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특별전 전시디자인 비교 연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독립기념관을 중심으로 -

        윤선영 ( Yoon¸ Sun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3.1 운동 및 임시정부수립을 주제로 한 4개의 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독립기념관)의 전시디자인에 관하여 둘러보고 특성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소재로 진행된 전시디자인을 비교하여 콘텐츠 및 연출방법에 따라 연출효과 및 의미전달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박물관은 공통된 역사적 사실을 다루었기 때문에, 각 박물관의 입장이나 관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공통적인 내용과 유사한 연출이 나타났다. 하지만 기관별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에 따라, 동일한 내용이라도 다른 연출과 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designs of four different institutions that have exhibitions dealing with the them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the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Seoul Museum of History,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exhibition designs conducted with the same material and to find out how the directing effect and meaning transfer differ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display. Because the museums deal with the same historical theme, some degree of commonality in content and direction in the exhibitions is unavoidable, although each museum presents these themes a bit differently. However, depending on the part to be emphasized for each institution, even the same contents showed different direction and effects.

      • KCI등재후보

        어린이미술관의 전시해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를 중심으로 -

        윤선영 ( Yoon Sunyoung ),정윤정 ( Jeong Yoon Jeo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9 전시디자인연구 Vol.16 No.2

        최근 미술관들은 관람객 중심의 다양한 전시해설 프로그램으로 적극적으로 관람객을 유치하고 있다. 전시해설의 유형에는 도슨트부터 모바일 앱에 이르기까지 종류와 특성이 다양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미술관에서는 어린이의 특성을 이해하여 해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어린이 관람객에게 있어서 상호소통 및 체험적 요소가 중요함에 따라 전시해설은 직접 사람과 소통하는 도슨트 방식이 효과적이다. 또한 모바일 앱의 활용도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현대어린이책미술관에서의 시범운영을 시행한 결과, 어린이관람객은 도슨트에 적극적이었으며, 도구를 활용한 해설에 흥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어린이관람객에게 적합한 도슨트 전시해설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Recently, art museums actively attract visitors with various exhibition interpretation programs centered on visitors. There are many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interpretation ranging from docent to mobile apps, and they are developing rapidly. Children's art museums need to develop interpretation program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s mutual communication and experiential factors are important for children visitors, the docent's method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people is effective. Also, mobile app's potential is growing. As a result of the pilot operation at MOKA (Hyundai Museum of Kids’ Books and Art), children visitors were active in docents and interested in interpretation using tools. As a result, a suitable method of docent's interpretation program for children visitors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국립박물관의 야외전시 특성에 관한 연구

        윤선영 ( Yoon Sunyoung ),이현숙 ( Lee Hyunsuk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1 전시디자인연구 Vol.18 No.1

        박물관 전시는 박물관 활동 중 관람객과 소통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야외전시를 찾는 관람객은 실내전시에 비해 비중이 높다. 하지만 박물관의 야외전시는 관리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 전시기획이나 디자인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박물관 야외전시가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고, 국립박물관들의 야외전시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야외전시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전시연계성의 항목으로 국립박물관 야외전시들을 조사한 결과, 접근성과 안전성에 있어서는 대부분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편의성은 모두 잘 갖추고 있었다. 다만 전시명칭, 전시 콘셉트, 스토리, 조명, 그래픽, 교육 프로그램 등 세부항목으로 전시연계성을 볼 때 좋은 상태로 평가되지 않았다. 박물관 야외전시는 야외환경이라는 특수성과 한계를 지니지만 또다른 맥락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관람객들이 접근하기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박물관 야외전시는 지금보다 적극적인 기획과 디자인이 개입되어야 할 것이다. Museum exhibitions are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municate with visitors among museum activities. After the Corona19 pandemic, visitors who visit outdoor exhibitions have a higher proportion than indoor exhibitions. However, the museum's outdoor exhibition is approached from a management perspective and lacks in exhibition planning or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exhibitions in museums and to analyze the cases of outdoor exhibitions of National museu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outdoor exhibitions in Korea.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outdoor exhibitions of the National Museum in terms of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and exhibition linkage, all of the conveniences were well equipped.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safety, most were evaluated above average. However, it was not evaluated as good when looking at the exhibition connection with detailed items such as the exhibition title, exhibition concept, story, lighting, graphics, and educational program. Outdoor exhibitions in museums have the specificity and limitations of the outdoor environment, but have another contextual possibility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ccess by visitors. Therefore, more active planning and design should be involved in outdoor exhibitions in museums.

