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기반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방안 탐색 : 캐나다 BC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소희(Yoon, S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캐나다 BC주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의 비교⋅분석을 통해 역량기반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우리나라 2015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와 캐나다 BC주 교육부 웹페이지를 분석대상으로 삼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의 반영방식, 교과내용의 구성과 진술방식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교과역량은 선언적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핵심역량과의 관계성, 실질적인 교과내용과의 연계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둘째, 내용체계에서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은 각각의 역할과 필요성이 모호하고 중복되는 부분이 있었다. 셋째,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은 이해의 확장성 측면에서 한계가 드러났으며,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중심으로 학년 군별 심화, 영역 별 융합, 교과 간 연계성이 드러나지 않고 있었다. 넷째, 내용요소는 가족 맥락에 한정되어 단순한 의미를 이해하고 전략⋅방안을 탐색하는 내용을 주로 제시하고 있었다. 다섯째, 성취기준에서 내용요소와 결합하고 있는 기능은 교과내용을 학습하는 도구적 기능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실제 삶에서의 행동적인 역량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결론 첫째, 교과역량은 핵심역량과의 관계성, 실질적인 교과내용과의 연계성을 유기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내용체계에서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은 그 역할과 필요성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중심으로 학년 군별 심화, 영역 별 융합, 교과 간 연계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내용요소는 가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맥락의 요소를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성취기준에서 내용요소와 결합하고 있는 기능은 역량함양을 최종 지향점으로 하여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들이 총체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제시할 수 있는 성취기준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tents through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curriculum contents with home economics (hereafter HE) in Korea and BC, Canada.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2015 revised Korean HE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BC State Curriculum Web pages in Canada. Results First, the curriculum competencies are declared only explicitly in the HE curriculum,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and the actual curricular content is not explicitly presented. Second, generalized knowledge and functions are ambiguous and overlapping roles and needs. Third,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have revealed limitations to intend to endure beyond a single grade and contribute to future understanding. Fourth, content elements are limited to the family context, understanding simple meanings and exploring strategies. Fifth,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composed of the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 However, the function only serves as a tool for knowing and understanding and does not reflect the behavioral capabilities in real life.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and the actual curricular content is organically. Second, re-discussions for ambiguous and overlapping roles of generalized knowledge and functions are needed accordingly. Third,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are necessary to re-discuss to contribute to future understanding and interdisciplinary linkage. Fourth, content elements are necessary to consider elements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at affect the family. Fifth,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necessary to include a combination of cognitive, defi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 수륙 의례 범문(梵文)을 통(通)한 밀의(密儀) 연구 -삼화사를 중심으로 웃녘·아랫녘 통섭 비교-

        윤소희 ( Yoon So-hee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9 密敎學報 Vol.20 No.-

