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방암 환자에서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의 선량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윤상모,김성규,Yun, Sang-Mo,Kim, Sung-Kyu 한국의학물리학회 2007 의학물리 Vol.18 No.1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치료에서 유방의 모양에 따른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두께의 차이 때문에 적절한 선량분포를 얻기 위해서는 쐐기모양 보상체가 필수적으로 이용된다. 유방보존절제술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들을 방사선치료 할 때 일반적으로 비껴방향 치료방법으로 치료를 한다 비껴방향 치료방법에서 중심 쪽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치료하는 빔에서는 쐐기모양 보상체에 빔이 일차적으로 부딪칠 때 저에너지의 방사선이 발생하여 피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때 피부에 조사되는 저 에너지 방사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이 보유하고 있는 Eclipse 치료계획장치에는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로 치료계획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저자들은 본원이 갖고 있는 실제 쐐기모양 보상체 15도, 30도, 45도, 60도와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 15도, 30도, 45도, 60도의 선량분포 특성을 비교하여 유방암 환자에서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의 임상 적용 타당성을 살펴본 결과 치료면적 $10{\times}10cm$의 대칭도의 비교에서 쐐기의 각도에 따른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치료면적의 크기에 따른 각각의 쐐기 각도에 대한 투과율의 특성에서 대칭도의 비교는 거의 선형적으로 변함을 볼 수 있어 가상 쐐기의 임상적용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e radiation 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wedge shaped compensators are essentially used to achieve appropriate dose distribution because of thickness difference according to breast shapes. Tangential Irradiation technique has usually been applied to radiation 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breast conservative surgery. When a primary beam is incident on wedge shaped compensators from medial direction In tangential irradiation technique, low energy scattered radiation is generated and gives additional dose to the breast surface. As a method to reduced additional dose to breast surface, the use of virtual wedge shaped compensator is possible. Eclipse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RTP) systems Installed at our institution have virtual wedge shaped compensator for radiation therapy treatment planning. The dose distributions of 15, 30, 45, 60 degree physical wedges and virtual wedg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mmetry of $10{\times}10$ field among various wedge angles. When the transmission factor was compared, transmission factor Increased linearly as the wedge angle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the appilcation of virtual wedge in clinical use is appropriate.

      • KCI등재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Multileaf Collimator-based Intensity-modulated Arc Therapy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윤상모,김성규,Yun, Sang-Mo,Kim, Sung-Kyu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07 의학물리 Vol.18 No.2

        본 연구는 세기 변조된 multiple noncoplanar arc를 이용한 방사선수술 기법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정위적 방사선수술은 0.5 cm resolution의 MLC가 장착된 6-MV X-ray bea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중심점(single isocenter)으로 5 gantry-couch 조합을 이용한 intensity modulated arc therapy (IMAT)를 응용하였다. 저자들은 2 cm의 구형 표적용적에 대하여 $25{\times}25cm$ 아크릴 팬톰으로 선량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단일 중심점을 이용한 방사선조사에서 구형의 표적에 대하여 비교적 적절한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80%의 선량 곡선이 frontal, saglttal, transverse planes에서 표적 용적을 적절히 포함하였으며, 40%와 80% 선량곡선 사이는 $4.0{\sim}4.5mm$이었다. 이것은 cylindrical cone을 이용한 다른 연구자들의 선량분포와 유사한 결과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사선수술 기법을 비정형적 모양의 뇌내 표적에 대한 방사선수술시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radiosurgery technique using multiple noncoplanar arc therapy with intensity modulated fine MLC shaped photon beam. The stereotactic radiosurgery was performed with 6-MV X-ray beams from a Clinac 21EX LINAC (Varian, Palo Alto, CA, USA) with a MLC-120, which features a full $40{\times}40cm$ field and is the first MLC for general use that offers 0.5 cm resolution for high precision treatment of small and irregular fields. We used a single isocenter and five gantry-couch combinations with a set of intensity modulated arc therapy. We investigated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2 cm sized spherical target volume with film (X-OMAT V2 film, Kodak Inc, Rochester NY, USA) dosimetry within $25{\times}25cm$ acrylic phantom. A simulated single isocentric treatment using inversely Planned 3D radiotherapy planning system demonstrated the ability to conform the dose distribution to an spherical target volume. The 80% dose level was adequate to encompass the target volume in frontal, sagittal, and transverse planes, and the region between the 40% and 80% isodose lines was $4.0{\sim}4.5mm$ and comparable to the dose distribution of the Boston Arcs. We expect that our radiosurgery technique could be a treatment option for irregular-shaped large intracranial target.