      • KCI등재
      • KCI등재

        누보 박 2021 - 개혁의 핵심 의제와 외국어 시험 체제 분석 -

        윤선영 ( Yoon Sunyou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0 프랑스어문교육 Vol.70 No.-

        본 논문은 방식과 내용의 혁신을 통해 “보다 나은 성공, 보다 나은 평등, 보다 나은 동반”의 가능성을 모색 중인 ‘누보 박 2021’의 핵심 의제와 누보 박 체제에서 실시되는 각종 시험들, 특히 외국어 시험 체제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바칼로레아의 부침 과정을 총체적으로 돌아보는 파트와, 누보 박 체제 하의 외국어 시험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파트로 구성된다. 전반부에서는 문헌 연구를 토대로 바칼로레아의 기원, 사회적 발전 과정, 개혁의 필요성, 개혁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 후반부에서는 누보 박 체제를 외국어 교육의 관심사로 가져와 객관적 자료에 근거하여 외국어 시험의 조직과 방식을 분석하고 있다. CECR와 학교 언어 교육과의 연계성을 표준화, 다변화, 맥락화의 개념으로 제고해 보고, 누보 박에 도입된 일제고사 외국어(LVA, LVB, LVC, ETLV) 시험의 양상을 개혁의 핵심 의제와 연계하여 논하며 21세기 ‘젊은’ 바칼로레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Au regard de l'inauguration du nouveau système de baccalauréat - le nouveau bac 2021 -, il serait opportun que nous nous intéressions à la direction de la réforme, ainsi qu'à la mise en oeuvre des épreuves. Notre but est d'analyser et d'évaluer les systèmes des épreuves de langue vivante en rapport avec les points essentiels du nouveau bac : plus de réussite, plus d'égalité, plus d'accompagnement. Cette étude est composée de deux parties majeures. Dans la première moitié de cette étude, nous avons fait une recherche documentaire exhaustive : qu'est-ce que le baccalauréat ? Comment a-t-il été développé ? Pourquoi les réformes sont-elles nécessaires, et quels sont les mécanismes institutionnels pour soutenir le nouveau bac tout en prenant en compte les besoins sociaux ? Dans la seconde moitié, nous avons abordé le nouveau bac dans la perspective du FLE. En particulier, nous avons évalué comment les concepts majeurs du CECR, à savoir la standardisation, la diversification et la contextualisation, ont été intégrés dans le nouveau bac. Or nous avons constaté que la perspective du CECR a été adaptée dans les démarches d'évaluation des épreuves communes de langue vivante (LVA, LVB, LVC, ETLV).