        본고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삼화사·진관사·백운사 수륙재의 의례 梵文과 설행을 통하여 한국 수륙재의 범문 편재와 신행 양상을 고찰하였다. 백운사의 아랫녘수륙재에서는 보공양·보회향진언을 23회에 걸쳐 설행한데 비해 웃녘에서는 공양 절차에만 편재되어 5회에 그쳤으나 3일간 행해지는 삼화사수륙재에서는 2차례를 추가로 송주하며 재장의 분위기를 돋구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에는 조선건국과 전쟁 후에 수륙재를 설행하여 민심을 달래어 온 한국 수륙재의 역사적 배경이 있었고, 이러한 점이 法會를 표방하는 중국과 달리 공양과 회향에 역점을 두는 한국 수륙재가 달라지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의례문의 전반적인 흐름을 보면 漢語는 詩體와 사설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 중 詩體는 7·5·4언의 찬탄 歌頌으로 바깥채비 승려가 모음을 장인하여 무박절로 길게 늘여 짓는다. 그에 비해서 사설조는 水陸緣起나 由致文과 같이 설명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안채비 승려가 염불조로 촘촘히 짓는다. 이에 비해서 梵語 儀文은 惡業을 정화하고, 紙錢을 金銀錢으로, 도량 結界와 목욕 淨化, 공양의 質的·量的 변화 등 의례의 실질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梵文 신행은 일찍이 인도 불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弘法의 결실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진언의 공덕을 강조하였고, 그것이 확산되는 과정에 독송 목적에 맞는 운율을 만트라 聲明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홍법 교화는 진언을 필사하거나 장엄하는 신행으로 발전하였고, 의례에서는 법구를 타주하며 승려와 대중이 다 함께 신명을 내었던 것이다. 이러한 梵文 설행이 중국과 다른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고, 중국에 비해 밀교적 비중이 큰 한국 수륙재의 특징이 되었다.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mantra chanting and esoterical performing aspects of the Suryuk ceremony text through three temple’s rituals, all of which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Samhwa temple, Jingoan temple and Baekwoon temple. The Bogongyang·Bohoihyang Jineon was chanted, whose mantra is recited 23 times in Araetnyeok, which refers to the southern region of Suryukjae, location of Baekwoon temple. They also recited the same mantras twice more than the ritual text, which is recommended to be chanted five times as the pertinent ritual process. The two temples are Utnyeok, which refers to the northern region where the Samhwa temple i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the Jingoan temple i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Seoul, and all the monks who performed the rituals came from Seoul. Thus, this ritual tradition belongs to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as, situated in the northern part of South Korea. This means that the Korean Suryuk ceremon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ritual text influenced from China, subsequently, further Sanskrit mantras and esoteric Buddhist performances were added in Korea. The Suryuk ceremony proliferated in the early days of the Josun Dynasty, propagated by its founders as consolation for those sacrificed for founding new dynasty Josun. After several centuries, Buddhist temples held the Suryuk ceremony to console and honor the memory of those who were killed in wars, such as the Imjinweran and Byeogja Horan. In particular, Koreans recited the two mantras Bogongyang Jineon making an offer of food, money, flowers etc and Bohoihyang Jineon sharing of the merit with the families of the bereaved. These aspects are close to the method of esoterical Buddhism. If we check the overall contents of ritual literature, there are two kind of literary style. One is poetic, the other is narrational sentences. The former is praise poetry, sung with a melisma melody by professional musician monks; the latter is of explanatory notes recited in a close syllabic pattern by common monks. Those are used to praise Buddha, bodhisattva, the instruction of Buddhism, or to explain the ritual meaning and process. Meanwhile Sanskrit mantras delivered the substantial function of rituals like as removing all evil deeds, translating paper money symbols to gold or silver money for heaven, and transfiguring the offered substance to a sanctified one increased in quantity. The faith behavior of the Mantra originated with early Buddhism in India. It was used for the propagation of Buddhism, emphasizing the benefit and efficacy of the mantra melody. In Korea, It was further developed in transcription and ornamentation of the mantra letters, and recited or sung in ritual with percussion instruments with monks and believers together. Most Korean Buddhists couldn’t understand the ritual’s meaning since they were unable to read Chinese ritual text. But the Sanskrit mantra’s intrinsic purpose being just its sound, Koreans recited those frequently during the Suryuk ceremony. This is an important point distinguishing the Chinese and Korean Suryuk ceremonies.

      • KCI등재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윤소희(Yoon So hee) 국립국악원 2015 국악원논문집 Vol.31 No.-