      • 비인강암의 병합요법

        윤상모(Sang Mo Yun),김재철(Jae Cheol Kim),박인규(In Kyu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국소 진행된 비인강암으로 유도 화학요법 혹은 동시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부작용 및 단기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10월부터 1998년 5월까지, 비인강암으로 진단받고 유도 화학요법 혹은 동시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6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유도 화학요법군은 50명, 동시 화학요법군은 12명이었다. 나이, 성, 전신 수행능력, 조직학적 유형 등은 양군에서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다. 병기 분포는, 유도 화학요법군의 경우 IIB가 32%, III가 30%, 그리고 IV가 38%였으며, 동시 화학요법군은 각각 50, 33.3, 16.7%였다. 양군에서 화학요법 약제는 CF (cisplatin and 5- FU)였고, 약제 투여 방법은 동일하였다. Cisplatin 100 mg/m2을 day 1 에, 5- FU 1,000 mg/m2을 day 2∼6에 각각 정맥투여하였으며 3주 간격으로 반복하였다. 방사선 치료 종료시까지 시행된 화학요법의 횟수는 양군 모두 1∼3회(중앙값 2회)였다. 방사선 치료는 양군 모두 일일선량 1.8∼2.0 Gy를 주 5회 조사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유도 화학요법군의 경우 69.4∼86 Gy (중앙 선량 73.4 Gy), 동시 화학요법군은 69.4∼75.4 Gy (중앙 선량 70.8 Gy)였다. 추적기간은, 유도 화학요법군의 경우 9∼116개월(중앙값 40.5개월), 동시 화학요법군은 14∼29개월(중앙값 21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에서 2년 생존율은 78.7%였다. 치료 방법별 2년 전체 생존율은, 유도 화학요법군이 77%, 동시 화학요법군은 87%였으며(p>0.05), 2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56% 와 81%였다(p>0.05). 최종 치료에대한 완전 관해율은 75.5%와 91.7%로 동시 화학요법군에서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방사선 치료시 grade 3∼4의 혈액학적 독성은 양군에서 차이가 없었고, grade 2의 백혈구 감소가 동시 화학요법군에서 많았다(18% vs 66.7%). Grade 3∼4의 점막염은 동시 화학요법군에서 많았다(4.0% vs 33.3%). 전체적으로 grade 3∼4의 급성 부작용이 동시 화학요법군에서 빈번하였고(6.0% vs 41.7%, p=0.005), 부작용으로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국소 진행된 비인강암에서 동시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써 치료의 반응율과 2년 무병 생존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따라서, 좀더 많은 대조군과 장기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Purpose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 is to compare short term results of induction chemotherapy- radiotherapy versus concurrent chemo-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 From Oct. 1989 to May 1998, 62 patients with loca 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 py followed by radiotherapy (induction group) or concurrent chemo- radiotherapy (concurrent group). Induction chemotherapy was done for 50 patients , and concurrent chemotherapy for 12 patients . Age, sex, performance status , and pathologic types were evenly distributed between two groups . Stage distribution showed 32% with IIB, 30% with III, and 38% with IV in induction group, and 50%, 33.3%, a nd 16.7% in concurrent group, respectively. Chemotherapy regimen was CF (cisplatin and 5- FU) in both groups , and drug delivery method a lso same. Cisplatin 100 mg/m2 was intravenous ly infused on day 1, and 5- FU 1,000 mg/m2 on day 2∼6. This was repeated at 3 weeks interval. At the end of radiotherapy, total cycles of chemothera py were 1∼3 (median 2) in both groups. Conventionally fractionated radiothera py with daily fraction s ize 1.8∼2.0 Gy and 5 fractions/week was done. Total dose was 69.4∼86 Gy(median 73.4 Gy) for induction group, and 69.4∼75.4 Gy (media n 70.8 Gy) for concurrent group. Follow- up time was 9∼116 months (median 40.5 months) for induction group, 14∼29 months (median 21 months) for concurrent group, respectively. Results :Overall 2 year survival rate (2YSR) for a ll patients was 78.7%.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y, 2YSR were 77% for induction group, 87% for concurrent group (p >0.05). 2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ere 56% and 81% (p >0.05), respectively. Complete response to treatment were 75.5% for induction group and 91.7% for concurrent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incidence of grade 3∼4 hematologic toxicity during radiotherapy was not differ between two groups , but grade 2 leukopenia was more frequent in concurrent group (18% vs 66.7%). Grade 3∼4 mucos itis was more frequent in concurrent group (4.0% vs 33.3%). Overall incidence of grade 3∼4 acute toxicity during radiothera py was more frequent in concurrent group (6.0% vs 41.7%, p=0.005). Conclusion :Concurrent chemo- radiotherapy showed a trend of improvement in short- term survival and in treatment response when compar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 rcinoma. More 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e needed.