      • KCI등재

        학습공동체 작업을 통한 영유아중심· 놀이중심 개정 표준보육과정 적용 과정에 대한 탐구

        윤선영(Sunyoung Yoon),임환미(Hwanmi 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본 논문은 어린이집 교사들이 영유아중심·놀이중심으로 개정된 표준보육과정을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그 과정을 탐구하여 교사들의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도출함으로써, 교사교육 내용 및 학습공동체와 관련된 교사교육 형태의 지원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촉진자 역할을 수행하며 교사들이 스스로 연구, 성찰, 실천해 가는 학습공동체 작업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했다. 참여 교사는 신입과 경력교사 집단 각 8명씩이었다. 그 결과 ‘주제와 계획은 울타리’, ‘놀이중심 교육의 시작은 놀이자료의 변화로부터’, ‘조심스러운 놀이지도’, ‘영유아의 놀이와 친해지기’, ‘영유아에게 물어보기’, ‘어색하지만 행복한 어린이들’, ‘넘어야 할 쉽지 않은 산’, ‘적용하기 어려운 교사교육’의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지금까지 사용해 왔던 주제와 계획은 강하게 자리를 잡고 있어 교사들이 벗어나기 쉽지 않았다. 놀이중심 교육을 위한 방법과 전략은 소극적으로 적용되어 활발한 토론과 교류가 어려웠다. 교사들에게는 영유아중심 교육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했으며, 원장의 적극적인 지원, 놀이지도의 질적 보장을 위한 평가 기준과, 주입식 교육이 아닌 교사들이 주체가 되고 전문가가 동반된 학습공동체 운영 지원이 절실했다. 앞으로 학습공동체 운영은 신입과 경력 교사가 혼합된 집단이 효과적이며, 교사중심·주제중심 지도, 계획된 활동에 영유아의 흥미 반영, 개방적인 놀이자료 지원, 영유아의 자발적인 놀이지원, 놀이 흐름 지원의 순서로 단계적인 변화를 시도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find ways to support teacher education with the education contents and learning communitie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applying the infant and play-oriented revised standard childcare process in the field. To this end, researcher served as facilitators in learning community and implemen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teachers work in a learning community in which they self-studied, reflected, and practiced. 8 new and experienced teachers each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the results of study, the following topics were drawn: ‘The subject and plan is a fence’, ‘The play-oriented education starts from the change of play materials’, ‘Cautious play guidance’, ‘Infants getting familiar with play’, ‘Asking to infants’, ‘Awkward but happy infants’, ‘A difficult challenge to clear ‘, ‘Difficult to apply teacher training’. It was not easy to get out of the themes and plans that have been used so far as they were deeply strongly rooted and the methods and strategies for the play-oriented education were applied passively, making it difficult to have ctive discussion and exchange. For teachers, it is needed to put together the concept of infant-oriented education and it was essential to adopt evaluation criteria to ensure the quality of play guidance and support the operation of a learning community, led by teachers, with assistance of experts, instead of one-way learning by rote.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have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led by a group of new and experienced teachers. A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step-by-step changes in the order of teacher-oriented and topic-oriented support, reflecting infants’ interest in planned activities, providing open play materials, voluntary play support for infants, and supporting play flows.

      • KCI등재

        베를린의 어린이보육시설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

        윤선영(Yoon, Sunyoung)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본 논문에서는 베를린의 어린이보육시설의 질적 관리를 위한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보육시설을 방문하여 교사와 원장의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내부평가의 수행방법, 외부평가의 수행방법, 내부평가가 현장의 교육운영 및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점과 문제점 및 개선점, 외부평가가 현장의 교육운영 및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점과 문제점 및 개선점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어린이보육시설 평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내부평가의 역할, 획일적이지 않은 자유로운 평가 방법, 다양한 평가기관제도에 의한 외 부평가를 들 수 있으며, 자기발전과 원의 발전을 촉진하는 내부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과 교사들의 업무 부담과 외부인의 평가에 대한 부담감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이 나타났다. 대표적인 시사점으로는 교사가 평가의 핵심적 역할을 하며 반성적 사고와 자기교육의 기회로 삼는다는 것이다. Diese Arbeit zielt auf das Herausarbeiten, was wir davon lernen können, wie die Arbeit der Kindertagesstätte in Berlin evaluiert wird. Hierfur besuchte die Untersucherin acht Kindertagesstätte und interviewte die Erzieherinnen und LeiterInnen. Die Untersuchung besteht aus die Verfahren der Interne und externe Evaluation, und deren positiven bzw. negativen Auswirkung auf die Bildungsarbeit bzw. -entwicklung. Die Ergebnisse zeigen, daß die interne Evaluation als eine Selbstevaluation eine wichtige Grundlage der externe Evaluation war, und die Verfahren der Evaluation bzw. des Evaluationsanbieters je nach den Erziehungsphilosophien und Situationen der Einrichtungen vielfaltig sind. Bei der internen Evaluation erfuhren die Erzieherinnen als Betroffener einen lernenden Prozeß, indem sie reflektierten, was und wie sie mit den Kindern arbeiteten. Die fachliche Unterstützung durch die Trager und Evaluationsanbieter vor Ort stpielte für die Verbesserung der Erziehungssarbeit eine große Rolle, da sie den Kindertagesstatten den jeweiligen Situationen und Umständen entsprechend geholfen haben. Eine negative Auswirkung ist die Belastung der Evaluation auf die Arbeit der Erzieherinnen. Wir konnen lernen, daß die Evaluation viel mehr zur Selbstbildung der Erzieherinnen dient, wenn die Arbeitsbedingungen angemessen sind.