        본고에서는 월명사가 부르지 못했던 성범(聲梵) 의 실체를 찾아서 실크로드와 중국 그리고 한국의 초전불교의 면면을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중국 초기불교 시기에 서역에서 온 유랑승들이 많았고, 이들은 범어범패로 신통력을 부리거거나, 다라니나 진언이 지닌 의성어 의태어의 유희성으로 대중의 인기를 얻었던 사실을 포착하였다. 월명사가 활동한 시기에 중국에는 조식에 의한 당풍 범패가 창제된 후였으므로 서역풍 범어범패와 당풍의 한어(漢語)범패가 모두 들어왔을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찬탄의 게송을 노래하는 한어 범패를 이변(異變)을 물리치기 위해 불러달라고 했을 가능성은 희박했다. 반면 3세기 전 부터 주술적 방편의 밀교신앙이 실크로드를 포함한 중국에서 널리 유행하였고, 한국의 불교수용과정에도 이러한 면이 강하게 부각되었다. 한국에는 삼국시대부터 범어에 대한 다라니신앙이 있었고, 일본에서 발견되는 한국 승려들의 범자관련 저술들에 미루어 볼 때, 범어범패의 주술적 신통력이 통일신라 당시 익히 행해졌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경덕왕이 노래를 불러 재앙을 물리치려 했을 때 월명사가 성범을 부를 줄 모른다 는 말을 먼저 했던 것은 당시 신라에 범어범패가 널리 불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범어범패는 인도풍의 성격을 유지한 체 실크로드와 중국에서 불리었다. 그러나 이들 범어범패가 실크로드와 중국 서방에 머문 시기가 수 백 년인데다 한반도에 들어 온지도 수 백년이 지난 당시 상황에 미루어 볼 때, 성범 은 실크로드와 신라의 색갈이 다소 가미된 인도풍 범패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더불어 범본(梵本) 불경의 역경으로 인해 한어성조가 규정되었고, 찬불가가 중국의 궁중음악이었던 것을 비롯하여 삼분손익·정악·아정(雅正)의 개념 또한 서역음악의 영향이었 듯이 중국 악가무 전반에 걸쳐 서역음악의 영향이 없는 곳이 없었다. 이는 한국 전통음악에도 마찬가지이나 본고에서 특히 주목하는 것은 오늘날 한국의 재장에서 불리는 범어범패이다. 느리고 장인된 선율로 부르는 한어범패와 달리 다라니나 진언을 노래하는 범어범패는 법기 반주로 흥겹게 노래한다. 이는 초기 범어범패의 대중 친화적 성격과 닮은 점 이어서 앞으로 이 방면의 연구가 기대된다. One day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742-765), two suns risen up. The King thought of it as an evil omen. So he ordered Ven Woulmyung to redress it with Buddhist chants. Then monk Woulmyung said I can t sing Sungbeom (聲梵). I can only sing Hyangga (Silla native style songs) . And so I wonder what kind of Sungbeom chants Monk Woulmyung could not sing. In fact, the word Beom means India, Mantra or Brahmā, I think the songs may have been Mantra chants. That period was in the early days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when trade was brisk through the Silk Road. At that time the main goal of the Silk Road trade was to disseminate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Previously there had been some wandering monks who came from India or middle Asia in the early Buddhist days of China and the Silk Road. There are some records relating how wandering monks enjoyed a certain popularity, due to the magic power or the amusements of Mantra chanting. King Gyeongdeok, demonstrating his awareness of this power, consequently asked Ven Woulmyung to sing. Even though he declined to sing, it shows how mantra chants of Silk road area s or Indian style were popular at that time in Silla. Until now many Korean Buddhists have recited the mantra as incantation of belief and the mantra chant is sung with jolly rhythmical percussion accompanying the traditional Buddhist ritual, in contrast with the slow melisma melody of the Chinese lettered Beompae. This, I believe, is related to the custom of Silla mantra chanting.

      • KCI등재

        전통예술의 콘텐츠화와 문화산업화를 위한 사례 분석

        윤소희(Yoon So-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08 문화산업연구 Vol.8 No.2

        Throughout the paper, I have discussed about the co-relation in Buddhist Ritual Dance and Cheoyong-moo dance of Korean with Taiwanese Suryuk-jae ritual and Tibetan Cham-moo dance. As one can find from this article, Buddhist ritual practices among these three countries shares its characteristics, and this can also be found among most Asian countries including India. I think one of the most significant qualities in these ritual practices is that these kind of ritual practices contains not only the ritual repertoire but many other forms of arts including the dance and music that is being used as well as stories, religious objects and other artistic object. Regions such as Busan and Gyeong-nam has such many numbers of historial temples from Shilla Dynasty, and ritual practices from these temples has also been transferred to the monks among them, to name a few Beomosa temple. This is why I believe that this region can act as a platform for promoting the cultural exchanges of the Buddhism and its ritual practices among Asian countries as well as leading the culture to be spread to outside the world. I also believe this can be more efficiently achieved if both industries and cultural divisions of each corresponding country to cooperate and collaborate together. This can be improved also with the help of industrial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its ritual practices. With such effort, it can be settled closely to our lives as living tradition, which will also help to brought up the economic and cultural maturity too such degree. Throughout the paper, I have discussed about the co-relation in Buddhist Ritual Dance and Cheoyong-moo dance of Korean with Taiwanese Suryuk-jae ritual and Tibetan Cham-moo dance. As one can find from this article, Buddhist ritual practices among these three countries shares its characteristics, and this can also be found among most Asian countries including India. I think one of the most significant qualities in these ritual practices is that these kind of ritual practices contains not only the ritual repertoire but many other forms of arts including the dance and music that is being used as well as stories, religious objects and other artistic object. Regions such as Busan and Gyeong-nam has such many numbers of historial temples from Shilla Dynasty, and ritual practices from these temples has also been transferred to the monks among them, to name a few Beomosa temple. This is why I believe that this region can act as a platform for promoting the cultural exchanges of the Buddhism and its ritual practices among Asian countries as well as leading the culture to be spread to outside the world. I also believe this can be more efficiently achieved if both industries and cultural divisions of each corresponding country to cooperate and collaborate together. This can be improved also with the help of industrial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its ritual practices. With such effort, it can be settled closely to our lives as living tradition, which will also help to brought up the economic and cultural maturity too such degree.