      • 두경부암에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와 세기변조 방사선치료시 귀밑샘의 선량분포 비교

        윤상모 ( Sang Mo Yun ),김성규 ( Sung Kyu Kim ) 영남대학교 기초/임상의학연구소 200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4 No.2S

        Purpose:This study compared 3 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to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in parotid glands sparing in head and neck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Planning target volume (PTV) was outlined on each CT slice. The dose of 50.4 Gy was prescribed to the PTV with the conventional fraction, 5 fractions per week. We also outlined spinal cord and both parotid glands. With Eclipse 3 dimensional planning system, 3DCRT and IMRT planning were done. Results:After plan optimization, PTV dose distribution was evaluated with dose volume histogram. The 90% isodose curve covered almost all of PTV for both techniques. Maximum and median dose for spinal cord were 36.8 Gy and 34.2 Gy in 3DCRT, 39.9 GY and 37.5 Gy in IMRT. For parotid glands, mean and median dose were 33.6 Gy and 37.6 Gy in 3DCRT, 24.9 Gy and 24.5 Gy in IMRT. Conclusion:For the non-pharyngeal head and neck cancers, 3DCRT was cost effective radiation modality in prevention radiation therapy induced xerostomia.

      • SCOPUSKCI등재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

        윤상모(Sang Mo Yun),김재철(Jae Cheol Kim),박인규(In Kyu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3