      • KCI등재후보

        박물관 전시에서 디자인의 역할과 협력에 관한 연구

        윤선영 ( Yoon Sun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0 전시디자인연구 Vol.7 No.1

        The museum exhibition is the most effective way among museum activities to communicate with visi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exhibition are very specific in terms of curator, visitor and articles on exhibition. Therefore the exhibition design is one of the important position in museum but there is no exhibition designer in most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 Also the system to cooperate between curator and designer is not set up. This study intend to understand the role of design and designer in museum exhibition and also study present condition of museum organization and process for museum exhibition. As the problems of lack of exhibition designer in museum and little understanding about professionalism of exhibition design need improvement. And cooperation between curator and designer from planning to evaluation stage can help the improvement of the exhibition.

      • KCI등재

        김영태 시의 이미지 형상화 방법 연구 : 면·선·점의 기하학적 도상을 중심으로

        윤선영 ( Yoon Sunyo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3

        김영태 시에서 점·선·면의 기하학적 도상은 그 자체 이미지로 제시되는 한편으로 다른 이미지들을 형상화하고 시적 공간을 구축하는 조형요소로 기능한다. 김영태의 시는 시적 대상을 기하학적 도상을 통해 묘사하면서 형상의 차원을 지워나가는 동시에, 차원이 제거된 형상을 다시 기하학적 도상을 통해 구축하고 그려나가는 역설적인 묘사 방법론을 보여준다. 김영태의 시에서 3차원 세계는 2차원 평면으로 구성된 것처럼 묘사된다. ‘면’의 도상은 종이 평면으로 구체화되며 풍경과 사물, 존재를 형상화한다. 김영태의 시는 면을 통해 세계를 오려진 종이들로 재구성한 가상적 공간으로 제시하거나, 풍경의 일부를 분절하여 종이 평면으로 인지하는 시선을 통해 3차원과 2차원이 공존하는 이질 적인 풍경을 창출한다. 실재를 구성된 가상처럼 형상화하는 방식에 의해, 세계는 극 무대 속 가상의 공간처럼 낯설게 제시된다. 이러한 세계 속의 존재 역시 종이 평면으로 형상화되며, 접히거나 펼쳐지는 양태를 보여준다. 존재들은 종이로 구성된 세계속에서 배역을 맡는다고 가정되며, 가상의 역할로 자신의 실존을 대체하여 표상한다. 이는 실재와 가상이 전도된 채 연극 무대의 배경처럼 제시되는 세계 속에서, 가상의 실존을 구축하고자 하는 주체의 미적 대응방식이다. 화자는 종이 평면으로 축소된 실존에의 물음에 대한 답으로, 자신의 가상적 실존조차 눈에 띄지 않은 배역으로 표상하는 축소된 자아관을 보여준다. 세계의 일부를 2차원으로 인지하는 김영태의 시에서 대상에 대한 묘사는 입체감보다는 윤곽에 치중되어 있다. 김영태 시의 ‘선’은 형상 간의 경계를 구별 짓는 윤곽으로 기능하여 형상을 규정하는 동시에, 형상의 경계를 희미하게 만드는 흐릿한 윤곽으로 제시되어 형상의 불분명함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윤곽으로 한정할 수 없는 무형을 묘사하기 위해 화자는 역으로 형상의 윤곽을 소거해가거나 유형의 윤곽을 본뜨는 방식을 취한다. 전자의 묘사 방식은 흔들리는 선, 흐릿한 선을 통해 제시된다. 화자는 흐릿한 선으로 형상의 경계를 무화하는 방법을 통해, 묘사된 형상이 형태로부터 자유로워지며 무형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포착한다. 이를 통해 유형과 무형으로 구분되지 않는 이미지를 창조하여, 현전과 부재, 현존과 소멸이 구별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보여준다. 후자의 방법은 유형의 윤곽을 통해 무형의 윤곽을 유추하여 간접적으로 묘사하는 방식이다. 유형과 무형의 경계를 이루는 선이 유형의 윤곽인 동시에 무형의 윤곽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김영태 시의 여백은 단순히 빈 곳이 아니라, 유형의 윤곽에 의해 암시되고 형상화되는 잠재적 형상으로서의 무형이 존재하는 공간이 된다. ‘점’을 통한 묘사는 대상을 극도로 단순화하고 추상화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김영태 시의 점은 대상의 형태가 발생하는 순간과 소멸하는 순간을 표상하는 역할을 한다. 화폭 위에 그려지는 형상이 점에서 비롯되는 것처럼, 형상이 발생하는 순간이 점으로 표상된다. 김영태의 시는 형상이 소멸한 후에도 흔적으로 남아있는 잔상을 포착하여, 점의 도상을 통해 대상의 ‘부재’를 형상화한다. 