 중국불교의 초기 유화승들은 범어범패로 인한 신통력으로 크게 회자되곤 하였다. 이에 비해 한국에서는 한어(漢語) 범패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져 범어범패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음악의 신행적 활용 또한 도외시 되어왔다. 언어 그 자체의 에너지와 파동적 힘을 중시하는 범음창송은 21세기 과학문화 시대에 더욱 흥미롭게 다가온다. 음향학.파동역학.의학 분야에서 소리의 파장이 인체에 미치는 연구 성과들이 이를 말해준다. 이를 볼 때, 범어범패야 말로 현대 과학으로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연구 분야이자 수행과 힐링을 위한 좋은 방편이 될 수 있다. 한국 불교계에서도 선지중예동자와 같이 음악 행법을 적극적으로 개발하면 문화가 국력이 되는 이 시대에 맞는 불교홍법의 활로가 될 것이다. Whoaeomjamo is the sound mandala of Buddhist philosophy. It reflects the idea of the flower garland, the universal principle, in sound form. Every sound within it contains the fundamentals one is all and all is one. Sunjijoongye became the Buddhist saint Bodhisattva through the Whoaeomjamo, the 42 see mantra alphabets of the Flower Garland sutra. In the ancient period of Indian history, Brahman priests used to retreat into iterating the vibrations of language or some vowel sound, thereby using them as a sort of charm. But Buddha prohibited his disciples from engaging in an activity which he regarded as akin to superstition and shamanism. After Buddha died, and as Buddhism developed, this practice of retreating into Mantra flowed into Mahayana and Tantric Buddhism. As a result, Whoaeomjamo was mentioned in the Flower Garland Sutra and became used in Buddhist play or retreating. Now it has been indigenized in China on the cultural base of Confucianism and Taoism and is sung at the Yougayeomgu (瑜伽焰口) ritual in the shuilu ceremony. But in Korea Whoaeomjamo chants have not been passed on down, although the Flower Garland Sutra is popular and has transmitted Buddhist ritual and chants from China. These days, as the science of sound develops, looking into the study of wave epidemiology or medical studies on the bio rhythm of pronunciation, the retreating practice of mantra or vibration of vocal sounds is becoming more and more noteworthy. So as that point, the singing mantra chants as importance itself of sound has the high value of utilize it for helping break new ground in the science of sound analysis and meditation retreat or music.

      • KCI등재

        호텔로비의 지각특성과 공간요소별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온라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윤소희 ( So Hee Yoon ),김석태 ( Suk Tae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호텔로비는 호텔이 추구하는 가치표현의 장으로서 다양한 디자인 요소와 인테리어 장식을 활용하여 그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상징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웹페이지에 제공되는 호텔로비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각특성과 시각적 주의를 끌 수 있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2015 년 5 월 21 일부터 22 일까지 양일간 호텔로비 6 곳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피험자는 실내디자인학과에 재학중인 2,3 학년 학생 남녀 32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보다 객관적인 결과도출을 위해 유효율이 낮은 8 명의 데이터를 제외한 총 24 명의 주시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가구요소, 장식요소, 조경요소, 조명요소의 4 가지 공간요소를 추출하고 시각적 주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시시간을 동일하게 10 초씩 설정했으나, 응시횟수와 응시지속시간은 피험자와 이미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응시횟수 및 응시지속시간 분석결과 가구요소>장식요소>조경요소>조명요소의 순으로 시각적 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세번째, 평균응시지속시간의 분석결과 장식요소>조경요소=조명요소>가구요소의 순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이며, 장식요소의 시각적 이해에 비교적 오랜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공간요소의 위치가 화면의 중심에 위치할수록 응시횟수 및 응시지속시간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 장식요소가 건축적 요소에 설치되거나 인접하게 위치할때 시각적 주의를 높일 수 있었다. 여섯 번째, 조명요소는 팬던트 방식의 조명이 매입 및 스탠드 방식의 조명보다 시각적 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As a place for expressing what each hotel pursues, the lobby of hotel implies the meaning with various interior designs and ornaments and thus, functions as a symbolic place. The present study performed experiments of 6 hotel lobby-images for 2 days from May 21st to 22nd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of customers toward provided lobby image from webpage and the factors that can visually attract them. The subjects were 32 sophomore and junior whose major was interior design. To get objective results, we excluded 8 low-effective-ratio-data and analyzed 24 data on focus. As the previous studies, we extracted 4 spatial factors into furniture, ornament, landscape and illumination and analyzed visual attractions using clustering method.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First, even with same 10-second focusing time, the number and time of star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ubject and image. Second, analyzing the number and time of stare, the level of visual attraction was shown in decreasing order of furniture, ornament, landscape and illumination. Third, the mean time of staring was shown as ornament>landscape=illumination>furniture, and it seemed that people took time for the visual understanding of ornament significantly. Fourth, more center-located spatial factors had the higher number and time of stare. Fifth, when ornaments were established in or located adjoining the architectures, visual attraction was elevated. Lastly, illumination showed higher attraction with pendent form than the stand one.