        목적: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의 치료에 있어서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 유도 화학요법이 생존율 및 치료 실패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및방법:1986년 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 혹은 병합요법(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을 받은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 단독군이 85명, 병합요법군이 45명이었다. 연령, 성별, 전신 수행능력, 병리조직학적 유형, 그리고 병기 등은 양군에서 고르게 분포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V 혹은 10 MV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였고, 일일 선량 1.8∼2.0 Gy 를 주 5회 조사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129명에서 59.6 Gy 이상(56∼66 Gy, 중앙값 60 Gy) 조사되었다. 유도 화학요법은 2∼5회(중앙값 2회) 시행하였다. 사용된 약제는 CAP (Cyclophosphamide, Adriamycin, Cisplatin)가 6명, MVP (Mitomycin, Vinblastine, Cisplatin)가 9명, MIC (Mitomycin, Ifosfamide Cisplatin)이 13례, 그리고 EP (Etoposide, Cisplatin)가 17명에서 시행되었으며, 모든 요법이 Cis-platinum을 포함하였다. 결과: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1, 2, 3 년 전체 생존율이 각각 41.5, 13.7, 7% 였고,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다. 치료 방법별 1, 2, 3 년 전체 생존율, 그리고 중앙 생존기간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 각각 32.9, 10.5, 6%, 9개월이었으며,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각각 57.8, 20, 7.6%, 14 개월이었다(p=0.0005). 최종 치료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던 126명 중 38명(30.2%)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치료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경우, 방사선치료 단독군에서 완전관해가 25% (21/84),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40.5% (17/42)에서 완전관해를 보였다(p=0.09).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혈색소치(p=0.04), NSE (neuron-specific enolase)치(p=0.004), 그리고 최종 치료반응(p=0.004) 등이었다. 치료 방법별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방사선 치료 단독군의 경우는 NSE치(p=0.006)와 최종 치료반응(p=0.003),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최종 치료반응(p=0.007)이 예후인자였다. 치료 실패양상은 추적 관찰이 가능했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었던 1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양 군간에 특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에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병합요법 군에서 원격전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방사선치료 단독군은 19명중 11명에서, 병합요법군은 13명중 3명에서 원격전이가 발견되었다(p=0.07). 국소 실패는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에서도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10/19 vs 6/13). 결론: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의 경우 유도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써, 방사선치료 단독보다 2년 생존율이 향상 되었고, 적어도 완전관해를 보인 경우는 원격전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국소 실패양상 및 장기 생존율에는 유도 화학요법이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국소 제어율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Purpose: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 effect of induction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for 13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treated with curative radiotherapy alone or induction chemo-radiotherapy from January 1986 to October 1996. Eighty-fi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forty-five with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ge, sex, performance status, histopathologic type, and stage were evenly distributed in both groups.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6 MV or 10 MV X-ray. Conventional fractionation with daily fraction size 1.8∼2.0 Gy was done. Of the patients, 129 patients received total dose above 59.6 Gy (56∼66 Gy, median 60 Gy). Induction chemotherapy regimen were CAP (Cyclophosphamide, Adriamycin, Cisplatin) in 6 patients, MVP (Mitomycin, Vinblastine, Cisplatin) in 9 patients, MIC (Mitomycin, Ifosfamide Cisplatin) in 13 patients, and EP (Etoposide, Cisplatin) in 17 patients. Chemotherapy was done in 2∼5 cycles (median 2). Results:Overall 1-, 2-, and 3-year survival rate (YSR) for all patients were 41.5%, 13.7%, and 7%, respectively (median survival time 11 months).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y, median survival time, overall 1-, 2-, and 3-YSR were 9 months, 32.9%, 10.5%, 6% for radiotherapy alone group, and 14 months, 57.8%, 20%, 7.6% for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respectively (p=0.0005). Complete response (CR) to overall treatments was 25% (21/84) in radiotherapy alone and 40.5% (17/42) i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p=0.09).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were hemoglobin level (p=0.04), NSE (neuron-specific enolase) level (p=0.004), and response to overall treatment(p= 0.004).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NSE (neuron-specific enolase) (p=0.006) and response to overall treatment (p=0.003) were associated with overall survival in radiotherapy alone group, and response to overall treatment (p=0.007) i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The failure pattern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modalities. But, in patients with CR to overall treatment, distant metastasis were found in 11/19 patients with radiotherapy alone, and 3/13 patients with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p=0.07). Locoregional failure pattern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10/19 vs 6/13). Conclusion: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chieved increased 2YSR compared to radiotherapy alone. At least in CR patients, there was decreased tendency in distant metastasis with induction chemotherapy. But, locoregional failures and long-term survival were not improved. Thus, there is need of more effort to increasing local control and further decreasing distant metastasis.