점은 형상의 부재와 현전을 동시에 가리키는 표상으로 기능하며, 김영태 시에서 사라진 형상이 무(無)로 귀결되지 않고 유령적 형상으로 묘사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he images which accompany Kim Young-tae’s poetry are shaped through the geometric and diagrammatic alignment of dots, lines, and planes, which results in their aesthetic effects. Kim Young-tae creates pictorial abstractions of the scenery he depicts in his poetry, and makes simplified objects. Kim’s poetry cognizes a part of the landscape in two dimensions, and his diagrams of dots, lines, and planes serve as the most suitable pictorial form through which to depict the three-dimensional world as a two-dimensional flat image. Beyond their function of constituting simple diagram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landscapes, dot, line, and plane are important in that they show the poet’s cognitive attitude toward being and the world. In Kim’s poetry, the three-dimensional world is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two-dimensional planes. His ‘plane’ diagrams are comprised of paper planes, and represent the landscape, objects, and existence. In them, the world is shaped into an artificial space, which is reconstructed with pieces of cut paper which are attached at their planes. Through his conceptualization of parts of the landscape as paper planes, Kim creates a heterogeneous landscape where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realities coexist. Through this method of portraying reality as virtually constructed, the poles of reality and the virtual are reversed and the world is made unfamiliar, like the background of a stage set. Being in the world is likened to the attributes of a paper plane, as it appears the features of folding or unfolding. It can also be argued that in the poetry of Kim Young-tae, entities play virtual roles in a world constructed of paper. This facet of Kim’s work shows the aesthetic response of the individual trying to build an existence that is virtual in a world that is artificially reconstructed, like the tableau of a stage. The poetry of Kim Young-tae is more concerned with the outline of the subject than with its three-dimensional portrayal. The ‘line’ defines the shape. At the same time, the ‘line’ takes the form of a blurred contour that obscures the boundary of the shape, thus highlighting the latter’s ambiguity. Meanwhile, in order to describe an intangible or obscure figure that cannot be outlined, the speaker either blears the contours of the figure or draws by tracing of the shape. Kim demonstrates the percep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concrete and intangible figure, in doing so removing the boundary between delineable type and intangible type. Through the method of image-making that defines boundaries through form, poem’s spaces do not simply encompass empty spaces, but rather phonetic shapes that are implied and given form by the outlines of shape. Images formed through ‘dots’ employ extremely simplified imaging methods by erasing specific details of the object. In addition, dots represent the moment when the shape of the object comes about, or vice versa. The dot functions as vanishing point and represents the object’s absence. In addition, Kim’s poetry detects the images which remain after shapes disappear, and this residue is expressed through dot diagrams. In this way, the missing shape does not end in nothing, but is portrayed as a gh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