      • 보로부두르 주악도와 백제 불교문화

        윤소희 ( Yoon So-hee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8 密敎學報 Vol.19 No.-

        본고는 동남아 지역의 전반적인 문화지도 가운데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가 갖는 불교문화적 성격을 고찰하고 이를 한국의 백제 불교와 문화유적에 견주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비롯하여 보로부두르를 촬영 조사하였고, 오늘날 인도네시아의 이슬람문화에 대한 현지조사도 함께 이루어졌다. 그 결과 보로부두르 원형단에 설치된 鐘모양의 원형탑의 벽돌 무늬가 층별로 차이가 있고, 그 위에 조각된 원뿔이 일정한 숫자의 각을 이루고 있음을 새로이 발견하였다. 이들은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인식 체계와 더불어 4성제, 6바라밀, 8정도를 상징하는 숫자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어서 보로부두르에 숨어 있는 보다 많은 秘意와 상징 체계에 대한 미시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충남 연기군의 비암사 3층 석탑에 있는 아미타불 3존 석상의 8주악상에 나타나는 무릎 위의 북과 백제금동대향로에 나타나는 긴 타원형의 공명통을 지닌 현악기는 고구려와 신라에는 없고, 백제의 유물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악기이다. 중국을 비롯한 대륙 루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악기가 보로부두르의 부조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백제와 인도네시아 샤일렌드라 왕조가 지니는 인도문화의 연결고리가 있기 때문이다. 보로부두르의 완성과 함께 쇠퇴한 샤일렌드라왕조의 불교는 힌두교와 상호 관용의 관계를 유지하며 존속하였고, 오늘날 인도네시아 문화의 뿌리이자 정신적 자양분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인도네시아는 이슬람국가이지만 다변화된 동남아 양상 중 라마야나 문화가 공유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여기에는 인도로부터 유입된 문화적 뿌리가 깊은데 비해 이슬람이 전 국민적으로 확산된 역사가 그리 길지 않고, 이슬람 중에서도 유연성을 지닌 수니파를 받아들인 것이 주효하였다. 인도네시아에 불교를 전한 꾸란 讀經師들은 힌두 및 불교 신행을 문화현상으로 여겨 힌두·밀교의 주술의식에 무슬림 독경사들이 동참하며 기도하는 등, 불교와 힌두가 융합된 문화적 뿌리 위에 독특한 이슬람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I have researched in the field the religious and Buddhist culture of Indonesia through the musical iconography of Borobudur and today’s society. There are many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belong to India or Indonesia, performers being either court or folk musicians. Contemporary south-east Asian Indonesia has a broad religious heritage. Most of the population is Muslim, but the culture and customs are rooted in Indian culture especially with Ramayana. I discovered, for example, the same percussion instruments played on a person’s knees. I also came across similar string instruments with long and elliptical resonance casks on the iconography of the Incense Burner and Byam temple stone pagoda of Beakje dynasty in Korea and in Borobudur in Indonesia. The two musical instruments can not be found in other countries, such as Silla, Koguryŏ, China or the silk road area, but only Indonesia or India. This suggests that Beakje Buddhism is from the southern regions rather than China. Through this research I found a symbolic world of a circular tower and a cone of Borobudur. For example, I have found quadrangular columns as ārya-satya, hexagonal columns as Six Pāramitās and octagonal columns as ashtangika-mārga. Today, Indonesia has only 1% of the population to be Buddhist, but their lives lie in the soil of Buddhist spirit and culture. Therefore, the affinity between Indonesia and Korean culture is attributed to the same root of Indian Buddhism and culture.

      • KCI등재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요양병원 외래부 대기공간 균일성 평가

        윤소희(So-Hee Yoon),김석태(Suk-T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현대사회의 복잡다기한 문제파악과 분석을 위해 최근들어 다양한 변수를 바탕으로 하는 복잡계 분석의 도입이 활발해 지고 있다. 외래부의 공간배치에 따른 환자들의 공간인지와 사용성을 미리 예측하는 것은 질 높은 병원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객관적 분석을 위해 노인의 질환별 표준프로그램 절차 및 분석을 위한 지표를 마련하고 히트맵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통해 대기공간의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복잡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진료공간·접수공간·상담공간의 배치변화에 따른 4개 대안의 대기공간 균일성을 분석하기 위해 73개의 셀을 설치하여 시뮬레이션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밀도를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대기공간의 전체 공간밀도는 접수공간의 배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2)검사공간과 진료공간의 확실한 분리배치가 대기공간의 균일성을 높여주는 방안이다. 3)접수공간의 위치가 입구에서 가까울수록 대기공간의 밀도균일이 커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기공간 균일성 평가에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행위자기반모델이 공간분석 방법론으로서의 활용과 평가에 활용도를 가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complex systems analysis based on various variables has become more active in order to identify and analyze complexproblems of Modern Society. Prediction of patients" spatial perception and usability according to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outpatient departm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providing high quality hospital service. For objective analysis, the standard program procedure and analysis index for the diseases of the elderly were prepared and the uniformity of the atmospheric space was evaluated through heat map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73 cells were installed and simulated to analyze the uniformity of the four alternativ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rrangement of the medical care space, receiving space, and consultation space using the complex system analysis method for the nursing hospitals.The resulting density was deri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The layout of the reception spac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total spatial density of the waiting space. 2) The uniformity of the waiting space can be increased by separating the examination space and the examination space. 3)The closer the location of the receiving space is from the entrance, the greater the density of the waiting space. Finally, this study applied discrete event simulation to the evaluation of uniformity of atmosphere space, and proved that the actor - based model can be utilized for utilization and evaluation as spatial analysis method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