      • SCOPUSKCI등재

        The Radiotherapeutic Significance of Serum NSE Level in Non-Small Cell Lung Cancers(NSCLC)

        윤상모(Sang Mo Yun),김상보(Sang Bo Kim),박인규(In Kyu Park),정태훈(Tae Hoon J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1

        저자들은 1989년 12월부터 1993년 2월까지 108명의 비소세포성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혈청내 NSE치가 방사선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위해 본 후향성 조사를 시행하였다. 병리학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의 8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그외 3명의 점막 표피성암(mucoepidermoid carcinomas), 11명의 선암, 3명의 대 세포성암, 그리고 5명에서는 병리 조직형을 증명하지 못했다. 병기별로는 stage Ⅰ에 8명, stage ⅢA에 40명, stage ⅢB에 60명이 속해 있었다. 환자는 혈청내 NSE(neuron specific enolase)치에 따라 두군으로 나위었다. NSE치가 15ng/ml 이상은 증가군, 그 미만은 정상군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주 치료는 방사선 치료이었다. NSE가 증가된 군에서 NSE 측정치를 보면, 치료에 반응하는 환자에서 평균 NSE치는 반응이 없는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28.5ng/ml vs 20ng/ml, p=0.01), 전체적으로 볼때 2년 생존율은 23.6%였다. 방사선 치료반응에 따라 보면, 완전 관해, 부분 관해, 그리고 반응이 없는 군에서 2년 생존율을 각각 39.2%, 28.6%, 그리고 6.2%로 나타났다(p=0.001). NSE치가 증가된 군에서 2년 생존율은 14.6%, 정상인 군에서는 31.7%로 나타났다(=0.07), 치료에 대한 반응은 있는 환자만 고려했을 경우는 NSE치에 따른 생존율 차이가 더 현격했다. 전체적으로 볼때, NSE치가 증가된 군에서 치료에 반응이 있는 환자가 더 많았다 (80% vs 61%, p=0.05), NSE치와 전체 병기, 원발 종양의 병기, 그리고 임파선 병기가 좀 더 진행된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NSE치가 노은 비소세포성 폐암은 치료에 대한 반응과 생존율을 포함한 임상 결과에 있어서 NSE치가 정상인 비소세포성 폐암과는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NSE치가 증가된 비소세포성 폐암에서는 약물치료 및 방사선 치료의 병합요법이 요구되머, NSE치는 예후인자의 하나로서 가치가 있다고 보여진다. From December 1989 to February 1993, 108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s(NSCLC)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o evaluate radiotherapeutic significance of serum levels of NSE. We considered elevated serum neuron specificenolase(S-NSE) level as one of the neuroendocrine features in NSCLC. Histopathologic evaluation revealed 86 squamous cell carcinomas, 11 adenocarcinomas, 3 large cell carcinomas, 3 mucoepidermoid carcinomas, and 5 unknown pathology. Eight patients had stage Ⅰ, 40 stage ⅢA, and 60 stage ⅢB, S-NSE level greater than 15 ng/ml was considered as elevated, and below this considered as normal. All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s primary treatment modality. The responders to radiotherapy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S-NSE level than non-responders (28.5 ng/ml vs 20 ng/ml, p=0.01). Overall 2-year survival rate(YSR) was 23.6%. According to radiotherapy response, 2 YSR for patients with CR, PR, and NR were 39.2%, 28.6%, and 6.2% respectively(p=0.001). 2 YSR for patients with elevated and normal S-NSE were 14.6% and 31.7%(p-0.02). The patients with NR showed no difference in survival according to S-NSE level. When we considered all patients, S-NSE level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response. But for squamous cell carcinomas alone, patients with elevated S-NSE had more responders(80% vs 61%,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umor characteristics and S-NSE level. But the patients with elevated S-NSE had more patients with higher nodal stage. Based on out and other datas, NSCLC with neuroendocrine features have different response to treatment and clinical behavior compared to other NSCLC. Thus, this subgroup my need different treatment modality, and S-NSE level may have prognostic significance.