      • KCI등재

        호텔로비의 지각특성과 공간요소별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온라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윤소희 ( So Hee Yoon ),김석태 ( Suk Tae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호텔로비는 호텔이 추구하는 가치표현의 장으로서 다양한 디자인 요소와 인테리어 장식을 활용하여 그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상징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웹페이지에 제공되는 호텔로비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각특성과 시각적 주의를 끌 수 있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2015 년 5 월 21 일부터 22 일까지 양일간 호텔로비 6 곳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피험자는 실내디자인학과에 재학중인 2,3 학년 학생 남녀 32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보다 객관적인 결과도출을 위해 유효율이 낮은 8 명의 데이터를 제외한 총 24 명의 주시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가구요소, 장식요소, 조경요소, 조명요소의 4 가지 공간요소를 추출하고 시각적 주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시시간을 동일하게 10 초씩 설정했으나, 응시횟수와 응시지속시간은 피험자와 이미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응시횟수 및 응시지속시간 분석결과 가구요소>장식요소>조경요소>조명요소의 순으로 시각적 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세번째, 평균응시지속시간의 분석결과 장식요소>조경요소=조명요소>가구요소의 순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이며, 장식요소의 시각적 이해에 비교적 오랜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공간요소의 위치가 화면의 중심에 위치할수록 응시횟수 및 응시지속시간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 장식요소가 건축적 요소에 설치되거나 인접하게 위치할때 시각적 주의를 높일 수 있었다. 여섯 번째, 조명요소는 팬던트 방식의 조명이 매입 및 스탠드 방식의 조명보다 시각적 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As a place for expressing what each hotel pursues, the lobby of hotel implies the meaning with various interior designs and ornaments and thus, functions as a symbolic place. The present study performed experiments of 6 hotel lobby-images for 2 days from May 21st to 22nd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of customers toward provided lobby image from webpage and the factors that can visually attract them. The subjects were 32 sophomore and junior whose major was interior design. To get objective results, we excluded 8 low-effective-ratio-data and analyzed 24 data on focus. As the previous studies, we extracted 4 spatial factors into furniture, ornament, landscape and illumination and analyzed visual attractions using clustering method.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First, even with same 10-second focusing time, the number and time of star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ubject and image. Second, analyzing the number and time of stare, the level of visual attraction was shown in decreasing order of furniture, ornament, landscape and illumination. Third, the mean time of staring was shown as ornament>landscape=illumination>furniture, and it seemed that people took time for the visual understanding of ornament significantly. Fourth, more center-located spatial factors had the higher number and time of stare. Fifth, when ornaments were established in or located adjoining the architectures, visual attraction was elevated. Lastly, illumination showed higher attraction with pendent form than the stand one.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교장 지도성 연구 동향 분석