      • SCOPUSKCI등재

        중심선 악성 세망증의 방사선 치료 결과

        윤상모(Sang Mo Yun),김재철(Jae Cheol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4 No.4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survival, failure patterns, and prognostic factors of MMR patients after radiation therapy. We also discussed the need for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for 23 patients with MMR who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from June 1985 to November 1992. There were 19 male and 4 female patients,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17 to 71 years (median 39 years). Systemic symptoms including fever, weight loss, or malaise were found in 30% of the patients. The nasal cavity was most frequently involved No patients had nodal involvement at diagnosis. There were 2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is at presentation.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five times a week, 1.8 Gy daily, total 45~54 Gy (median 50.4 Gy) using 6 MV X-ray No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as initial treatment. Results : Overall 5-year and 10-year survival rates were 52.4% and 44.1%, respectively. Seventy Percent(12/17) of the patients achieved complete response to radiotherapy, and 29.4% (5/17) achieved partial response. The Patients with complete response showed a better 5-year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 partial response (66.9% vs. 20%. p=0.004). Symptom duration before diagnosis, the presence of systemic symptom, and the number of primary sites had no influence on survival. The patterns of failure were as follows: local failure(1), failure in adjacent site(1), local and distant failure(1) distant metastasis(2). and conversion to malignant lymphoma(1). We could not fi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tterns of failure. Conclusion : The most important facto associated with survival was the response to radiotherapy. Seventeen percent of the patients had distant metastasis, and the salvage after distant metastasis was not successful. However. about $50\%$ of the patients could achieve long-term survival with local radiation therapy alone. Therefore, chemotherapy of MMR should be done after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for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istant metastasis. 목적 : 중심선 악성 세망증의 방사선 치료 후 생존율, 실패 양상, 그리고 예후 인자에 대해 분석하고, 최근 대두되는 화학요법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6원부터 1992년 11월까지 방사선 치료를 위해 의뢰된 23예의 중심선악성 세망증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 분포는 17세부터 71세까지 광범위 했고 (중앙값 39세), 남자 19예와 여자 4예로 남성에서 호발하였다. 30% (7/23)의 환자에서 발열, 체중 감소, 혹은 전신 쇠약감 등의 전신 증상을 호소하였다. 상기도 병소는 비강이 가장 빈번하게 침범되었고, 진단 시 경부 임파절 전이를 보인 경우는 없었으며, 원격 전이를 보인 경우가 2예 있었다. 방사선 치료는 6 MV X-ray를 이용하여 1회 선량 1.8 Gy씩, 주 5회, 총선량 45~54 Gy (중앙간 50.4 Gy)를 조사 하였다. 첫 치료 시 화학요법을 시행한 예는 없었다. 결과 :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은 완전 관해 70.6% (12/17), 부분 관해 29.4% (5/l7) 였으며, 5년 생존율은 52.4%, 10년 생존율은 44.1%였다. 방사선 치료에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이 부분 관해를 보인 환자관보다 5년 생존율이 높았다 (66.9% vs. 20%, p=0.004). 성별, 나이, 진단시까지 증상의 지속기간, 전신 증상의 유무, 그리고 원발 병소의 수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실패 양상은 원발 병소 재발 1예, 주위 조직 재발 1예, 원발 병소 재발 및 원격전이 1예, 원격전이 2예, 그리고 악성 임파종으로 이행 1예 등으로 관찰되었다. 실패 양상과 관련된 요인은 찾을 수 없었다. 결론 : 중심선 악성 세망증의 방사선 치료 후 장기 생존과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완전 관해 유무였다. 따라서 첫 치료 시 완전 관해를 이루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겠다. 원격 전이가 17%에서 관찰되었고 그것이 사망의 요인 중 하나였다. 그러나 약 50%의 환자는 국소 방사선치료만으로도 장기 생존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모든 환자에서 첫 치료 시 화학 요법을 시행한다 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원격 전이와 관계가 있는 요인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선행되고 난 뒤에 시행하는 것이 좋겠다.

      • 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윤상모 ( Sang Mo Yun ),김명세 ( Myung Se Kim ) 영남대학교 기초/임상의학연구소 200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4 No.2S

        Although occasionally used as a therapeutic modality, radiotherapy was not a routine part of the treatment of stomach cancer. As a single modality, preoperative radiotherapy showed some benefit, but this was not confirmed in radomized trial. In recent neoadjuvant trials, radiotherapy is usually given concurrently with chemotherapy, and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rates was about 30%. There were small studies of radiotherapy as an adjuvant, either alone or with chemotherapy, but the randomized studies using postoperative radiotherapy alone did not show a survival benefit. The results of intergroup gastric adjuvant trial(INT 0116) were presented in May 2000 at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In that report, post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showed survival benefit. INT 0116 has established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as the standard care for high risk patients with resected stomach cancer. But, INT 0116 had several weak points including lack of standardized nodal dissection and delivery rates of treatments. So, Asian and European investigators did not agree. Korean study showed benefit of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after D2 dissection, but this study was not randomized. Recently, Korean investigators started randomized trial of chemoradiotherapy in D2 dissected patients. This trial may give answer to us about the benefit of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resected stomach cancer.

      • KCI등재후보

        혈액종양 ; 국소 연조직 환자의 예후인자 분석

        고성애 ( Sung Ae Koh ),이경희 ( Kyung Hee Lee ),김민경 ( Min Kyoung Kim ),현명수 ( Myung Soo Hyun ),신덕섭 ( Duk Seop Shin ),윤상모 ( Sang Mo Yun ),강민규 ( Min Kyu Kang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4

        목적: 연부조직 육종이란 지방, 근육, 신경, 섬유성 관절, 혈관이나 피부의 깊은 조직으로부터 생기는 악성종양이다.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분석도 많지 않은데, 현재 국소재발과 관련된 예후인자로 나이, 후복막과 두부에 종양이 위치했을 때, 종양의 등급, 특정한 조직분류가 보고되고 있다. 방법: 이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영남대학병원에 입원하여 국소적인 연부조직 육종을 진단받고 단독수술 혹은 수술 후 병합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선정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 종양의 조직종류, 수술절제 단면의 암세포의 유무, 수술, 항암요법, 방사선 요법 등의 치료 종류 등을 포함한 환자의 특징을 포함시켰다. 전체 생존기간과 무병 생존기간에 연관있는 여러 인자들을 단변량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일반적인 특징을 보면, 평균나이는 50세 (범위 17~70세)였다. 남녀 비율은 남자 31명, 여자 36명으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으며 처음 진단받고 치료한 환자는 58명 (87%)이었고 국소 재발하여 치료한 환자는 9명(13%)이었다. 조직학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한 육종은 지방육종으로 총20명(30%)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평활근 육종으로 9명(13%)을 차지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10 cm 보다 큰 환자의 수는 17명(25%)이었으며 19명(28%)의 환자에서 수술절제 단면 양성소견을 보였다. 조직결과에서 고등급이 43명으로 64%를 차지하였다. 육종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장소는 하지로 35명 (52%)이었으며 다음으로 차지한 곳이 몸통으로 9명(18%)이었다. 생존 기간 중앙값은 62.7개월(95% CI. 25.7-99.4)이었고, 무병생존기간 중앙값은 36.1개월(95% CI. 17.9-54.2)이었다. 수술만 한 집단에서의 생존 기간 중앙값과 무병생존기간 중앙값은 각각 51.2개월이고 21.1개월이었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생존률과 관련된 예후인자는 종양의 크기, 활동도였다. 무병 생존기간과 관련된 인자는 종양위치와 절제단면이었는데, 수술 절제 단면 양성일 때, 종양의 위치가 두부, 천부몸통, 심부몸통에 위치하였을 때 무병 생존기간이 의미 있게 짧았다. 그러나 수술 후 치료 방법은 전체 생존기간이나 무병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국소 연부조직 육종에서의 예후인자를 분석하였고, 종양이 클수록, 종양의 위치가 두부나 몸통에 위치할 때, 수술 절제 단면이 양성일 때, 그리고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나쁠 때 예후가 나쁜 것으로 분석되었다. Background/Aims: We evaluated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in the treatment of soft tissue sarcoma. Methods: Sixty-seven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the patients had presented with localized soft tissue sarcoma and had been treated with conservative surgery, followed by additional therapy or surgery. All were treated at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6.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used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study sample was 50 (range, 15~70) years. Twenty patients (30%) had liposarcoma and nine (13%) had leiomyosarcoma. Seventeen patients (25%) had a tumor measuring greater than 10 cm. Nineteen patients (28%) had positive resection margin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62.7 months (95% CI: 25.7~99.4) and the median disease-free survival was 36.1 months (95% CI: 17.9~54.2).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ere a tumor size greater than 10 cm and performance status. Positive resection margins and tumor site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Other factors, such as histopathology, gender, age, and tumor grade, did not have prognostic value. Additionally, the chosen modality of treatment after surgery was not an independent predictor of the median overall or disease-free survival. Conclusions: Tumor size, positive resection margins, tumor site, and performance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poor prognosis. (Korean J Med 2011;80:419-426)