        윤소희(So Hee Y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1

        이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학교장 지도성에 관한 논문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를 탐색하고, 키워드 간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국내 학교장 지도성 관련 연구의 주요 키워드 분석 및 주요 키워드의 네트워크 패턴과 연결 중심성 탐색으로 설정하였으며, 출판 유형, 출판 시기에 따른 차이도 함께 비교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는 1965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보고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750편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KrKwic와 KrTitle을 활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한 후, 생성된 네트워크 매트릭스를 UCINET 6과 NetDraw 프로그램을 통해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전체 연구에서의 고빈도 키워드는 학교장, 지도성, 교사, 직무 만족, 지도성 유형, 변혁적 지도성, 초등학교장, 학교조직 효과성, 학교장 지도성, 교육 행정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앞서 제시된 키워드의 연결 중심성 분석 결과, 학교장, 지도성, 교사, 지도성 유형, 직무 만족, 관계 연구, 초등학교장, 교육 행정, 학교조직 효과성, 변혁적 지도성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장 지도성 연구 주제의 확장, 학교장 지도성 관련 연구물 수 감소에 대한 심층적 논의, 질적 연구 방법의 확대 적용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principal leadership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by searching major keyword and investigating network structure among them.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in terms of keyword frequency, network pattern, and centrality as well as their difference according to publication type and peri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both published and unpublished 750 studies reported between 1965 and 2019. This study adopted not only specific programs of KrKwic and KrTitle to extract keyword from selected papers but also UCINET 6 and NetDraw to conduct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10th most frequent keyword was principal, leadership, teacher, job satisfaction, leadership sty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order. Second, the 10th highest centrality was principal, leadership, teacher, leadership style,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elementary school princip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order.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expansion of research questions in principal leadership, in-depth discussion on decrease of journal articles and theses, and the application of more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치유교육 도입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육내용 비교 연구

        윤소희(Yoon Sho hee),주수언(Ju Su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삶의 문제를 다루는 가정과교육에 치유의 개념을 도입하고 가정과교육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치유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시사점과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가정과 국가 기준, 오하이오, 오리건 주의 교육과정을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양국의 현행 교과서에서 치유 관련 교육내용을 도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육의 치유 관련 교육적 사례를 토대로 치유교육과 관련된 자기이해, 자아형성, 자기보호, 관계형성 중심의 항구적 관심사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항구적 관심사를 중심으로 치유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개념을 분석한 결과가 개인과 타인간의 삶에서 개인의 치유를 도모하게하고 가족, 사회의 긍정적 발전에 어떤 시사점 을 주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Teenager can grow by solving and overcoming problems in life when they face them. However, teenagers in modern society tend to fail to experience healthy socializing in an entrance exam centered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be alienated from emotional development and unable to healing themselves in an individualism ideology. For this study, perennial concern and practical problem of healing relat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set through the literature of the Korea and United States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cas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was designed for heali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paper is that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of healing education in Korea and United States, the elements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formation were treated less than those of self-care and relationship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al cases in Korea had very few elements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formation, and consisted mainly of theory and knowledge levels.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heal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y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and curriculum of Korea and United States by applying a new perspective of healing. Above all, through heal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elping to grow into an autonomous teenager with the ability to healing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윤소희 ( So Hee Yoon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3

        이 연구는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리빙랩 기반 교육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 7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 때 전체 효과크기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효과를 의미한다. 둘째, 범주형 변수에 따른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 범주형 변수는 연구 결과 특성, 연구 특성, 연구 설계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랩 기반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347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지식정보처리 1.244, 의사소통능력 0.593, 문제해결능력 0.261, 창의성 0.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전기전자 1.146, 기술가정 0.489, 인공지능 0.379, 실과 0.168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고등 학교 1.058, 중학교 0.312, 초등학교 0.217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년에 따른 효과크기는 두 학년 이상을 통합하여 운영한 경우 0.295, 단일 학년 0.294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effects of the living lab-based education through meta-analysis. Seven primary studies reporting the effect of living lab-based education were carefully selected for data analysi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living lab-based education? The overall effect size refers to the effect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Second, what is the effect size of the living lab-based education according to categorical variables? Categorical variables are outcome characteristics, study characteristics, and design characteristic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living lab-based education was 0.347. Secon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ognitive domain was 1.244 for information process, 0.593 for communication, 0.261 for problem solving, and 0.26 for creativity. Thir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subject area was shown in the order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1.146,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0.489, artificial intelligence 0.379, and practical arts 0.168. Fourth,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school level was 1.058 for high school, 0.312 for middle school, and 0.217 for elementary school. Fifth, the effect size by grade level was 0.295 when two or more grades were integrated and 0.294 for a single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