      • KCI등재후보

        3-Channel Vaginal Ovoids의 선량분포 특성

        김창희,윤상모,김성규,신세원,Kim Chang Hee,Yun Sang Mo,Kim Sung Kyu,Shin Sei One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 의학물리 Vol.15 No.3

        자궁경부암의 치료에서 자궁적출술 후 시행되는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의 가능성을 줄여 주거나 무병생존율을 향상시켜준다. 수술 후 국소재발이 질강에서 발생하거나, 질의 악성종양을 치료하기 위하여 외부조사와 병합한 강내조사나 강내조사 단독치료가 이용된다. 질강을 통한 강내조사에서는 육안적 또는 영상진단에서 확인되는 종양에는 고선량의 방사선치료가 필요하지만 정상조직에는 최대한 피폭을 적게 해야 된다. 사용하는 치료기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ovoid applicator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 질강의 해부학적인 특성이 준비된 ovoid applicator와 비교하여 너무 넓은 경우에는 질점막에 원하는 선량분포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여 치료의 효과를 떨어뜨리고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궁적출술 후 시행되는 질강을 통한 근접치료에서 기존의 상품화된 2-채널 ovoid applicator 에 추가로 한 개의 선원을 더 설치할 수 있도록 3-채널 ovoid applicator를 제작하고 다양한 조건에서 모의치료를 시행하여 선량분포를 서로 비교하였다. Ovoid applicator의 두 선원 사이의 거리가 2 cm와 2.5 cm인 경우에는 기존의 2-채널 ovoid applicator와 새로 제작한 ovoid applicator 사이에 선량분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양쪽 ovoid applicator 사이의 거리가 3, 3.5, 4 cm으로 증가될수록 기존의 2-채널 ovoid applicato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ovoid applicator사이 중간지점에 저선량 부위가 발생하였지만, 새로 보완하여 제작한 3-채널 ovoid applicato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 선량 지점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질강이 넓어서 기존의 2-채널 ovoid applicator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양쪽 ovoid applicator 사이에 추가로 방사선원을 더 설치할 수 있는 3-채널 ovoid appilcator를 사용하면 질강내 국소재발의 감소와 생존율의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향후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임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new ovoid applicator for vaginal high-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evaluate uniformity of dose distribution, and assess clinical applicability. The authors evaluated dose uniformity of vaginal mucosa according to 5-different ovoid-separation using 2-channel and modified 3-channel ovoid applicat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ose distribution along the vaginal mucosa with 2 and 2.5 cm separations, but there were between the 2-channel and 3-channel ovoid applicator with a separation of 3 cm or more. Although a low dose area was shown between two ovoid applicators with the 2-channel ovoid applicator, the dose distribution along the vaginal mucosa with the 3-channel ovoid applicator was very uni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